KR102244510B1 - 벽 부착형 핸드레일 - Google Patents

벽 부착형 핸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510B1
KR102244510B1 KR1020210017677A KR20210017677A KR102244510B1 KR 102244510 B1 KR102244510 B1 KR 102244510B1 KR 1020210017677 A KR1020210017677 A KR 1020210017677A KR 20210017677 A KR20210017677 A KR 20210017677A KR 102244510 B1 KR102244510 B1 KR 102244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wall
longitudinal direction
disk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용
Original Assignee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7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11/1804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몸체를 연결하는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정부재와 레일 몸체를 간단히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는 벽 부착형 핸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하부에는 상판과 양 측판을 포함하는 하부가 개방된 결합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 측판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탄성 돌출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측의 탄성 돌출부의 사이에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각 상기 탄성 돌출부의 상면의 내측에는 결합 돌출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레일 몸체와; 전,후방에 평탄면이 형성되고 양측의 둘레가 원호면으로 형성되며 하면의 양측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된 결합 원판과 결합 원판의 하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판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 원판과 수직판이 결합 원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회전된 상태로 결합 원판과 수직판의 상부가 상기 삽입홀에 관통 삽입된 다음 다시 원위치로 역회전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결합 원판의 결합홈부에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되게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수직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벽체에 고정되는 벽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 부착형 핸드레일{Wall mounted handrail}
본 발명은 벽 부착형 핸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 몸체를 조립식으로 고정함에 따라 현장에서 시공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벽 부착형 핸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복도나 계단 등의 벽에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 또는 노인 등의 넘어짐을 방지하거나 화재의 발생시 대피자들이 잡고 신속하게 비상구로 탈출 수 있도록 벽 부착형 핸드레일이 설치된다.
이러한 벽 부착형 핸드레일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나 화재시 대피자가 한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복도나 계단을 따라 벽체에 일정한 높이로 연속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은 벽에 부착되는 판 형상의 벽 부착형 핸들레일이나 봉 형상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먼저 종래의 봉 형상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57029호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이하, "종래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이라 한다.)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레일(10)과 브래킷(20)으로 구성된 벽 부착용 핸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11)와 브래킷(20)이 끼움되는 원형의 결착홈(12a)이 형성된 내측부(12)로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20)은 핸드레일 내측부(12)와 동일한 직경으로 꺽임부(21a)가 형성된 갈고리 형태로 핸드레일(10)에 결착되는 걸림부(21)와, 상기 걸림부(21)의 꺽임부(21a)에 연결되는 막대형 구조로 하측이 개방되며 상측 내부에 끼움홈이 형성된 몸체부(22)와, 상기 몸체부(22)에 끼움되고 벽에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판형태의 고정판(23)으로 구성되며, 벽면에 부착된 브래킷(20)의 갈고리형태 걸림부(21)에 핸드레일의 원형 결착홈(12a)을 끼움하고, 상기 결착홈(12a) 일측 끝부분이 브래킷의 갈고리형 걸림부(21)의 꺾임부(21a)에 닿도록 핸드레일을 회전하며, 상기 회전이 멈춘 위치에 핸드레일(10)과 브래킷(20)을 볼트와 같은 연결 연결부재(100)로 체결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은 핸드레일이 갈고리형 걸림부에서 공회전되거나 핸드레일이 갈고리형 걸림부에서 회전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필수적으로 핸드레일과 갈고리형 걸림부를 볼트와 같은 연결부재로 체결 결합해야 함으로써, 볼트들의 체결로 인하여 핸드레일과 갈고리형 걸림부의 조립시간이 오래 걸림에 따라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을 잡고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핸드레일이 걸고리형 걸림부의 외측에서 회전되려는 힘이 계속적으로 발생됨에 따라, 갈고리형 걸림부를 관통하여 핸들레일에 체결되는 볼트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장기간이 경과되면 갈고리형 걸림부에서 핸드레일이 이탈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57029호 "벽 부착형 핸드레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 몸체를 연결하는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벽에 연결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90도 회전시킨 후 원위치 시키는 간단한 과정만으로 고정부재와 레일 몸체를 간단히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벽 부착형 핸드레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벽 부착형 핸드레일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하부에는 상판과 양 측판을 포함하는 하부가 개방된 결합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 측판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탄성 돌출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측의 탄성 돌출부의 사이에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각 상기 탄성 돌출부의 상면의 내측에는 결합 돌출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레일 몸체와; 전,후방에 평탄면이 형성되고 양측의 둘레가 원호면으로 형성되며 하면의 양측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된 결합 원판과 결합 원판의 하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판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 원판과 수직판이 결합 원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회전된 상태로 결합 원판과 수직판의 상부가 상기 삽입홀에 관통 삽입된 다음 다시 원위치로 역회전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결합 원판의 결합홈부에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되게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수직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벽체에 고정되는 벽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레일 몸체를 연결하는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벽에 연결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90도 회전시킨 후 원위치 시키는 간단한 과정만으로 고정부재와 레일 몸체를 간단히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장에서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시공성이 우수한 벽 부착형 핸드레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4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들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은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벽에 벽 고정수단으로 연결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90도 회전시킨 후 원위치 시키는 간단한 과정만으로 고정부재와 레일 몸체를 간단히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레일 몸체(1), 고정부재(2), 벽 고정수단(3)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 몸체(1)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금속재나 강도가 강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레일 몸체(1)의 외면에는 도금층이나 도료층을 더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몸체(1)의 하부에는 상판(111)과 양 측판(112)을 포함하는 하부가 개방된 결합홈(1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 측판(112)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탄성 돌출부(12)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측의 탄성 돌출부(12)의 사이에는 삽입홀(13)이 형성되며, 각 상기 탄성 돌출부(12)의 상면의 내측에는 결합 돌출부(14)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각각의 상기 탄성 돌출부(12)는 상기 측판(112)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연결 단부가 측판(112)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탄성 돌출부(12)는 외측의 연결 단부를 중심으로 내측이 하강되었다가 다시 상승되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결합 돌출부(14)는 각 탄성 돌출부(12)의 상면 내측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 돌출부(14)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레일 몸체(1)의 내부에는 결합홈(11)을 구성하는 상판(111)의 상부 중앙과 레일 몸체(1)의 내측 상부를 수직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 보강판(1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는 전,후방에 평탄면(211)이 형성되고 양측의 둘레가 원호면(212)으로 형성되며 하면의 양측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14)가 삽입되는 결합홈부(213)가 형성된 결합 원판(21)과 결합 원판(21)의 하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판(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는 상기 결합 원판(21)과 수직판(22)이 결합 원판(21)을 중심으로 90도 회전된 상태로 결합 원판(21)과 수직판(22)의 상부가 상기 삽입홀(13)에 관통 삽입된 다음 다시 원위치로 역회전되어 상기 결합홈(11)과 삽입홀(13)에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결합 원판(21)과 수직판(22)이 결합 원판(21)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회전된 상태로 결합 원판(21)과 수직판(22)의 상부가 상기 삽입홀(13)에 관통 삽입된 다음 다시 원위치로 역회전되어 상기 결합홈(11)에 결합되면, 상기 결합 원판(21)의 결합홈부(213)에 상기 결합 돌출부(14)가 삽입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결합홈부(213)는 결합 돌출부(14)가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결합 원판(21)과 수직판(22)이 결합 원판(21)의 중앙을 중심으로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결합 원판(21)과 수직판(22)의 상부가 상기 삽입홀(13)에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원판(21)의 전,후방 평탄면(211)의 사이 길이는 상기 삽입홀(13)의 양측 길이보다 짧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홈(11)의 양측의 각 측판(112)은 하부에서 외측으로 상향지는 원호형의 판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 원판(21)이 결합홈(11)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는 결합 원판(21)의 전후 이동과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 원판(21)의 양측의 원호면(212)의 하단과 결합홈(11)의 양측 하부가 점접촉의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일 몸체(1)에 연결 고정되는 고정부재(2)의 결합 원판(21)의 양측을 레일 몸체(1)의 결합홈(11)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견고하게 고정함에 따라, 핸드레일의 사용시 레일 몸체(1)가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시 안전성이 확보된 벽 부착형 핸드레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결합 돌출부(14)의 높이를 상기 결합홈부(213)의 높이보다 높게하거나 동일하게 하여 상기 결합 원판(21)이 결합홈(11)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 돌출부(14)가 형성된 양측 탄성 돌출부(1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결합 원판(21)의 하면이 상부 방향으로 눌러지게 됨에 따라 결합 원판(21)의 상면이 상기 상판(111)에 하면에 밀착됨으로써, 결합 원판(21)의 전후 이동과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벽 고정수단(3)은 상기 수직판(22)의 하부에 연결되어 벽에 고정되는 것으로 수직판(22)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벽 고정수단(3)은 상기 가드레일과 수직판(22)이 포함되는 고정부재(2)를 벽에서 돌출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판(22)의 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대(31)와, 상기 경사대(31)의 하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수평지게 형성되는 수평대(32)와, 상기 수평대(32)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지고 내부에는 타측에서 일측의 방향으로 벽에 체결되는 앵커볼트(A)가 관통될 수 있도록 고정홀(331)이 형성되는 벽 고정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홀(331)의 외측에는 앵커볼트(A)의 볼트머리가 삽입되는 자리파기홈(332)이 더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을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하부에 벽 고정수단(3)이 연결된 고정부재(2)을 구성하는 결합 원판(21)과 수직판(22)을 결합 원판(21)의 중앙을 중심으로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결합 원판(21)과 수직판(22)의 상부를 상기 레일 몸체(1)의 삽입홀(13)에 관통 삽입시켜, 결합 원판(21)을 결합홈(11)에 위치시키고 수직판(22)의 상부를 삽입홀(13)에 위치시킨다.
다음 상기 결합 원판(21)과 수직판(22)을 결합 원판(21)의 중앙을 중심으로 다시 원위치로 90도 역회전시켜 상기 결합 원판(21)을 결합홈(11)에 삽입시키고, 이때 상기 결합 원판(21)의 결합홈부(213)들에 상기 결합 돌출부(14)들을 삽입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 원판(21)과 수직판(22)을 결합 원판(21)의 중앙을 중심으로 다시 원위치로 90도 역회전시키는 과정에서는 상기 삽입홀(13)의 양측에 구비된 탄성 돌출부(12)의 내측이 탄성력으로 하강 되었다가 다시 상승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하부에 벽 고정수단(3)이 연결된 고정부재(2)들을 레일 몸체(1)의 하부에 다수로 설치한 다음, 고정부재(2)들의 하부에 연결된 벽 고정수단(3)의 벽 고정판(33)에 앵커볼트(A)를 관통시켜 앵커볼트(A)를 벽에 체결하는 과정을 통해 핸드레일의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일 몸체(1)를 연결하는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벽에 연결 고정되는 고정부재(2)를 90도 회전시킨 후 원위치 시키는 간단한 과정만으로 고정부재(2)와 레일 몸체(1)를 간단히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장에서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시공성이 우수한 벽 부착형 핸드레일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벽 부착형 핸들레일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은 상기 결합 원판(21)의 하면 양측에는 상부가 뾰족한 나사 체결홈(23)이 종방향으로 더 형성되고, 상기 상판(111) 상면의 양측에는 나사의 체결 과정에서 상판(11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 체결홈(23)의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두 개의 보강 돌출부(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벽 부착형 핸드레일은 상기 나사 체결홈(23)의 상부에서 결합 원판(21)과 상판(111)에 나사홈을 형성하면서 상부 방향으로 관통 체결되는 탭핑나사(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돌출부(15)는 양측에 두 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두 개의 보강 돌출부(15)의 사이로 상기 탭핑나사(B)의 나사축이 관통 체결되면 관통되는 나사축의 양측을 보강함으로써, 상판(111)이 뒤틀리거나 깨지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벽에 연결 고정되는 고정부재(2)와 레일 몸체(1)를 탭핑나사(B)를 통해 더 연결함으로써, 안전성이 더 향상된 벽 부착형 핸드레일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레일 몸체
11 : 결합홈
12 : 탄성 돌출부
13 : 삽입홀
14 : 결합 돌출부
15 : 보강 돌출부
16 : 수직 보강판
2 : 고정부재
21 : 결합 원판
22 : 수직판
23 : 나사 체결홈
3 : 벽 고정수단
31 : 경사대
32 : 수평대
33 : 벽 고정판
B : 탭핑볼트
A : 앵커볼트

Claims (4)

  1.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하부에는 상판과 양 측판을 포함하는 하부가 개방된 결합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 측판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탄성 돌출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측의 탄성 돌출부의 사이에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각 상기 탄성 돌출부의 상면의 내측에는 결합 돌출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레일 몸체와;
    전,후방에 평탄면이 형성되고 양측의 둘레가 원호면으로 형성되며 하면의 양측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된 결합 원판과 결합 원판의 하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판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 원판과 수직판이 결합 원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회전된 상태로 결합 원판과 수직판의 상부가 상기 삽입홀에 관통 삽입된 다음 다시 원위치로 역회전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결합 원판의 결합홈부에 상기 결합 돌출부가 삽입되게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수직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벽체에 고정되는 벽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부착형 핸드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 고정수단은
    상기 수직판의 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대와,
    상기 경사대의 하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수평지게 형성되는 수평대와,
    상기 수평대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지고 내부에는 타측에서 일측의 방향으로 앵커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고정홀이 형성되며 고정홀의 외측에는 앵커볼트의 볼트머리가 삽입되는 자리파기홈이 형성되는 벽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부착형 핸드레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원판은 하면 양측에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뾰족한 나사 체결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 상면의 양측에는 상기 나사 체결홈의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두 개의 보강 돌출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벽 부착형 핸드레일은
    상기 나사 체결홈의 상부에서 결합 원판과 상판에 나사홈을 형성하면서 관통 체결되는 탭핑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부착형 핸드레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양측의 각 측판은 하부에서 외측으로 상향지는 원호형의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출부의 높이를 상기 결합홈부의 높이보다 높게하거나 동일하게 하여 상기 결합 원판이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 돌출부가 형성된 양측 탄성 돌출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결합 원판의 상면이 상기 상판에 하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부착형 핸드레일.
KR1020210017677A 2021-02-08 2021-02-08 벽 부착형 핸드레일 KR102244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677A KR102244510B1 (ko) 2021-02-08 2021-02-08 벽 부착형 핸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677A KR102244510B1 (ko) 2021-02-08 2021-02-08 벽 부착형 핸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510B1 true KR102244510B1 (ko) 2021-04-27

Family

ID=7572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677A KR102244510B1 (ko) 2021-02-08 2021-02-08 벽 부착형 핸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5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60Y1 (ko) * 2003-03-28 2003-06-18 김오형 핸드레일과 중간 지지봉의 비용접식 결합구조
KR100757029B1 (ko) 2006-03-03 2007-09-07 김오형 벽 부착용 핸드레일
US20110017969A1 (en) * 2009-07-22 2011-01-27 David Reich Handrail assembly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60Y1 (ko) * 2003-03-28 2003-06-18 김오형 핸드레일과 중간 지지봉의 비용접식 결합구조
KR100757029B1 (ko) 2006-03-03 2007-09-07 김오형 벽 부착용 핸드레일
US20110017969A1 (en) * 2009-07-22 2011-01-27 David Reich Handrail assembly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6201A (en) Handrail for toddlers
KR101964848B1 (ko) 조립식 알루미늄과 스크류 케미칼 앵커를 이용한 교량 점검시설물의 설치 공법 및 그 구조체
KR102244510B1 (ko) 벽 부착형 핸드레일
KR200436231Y1 (ko)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US6007285A (en) Cantilever fastener assembly
US3762501A (en) Fire escape apparatus
KR100757029B1 (ko) 벽 부착용 핸드레일
JP4133689B2 (ja) ロッキング外壁パネル
KR100470761B1 (ko) 건축 구조물 베란다 안전 난간대
JP4387574B2 (ja) 外壁パネル及び外壁構造
JP2007255085A5 (ko)
JP3037864U (ja) 壁パネル連結装置
KR102115319B1 (ko) 설치가 용이한 비상탈출용 미끄럼틀
KR20190063014A (ko) 구조용 미끄럼틀
CN217854296U (zh) 一种可拆卸室内单杠结构
TWI715246B (zh) 用於角材安裝之扣件
JP2006112199A (ja) 手すり接続部材
KR19990015637U (ko) 계단용 논슬립
JP2006094977A (ja) 浴室用部材の設置構造
JP5179117B2 (ja) 足場の壁つなぎ取付け金物
JP3541241B2 (ja) 手すり材取り付け方法
JP2000179150A (ja) 水平つなぎ材の締結構造
KR20220131064A (ko) 조립식 계단
JPH0734097Y2 (ja) 手摺の取り付け装置
JP2023024916A (ja) クライミング用人工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