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576U - 조립식 놀이집 - Google Patents

조립식 놀이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576U
KR20190000576U KR2020170004525U KR20170004525U KR20190000576U KR 20190000576 U KR20190000576 U KR 20190000576U KR 2020170004525 U KR2020170004525 U KR 2020170004525U KR 20170004525 U KR20170004525 U KR 20170004525U KR 20190000576 U KR20190000576 U KR 201900005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pet
roof
wall member
wall
cush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766Y1 (ko
Inventor
장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지
Priority to KR2020170004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766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5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7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8Playhouses, play-tents, big enough for playing insid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독립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과 상상력을 키울 수 있게 하면서 놀이와 학습을 병행할 수 있게 하는 조립식 놀이집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놀이방은, 펼쳐져 바닥을 형성하는 카펫; 벽체부재 및 지붕부재로 이루어지며, 카펫의 둘레를 일부분 감싸 벽과 지붕을 형성함과 동시에 카펫의 나머지부분을 개방시켜 출입구가 형성되게 하는 다수의 파티션; 지붕부재가 수직한 벽체부재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지붕부재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붕 지지수단; 및 파티션들의 내측으로 배치되며 벽체부재들을 카펫에 지지되게 고정시키는 다수의 쿠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놀이집{PREFABRICATED PLAY HOUSE}
본 고안은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독립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조립식 놀이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세 무렵의 아이는 부모와 자아를 구분하고, 자기 물건에 대한 집착이 생기는 시기로, 이 시기에 아이만의 위한 독립된 공간을 따로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즉, 아이만을 위한 독립된 공간은 아이에게 심리적으로 안정을 주며, 또한 상상력을 키울 수 있게 하는 역할도 함께 한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아이만을 위한 독립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선행문헌들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0296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46916 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0-0002248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47786 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0105128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65729 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23982 호"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선행문헌들에 개시된 종래 놀이집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조립 시 미리 조립방법을 숙지해야만 할 뿐만 아니라 구성품 간의 조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놀이집들은 딱딱하고 차가운 재료, 즉 골판지, 또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을 주지 못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독립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과 상상력을 키울 수 있게 하면서 놀이와 학습을 병행할 수 있게 하는 조립식 놀이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놀이방은, 펼쳐져 바닥을 형성하는 카펫; 벽체부재 및 지붕부재로 이루어지며, 카펫의 둘레를 일부분 감싸 벽과 지붕을 형성함과 동시에 카펫의 나머지부분을 개방시켜 출입구가 형성되게 하는 다수의 파티션; 지붕부재가 수직한 벽체부재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지붕부재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붕 지지수단; 및 파티션들의 내측으로 배치되며 벽체부재들을 카펫에 지지되게 고정시키는 다수의 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펫은, 원판 형상으로 제공되되, 카펫의 둘레는 카펫 프릴으로 마감되며, 카펫의 하부에는 논슬립 층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벽체부재는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지며, 지붕부재는 삼각형 형상을 가지되, 지붕부재의 밑변부는 벽체부재의 내측으로 접히도록 벽체부재의 상부 측에 박음질되며, 지붕부재의 밑변부에는 지붕 프릴으로 마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파티션의 벽체부재와 이웃한 또 다른 파티션의 벽체부재는 지퍼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파티션에는 학습공간부;가 마련되며, 학습공간부는, 벽체부재의 외측면 상에 제공되는 도어; 및 벽체부재의 외측면 상에 제공되며 도어의 작동에 의해 노출되거나 가려지는, 사물, 동물, 숫자, 문자, 문양이 인쇄되거나 부착되는 학습보드판;으로 이루어지되, 도어의 일측은 벽체부재에 박음질되고, 도어의 타측에 인접한 도어의 외측면 상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붕 지지수단은, 수직한 벽체부재에 대하여 지붕부재가 직각을 이루게 조절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에 의해 접힘 각도가 조절된 지붕부재를 벽체부재에 고정시키는 지붕고리;를 포함하되, 지지부재는 수평한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되면서 벽체부재의 상부와 지붕부재의 밑변부 사이에 개재되되 벽체부재와 지붕부재의 연결부위를 따라 연장되게 개재되며, 지붕고리는 지붕부재의 밑변부에서 연장되면서 지지부재를 타고 넘어 벽체부재의 외측면 상부 측에 제공되는 지붕 단추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쿠션들은 평면에서 봤을 때 호 형상으로 제공되며, 단부들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링을 형성하며, 어느 하나의 쿠션의 단부와 이웃한 또 다른 쿠션의 단부는 쿠션 단추와 쿠션 고리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쿠션들의 하부와 카펫의 상부에는 서로 쌍을 이루는 벨크로테이프가 각각 부착되며, 쿠션들의 하부와 카펫 상부 사이에는 각각의 파티션의 벽체부재의 하부에서 연장된 연결편이 개재되되, 카펫의 상부와 마주하는 연결편의 일측에는 카펫에 부착된 벨크로테이프와 쌍을 이루는 또 다른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되며, 쿠션의 하부에 마주하는 연결편의 타측에는 쿠션에 부착된 벨크로테이프와 쌍을 이루는 또 다른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쿠션들에는 놀이블럭들이 벨크로테이프 또는 단축 및 고리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펫, 파티션 및 쿠션은 직물로 제작되되 내부에는 내장재들이 내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놀이방은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카펫, 파티션, 지붕 지지수단 및 쿠션들이 직물 등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자인 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을 줄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놀이방은 파티션에 학습공간부가 마련되고, 쿠션에 놀이블럭들이 마련되기 때문에 사용자인 유아 또는 어린이들에게 독립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 및 놀이를 병행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놀이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티션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학습공간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펫, 파티션 및 쿠션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놀이집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놀이집(100)은 유아 또는 어린이가 깔고 앉는 바닥을 형성하는 카펫(110; carpet), 및 카펫(110)의 둘레를 감싸 벽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다수의 파티션(120; partition)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놀이집(100)은 파티션(120)들에 의한 지붕 형성 시 지붕이 무너지지 않게 지지하는 다수의 지붕 지지수단(130), 및 파티션(120)들을 카펫(110)에 지지되도록 고정하는 다수의 쿠션(140; cushion)을 포함한다.
먼저, 카펫(110)은 실내의 바닥, 예를 들어 방, 거실 및 베란다 등의 바닥에 펼쳐져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놀이집(100)의 바닥을 형성한다.
카펫(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사용자인 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직물(織物)로 제작되되 내부에는 푹신푹신 내장재가 내장된다.
여기서, 내장재로는 통상의 솜, 또는 통상의 스펀지(sponge), 또는 스펀지의 하나인 통상의 메모리폼(memory foa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카펫(110)의 둘레에는 장식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카펫 프릴(112; frill)으로 마감되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카펫(110)의 하부에는 카펫(110)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논슬립(non slip) 층이 형성된다.
여기서, 논슬립 층의 형태 및 형성 방법은 본 고안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즉, 카펫(110)의 하부에 논슬립 층을 형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 및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파티션(120)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카펫(110)의 둘레를 일부분 감싸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놀이집(100)의 벽과 지붕을 형성함과 동시에 카펫(110)의 나머지부분을 개방시켜 출입구(G)가 형성되게 한다.
파티션(120)들은 각각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지는 벽체부재(122)와,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밑변부가 벽체부재(122)의 내측으로 접히도록 벽체부재(122)의 상부 측에 박음질되는 지붕부재(124)를 포함한다.
즉, 벽체부재(122)는 카펫(110)의 둘레를 따라 세워지면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놀이방(100)의 벽체를 형성하며, 지붕부재(124)는 벽체부재(122)의 내측으로 접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놀이집(100)의 지붕을 형성한다.
이때, 각각의 파티션(120)들은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무너지지 않도록 상호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서 어느 하나의 파티션(120)의 벽체부재(122)와 이웃한 또 다른 파티션(120)의 벽체부재(122)는 통상의 지퍼(128)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통상의 지퍼(128)를 통한 어느 하나의 벽체부재(122)와 이웃한 벽체부재(122)의 연결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지붕부재(124)의 밑변부에는 장식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프릴(125)으로 마감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벽체부재(122) 및 지붕부재(124)는 카펫(110)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인 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직물(織物)로 제작되되, 내부에는 벽체 및 지붕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내장재가 내장되며, 내장재로는 통상의 스펀지(sponge), 또는 스펀지의 하나인 통상의 메모리폼(memory foa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6개의 파티션(120)이 상호 연결되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놀이집(100)의 벽과 지붕 그리고 출입구(G)를 형성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파티션(120)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각각의 파티션(120)에는 사용자인 유아 또는 어린이의 호기심을 자극시키면서 학습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는 학습공간부(126)가 마련된다.
학습공간부(126)는 사용자인 유아 또는 어린이가 직접 열고 닫는 수 있게 벽체부재(122)의 외측면 상에 제공되는 도어(128)와, 벽체부재(122)의 외측면 상에 제공되며 도어(128)의 작동에 의해 노출되거나 가려지는 학습보드판(13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어(128)의 일측은 벽체부재(122)에 박음질되고, 도어(128)의 타측에 인접한 도어(128)의 외측면 상에는 손잡이(130)가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130)를 잡고 도어(128)를 잡아당기면 도어(128)는 벽체부재(122)에 박음질된 일측을 기준으로 선회하면서 열리게 되고, 반대로 개방되어 있는 도어(128)을 벽체부재(122) 측으로 밀어 내면 도어(128)는 벽체부재(122)에 박음질된 일측을 기준으로 선회하면서 닫히게 된다.
여기서, 도어(128)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서 직물(織物)로 제작되되, 내부에는 도어(128)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내장재가 내장되며, 내장재로는 통상의 스펀지(sponge), 또는 스펀지의 하나인 통상의 메모리폼(memory foam), 또는 골판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28)는 도어(128)의 타측에 인접한 도어(128)의 내측면과 도어(128)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벽체부재(122)의 외측면 상에 제공되는 통상의 벨크로테이프(velcro tape) 또는 단추 등에 의해 열고 닫힘이 단속될 수 있다.
한편, 학습보드판(132)에는 사용자의 학습을 위해 다양한 사물, 동물, 숫자, 문자, 문양 등이 인쇄되거나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지붕 지지수단(140)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놀이방(100) 설치 시 지붕부재(124)가 수직한 벽체부재(122)에 대하여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지붕부재(124)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지붕 지지수단(140)은 지붕부재(124)의 접힘 각도, 즉 수직한 벽체부재(122)에 대하여 지붕부재(124)가 대략 직각을 이루게 조절하는 지지부재(142)와, 접힘 각도가 조절된 지붕부재(124)를 벽체부재(122)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지붕고리(144)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42)는 사용자인 유아 또는 어린이의 안전을 위해서 직물(織物)을 둥글게 말아 양단을 고정시킨 수평한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렇게 제작된 지지부재(142)는 지붕부재(124)의 접힘 각도 조절을 위해 벽체부재(122)의 상부와 지붕부재(124)의 밑변부 사이에 개재되되 벽체부재(122)와 지붕부재(124)의 연결부위를 따라 연장되게 개재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42)는 벽체부재(122)와 지붕부재(124)의 접힌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
한편, 한 쌍의 지붕고리(1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부재(124)의 밑변부 양측에서 벽체부재(122)의 상부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한 쌍의 지붕고리(144)는 지지부재(142)를 타고 넘어 벽체부재(122)의 외측면 상부 측에 제공되는 지붕 단추(146)에 연결되는데, 지붕부재(124)와 연결된 지붕고리(144)들이 지붕 단추(146)에 연결됨에 따라 지붕부재(124)의 밑변부는 지지부재(142) 측으로 당겨지면서 벽체부재(122)와 대략 직각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둥글게 말린 지지부재(142)의 직경에 의해 지붕부재(124)는 접힌 각도는 조절되는데, 일례로 지지부재(142)의 직경이 작을 경우 지붕부재(124)는 벽체부재(122)와 예각을 이루게 되며, 지지부재(142)의 직경이 클 경우 지붕부재(124)는 벽체부재(122)와 둔각을 이루게 된다.
쿠션(150)들은 파티션(120)들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벽체부재(122)들을 카펫(110)에 지지되게 고정시킨다.
쿠션(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호(弧) 형상으로 제공되며, 쿠션(150)들은 단부들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링(ring)을 형성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쿠션(150)의 단부와 이웃한 또 다른 쿠션(150)의 단부는 쿠션 단추(152)와 쿠션 고리(154)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다시 말해, 어느 하나의 쿠션(150)의 일단 측의 외측면 및 내측면 측에는 쿠션 단추(152)가 장착되며, 쿠션(150)의 타단 측의 외측면 및 내측면 측에는 쿠션 고리(154)가 형성되는데, 여기서 어느 하나의 쿠션(150)과 또 다른 쿠션(150)과의 연결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쿠션(150)들은 카펫(110)에 반복적으로 탈부착 된다. 이를 위해서 쿠션(150)들의 하부와 카펫(110)의 상부에는 서로 쌍을 이루는 통상의 벨크로테이프(156, 158; velcro tape)가 각각 부착된다.
그리고 쿠션(150)들을 카펫(110)에 부착 시 쿠션(150)들의 하부와 카펫(110) 상부 사이에는 각각의 파티션(120)의 하부에서 연장된 직물(織物)로 이루어진 연결편(136)이 개재된다. 이렇게 각각의 파티션(120) 측에서 연장된 연결편(136)들이 개재되어 쿠션(150)들에 의해 카펫(110) 측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파티션(120)들은 카펫(110)에 부착되는 쿠션(150)에 의해 카펫(110)에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연결편(136)에는 쿠션(150) 및 카펫(110)과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 카펫(110)의 상부와 마주하는 연결편(136)의 일측에는 카펫(110)에 부착된 벨크로테이프(158)와 쌍을 이루는 또 다른 벨크로테이프(137)가 부착되며, 쿠션(150)의 하부에 마주하는 연결편(136)의 타측에는 쿠션(150)에 부착된 벨크로테이프(156)와 쌍을 이루는 또 다른 벨크로테이프(138)가 부착된다.
그리고 쿠션(150)들은 사용자인 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직물(織物)로 제작되되 내부에는 푹신푹신 내장재가 내장되며, 또한 쿠션(150)은 사용자인 유아 또는 어린이가 걸쳐 앉을 수 있는 높이, 또는 카펫(110)에 앉을 유아 또는 어린이의 팔이 자연스럽게 걸쳐질 수 있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내장재로는 통상의 솜, 또는 통상의 스펀지(sponge), 또는 스펀지의 하나인 통상의 메모리폼(memory foa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쿠션(150)들에는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시키면서 사용자가 직접 만지고 분리 및 부착시킬 수 있게 놀이블럭(160)들이 제공되는데, 놀이블럭(160)들은 통상의 벨크로테이프 또는 단축 및 고리 등을 이용해 쿠션(150)에 탈부착 된다.
도 1 및 도 2에는 4개로 분할된 쿠션(150)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쿠션(150)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놀이방(100)의 설치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놀이방(10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놀이방(100)을 설치할 바닥에 카펫(110)을 펼쳐 놓는다.
전술한 카펫(110)의 설치되면, 다음으로 카펫(110)의 둘레로 파티션(120)들을 배치시킨 상태 하에서 이웃한 벽체부재(122)들을 상호 연결시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놀이방(100)의 벽을 형성시킨 후, 지붕 지지수단(140)을 이용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놀이방(100)의 지붕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쿠션(150)들을 상호 연결시킨 후, 쿠션(150)들을 파티션(120) 내부로 배치시켜 쿠션(150)들 카펫(110)에 부착시킨다. 이때 쿠션(150)들을 카펫(110)에 부착 시 쿠션(150)들과 카펫(110) 사이에 파티션(120)들에서 연장된 연결편(136)을 개재시킨 상태 하에서 쿠션(150)들을 카펫(110)에 고정시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놀이방(100)의 설치를 완료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놀이방(100)의 내측 벽면을 형성하는 카펫(110)의 상부 벽체부재(122)의 내측면 및 지붕부재(124)의 내측면 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인 유아 또는 어린이가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는 그림 또는 문양들이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펫(110)의 상부 벽체부재(122)의 내측면 및 지붕부재(124)의 내측면에는 구름이 떠다니는 하늘 풍경, 우주의 풍경 등이 인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놀이방(100)은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카펫(110), 파티션(120), 지붕 지지수단(140) 및 쿠션(150)들이 직물 등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자인 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을 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놀이방(100)은 파티션(120)에 학습공간부(126)가 마련되고, 쿠션(150)에 탈부착되는 놀이블럭(160)들이 마련되기 때문에 사용자인 유아 또는 어린이들에게 독립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 및 놀이를 병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조립식 놀이집(100)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조립식 놀이집 110 : 카펫
120 : 파티션 122 : 벽체부재
124 : 지붕부재 126 : 학습공간부
136 : 연결편 140 : 지붕 지지수단
142 : 지지부재 144 : 지붕고리
146 : 지붕 단추 150 : 쿠션
160 : 놀이블럭

Claims (10)

  1. 펼쳐져 바닥을 형성하는 카펫;
    벽체부재 및 지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펫의 둘레를 일부분 감싸 벽과 지붕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카펫의 나머지부분을 개방시켜 출입구가 형성되게 하는 다수의 파티션;
    상기 지붕부재가 수직한 상기 벽체부재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지붕부재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붕 지지수단; 및
    상기 파티션들의 내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벽체부재들을 상기 카펫에 지지되게 고정시키는 다수의 쿠션;을 포함하는 조립식 놀이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펫은,
    원판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기 카펫의 둘레는 카펫 프릴으로 마감되며,
    상기 카펫의 하부에는 논슬립 층이 형성되는 조립식 놀이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재는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붕부재는 삼각형 형상을 가지되,
    상기 지붕부재의 밑변부는 상기 벽체부재의 내측으로 접히도록 상기 벽체부재의 상부 측에 박음질되며,
    상기 지붕부재의 밑변부에는 지붕 프릴으로 마감되는 조립식 놀이방.
  4. 청구항 1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파티션의 상기 벽체부재와 이웃한 또 다른 상기 파티션의 상기 벽체부재는 지퍼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조립식 놀이방.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파티션에는 학습공간부;가 마련되며,
    상기 학습공간부는,
    상기 벽체부재의 외측면 상에 제공되는 도어; 및
    상기 벽체부재의 외측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도어의 작동에 의해 노출되거나 가려지는, 사물, 동물, 숫자, 문자, 문양이 인쇄되거나 부착되는 학습보드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어의 일측은 상기 벽체부재에 박음질되고, 상기 도어의 타측에 인접한 상기 도어의 외측면 상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조립식 놀이방.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붕 지지수단은,
    수직한 상기 벽체부재에 대하여 상기 지붕부재가 직각을 이루게 조절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접힘 각도가 조절된 상기 지붕부재를 상기 벽체부재에 고정시키는 지붕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수평한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되면서 상기 벽체부재의 상부와 상기 지붕부재의 밑변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벽체부재와 상기 지붕부재의 연결부위를 따라 연장되게 개재되며,
    상기 지붕고리는 상기 지붕부재의 밑변부에서 연장되면서 상기 지지부재를 타고 넘어 상기 벽체부재의 외측면 상부 측에 제공되는 지붕 단추에 연결되는 조립식 놀이방.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들은 평면에서 봤을 때 호 형상으로 제공되며, 단부들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링을 형성하며,
    어느 하나의 상기 쿠션의 단부와 이웃한 또 다른 상기 쿠션의 단부는 쿠션 단추와 쿠션 고리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조립식 놀이방.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쿠션들의 하부와 상기 카펫의 상부에는 서로 쌍을 이루는 벨크로테이프가 각각 부착되며,
    상기 쿠션들의 하부와 상기 카펫 상부 사이에는 각각의 상기 파티션의 상기 벽체부재의 하부에서 연장된 연결편이 개재되되,
    상기 카펫의 상부와 마주하는 상기 연결편의 일측에는 상기 카펫에 부착된 상기 벨크로테이프와 쌍을 이루는 또 다른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되며, 상기 쿠션의 하부에 마주하는 상기 연결편의 타측에는 상기 쿠션에 부착된 상기 벨크로테이프와 쌍을 이루는 또 다른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되는 조립식 놀이방.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쿠션들에는 놀이블럭들이 벨크로테이프 또는 단축 및 고리에 의해 탈부착되는 조립식 놀이방.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카펫, 상기 파티션 및 상기 쿠션은 직물로 제작되되 내부에는 내장재들이 내장되는 조립식 놀이방.


KR2020170004525U 2017-08-25 2017-08-25 조립식 놀이집 KR200489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25U KR200489766Y1 (ko) 2017-08-25 2017-08-25 조립식 놀이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25U KR200489766Y1 (ko) 2017-08-25 2017-08-25 조립식 놀이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76U true KR20190000576U (ko) 2019-03-06
KR200489766Y1 KR200489766Y1 (ko) 2019-08-30

Family

ID=65728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525U KR200489766Y1 (ko) 2017-08-25 2017-08-25 조립식 놀이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7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084Y1 (ko) * 2019-04-26 2020-02-17 박상혁 실내 놀이시설용 쿠션계단
CN114687590A (zh) * 2022-03-29 2022-07-01 北京光影城文旅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亲子互动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465A (ja) * 1999-02-22 2000-09-05 Izumo Sangyo Kk 組立式遊び小屋
CN2409276Y (zh) * 2000-03-02 2000-12-06 吕令 折叠式野外施工作业篷
JP3148746U (ja) * 2008-12-12 2009-02-26 ▲らー▼升塑膠有限公司 家庭用組立てボールプール
KR20160138650A (ko) * 2015-05-26 2016-12-06 주식회사 유니커즈 범퍼 매트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671B1 (ko) * 1998-09-10 2005-08-3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래이디얼타이어용스틸코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7465A (ja) * 1999-02-22 2000-09-05 Izumo Sangyo Kk 組立式遊び小屋
CN2409276Y (zh) * 2000-03-02 2000-12-06 吕令 折叠式野外施工作业篷
JP3148746U (ja) * 2008-12-12 2009-02-26 ▲らー▼升塑膠有限公司 家庭用組立てボールプール
KR20160138650A (ko) * 2015-05-26 2016-12-06 주식회사 유니커즈 범퍼 매트 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084Y1 (ko) * 2019-04-26 2020-02-17 박상혁 실내 놀이시설용 쿠션계단
CN114687590A (zh) * 2022-03-29 2022-07-01 北京光影城文旅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亲子互动屋
CN114687590B (zh) * 2022-03-29 2024-03-19 北京光影城文旅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亲子互动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766Y1 (ko)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0053B2 (en) Toy attachment systems and methods
EP1382275A1 (en) Infant accommodation apparatus
US4242767A (en) Play pillows
KR101241724B1 (ko) 접힘 부가 구성된 유아용 구르기 매트
CN101252977A (zh) 婴儿活动垫
US10098477B2 (en) Cushioned choke-safe play mat
KR200485388Y1 (ko) 가변형 매트 세트
JP2005507272A (ja) 乳児活動センター用ミラー組立体
CA2895883C (en) Popped-up playmat assembly
US20140189956A1 (en) The baby wedge
CA2918029A1 (en) Popped-up playmat assembly
US20100229960A1 (en) Inflatable apparatus
US7117552B2 (en) Portable infant playground
US20140194031A1 (en) Activity center
EP3219370A1 (en) Play gym with character canopy
KR200489766Y1 (ko) 조립식 놀이집
US8296881B2 (en) Play system for children, including playmat and playpieces
US20140127966A1 (en) Decorative Play Sheet
KR200470334Y1 (ko) 다용도 매트리스 구조
WO2009031875A1 (es) Sistema de bloques multifuncional
US20070180615A1 (en) Three-dimensional shaped bedding
KR20230077199A (ko) 교육용 폴딩 보드
US20110079259A1 (en) Covering apparatus or tent for a platform swing
KR101116545B1 (ko) 볼풀 겸용 소파
KR20200085518A (ko) 조립형 침대 매트리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