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064A - 조립식 계단 - Google Patents

조립식 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064A
KR20220131064A KR1020210036142A KR20210036142A KR20220131064A KR 20220131064 A KR20220131064 A KR 20220131064A KR 1020210036142 A KR1020210036142 A KR 1020210036142A KR 20210036142 A KR20210036142 A KR 20210036142A KR 20220131064 A KR20220131064 A KR 20220131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footrest
support
piec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196B1 (ko
Inventor
김현구
Original Assignee
김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구 filed Critical 김현구
Priority to KR102021003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196B1/ko
Publication of KR20220131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04F11/184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of variable curvature; flex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조립식 계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지지대에 발판이 발판 지그에 의하여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조립식 계단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중공부재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벽체와 바닥에 맞대어져 고정 지그에 의하여 고정되어지고, 상기 발판 지그는 플랜지부와 웹부가
Figure pat00007
형태로 절곡된 발판 지그 부재가 상기 중공부재의 양측에 지그재그 배열로 맞대어져 피스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발판 지그 부재의 플랜지부에 발판이 얹혀져 피스로 결합되어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벽체와 바닥 사이로 경사지게 구비된 지지대의 양측에 각각 발판이 발판 지그에 의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되도록 하여 공간 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충분한 인테리어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계단{PREFABRICATED STAIRCASE}
이 건 발명은 조립식 계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체와 바닥 사이로 경사지게 구비된 지지대의 양측에 각각 발판이 발판 지그에 의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되도록 하여 공간 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은 내,외부가 차단되도록하여 안정된 생활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상,하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계단이 구비되어 있다.
계단은 바닥 슬래브로부터 천정 슬래브를 향하여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바닥 슬래브와 천정 슬래브 사이의 중간 부분에는 계단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계단은 건축 구조물이 시공되는 과정에서 같이 시공되어지며, 계단폭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별도의 핸드레일이 구비되어 계단을 오르고 내리는 과정에서 바닥으로 추락하는 추락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건축 구조물이 시공된 후 리모델링 과정에서 별도의 계단이 시공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공간 활용율을 높이는 가운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수개의 디딤발판을 이용한 조립식 계단이 시공된다.
한편, 이러한 계단의 종래 기술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5-033439호(19 95.12.16.)의 조립식 계단의 받침대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받침대는 평판형태의 받침판의 저면에 주연결봉 및 부연결봉이 연설되게 하고, 주연결봉과 받침판의 연접부위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를 돌설하며 주연결봉의 내주연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공을 뚫어주고 부연결봉에도 결합공을 뚫어주되, 주연결봉에 뚫어지는 결합공은 주연결봉의 저면에서 뚫어져 한쪽 방향은 폐쇄되도록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건물 내외측의 비상계단등을 가설하는 과정에서 받침대의 저면부에서 결합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여 결합부위의 부식이 방지되는 가운데 해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이러한 계단은 바닥과 바닥 사이의 공간에 수직형태를 갖도록 할 뿐 바닥과 벽체 사이의 경사진 형태를 갖는 부분에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5-033439호(19 95.12.16.)
이 건 발명은 벽체와 바닥 사이의 공간에 조립식 계단이 구비되는 가운데 경사진 지지대의 양측에 발판이 지그재그 형태를 갖도록 배열된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발판의 외측으로 핸드레일이 구비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지지대(10)에 발판(20)이 발판 지그(30)에 의하여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조립식 계단(A)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중공부재(11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벽체(W)와 바닥(S)에 맞대어져 고정 지그(40)에 의하여 고정되어지고, 상기 발판 지그(30)는 플랜지부(311)와 웹부(312)가
Figure pat00001
형태로 절곡된 발판 지그 부재(310)가 상기 중공부재(110)의 양측에 지그재그 배열로 맞대어져 피스(P)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발판 지그 부재(310)의 플랜지부(311)에 발판(20)이 얹혀져 피스(P)로 결합되어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지그(40)는 수평 패널 부재(410)와 수직 패널 부재(420)가
Figure pat00002
형태를 갖도록 절곡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10)의 중공부재(110) 외부에 상기 수직 패널 부재(420)가 맞대어져 피스(P)로 고정되어지고, 상기 바닥(S)에 상기 수평 패널 부재(410)가 맞대어져 앵커 볼트(AB)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 지그(30)의 플랜지부(311)와 웹부(312)는 경사진 형태를 갖는 보강대(320)의 양측단부가 맞대어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판(20)은 모서리에 피스홈(H)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피스홈(H)에 삽입된 피스(P)에 의하여 제1지주(P1)가 고정되어지고, 상기 피스홈(H)에 홀커버(C)가 끼워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10)의 중공부재(110)는 사각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10)의 중공부재(110)는 벽체(W)와 바닥(S) 사이에 경사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판 지그 부재(310)에 얹혀지는 발판(20)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발판(20)의 바닥면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지그 피스홈(H')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발판(20)의 후방측 모서리 상부에 지주 고정핀(520)이 고정 피스(521)에 의하여 고정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판(20)은 전방측 모서리에 제1지주(P1)가 관통되어지고, 상기 제1지주(P1)의 하단이 바닥(S)에 맞대어져 지지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1지주(P1)의 상단에 핸드 레일 고정구(510)가 구비되어 핸드 레일(50)의 하부에 맞대어져 결합되어지고, 상기 발판(20)과 이웃하는 상부로 위치된 발판(20)은 전방측 모서리에 제2지주(P2)가 관통되어지고, 상기 제2지주(P2)의 하단이 하부로 위치되는 발판 모서리의 상부에 얹혀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벽체와 바닥 사이로 경사지게 구비된 지지대의 양측에 각각 발판이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공간 활용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발판이 구비되는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벽부형 핸드레일 또는 지주형 핸드레일이 구비되도록 할 경우, 계단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충분한 인테리어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이 벽체와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을 도시한 정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이 벽체와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계단(A)은 벽체와 바닥 사이로 협소하게 제공되는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공간 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계단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 발판(20) 및 발판 지그(30)로 구비되어 있다. 즉, 지지대(10)에 발판(20)이 발판 지그(30)에 의하여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가운데 좌,우 양측을 향하여 지그재그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대(10)는 전체적인 하중이 충분하게 지지되어 안전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소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발판 지그(3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대(10)는 사각형태를 갖는 중공부재(110)로 구비된 것으로, 수직형태를 갖는 벽체(W)와 수평형태를 갖는 바닥(S)에 사이에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의 작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0)의 하부로 위치되는 바닥(S)에는 후술하는 고정 지그(40)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가운데 벽체(W)에는 지지대(10)의 양측으로 관통홀을 갖는 플랜지(120)가 확장되는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앵커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지대(10)의 상단부가 별도의 고정 지그(40)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단부에 구비된 평판형태를 갖는 플랜지(120)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충분한 결합 강도가 유지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발판(20)은 사용자가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지지대(10)를 기준으로 좌, 우측 상부를 향하여 소정 간격을 갖도록 반복배열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발판(20)는 소재 선택에 따라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며, 내부 인테리어에 도움을 주기 위한 방안으로 목재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건 발명에서는 상기 발판(20)이 목재로 구비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합성수지재가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합성수지재가 사출성형된 것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출성형되는 과정에서 윗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여 미끄러짐 및 낙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20)은 모서리에 피스홈(H)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피스홈(H)에 삽입된 피스(P)에 의하여 후술하는 제1지주(P1)가 고정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발판 지그(30)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피스홈(H)에 홀커버(C)가 끼워지게 구비되어 피스홈(H)의 내부로 삽입된 피스(P)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이 낮아지는 것을 더 막을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발판(20)은 전방측 모서리에 제1지주(P1)가 관통되어지고, 상기 제1지주(P1)의 하단이 바닥(S)에 맞대어져 지지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발판(20)이 시작되는 부분의 외측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충분하게 저항하여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발판(20)의 바닥면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갖는 지그 피스홈(H')이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상기 지그 피스홈(H')의 위치에 따라 지지대(10)의 중공부재(110) 일측 또는 타측에 발판 지그(30)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지주(P1)의 상단에는 핸드 레일 고정구(510)가 구비되어 핸드 레일(50)의 하부에 맞대어져 결합됨으로써, 계단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발판(20)과 이웃하는 상부로 위치된 발판(20)은 전방측 모서리에 제2지주(P2)가 관통되어지고, 상기 제2지주(P2)의 하단이 하부로 위치되는 발판 모서리의 상부에 얹혀지게 구비됨으로써, 계단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지주(P2)의 하단은 하부로 위치된 다른 발판(20)의 후방측 모서리 상부로 고정 피스(521)에 의하여 상부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 가이드 고정핀(520)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2지주(P2) 하단이 다른 발판(20)의 상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지주(P2)의 상단과 하단이 안정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제2지주(P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상부로 구비되는 핸드 레일(50)이 더 안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판 지그(30)는 소정 넓이를 갖는 발판(20)이 지지대(10)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플랜지부(311)와 웹부(312)가
Figure pat00003
형태로 절곡된 발판 지그 부재(310)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발판 지그(30)의 플랜지부(311)와 웹부(312)는 경사진 형태를 갖는 보강대(320)의 양측단부가 맞대어져 용접 이음으로 결합됨에 따라 높은 강도가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발판(20)을 밟을 경우, 체중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발판 지그(30)는 웹부(312)가 상기 중공부재(110)의 양측에 각각 지그재그 배열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피스(P)를 이용하여 직결되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발판 지그 부재(310)의 플랜지부(311)에는 발판(20)이 얹혀진 상태에서 플랜지부(311)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피스(P)가 관통되어 결합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 지그(40)는 지지대(1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벽체(W)와 바닥(S)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수평 패널 부재(410)와 수직 패널 부재(420)가
Figure pat00004
형태를 갖도록 절곡되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수직 패널 부재(420)는 중공부재(110) 외부에 맞대어져 피스(P)로 직결 고정되어지고, 상기 수평 패널 부재(410)는 바닥(S)에 맞대어져 앵커 볼트(AB)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평 패널 부재(410)는 벽체(S)에 맞대어져 동일한 앵커 볼트(AB)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립식 계단(A)은 먼저, 계단이 설치되어질 높이를 실측한 후 폭(지지대(10)의 상단이 맞닿는 벽체(W)의 하단으로부터 지지대(10)의 하단이 맞닿는 바닥(S)까지의 거리)의 길이를 얻고, 폭에 길이에 맞도록 지지대(10)의 상단과 하단이 경사지게 절단되도록 한다.
다음, 절단된 지지대(10)에 발판(20)이 설치될 위치를 표시한다. 이때, 발판(20)의 한단의 높이는 200mm±10mm가 유지되도록 한다.
다음, 발판 지그 부재(310)를 이용하여 지지대(10)에 발판(20)이 고정되도록 한 후 지지대(10)의 상부는 플랜지(120)가 벽체(W)에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한 후 하부는 일측에 각각 고정 지그(40)를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발판 지그 부재(310)의 플랜지부(311) 상부에 발판(20)의 하부가 얹혀지는 과정에서 지그 피스홈(H')과 플랜지부(311)에 구비된 관통홀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피스를 이용하고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발판(20)의 위치의 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 지지대(10)에 표시된 발판(20)의 위치에 맞게 나머지 발판(20)이 발판 지그 부재(310)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한 후 지지대(10)의 상부와 하부 타측에 각각 고정 지그(40)를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어 발판(20)에 제1,2지주(P1),(P2)를 이용하여 상부에 핸드 레일(50)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으로 작업이 마무리된다.이때, 제2지주(P2)의 하단이 얹혀지는 발판(20)의 후방측 모서리에는 상부에 지주 고정핀(520)이 고정 피스(521)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제2지주(P2)의 하단이 지주 고정핀(520)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제2지주(P2)의 하단이 안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되어 핸드 레일(50)이 안정되게 지지되는 가운데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지지대 20:발판
30:발판 지그 40:고정 지그
110:중공부재 310:발판 지그 부재
311:플랜지부 312:웹부
320:보강대 410:수평 패널 부재
420:수직 패널 부재 520:지주 고정핀
521:고정 피스

Claims (7)

  1. 지지대(10)에 발판(20)이 발판 지그(30)에 의하여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조립식 계단(A)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중공부재(11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벽체(W)와 바닥(S)에 맞대어져 고정 지그(40)에 의하여 고정되어지고, 상기 발판 지그(30)는 플랜지부(311)와 웹부(312)가
    Figure pat00005
    형태로 절곡된 발판 지그 부재(310)가 상기 중공부재(110)의 양측에 지그재그 배열로 맞대어져 피스(P)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발판 지그 부재(310)의 플랜지부(311)에 발판(20)이 얹혀져 피스(P)로 결합되어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그(40)는 수평 패널 부재(410)와 수직 패널 부재(420)가
    Figure pat00006
    형태를 갖도록 절곡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10)의 중공부재(110) 외부에 상기 수직 패널 부재(420)가 맞대어져 피스(P)로 고정되어지고, 상기 바닥(S)에 상기 수평 패널 부재(410)가 맞대어져 앵커 볼트(AB)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지그(30)의 플랜지부(311)와 웹부(312)는 경사진 형태를 갖는 보강대(320)의 양측단부가 맞대어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20)은 모서리에 피스홈(H)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피스홈(H)에 삽입된 피스(P)에 의하여 제1지주(P1)가 고정되어지고, 상기 피스홈(H)에 홀커버(C)가 끼워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발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의 중공부재(110)는 사각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의 중공부재(110)는 벽체(W)와 바닥(S) 사이에 경사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지그 부재(310)에 얹혀지는 발판(20)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발판(20)의 바닥면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지그 피스홈(H')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발판(20)의 후방측 모서리 상부에 지주 고정핀(520)이 고정 피스(521)에 의하여 고정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
KR1020210036142A 2021-03-19 2021-03-19 조립식 계단 KR102534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142A KR102534196B1 (ko) 2021-03-19 2021-03-19 조립식 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142A KR102534196B1 (ko) 2021-03-19 2021-03-19 조립식 계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064A true KR20220131064A (ko) 2022-09-27
KR102534196B1 KR102534196B1 (ko) 2023-05-26

Family

ID=8345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142A KR102534196B1 (ko) 2021-03-19 2021-03-19 조립식 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1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439A (ko) 1994-05-31 1995-12-26 이해규 제로값 및 스팬값 조정기능을 갖는 하중측정장치
JP2005320775A (ja) * 2004-05-10 2005-11-17 Sekisui House Ltd 階段
JP2006097384A (ja) * 2004-09-30 2006-04-13 Pal Co Ltd オ−プン型階段構造
JP2012241314A (ja) * 2011-05-13 2012-12-10 Masaharu Sugihara 可動階段
KR20150111244A (ko) * 2014-03-25 2015-10-05 이상돈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439A (ko) 1994-05-31 1995-12-26 이해규 제로값 및 스팬값 조정기능을 갖는 하중측정장치
JP2005320775A (ja) * 2004-05-10 2005-11-17 Sekisui House Ltd 階段
JP2006097384A (ja) * 2004-09-30 2006-04-13 Pal Co Ltd オ−プン型階段構造
JP2012241314A (ja) * 2011-05-13 2012-12-10 Masaharu Sugihara 可動階段
KR20150111244A (ko) * 2014-03-25 2015-10-05 이상돈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196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689B2 (en) Clamping apparatus and apparatus for use in erecting temporary guard rails
KR101215330B1 (ko) 앵글 조립식 교량점검통로
JP2009541612A (ja) 建設現場用階段
US20120080655A1 (en) Safety hand rail
KR102454852B1 (ko) 계단실 폭이 좁혀진 계단 난간
KR20220131064A (ko) 조립식 계단
KR101168205B1 (ko)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및 그 시공 방법
JP2012246625A (ja) 廻り階段用作業足場
KR100592657B1 (ko) 건축물 조립식 계단 장착구조
JP6590512B2 (ja) 階段仮設足場
KR20240000150A (ko) 조립식 계단
KR100685275B1 (ko) 건축단지용 철재계단 구조
KR101425590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계단 및 그 시공방법
JPH10238049A (ja) 階段及び階段用通路構成部材
KR102128002B1 (ko) 조립식 나선형 계단
JP4011577B2 (ja) 階段
JP5270950B2 (ja) 階段、階段用の踏板取付金具
KR200371107Y1 (ko) 리브 결합형 교량 점검통로
KR102257029B1 (ko) 건축물 계단실 작업발판
KR20080100307A (ko) 조립식 계단
KR100554473B1 (ko) 도로 절토부 비탈면의 조립식 점검로 구조
JP2007284916A (ja) 階段手摺構造
KR102647256B1 (ko) 조립식 나선형 계단
KR100668457B1 (ko) 건축물의 슬래브 거푸집 지지체
TWM547002U (zh) 組合式樓梯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