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267Y1 - 조립식 매트 펜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매트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267Y1
KR200482267Y1 KR2020150002497U KR20150002497U KR200482267Y1 KR 200482267 Y1 KR200482267 Y1 KR 200482267Y1 KR 2020150002497 U KR2020150002497 U KR 2020150002497U KR 20150002497 U KR20150002497 U KR 20150002497U KR 200482267 Y1 KR200482267 Y1 KR 2004822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cushion guard
guard unit
detachable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709U (ko
Inventor
김성호
김지희
양재호
Original Assignee
진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2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26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7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7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2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2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매트 펜스에 관한 것으로, 일측부 및 타측부에 착탈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쿠션 가드유닛들을 착탈가능한 이음고리를 통해 연결하여 펜스를 형성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아이들이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놀이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펜스를 형성하는 각각의 쿠션 가드유닛의 하부에 형성된 결착홈에 받침대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어린아이들에 의해 펜스에 소정의 힘이 인가되더라도 서로 연결된 쿠션 가드유닛들이 쉽게 넘어지지 않고 지탱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매트 펜스{Mats fence of assemble type}
본 고안은 조립식 매트 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가정이나 어린아이집 등에 설치되어 유아 및 어린아이들이 소정의 놀이공간 내에서 안전하게 활동하게 함과 동시에 소형의 장난감들이 소정의 영역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식 매트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및 어린아이들이 생활하는 가정이나 어린아이집 등의 바닥면에는 아이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쿠션매트를 깔아 사용하고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쿠션매트의 가장자리의 사방에 범퍼매트를 구비하고 아이들에게 독립적인 놀이공간을 제공하면서도 장난 등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켜 안전사고에 대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에 따른 범퍼매트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0685(이하, '문헌 1'이라 함) 및 등록특허 제10-1354191호(이하, '문헌 2'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 1의 종래기술에 따른 범퍼매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호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범퍼블럭(10); "ㄱ"자 형성으로 형성되고 상호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범퍼블럭의 가장자리와 서로 연결되어 폐쇄된 "ㅁ"자 형상으로 조립되는 제 2 범퍼블럭(20); 및 상기 공간부 내에 이격공간 없이 밀착 위치되며 다단으로 절첩 가능한 매트부재(40)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범퍼블럭(10)과 제 2 범퍼블럭(20)이 연결되는 가장자리 측에는 조립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암 벨크로테이프(31)와 수 벨크로테이프(33)를 통해 상호 탈착가능한 연결수단(3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문헌 2의 종래기술에 따른 범퍼매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절첩 가능한 매트부재(10)와, 상기 매트부재의 가장자리에 폐쇄적으로 둘러쳐져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2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무단이탈을 방지하는 범퍼블럭(30 및 40)을 구비하는 매트(1)로서, 상기 매트부재(10)에 둘러쳐진 범퍼블럭(30 및 40)의 내측 모서리에는 상기 매트부재의 가장자리와 상기 범퍼블럭의 내벽이 상호 밀착 가능하도록 연결수단(70)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수단(70)은 범퍼블럭(30 및 40)의 모서리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부재(71)와, 상기 고정부재에 양단이 연결되고 자체 탄성력을 갖는 로프부재(72)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수단(70)은 상기 공간부(20) 내에 상기 매트부재(1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범퍼블럭(30 및 40)의 최하단에 연결 구비되게 구성된다.
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0685호(등록일 : 2013년 07월 23일)
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4191호(등록일 : 2014년 01월 14일)
그러나, 상술한 문헌 1에 따른 범퍼매트는 제 1 범퍼블럭(10) 및 제 2 범퍼블럭(20)을 암 벨크로테이프(31)와 수 벨크로테이프(33)와 같은 연결수단(30)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연결하는 바, 이는 아이들이 범퍼블럭에 기대어 약간의 힘을 가하기만 하여도 범퍼블럭들이 연결해제되어 쉽게 바닥면으로 무너져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헌 2에 따른 범퍼매트는 범퍼블럭(30 및 40)의 모서리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부재(71)와 이 고정부재에 양단이 연결되고 자체 탄성력을 갖는 로프부재(72)로 구성된 연결수단(70)을 통해 범퍼블럭(30 및 40)이 직립되게 유지하는 바, 이 또한 아이들이 범퍼블럭에 기대어 약간의 힘을 가하기만 하여도 범퍼블럭들이 해제되어 쉽게 바닥면으로 무너져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헌 1 및 문헌 2에 따른 종래기술은, 공통적으로 범퍼블록들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유아 및 어린아이들이 스스로 설치가 불가능함과 동시에 별다른 놀이수단을 제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범퍼매트의 미사용시 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일측부 및 타측부에 착탈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쿠션 가드유닛들을 착탈가능한 이음고리를 통해 연결하여 울타리 펜스를 형성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아이들이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놀이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펜스를 형성하는 각각의 쿠션 가드유닛의 하부에 형성된 결착홈에 받침대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소정의 힘이 인가되더라도 서로 연결된 쿠션 가드유닛들이 쉽게 넘어지지 않고 지탱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매트 펜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착탈 가드창을 갖는 쿠션 가드유닛들 각각을 착탈가능한 이음고리를 통해 연결하여 펜스를 형성하고, 각각의 쿠션 가드유닛 하부에 형성된 결착홈에 착탈 요홈이 형성된 받침대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어린아이들이 스스로 매트 펜스를 간편하게 조립 및 해제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학습놀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 및 다른 추가적인 목적들이,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 펜스는,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직립형성되고 내부에 소정의 놀이공간을 갖는 조립식 매트 펜스로서, 일측부 및 타측부의 각각에 하나 이상의 착탈공(111 및 112)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착탈공(111 및 112) 각각의 외측으로는 수직기둥부(111H 및 112H)가 형성되며, 이 각각의 수직기둥부(111H 및 112H)에 수평으로 절취선(1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쿠션 가드유닛(110); 및 상기 쿠션 가드유닛(110)의 일측부에 형성된 착탈공(111)과 타측부에 형성된 착탈공(112) 각각의 외측에 형성된 수직기둥부(111H 및 112H)를 수납하여 지탱하는 결착공(122)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쿠션 가드유닛(110)의 일측부와 타측부를 연결하는 이음고리(120)를 포함하되, 하나의 쿠션 가드유닛(110)의 타측부에 형성된 수직기둥부(112H)와 다른 하나의 쿠션 가드유닛(110)의 일측부에 형성된 수직기둥부(111H)를 밀착시키고, 각각의 수직기둥부(111H 및 112H)에 형성된 절취선(115)으로 이음고리(120)를 밀어 넣어, 상기 이음고리(120)의 내부에 형성된 결착공(122) 안으로 수직기둥부(111H 및 112H)를 내장시켜서 복수개의 쿠션 가드유닛(110)들을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쿠션 가드유닛(110)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결착홈(113)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착홈(113)에는 상기 쿠션 가드유닛(110)의 하부와 "+"자 형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부에 착탈 요홈(133)이 형성된 받침대(130)가 결합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쿠션 가드유닛(110)의 내부 몸체부에는 하나 이상의 착탈구멍(114)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착탈구멍(114)에는 매트 펜스(100)의 외부 환경을 볼 수 있도록 착탈가능한 착탈 가드창(140)이 결합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 펜스에 따르면, 일측부 및 타측부에 착탈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쿠션 가드유닛들을 착탈가능한 이음고리를 통해 연결하여 펜스를 형성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아이들이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는 놀이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펜스를 형성하는 각각의 쿠션 가드유닛의 하부에 형성된 결착홈에 받침대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어린아이들에 의해 펜스에 소정의 힘이 인가되더라도 서로 연결된 쿠션 가드유닛들이 쉽게 넘어지지 않고 지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 착탈 가드창을 갖는 쿠션 가드유닛들 각각을 착탈가능한 이음고리를 통해 연결하여 펜스를 형성하고, 각각의 쿠션 가드유닛 하부에 형성된 결착홈에 착탈 요홈이 형성된 받침대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어린아이들이 스스로 매트 펜스를 간편하게 조립 및 해제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학습놀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매트 펜스의 미사용시 보관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예에 따른 범퍼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범퍼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 펜스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 펜스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 펜스에 적용되는 쿠션 가드유닛을 나타내는 사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 펜스의 다양한 실시를 나타내는 사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 펜스를 어린아이들이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 펜스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면들 중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시 형태들은 예시로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고안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동등물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로 변경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 펜스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매트 펜스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 펜스에 적용되는 쿠션 가드유닛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 펜스의 다양한 실시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 펜스를 어린아이들이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 펜스(100)는, 쿠션 가드유닛(110), 이음고리(120), 받침대(130) 및 착탈 가드창(1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 가드유닛(110)은 상부에 불규칙한 요철 모양을 갖는 장방형의 형성을 갖고서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직립형성되고, 복수개의 쿠션 가드유닛(110)들이 이음고리(120)를 통해 서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내부에 소정의 놀이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유아 및 어린아이들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손쉬운 세척이 가능한 PE(polyethylene; 폴리에틸렌)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와 같은 수지로 이루어진 외피와, 상기 외피 내에 압축 스펀지와 같이 충격흡수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쿠션충전재가 충전되어 구성되며, 상기 이음고리(120), 받침대(130) 및 착탈 가드창(140)도 상술한 쿠션 가드유닛(110)과 동일한 외피 및 쿠션충전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쿠션 가드유닛(110)은 일측부 및 타측부의 각각에 이음고리(120)를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착탈공(111 및 11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받침대(13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결착홈(113)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의 몸체부에 착탈 가드창(140)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착탈구멍(11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쿠션 가드유닛(110)의 일측부에 형성된 착탈공(111)과 타측부에 형성된 착탈공(112) 각각의 외측으로는 수직기둥부(111H 및 112H)가 형성되며, 이 각각의 수직기둥부(111H 및 112H)의 중간지점에는 이음고리(12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자 형상의 절취선(1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음고리(120)는 복수개의 쿠션 가드유닛(110)을 착탈가능하게 서로 연결하여 매트 펜스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원반 형상을 갖되 내부에는 쿠션 가드유닛(110)의 일측부에 형성된 착탈공(111)과 타측부에 형성된 착탈공(112) 각각의 외측에 형성된 수직기둥부(111H 및 112H)를 수납하여 지탱하는 장방형의 결착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이음고리(120)를 통해 제 1 내지 제 n 개의 쿠션 가드유닛(110)들을 연결시에는, 하나의 쿠션 가드유닛의 타측부에 형성된 착탈공(112)과 다른 하나의 쿠션 가드유닛의 일측부에 형성된 착탈공(111)의 각각의 외측에 형성된 수직기둥부(111H 및 112H)를 밀착시키고, 각각의 수직기둥부(111H 및 112H)에 형성된 절취선(115)으로 이음고리(120)를 강제로 밀어넣은 후, 상기 이음고리(120)의 내부에 형성된 결착공(122) 안으로 수직기둥부(111H 및 112H)를 내장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쿠션 가드유닛(110)들을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받침대(130)는 쿠션 가드유닛(1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쿠션 가드유닛(110)이 직립된 상태에서 쉽게 넘어지지 않게 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이 평평하고 상부가 반원인 형상을 갖되 반원형상의 상부에는 상기 쿠션 가드유닛(110)의 하부에 수직 형성된 결착홈(113)에 예를 들어 180°각도로 교차하여 "+"자 형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 요홈(13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착탈 가드창(140)은 어린아이들이 본 고안에 따른 매트 펜스의 내부에서 활동하다가 선택적으로 외부 환경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쿠션 가드유닛(110)의 내부 몸체부에 형성된 착탈구멍(11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매트 펜스(100)에 의하면, 일측부 및 타측부에 하나 이상의 착탈공(111 및 112)이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쿠션 가드유닛(110)들을 밀착시키고, 내부에 결착공(122)이 형성된 이음고리(120)를 각각의 쿠션 가드유닛(110)의 수직기둥부(111H 및 112H)에 형성된 절취선(115)으로 삽입하여 연결시킨 후, 쿠션 가드유닛(110)의 하부에 형성된 결착홈(113)에 받침대(130)의 착탈 요홈(133)을 착탈가능하게 끼워 결합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쿠션 가드유닛(110)들이 쉽게 넘어지지 않고 지탱될 수 있게 하면서도 다양한 모양의 놀이공간 영역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쿠션 가드유닛(110)의 내부 몸체부에 형성된 착탈구멍(114)에 착탈 가드창(140)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쿠션 가드유닛(110)들 각각을 이음고리(120)를 통해 연결하며, 각각의 쿠션 가드유닛(110)의 하부에 형성된 결착홈(113)에 착탈 요홈(133)이 형성된 받침대(130)를 "+"자 형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아이들이 스스로 매트 펜스(100)를 간편하게 조립 및 해제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학습놀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에 속함은 당연하다.
100 : 매트 팬스 110 : 쿠션 가드유닛
111, 112 : 착탈공 113 : 결착홈
114 : 착탈구멍 115 : 절취선
120 : 이음고리 122 : 결착공
130 : 받침대 133 : 착탈 요홈
140 : 착탈 가드창

Claims (3)

  1.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직립형성되고 내부에 소정의 놀이공간을 갖는 조립식 매트 펜스로서,
    일측부 및 타측부의 각각에 하나 이상의 착탈공(111 및 112)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착탈공(111 및 112) 각각의 외측으로는 수직기둥부(111H 및 112H)가 형성되며, 이 각각의 수직기둥부(111H 및 112H)에 절취선(1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쿠션 가드유닛(110); 및
    상기 쿠션 가드유닛(110)의 일측부에 형성된 착탈공(111)과 타측부에 형성된 착탈공(112) 각각의 외측에 형성된 수직기둥부(111H 및 112H)를 수납하여 지탱하는 결착공(122)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쿠션 가드유닛(110)의 일측부와 타측부를 연결하는 이음고리(120)를 포함하되,
    하나의 쿠션 가드유닛(110)의 타측부에 형성된 수직기둥부(112H)와 다른 하나의 쿠션 가드유닛(110)의 일측부에 형성된 수직기둥부(111H)를 밀착시키고, 각각의 수직기둥부(111H 및 112H)에 형성된 절취선(115)으로 이음고리(120)를 밀어 넣어, 상기 이음고리(120)의 내부에 형성된 결착공(122) 안으로 수직기둥부(111H 및 112H)를 내장시켜서 복수개의 쿠션 가드유닛(110)들을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쿠션 가드유닛(110)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결착홈(113)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착홈(113)에는 상기 쿠션 가드유닛(110)의 하부와 "+"자 형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부에 착탈 요홈(133)이 형성된 받침대(1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쿠션 가드유닛(110)의 내부 몸체부에는 하나 이상의 착탈구멍(114)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착탈구멍(114)에는 매트 펜스(100)의 외부 환경을 볼 수 있도록 착탈가능한 착탈 가드창(140)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매트 펜스.
  2. 삭제
  3. 삭제
KR2020150002497U 2015-04-17 2015-04-17 조립식 매트 펜스 KR2004822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97U KR200482267Y1 (ko) 2015-04-17 2015-04-17 조립식 매트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97U KR200482267Y1 (ko) 2015-04-17 2015-04-17 조립식 매트 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709U KR20160003709U (ko) 2016-10-26
KR200482267Y1 true KR200482267Y1 (ko) 2017-01-05

Family

ID=57234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497U KR200482267Y1 (ko) 2015-04-17 2015-04-17 조립식 매트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2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765U (ko) 2018-09-14 2020-04-17 정순란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
KR20210001397U (ko) 2019-12-13 2021-06-23 이대호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310B1 (ko) * 2020-04-14 2023-04-10 주식회사 에이치엔씨엔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KR102521119B1 (ko) * 2020-10-23 2023-04-13 주식회사 에이치엔씨엔 폴딩구조의 베이비 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456Y1 (ko) * 2008-08-05 2010-07-12 주식회사 세스영어 유아용 소프트 놀이블록
KR101290685B1 (ko) * 2011-12-28 2013-07-31 (주)디자인스킨 범퍼블럭이 구비된 매트
KR200471457Y1 (ko) * 2012-05-10 2014-02-25 김중필 완구 조립이 가능한 매트
KR101354191B1 (ko) 2012-05-11 2014-01-21 (주)디자인스킨 범퍼블럭이 구비된 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765U (ko) 2018-09-14 2020-04-17 정순란 조립식 유아용 울타리
KR20210001397U (ko) 2019-12-13 2021-06-23 이대호 유아용 울타리의 각도 조절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709U (ko)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267Y1 (ko) 조립식 매트 펜스
US6539563B1 (en) Bassinet arrangement
US6098217A (en) Modular playpen
US20030070229A1 (en) Collapsible playpen with detachable cot
KR200485388Y1 (ko) 가변형 매트 세트
CA2918029A1 (en) Popped-up playmat assembly
US20120322039A1 (en) Portable Walking Trainer Device for Children
WO2016055946A1 (en) Popped-up playmat assembly
US20060123540A1 (en) Portable infant playground
KR101503516B1 (ko) 의자 겸용 미끄럼틀
KR101497605B1 (ko) 매트 겸용 인디언텐트
JP2014195486A (ja) ユニット家具
KR101700691B1 (ko) 유아용 텐트
JP3185097U (ja) 乳児用ベッド
KR101347434B1 (ko) 기능성 매트
KR102154607B1 (ko) 변형이 가능한 유아용 범퍼침대 조립방법
KR101769253B1 (ko) 하우스형 변형 매트
KR20190000576U (ko) 조립식 놀이집
KR200483485Y1 (ko) 보호가드가 구성되는 운동시설용 휀스
KR20150135811A (ko) 놀이 매트 어셈블리
KR200484934Y1 (ko) 가변형 매트 세트
KR200483069Y1 (ko) 복합놀이매트
KR102036119B1 (ko) 변형이 가능한 유아용 범퍼침대 조립방법
KR101354191B1 (ko) 범퍼블럭이 구비된 매트
US20140259393A1 (en) Infant crib with tensioned netting for sidew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