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014A - 구조용 미끄럼틀 - Google Patents

구조용 미끄럼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014A
KR20190063014A KR1020170161757A KR20170161757A KR20190063014A KR 20190063014 A KR20190063014 A KR 20190063014A KR 1020170161757 A KR1020170161757 A KR 1020170161757A KR 20170161757 A KR20170161757 A KR 20170161757A KR 20190063014 A KR20190063014 A KR 20190063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slider
buckle
fix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미
Original Assignee
조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미 filed Critical 조은미
Priority to KR1020170161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3014A/ko
Publication of KR20190063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급상황시에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계단을 따라 설치될 수 있는 구조용 미끄럼틀로서,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미끄럼틀 본체; 상기 미끄럼틀 본체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계단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조용 미끄럼틀{Slide for rescuing}
본 발명은 응급상황시에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조용 미끄럼틀에 관한 기술이다.
건물이 고층화됨에 따라 지진, 화재나 각종 위험 상황시에 대피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와 같이 어린아이들이 단체로 생활하는 공간인 경우 더욱 이러한 위험이 존재한다.
응급상황시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패닉 상태에 빠지기 때문에 질서가 무너지게 되고, 이에 따라 압사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나 계단을 통해 갑자기 많은 사람들이 몰리게 되면 도미노 같이 사람들은 차례대로 넘어지는 상황이 발생하여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0720호의 "계단용 비상 탈출 미끄럼틀"이 알려져 있으며,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계단용 비상 탈출 미끄럼틀의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용 비상 탈출 미끄럼틀의 벽면 연결은 벽과 연결되는 손잡이부(11)에 체결브라켓(32)과 회전축(3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체결브라켓(32)은 벽변부와 손잡이부(11)를 연결하며 벽변에 부착하며 회전축(33)과 연결된다. 회전축(33)은 계단용 비상 탈출 미끄럼틀과 벽면을 연결하며 회전이 용이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계단용 비상 탈출 미끄럼틀의 펼쳐짐 자석부(31)에 부착된 계단용 비상 탈출 미끄럼틀을 아래로 내리면 회전축(33)이 회전하여 바닥면에 손쉽게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기술은 계단의 일측 벽면을 따라 접었다 펼쳐질 수 있는 미끄럼틀을 부착하여 필요시 펼쳐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나, 미끄럼틀 자체의 높이로 인해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가 많아 공간활용에 문제점이 있고, 통행시에도 부딪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항상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위급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일부 사용자들이 장난으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고장 및 파손의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0720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위급 상황시에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한 구조의 구조용 미끄럼틀을 제시함으로써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구조용 미끄럼틀은, 계단을 따라 설치될 수 있는 구조용 미끄럼틀로서,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미끄럼틀 본체; 상기 미끄럼틀 본체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계단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미끄럼틀 본체의 상단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은 고정패드 상면에 형성되는 끼움돌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미끄럼틀 본체의 상단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계단 상단에 마련되는 자석패드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미끄럼틀 본체의 상단이 수평으로 형성되되, 좌우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봉을 끼워서 상기 계단 상단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미끄럼틀 본체의 상단이 수평으로 형성되되, 전단부에 하나 이상의 락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락 돌기는 락 홀더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미끄럼틀 본체의 상단이 수평으로 형성되되, 전단부에 버클이 구비되어 상기 버클은 버클 홀더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끄럼틀 본체는, 상기 고정부를 제외한 영역은 에어튜브로 이루어져 공기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끄럼틀 본체는, 두 개 이상이 힌지로 연결되어 접힐 수 있도록 하거나,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용 미끄럼틀은 위험 상황시 건물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대피하고자 할 때 활용되어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조용 미끄럼틀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설치가 용이하여 응급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계단용 비상 탈출 미끄럼틀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구조용 미끄럼틀의 사시도.
도 3은 고정패드 하면에 흡착판이 마련되는 경우에 대한 단면 예시도.
도 4는 고정패드가 계단 상단면에 함몰된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용 미끄럼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용 미끄럼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조용 미끄럼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조용 미끄럼틀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조용 미끄럼틀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되는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제시되는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지적해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구조용 미끄럼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고정패드 하면에 흡착판이 마련되는 경우에 대한 단면 예시도이며, 도 4는 고정패드가 계단 상단면에 함몰된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용 미끄럼틀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용 미끄럼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조용 미끄럼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조용 미끄럼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용 미끄럼틀은 미끄럼틀 본체와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미끄럼틀 본체는 경사진 형태를 이루어 사람이 앉게 되면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조용 미끄럼틀은 미끄럼틀 본체 상단에 고정부가 마련되어 사용시에 계단 상단에 미끄럼틀 본체를 연결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개별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구조용 미끄럼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도 2와 같이 미끄럼틀 본체(100)는 일반적인 놀이터의 미끄럼틀 형상과 유사하게 오목한 U 자형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미끄럼틀 본체(100)는 좌우의 보호벽(110)과 보호벽(110)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면(12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미끄럼틀 본체(100)의 상단은 계단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평으로 절곡된 고정부(200)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제1실시예의 경우 고정부(200)의 하면에 복수의 끼움홈(210)이 형성되도록 하며, 끼움홈(210)에 대응하여 계단 상단면에는 끼움돌기(310)가 형성되는 고정패드(300)가 구비되도록 한다.
도 3과 같이 고정패드(300)는 사용시에 설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고정패드(300)의 하면에는 고정을 위한 흡착판(320)을 두어서 계단 상단면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고정패드(300)의 상면에는 복수의 끼움돌기(310)가 형성되어 고정부(200)의 하면에 형성되는 끼움홈(210)에 끼움돌기(310)가 끼워지게 함으로써 미끄럼틀 본체(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형태로 고정패드(300)는 계단 상단면 자체에 계단의 일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4와 같이 계단의 시공시에 계단 상단면에 소정 면적에 걸쳐서 복수의 끼움돌기(310)가 형성되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이런 끼움돌기(310)가 보행에 장애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끼움돌기(31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밀폐판(330)을 끼워둘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판(330)은 본원의 구조용 미끄럼틀을 사용하고자 할 때 제거하도록 하며, 밀폐판(330)이 제거되면 끼움돌기(310)가 노출되므로 고정부(200)의 끼움홈(210)을 맞추어 조립하도록 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구조용 미끄럼틀에서 미끄럼틀 본체(100)는 기본적으로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창고 등에 보관하였다가 응급시에 꺼내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미끄럼틀 본체(100)를 완전한 형태를 갖는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경우 부피가 크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미끄럼틀 본체를 에어튜브로 구성하여 사용시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되게 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에는 큰 힘이 걸리게 되므로 고정부는 플라스틱으로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미끄럼틀 본체 중 큰 부피를 차지하는 고정부 이외 영역을 에어튜브로 구성함으로써 보관시의 부피를 최소화하며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미끄럼틀 본체는 선택적으로 플라스틱이나 에어튜브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은 동일하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제2실시예에 의한 구조용 미끄럼틀의 경우는 도 5와 같이 미끄럼틀 본체(100) 상단의 고정부(200)의 하면에 자석(220)이 구비되게 하고, 계단 상단면에는 자석패드(400)를 마련하여 상호 결합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석패드(400)는 계단 상단면에 계단의 일부로서 설치되게 하며, 평상시에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덮개(410)로 덮어 보호되는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위급상황시에 덮개(410)를 제거하여 자석패드(400)가 노출되게 한 후, 미끄럼틀 본체(100)의 고정부(200) 하면에 구비되는 자석(220)을 자석패드(400)에 부착시킴으로써 미끄럼틀 본체(100)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구조용 미끄럼틀은 도 6과 같이 미끄럼틀 본체(100)의 상단이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200)를 갖되, 고정부(200)의 좌우로 관통홀(230)이 형성되고, 관통홀(230)에 끼워지는 봉(500)을 이용하여 계단 상단에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관통홀(230)에 끼워지는 봉(500)은 미끄럼틀 본체(100)의 폭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양단 혹은 일단이 계단의 벽면에 끼워지도록 하거나, 계단의 턱에 걸리도록 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계단 상단의 벽면에 봉(500)을 끼울 수 있는 봉 삽입구(510)를 마련하여 필요시 봉(500)을 끼워서 미끄럼틀 본체(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실시예>
본원의 제4실시예에서는 도 7과 같이 미끄럼틀 본체(100)의 상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고정부(200)의 전단부에 락 돌기(240)를 하나 이상 형성시키도록 하고, 락 돌기(240)에 대응하는 락 홀더(600)를 마련하여 락 홀더(600)에 락 돌기(240)를 끼우게 되면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락 돌기(240)와 락 홀더(600)는 자물쇠와 같은 원리로 동작될 수 있는데, 락 홀더(600)에 락 돌기(240)를 맞추어 가압하여 밀어 넣게 되면, 락 돌기(240)가 락 홀더(600)에 물려 고정이 되고, 결합의 해제를 위해서는 키를 이용하여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는 자전거용 자물쇠와 같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 락 홀더(600)는 계단의 후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거나, 계단 상단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사용시 락 홀더(600)를 당기거나 돌출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계단의 후면에 락 홀더(600)를 두는 경우라면 보관함(미도시)을 구비하여 평소에는 보관함에 락 홀더(600)가 보관되도록 하고, 사용하고자 할 때 락 홀더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고, 계단 상단면에 설치되는 경우라면 락 홀더(600)를 계단 상면 보다 낮게 설치하되, 락 홀더(600)가 회동되게 하여 사용할 때에 락 홀더(600)를 돌출시켜서 락 돌기(24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덮개(미도시)를 이용하여 평상시에는 락 홀더(60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5실시예>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조용 미끄럼틀은 도 8과 같이 미끄럼틀 본체(100)의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부(200)가 형성되되, 고정부(200)의 전단부에 버클(2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버클(250)에 대응하는 버클 홀더(700)를 이용하여 연결시킴으로써 미끄럼틀 본체(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버클홀더(700)는 계단 상단의 후면에 구비되게 하여 필요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계단 상단면에 매립되는 형태로 하여 덮개를 열어서 버클홀더(700)를 꺼내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버클 및 버클홀더는 복수개를 마련하여 동시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경우에도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실시예>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는 보관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미끄럼틀 본체(100)가 두 개 이상으로 구분되어 힌지(미도시)로 접힐 수 있도록 하거나,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되어 암수 형태의 연결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시에는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시에는 분리시켜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미끄럼틀 본체를 두 개 이상으로 분리하는 경우 미끄럼틀 본체의 좌우 보호벽(110)에 삽입구(미도시)나 삽입돌기(미도시)를 마련하여 간편하게 삽입구에 삽입돌기를 끼워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용 미끄럼틀은 유치원, 학교 등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건물에 구비되어 위급 상황시 신속한 대피를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100 : 미끄럼틀 본체
110 : 보호벽 120 : 바닥면
200 : 고정부
210 : 끼움홈 220 : 자석
230 : 관통홀 240 : 락 돌기
250 : 버클
300 : 고정패드
310 : 끼움돌기 320 : 흡착판
330 : 밀폐판
400 : 자석패드 410 : 덮개
500 : 봉 510 : 봉 삽입구
600 : 락 홀더
700 : 버클홀더

Claims (8)

  1. 계단을 따라 설치될 수 있는 구조용 미끄럼틀로서,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미끄럼틀 본체;
    상기 미끄럼틀 본체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계단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미끄럼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미끄럼틀 본체의 상단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은 고정패드 상면에 형성되는 끼움돌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미끄럼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미끄럼틀 본체의 상단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계단 상단에 마련되는 자석패드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미끄럼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미끄럼틀 본체의 상단이 수평으로 형성되되, 좌우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봉을 끼워서 상기 계단 상단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미끄럼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미끄럼틀 본체의 상단이 수평으로 형성되되, 전단부에 하나 이상의 락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락 돌기는 락 홀더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미끄럼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미끄럼틀 본체의 상단이 수평으로 형성되되, 전단부에 버클이 구비되어 상기 버클은 버클 홀더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미끄럼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틀 본체는,
    상기 고정부를 제외한 영역은 에어튜브로 이루어져 공기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미끄럼틀.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틀 본체는,
    두 개 이상이 힌지로 연결되어 접힐 수 있도록 하거나,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미끄럼틀.




KR1020170161757A 2017-11-29 2017-11-29 구조용 미끄럼틀 KR20190063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757A KR20190063014A (ko) 2017-11-29 2017-11-29 구조용 미끄럼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757A KR20190063014A (ko) 2017-11-29 2017-11-29 구조용 미끄럼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014A true KR20190063014A (ko) 2019-06-07

Family

ID=6684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757A KR20190063014A (ko) 2017-11-29 2017-11-29 구조용 미끄럼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30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29977A (zh) * 2020-05-09 2020-08-14 台州学院 高层逃生滑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720A (ko) 2016-10-25 2016-11-14 김준구 계단용 비상 탈출 미끄럼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720A (ko) 2016-10-25 2016-11-14 김준구 계단용 비상 탈출 미끄럼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29977A (zh) * 2020-05-09 2020-08-14 台州学院 高层逃生滑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5849B1 (en) Safety door stopper
CA2912083C (en) Emergency exit door for a vehicle
KR20190063014A (ko) 구조용 미끄럼틀
KR102075935B1 (ko) 건물용 비상탈출기구
KR200482267Y1 (ko) 조립식 매트 펜스
EP1366692A2 (en) Retractable folding step stool
US20070193823A1 (en) Emergency exit window with anti-stealage function
JP5229903B2 (ja) 段ボール間仕切り、段ボール間仕切り及び床材セット
KR101797564B1 (ko) 완강기 보관함
US2470929A (en) Detachable seat cushion
JP2006348517A (ja) 扉開き防止装置
TWI660696B (zh) 組合式逃生床
JP2002115357A (ja) 仮設間仕切り壁の構造
KR102131817B1 (ko) 완강기 발판
JP2020169441A (ja) 止水パネルの取付け装置
JP3221258U (ja) 段形成構造体
JPH08277649A (ja) 防災キャビン
JP2023115934A (ja) 屋外用仮設トイレおよび仮設トイレ搭載車両
KR101354191B1 (ko) 범퍼블럭이 구비된 매트
JPH1199217A (ja) 屋内用避難ボックス
KR102328361B1 (ko)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완강기 설치구조
JPH11280145A (ja) 避難用間仕切り装置
JP2002256673A (ja) 玄関用手摺り付き収納ユニット
KR200491397Y1 (ko) 어린이 놀이집
JP3102048U (ja) 警報マットおよびそれを敷設した階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