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069Y1 - 복합놀이매트 - Google Patents
복합놀이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3069Y1 KR200483069Y1 KR2020160005529U KR20160005529U KR200483069Y1 KR 200483069 Y1 KR200483069 Y1 KR 200483069Y1 KR 2020160005529 U KR2020160005529 U KR 2020160005529U KR 20160005529 U KR20160005529 U KR 20160005529U KR 200483069 Y1 KR200483069 Y1 KR 20048306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t
- pair
- main
- mats
- shee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abstract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7—Exercise mats for personal use, with or without hand-grips or foot-grips, e.g. for Yoga or supine floor exercis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oys (AREA)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앙부 저면에 구비된 연결패드를 통해 서로 양분된 상태에서 절첩되어 세움 또는 펼침이 가능하며 저면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된 한쌍의 메인매트와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의 양측에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며 상면 일측에는 결합부재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저면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된 한쌍의 지지매트 및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인매트의 상면에 상기 벨크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면에는 인공암벼 홀더 또는 손잡이가 형성된 승강시트와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인매트의 상부에 상기 벨크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강시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 및 영유아의 건강 및 간이 놀이터를 제공하고,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와 보관 및 유지의 간편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 및 영유아의 건강 및 간이 놀이터를 제공하고,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와 보관 및 유지의 간편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용 복합 놀이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등산용 홀더, 손잡이, 로프 등을 이용하여 경사면을 올라가고 반대 방향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운동 또는 놀이용 매트로 사용하고, 완전히 펼치는 경우 평평한 운동용 매트로 사용하고, 보관 및 설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복합놀이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자를 위한 각종 놀이기구가 설치되고 있다. 유아원, 유치원 및 각종 시설 보육원 등 영아 또는 유아를 교육하기 위한 많은 교육기관이 존재한다.
또한, 백화점이나 마트나 대형 식당 등에도 부모가 쇼핑하는 동안 사용자를 재미있게 놀 수 있도록 다양한 놀이기구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매출이 확대되는 등 유리한 효과가 알려지면서 놀이기구를 설치하는 업소의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저렴하고 다양한 복합적인 놀이 기구가 실내 또는 실외에서도 제공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 문헌(1) 및 문헌(2)에는 장소, 비용, 결합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서 가정에서도 놀이 매트 및 놀이기구가 늘어나는 것 또한 추세임에도 매트 및 놀이기구는 구비하는 비용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에 대한 제약으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 및 실외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협소한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비용을 줄이고, 다양한 운동활동을 수행할 수 있고, 일반적인 커버에 보관이 가능하므로 보관 및 사용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함에 따라서 영아 또는 유아를 근력 및 체력단련, 또한 순간대처능력을 높이는 효과도 있는 것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클라이밍 인공 홀더가 시트형 보강판,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고정되는 구조를 통해 클라이밍 인공 홀더의 회전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성 있는 복합놀이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복합 놀이 매트는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중앙부 저면에 구비된 연결패드를 통해 서로 양분된 상태에서 절첩되어 세움 또는 펼침이 가능하며 저면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된 한쌍의 메인매트와,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의 양측에에서 결합부재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저면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된 한쌍의 지지매트,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인매트의 상면에 상기 벨크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면에는 인공암벽 홀더 , 사다리 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승강시트와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인매트의 상면에 상기 벨크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강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시트는 전면에 인공암벽용 홀더 또는 손잡이가 형성되거나 전체 면적을 세로로 구획하여 인공암벽용 홀더, 사다리 또는 손잡이를 구분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홀더나 손잡이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인매트의 상부 절첩면에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유아가 메인매트의 상부에 형성된 로프를 잡고 경사면을 올라가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의 양측면에 다 수개의 상기 결합부재가 형성되되 일정 경사를 유지하는 경사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경사조절부는 끈 또는 벨트(Belt)로 형성되어 길이를 조절하여 메인매트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와 상기 한쌍의 지지매트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와 상기 지지매트의 상면에 상기 벨크로를 형성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놀이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놀이시트는 PVC시트지 또는 합성수지 시트지로 상면에 별도의 부착물이 없으며 하면에 벨크로가 형성되어 메인매트와 지지매트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시트와 상기 하강시트는 한 쌍의 상기 메인매트와 상기 지지매트의 상면에 상기 벨크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체형의 놀이시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시트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클라이밍 인공 홀더가 배치되는 시트형 보강판, 상기 클라이밍 인공 홀더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볼트와 상기 승강시트의 배면에서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너트의 헤드부는 육각 또는 팔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형 보강판은 상기 클라이밍 인공 홀더 보다 크게 형성되며, 다수의 상기 클라이밍 인공 홀더는 서로 상이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형성되는 복합놀이매트는 유아들이 메인매트의 일측면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나 인공암벽용 홀더, 손잡이, 로프를 이용하여 경사면을 올라가고 반대측 메인매트의 하강시트면로 미끄러져 내려가면서 체력을 향상시키거나 놀이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복합놀이매트를 완전히 펼친 경우에는 평평한 운동용 매트가 되므로 그 위에서 뛰거나 구르는 등 운동용 매트로 이용이 가능한 복합놀이 매트이다.
또한, 복합놀이매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매트를 접어서 좁은 공간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밍 인공 홀더가 시트형 보강판,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고정되는 구조를 통해 클라이밍 인공 홀더의 회전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성 있는 복합놀이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펼쳐진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복합 놀이 매트의 경사를 가진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복합 놀이 매트의 측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인 복합 놀이 매트의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인 복합 놀이 매트의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클라이밍 인공 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클라이밍 인공 홀더의 구성도.
도 11은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제3 실시예의 측면도.
도 12는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펼쳐진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복합 놀이 매트의 경사를 가진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복합 놀이 매트의 측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인 복합 놀이 매트의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인 복합 놀이 매트의 제2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클라이밍 인공 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클라이밍 인공 홀더의 구성도.
도 11은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제3 실시예의 측면도.
도 12는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5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복합 놀이 매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본 고안에 따른 복합놀이매트(100)는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중앙부 저면에 구비된 연결패드(10)를 통해 서로 양분된 상태에서 절첩되어 세움 또는 펼침이 가능하며 저면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된 한쌍의 메인매트(110)와,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110)의 양측에에서 결합부재(14)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저면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된 한쌍의 지지매트(140),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11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인매트(110)의 상면에 상기 벨크로(16)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면에는 인공암벽 홀더(20) 사다리(22)또는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되는 승강시트(120)와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11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인매트(110)의 상면에 상기 벨크로(16)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강시트(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놀이매트(100)에 있어서, 메인매트(110)는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중앙부 저면에 구비된 연결패드(10)를 통해 서로 양분된 상태에서 절첩되어 세움 또는 펼침이 가능하며 저면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12)가 형성된다.
상기 한쌍의 메인매트(110)는 연결패드(10)와 접착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메인매트(110)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평면의 에어매트를 형성한다. 상기 메인매트(110) 상면에는 벨크로(16)가 형성되어 승강시트(120), 하강시트(130), 제1 놀이시트(150), 제2놀이시트(16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메인매트(110)의 상부의 접철면에는 결합부재(14)가 형성되고 이에 로프(24)가 결합된다. 상기 로프(24)는 유아가 잡고 메인매트(110)의 경사면을 올라오는데 사용된다.
상기 지지매트(140)는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11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재(14)를 통해 결합되며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형성되는 에어매트로서, 상기 메인매트(110)와 지지매트(14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끈이나 다른 결속구를 이용하여 일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매트(140)의 상면에는 벨크로(16)를 통해 다른 시트(SHEET)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되 저면에는 공기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12)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14)는 D형 고리, 걸고리 등 매트 또는 구조물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고리와, 고리 사이를 연결하는 끈 또는 벨트(Belt)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결속 및 결합 부품들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승강시트(120)는 PVC 시트(SHEET)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시트(SHEET) 재질로,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11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인매트(110)의 상부에 상기 벨크로(16)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벨크로(16)는 메인매트(110)의 상면의 테두리 주변 및 중심부를 가로지르게 형성되고 승강시트(120)의 배면에도 이와 대응하여 벨크로(16)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시트(120)의 표면에는 인공암벽 홀더(20), 손잡이(미도시) 또는 사다리(22) 등이 형성되거나, 아무런 부착물이 없는 일반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승강시트(120)면을 세로로 구획하여 일측에는 인공암벽 홀더(20)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사다리(22)를 형성하거나 부착물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인 유아는 인공암벽 홀더(20) 또는 사다리(22)를 잡고 경사면을 올라가거나, 로프(24)를 잡고 경사면을 올라가게 된다.
상기 하강시트(130)는 PVC 시트(SHEET)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시트(SHEET) 재질로,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11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인매트(110)의 상부에 상기 벨크로(16)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벨크로(16)는 메인매트(110)의 상면의 테두리 주변 및 중심부를 가로지르게 형성되고 하강시트(130)의 배면에도 이와 대응하여 벨크로(16)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하강시트(130)의 표면에는 별도의 부착물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사용자인 유아는 승강시트(120)를 구조물을 이용하여 올라온 이 후에 반대측에 형성된 하강시트(130)를 미끄러져 내려와 바닥에 도달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인 복합 놀이 매트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11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인매트(110)의 절첩면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재(14)와 연결되는 로프(24)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인 유아가 상기 로프(24)를 잡고 올라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운동으로 인해 근력 및 체력강화의 증진을 활성화 시키며, 유희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110)와 상기 지지매트(140)의 사이에 억지끼움하듯 결합되는 마감부재(28)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매트(110)를 펼칠시 유아 및 사용자가 발에 걸리거나 발빠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장시간 눕거나 잠을 잤을 때에 몸에 미치는 이상현상을 방지함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마감부재(28)은 메이매트(110)과 지지매트(140)의 연결부위의 공간을 메울 수 있는 형상으로 삼각기둥형, 반원기둥형 등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100)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놀이매트(100)의 연결 관계를 표현한 구성으로, 펼칠시에는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110)의 상부 및 상기 지지매트(140)의 상부까지 결합되는 하강시트(130)를 각각 결합하여 일반적인 운동용 매트로 유아가 뛰거나 구르기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인 복합 놀이 매트의 사용상태를 표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110)의 양측면에 다 수개의 상기 결합부재(14)가 형성되되 일정 경사를 유지하는 경사조절부(2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경사조절부(26)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끈이나 벨트로 구성되어, 양끝에 상기 다 수개의 결합부재(14)에 결합된 간격을 조절하여 한쌍의 메인매트(110)의 경사도를 조절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100)의 다른 실시예를 표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110)와 상기 지지매트(140)의 상면에 상기 밸크로(16)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놀이시트(1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합놀이매트(100)를 전체적이거나 상기 한쌍의 지지매트(140) 의 일부분까지 덮어서 사용가능한 상기 제1놀이시트(150)를 결합하여 사용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제1놀이시트(150)로 인해 각각 설치하던 상기 하강시트(130)의 불편을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상기 마감부재(28)를 설치 및 제거 등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도 7은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110)와 상기 지지매트(140)의 상면에 상기 연결부재(16)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놀이시트(16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놀이시트(160)로 인해 각각 설치하던 상기 승강시트(120)와 상기 하강시트(130)를 일체형으로 하여 사용이 용이하게 제공된다. 제2 놀이시트(160)는 일체형으로 벨크로의 결합력이 다소 부족한 경우에도 메인매트(110)와 표면에 결합된 제2놀이시트(160) 분리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인 복합 놀이 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표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매트(110)에 결합된 결합부재(14)를 통해 연결된 끈이나 벨트를 천정이나 벽체에 매달아 상기 메인매트(110)에 결합되는 승강시트(120)를 이용하여 사용자 및 영유아의 체력단련 및 다른 형태의 놀이를 할 수 있게 제공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클라이밍 인공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클라이밍 인공 홀더의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밍 인공 홀더(20)는 다수개가 승강시트(1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이밍 인공 홀더(20)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클라이밍 인공 홀더(20)의 설치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시트의 상면에는 클라이밍 인공 홀더(20)가 배치되는 시트형 보강판(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클라이밍 인공 홀더(20)에 형성된 관통홀에 볼트(25)가 삽입되며, 상기 볼트(25)는 상기 클라이밍 인공 홀더(20)와 상기 시트형 보강판(21)을 관통하여 승강시트 배면의 너트(27)와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다라, 상기 클라이밍 인공 홀더(20)는 볼트(25)와 너트(27)에 의해 승강시트 상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너트(27)의 헤드부는 육각 또는 팔각으로 형성되어 볼트(25)와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고 클라이밍 인공 홀더(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제3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복합놀이매트의 제3 실시예에서도, 승강시트(120)의 표면에는 클라이밍 인공 홀더(20) 및 사다리(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승강시트(120)의 면을 세로로 구획하여 일측에는 클라이밍 인공 홀더(20)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사다리(22)를 형성하여, 사용자인 어린이는 클라이밍 인공 홀더(20)를 잡고 경사면을 올라가거나, 또는 로프(24)를 잡고 사다리(22)를 이용해 경사면을 올라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연결패드 12: 주입구
14: 결합부재 16: 벨크로(velcro)
20: 클라이밍 인공 홀더 21: 보강판
22: 사다리 24: 로프
25: 볼트 26: 경사조절부
27: 너트 28: 마감부재
30: 벨크로 100: 복합놀이매트
110: 메인매트 120: 승강시트
130: 하강시트 140: 지지매트
150: 제1놀이시트 160: 제2놀이시트
14: 결합부재 16: 벨크로(velcro)
20: 클라이밍 인공 홀더 21: 보강판
22: 사다리 24: 로프
25: 볼트 26: 경사조절부
27: 너트 28: 마감부재
30: 벨크로 100: 복합놀이매트
110: 메인매트 120: 승강시트
130: 하강시트 140: 지지매트
150: 제1놀이시트 160: 제2놀이시트
Claims (10)
-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면에 벨크로를 구비하고, 연결패드를 통해 양분된 상태에서 접철되어 세움 또는 펼침이 가능하며, 적어도 일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2개 이상의 결합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한쌍의 메인매트;
상기 한쌍의 메인매트와 착탈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며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벨크로를 구비하는 한쌍의 지지매트;
상기 한쌍의 메인매트 중 어느 하나의 메인매트의 상면에 벨크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표면에는 인공암벽 홀더, 손잡이, 또는 사다리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승강시트;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 중 어느 하나의 메인매트의 상부에 상기 벨크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하강시트; 및
상기 한 쌍의 메인매트가 상호 일부 접철되는 경우 상기 한쌍의 메인매트에 각각 연결되어 일정 경사를 유지시키는 경사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매트에 포함된 결합부재의 적어도 일부 각각은,
상기 한쌍의 메인매트가 접철되는 측면과 반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메인매트와 상기 한쌍의 지지매트를 각각 결합시키고, 상기 메인매트의 양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연속 형성되어 상기 연속 형성된 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경사조절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놀이매트.
- 제 1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메인매트의 상부의 절첩면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재와 연결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놀이매트.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메인매트와 상기 지지매트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놀이매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시트는 승강면을 복수로 구획하여 인공암벽 홀더, 사다리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놀이매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시트와 상기 하강시트는,
한 쌍의 상기 메인매트와 상기 지지매트의 상면에 상기 벨크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체형의 놀이시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놀이매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시트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인공암벽 홀더가 배치되는 시트형 보강판;
상기 인공암벽 홀더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볼트와 상기 승강시트의 배면에서 결합되는 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놀이매트.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헤드부는,
육각 또는 팔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놀이매트.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보강판은,
상기 인공암벽 홀더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놀이매트.
- 제 1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인공암벽 홀더는,
서로 상이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놀이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006894 | 2015-10-23 | ||
KR2020150006894 | 2015-10-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3069Y1 true KR200483069Y1 (ko) | 2017-04-10 |
Family
ID=58605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5529U KR200483069Y1 (ko) | 2015-10-23 | 2016-09-23 | 복합놀이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3069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2993B1 (ko) | 2017-11-23 | 2018-07-27 | 박종주 | 놀이 기구용 매트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40712U (ko) * | 1989-08-31 | 1991-04-18 | ||
JP3040712U (ja) * | 1997-02-19 | 1997-08-26 | 株式会社イガラシ | 室内用空気入れ遊戯具 |
KR200211823Y1 (ko) * | 2000-08-19 | 2001-01-15 | 박근영 |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유아용 미끄럼틀 |
KR200372198Y1 (ko) * | 2004-09-13 | 2005-01-10 | 주식회사 더조은 | 매트의 결합 구조 |
KR200403932Y1 (ko) * | 2005-09-29 | 2005-12-14 | 주식회사 지앤텔 코리아 | 인공 암벽용 홀더 |
KR101361807B1 (ko) | 2013-01-23 | 2014-02-11 | 이석제 | 복합놀이기구 |
WO2014196493A1 (ja) * | 2013-06-03 | 2014-12-11 | 株式会社レスポンスエンジニアリング | スキージャンプ用遊戯設備 |
KR20150025351A (ko) | 2013-08-29 | 2015-03-10 | (주)생활낙원 | 접이식 바닥매트 |
-
2016
- 2016-09-23 KR KR2020160005529U patent/KR20048306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40712U (ko) * | 1989-08-31 | 1991-04-18 | ||
JP3040712U (ja) * | 1997-02-19 | 1997-08-26 | 株式会社イガラシ | 室内用空気入れ遊戯具 |
KR200211823Y1 (ko) * | 2000-08-19 | 2001-01-15 | 박근영 |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유아용 미끄럼틀 |
KR200372198Y1 (ko) * | 2004-09-13 | 2005-01-10 | 주식회사 더조은 | 매트의 결합 구조 |
KR200403932Y1 (ko) * | 2005-09-29 | 2005-12-14 | 주식회사 지앤텔 코리아 | 인공 암벽용 홀더 |
KR101361807B1 (ko) | 2013-01-23 | 2014-02-11 | 이석제 | 복합놀이기구 |
WO2014196493A1 (ja) * | 2013-06-03 | 2014-12-11 | 株式会社レスポンスエンジニアリング | スキージャンプ用遊戯設備 |
KR20150025351A (ko) | 2013-08-29 | 2015-03-10 | (주)생활낙원 | 접이식 바닥매트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03040712 U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2993B1 (ko) | 2017-11-23 | 2018-07-27 | 박종주 | 놀이 기구용 매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306190B (zh) | 一种可充气的水上浮道 | |
US3601397A (en) | Play center having table, swing, slide and gymnastic bars | |
US8764575B1 (en) | Trampoline arena | |
US20130045840A2 (en) | Exercise step apparatus | |
US10758803B2 (en) | Portable gym structure | |
US11305168B2 (en) | Self-supporting and stowable climbing wall | |
US20150076888A1 (en) | Swinging chair | |
US9033853B1 (en) | Jungle jumparoo systems | |
US5334098A (en) | Playground device | |
US9095223B2 (en) | Integrated bed and trampoline apparatus | |
RU147936U1 (ru) | Детский спортивно-игровой комплекс | |
KR200483069Y1 (ko) | 복합놀이매트 | |
US9314114B2 (en) | Device for assisted walking | |
KR101470402B1 (ko) | 승강 테이블을 구비한 평상 | |
KR200482267Y1 (ko) | 조립식 매트 펜스 | |
KR101077744B1 (ko) | 나사블록을 이용한 미끄럼틀 | |
KR101503516B1 (ko) | 의자 겸용 미끄럼틀 | |
US8182356B2 (en) | Therapeutic swing | |
KR100835693B1 (ko) | 유아용 그네 안전좌대 및 이를 이용한 유아용 그네 | |
US9314389B2 (en) | Therapeutic integrator apparatus | |
CN201101323Y (zh) | 婴儿多功能学步器具 | |
KR20170069791A (ko) | 조립식 평균대 | |
GB2584457A (en) | Standing aid for children | |
US813688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st for the feet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
CN211186304U (zh) | 一种组合式座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