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244A -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 Google Patents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244A
KR20150111244A KR1020140034960A KR20140034960A KR20150111244A KR 20150111244 A KR20150111244 A KR 20150111244A KR 1020140034960 A KR1020140034960 A KR 1020140034960A KR 20140034960 A KR20140034960 A KR 20140034960A KR 20150111244 A KR20150111244 A KR 20150111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upled
coupling
fixing t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5177B1 (ko
Inventor
이상돈
Original Assignee
이상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돈 filed Critical 이상돈
Priority to KR1020140034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177B1/ko
Publication of KR2015011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개의 스텝; 상기 스텝의 일측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제1 고정대; 상기 스텝의 일측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제2 고정대; 하나의 스텝 하단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스텝 상단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하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스텝을 연결하는 동시에 지지하는 스트럭쳐; 상기 스트럭쳐의 상부 및 하부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럭쳐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스텝 및 스트럭쳐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커넥터; 상기 스텝, 커넥터 및 스트럭쳐의 내부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스텝, 커넥터 및 스트럭쳐를 고정 결합시키는 결합 볼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조립식 계단의 설치 및 조절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수직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지지할 수 있는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THE STRUCTURE JOINING STEPS, STAIR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의 스텝 및 계단을 연결하는 구조에 있어 시공이 보다 간편하면서도 하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안정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의 상하 수직 동선 연결은 엘리베이터 또는 계단의 설치에 의해 이루어지나 상기 계단은 좁은 계단실 공간 내에 계단참과 중간참 슬래브를 연결시켜야 하고 그 형태도 상하 사선 형태로 복잡하므로 상하 벽체와 같은 일반적인 건축 구조와는 달리 시공에 따른 작업 조건이 상대적으로 까다롭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계단은 통상적으로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일체형 계단을 만들고 있다.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를 이용한 일체형 계단은 자체 중량이 크고, 계단폭에 걸쳐 철근을 배근해야 하므로 많은 철근량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철근 콘크리트 일체형 계단은 콘크리트 양생 과정 중 콘크리트의 수축 팽창에 의해 크랙 현상이 발생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마감 몰탈 작업과 미장 작업, 및 페인트 작업을 병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철근 콘크리트 일체형 계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0500306호 "철근콘크리트건물의 조립식 철골계단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한국 등록특허 제10-0535178호 "건축구조물의 조립식 계단구조", 한국 등록특허 제10-1017768호 "핀 연결 구조를 이용한 시스템 계단과 그 시공 방법" 등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 계단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조립식 철골계단의 경우, 계단 제작 시 디딤판 유닛을 일일이 용접하는 고비용 작업과 용접열에 따른 철골계단의 변형 발생 우려가 있는 등 제작 초기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또한 완성된 철골계단은 금속재료 속성상 계단 통행 시 하중에 의한 소음 발생이 심하며, 판의 두께가 얇은 관계로 단면 2차 모멘트가 감소하여 하중에 의한 처짐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등 사용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조립식 계단의 경우 그 결합 구조의 특성상 수직 방향의 하중을 일정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스텝 및 계단을 연결하는 볼트와 너트 결합부위에서 흔들림이 발생하고 일측 방향으로 쳐지거나 쏠리는 등 보행 안정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등의 안전상의 문제점이 존재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 콘크리트 계단과 같은 건축상 어려움을 완화하고, 안정적으로 하중을 지지하여 보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의 구성은,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개의 스텝; 상기 스텝의 일측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제1 고정대; 상기 스텝의 일측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제2 고정대; 하나의 스텝 하단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스텝 상단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하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스텝을 연결하는 동시에 지지하는 스트럭쳐; 상기 스트럭쳐의 상부 및 하부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럭쳐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스텝 및 스트럭쳐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커넥터; 상기 스텝, 커넥터 및 스트럭쳐의 내부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스텝, 커넥터 및 스트럭쳐를 고정 결합시키는 결합 볼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대는 원판 형상의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의 중심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텝의 상측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도록 고정 결합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제1 고정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 고정대와 상기 스텝을 결합시키도록 볼트가 관통되는 두 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장부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 볼트가 회전 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 및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고정대는 원판 형상의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텝의 하측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도록 고정 결합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제2 고정대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 고정대와 상기 스텝을 결합시키도록 볼트가 관통되는 두 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하단부의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결합 볼트가 회전 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 및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는 상기 결합 볼트에 회전 결합하여 상기 스텝 및 스트럭쳐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제1 너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고정대의 제1 연장부에 연결되는 상기 결합 볼트의 회전으로 상기 스텝 사이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결합 볼트의 하부 끝단에 결합하여 상기 스텝, 스트럭쳐 및 제2 고정대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제2 너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스트럭쳐의 상부 및 하부 양 끝단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스트럭쳐의 상부 및 하부 양 끝단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트럭쳐의 양 끝단에는 연결 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텝과 고정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수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결합되는 조립식 계단은, 콘크리트 벽면 내부에 직접 삽입 고정되는 지지핀; 콘크리트 벽면에 밀착 결합되는 제1 체결구; 일측면은 상기 제1 체결구와 고정 결합되고 타측면은 상기 스텝의 하단면과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스텝과 콘크리트 벽면을 연결하는 제2 체결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립식 계단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사이드 패널; 일측면이 상기 사이드 패널에 밀착 결합되며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구; 상기 사이드 패널과 상기 제1 연결구를 결합하는 제1 연결핀; 일측면이 상기 스텝에 밀착 결합되며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구; 상기 스텝과 상기 제2 연결구를 결합하는 제2 연결핀; 상기 제1 연결구와 상기 제2 연결구를 연결하는 지지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상기 지지대는 양 측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함몰된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1 연결구 및 상기 제2 연결구가 회전 결합하여 상기 사이드 패널과 상기 스텝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상기 조립식 계단의 일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핸드레일; 상기 핸드레일의 끝단에 결합되는 핸드레일 커넥터; 일측 끝단은 상기 핸드레일에 결합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스텝에 결합되어 조립식 계단 전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나 이상의 발러스터;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나의 발러스터와 인접하는 다른 발러스터 사이의 공간에 평행하게 연결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다수개의 구조 파이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매우 간단한 결합 구조를 사용하면서도 수직 하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 또는 철골 구조를 사용하지 않는 조립식 계단을 제공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의 용이성을 달성하면서도, 높은 수직 하중을 보다 단단하게 지지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텝과 스텝 사이의 높낮이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벽면 또는 사이드 패널과 스텝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식 계단의 설치 공간의 제한이 없고, 짧은 시간 내에 공사를 완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2 는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에 적용된 제1 고정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3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에 적용된 제1 고정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4 는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에 적용된 제2 고정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5 는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에 적용된 제2 고정대를 도시한 저면도.
도6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에 적용된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7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에 적용된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8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의 또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9 는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에 적용된 커넥터의 또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10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에 적용된 커넥터의 또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11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12 는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에 적용된 제1 체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13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에 적용된 제2 체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14 는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의 또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15 는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에 적용된 제1 연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16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에 적용된 제2 연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17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에 적용된 지지대를 도시한 단면도.
도18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에 적용된 제1 연결구, 제2 연결구 및 지지대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9 는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의 또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20 내지 도23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의 시제품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2 는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에 적용된 제1 고정대(20)를 도시한 측면도, 도3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에 적용된 제1 고정대(20)를 도시한 평면도, 도4 는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에 적용된 제2 고정대(30)를 도시한 측면도, 도5 는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에 적용된 제2 고정대(30)를 도시한 저면도, 도6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에 적용된 커넥터(5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7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에 적용된 커넥터(5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는 수직 방향으로 동선이 필요한 계단 등에 적용되며, 건물 내부 또는 실내에 설치되는 스텝 및 계단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 또는 철골 구조를 사용하지 않는 조립식 계단을 제공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의 용이성을 달성하면서도, 높은 수직 하중을 보다 단단하게 지지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개의 스텝(10); 상기 스텝(10)의 일측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제1 고정대(20); 상기 스텝(10)의 일측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제2 고정대(30); 하나의 스텝(10) 하단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스텝(10) 상단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하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스텝(10)을 연결하는 동시에 지지하는 스트럭쳐(40); 상기 스트럭쳐(40)의 상부 및 하부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럭쳐(4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스텝(10) 및 스트럭쳐(40)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커넥터(50); 상기 스텝(10), 커넥터(50) 및 스트럭쳐(40)의 내부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스텝(10), 커넥터(50) 및 스트럭쳐(40)를 고정 결합시키는 결합 볼트(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면, 보행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다수개의 스텝(10)이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채로 배치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 스텝(10)과 스텝(1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스텝(10)을 연결하는 동시에 견고하게 지지하는 구조에 특징이 있다.
상기 스텝(10) 중 상대적으로 상부(위)에 위치하는 스텝(10)은 그 스텝(10)의 하부(아래)에 위치하는 스텝(10)과 스트럭쳐(40) 및 결합 볼트(60)에 의하여 단단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하중을 지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스텝(10)의 하측과 하부에 위치하는 스텝(10)의 상측이 상호 연결되어 계단을 형성하게 된다.
다수 개의 스텝(10)을 연결하기 위하여 스텝(10) 사이에는 스트럭쳐(40)가 배치되는데, 상기 스트럭쳐(40)는 상기 스텝(10)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동시에 스텝(10)과 스텝(10)을 지지하게 되며, 특히 상기 스트럭쳐(40)는 스텝(10)과 스텝(10) 사이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보행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스트럭쳐(40)에는 상기 결합 볼트(60)가 관통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두 개의 스텝(10)과 스트럭쳐(40)를 강력하게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텝(10)과 스트럭쳐(40)의 결합을 보다 강력하게 유지하고 상기 스트럭쳐(40)의 이탈을 방지하며, 스텝(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트럭쳐(40)의 양 끝단에는 별도의 커넥터(5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50)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이와 같은 결합을 위하여 상부(위)에 위치하는 스텝(10)의 하측에는 제1 고정대(20)가 결합되는데, 상기 제1 고정대(20)는 원판 형상의 상단부(21) 및 상기 상단부(21)의 중심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연장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스텝(10)의 상측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도록 고정 결합되는 것이 좋다.
즉, 도2 및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대(20)는 대략 'T'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 고정대(20)의 상단부(21)에는 볼트가 관통될 수 있는 별도의 관통 홀이 두 개 이상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고정대(20)를 상기 스텝(10)에 완전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부(21)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채로 제1 연장부(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 연장부(22)는 속이 비어있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 볼트(60)가 결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장부(22)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 볼트(60)의 외측면과 나사 결합(회전 결합)을 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고정대(20)가 상기 스텝(10)의 내부를 향하여 완전하게 함몰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제1 고정대(20)와 상기 스텝(10)의 결합력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보행자가 상기 스텝(10)을 밟고 지나가게 될 때 이질감이 드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고정대(20)에 보행자의 발이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위하여 상기 스텝(10)의 하측에는 상기 제1 고정대(2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홈 또는 공간이 미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스텝(10)과 스텝(10)을 연결 및 지지하기 위한 제2 고정대(30)가 설치되는데, 도4 및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고정대(30)는 원판 형상의 하단부(31) 및 상기 하단부(31)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연장부(32)는 보행자의 발이 직접 닿지 않는 스텝(10)의 하단면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2 연장부(32)는 제1 연장부(22)와는 달리 상기 스텝(10)의 내부로 완전하게 함몰될 필요성이 없으나, 보다 완전한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연장부(32)의 일부가 함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연장부(32)의 하단부(31)에는 별도의 볼트가 관통되는 두 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대(30)와 상기 스텝(10)을 완전하게 밀착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장부(32) 및 상기 하단부(31)의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결합 볼트(60)가 회전 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 및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2 고정대(30)는 상기 스텝(10)의 하측면에 연결 및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 볼트(60)가 상기 제2 고정대(30)를 완전하게 관통하며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보다 강력하게 결합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나아가 상기 제2 고정대(30)의 끝단으로 돌출된 상기 결합 볼트(60)에는 별도의 제2 너트(72)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 볼트(6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 및 심미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의 결합력 및 지지력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상기 스트럭쳐(40)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너트(71)가 회전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제1 너트(71)는 상기 결합 볼트(60)에 회전 결합함으로써 상기 스텝(10), 스트럭쳐(40) 및 결합 볼트(60) 사이의 결합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텝(10)의 처짐을 방지하고 수직 하중을 분산시켜 스텝 결합 구조체의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너트(71)의 결합으로 인하여 상기 스텝(10)과 스텝(10) 사이의 높낮이를 보다 자유롭게 조절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고정대(20)의 제1 연장부(22)에 연결되는 상기 결합 볼트(60)를 회전시켜 스텝(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게 되며, 이와 같이 설정된 높이에 맞추어 상기 스트럭쳐(40)를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너트(71)를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스텝 결합 구조체가 설치되는 환경 및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쉽게 높낮이를 조절하고 보행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커넥터(50)는 도1, 도6 및 도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럭쳐(40)의 상부 및 하부 양 끝단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스트럭쳐(40)가 상기 스텝(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고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인 도8 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50)는 상기 스트럭쳐(40)의 상부 및 하부 양 끝단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스트럭쳐(40)의 양 끝단에는 연결 지지부(41)가 형성되어 상기 스텝(10)과 고정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9 및 도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럭쳐(40)의 내부 공간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커넥터(50)가 삽입되는 것인데, 상기 커넥터(50)의 중심에는 중공(5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 볼트(6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스트럭쳐(40)와 스텝(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럭쳐(40)의 양 끝단에는 별도의 연결 지지부(41)가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11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12 는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에 적용된 제1 체결구(110)를 도시한 단면도, 도13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에 적용된 제2 체결구(12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수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결합되는 조립식 계단은, 콘크리트 벽면 내부에 직접 삽입 고정되는 지지핀(100); 콘크리트 벽면에 밀착 결합되는 제1 체결구(110); 일측면은 상기 제1 체결구(110)와 고정 결합되고 타측면은 상기 스텝(10)의 하단면과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스텝(10)과 콘크리트 벽면을 연결하는 제2 체결구(12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수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하게 되면 조립식 계단이 필요한 임의의 높이까지 쉽게 조립식 계단을 결합하여 완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조립식 계단의 안정성을 높이고 수직 하중을 완전하게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조립식 계단을 콘크리트 벽면에 완전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콘크리트 벽면 내부에 상기 지지핀(100)을 완전하게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지지핀(100)이 연장되는 콘크리트 벽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제1 체결구(110)를 고정시킨다.
상기 제1 체결구(110)는 도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핀(10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콘크리트 벽면에 완전하게 고정 결합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두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체결구(110)는 상기 지지핀(100)이 흔들리거나 빠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스텝(10) 및 조립식 계단을 보다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상기 지지핀(100)이 결합되어 있는 콘크리트 벽면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 체결구(110)의 내측면에는 제2 체결구(120)가 결합되는데, 도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체결구(1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지지핀(100)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체결구(120)의 타측면에는 상기 스텝(10)이 놓여진 상태로 상기 스텝(10)과 콘크리트 벽면을 연결 및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벽면과의 결합 구조에 따라 상기 스텝(10) 및 조립식 계단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의 하중을 완전하게 지지하고 분산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텝(10)이 위치하는 위치마다 상기 지지핀(100), 제1 체결구(110), 제2 체결구(120)를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스텝(10)마다 최대 800kg 이상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은 콘크리트 벽면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상에도 설치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일 실시예가 도14 내지 도18 에 도시되어 있다.
도14 는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의 또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15 는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에 적용된 제1 연결구(210)를 도시한 단면도, 도16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에 적용된 제2 연결구(230)를 도시한 단면도, 도17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에 적용된 지지대(250)를 도시한 단면도, 도18 은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에 적용된 제1 연결구(210), 제2 연결구(230) 및 지지대(250)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조립식 계단은, 조립식 계단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사이드 패널(200); 일측면이 상기 사이드 패널(200)에 밀착 결합되며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구(210); 상기 사이드 패널(200)과 상기 제1 연결구(210)를 결합하는 제1 연결핀(220); 일측면이 상기 스텝(10)에 밀착 결합되며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구(230); 상기 스텝(10)과 상기 제2 연결구(230)를 결합하는 제2 연결핀(240); 상기 제1 연결구(210)와 상기 제2 연결구(230)를 연결하는 지지대(25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콘크리트 벽면과 같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공간에서는 조립식 계단의 높이에 맞추어 별도의 사이드 패널(200)을 수직 방향으로 배치하게 되는데, 상기 사이드 패널(200)과 상기 스텝(10)을 연결 및 고정함으로써 보행자의 수직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패널(200)과 상기 스텝(10)을 연결시키는 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사이드 패널(200)과 상기 스텝(1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하는 지지대(25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사이드 패널(200)과 결합되는 제1 연결구(210) 및 제1 연결핀(220)이 존재하며, 상기 스텝(10)과 결합되는 제2 연결구(230) 및 제2 연결핀(240)이 존재한다.
상기 지지대(250)는 양 측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함몰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대략 'I'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각각의 함몰된 공간에는 상기 제1 연결구(210) 및 제2 연결구(2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구(21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은데 중심부에는 상기 제1 연결핀(2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고, 중심 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핀(220)이 자유롭게 나사 회전결합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구(210)는 두 개 이상의 별도의 볼트에 의하여 상기 사이드 패널(200)에 완전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구(230)는 상기 제2 연결핀(240)에 의하여 상기 스텝(10)과 고정 결합되는데, 상기 제2 연결구(230) 역시 두 개 이상의 별도의 볼트에 의하여 상기 스텝(10)에 완전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대(250)의 함몰된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연결구(210)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연결구(230)의 외측면 역시 상기 지지대(250)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도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제1 연결구(210) 및 상기 제2 연결구(230)가 회전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사이드 패널(200)과 상기 스텝(10) 사이에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스텝(10)을 설치하는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제1 연결구(210), 제2 연결구(230) 및 지지대(250) 사이의 회전만으로도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게 상기 사이드 패널(200)과 상기 스텝(10)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 및 조절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나사산에 의한 회전 결합으로 단단한 결합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하중의 지지 또한 가능하다.
도19 는 본 발명인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의 또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인데, 본 실시예에는 조립식 계단의 측면에 설치되는 핸드레일(300)이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조립식 계단의 일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핸드레일(300); 상기 핸드레일(300)의 끝단에 결합되는 핸드레일 커넥터(310); 일측 끝단은 상기 핸드레일(300)에 결합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스텝(10)에 결합되어 조립식 계단 전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나 이상의 발러스터(32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드레일(300)은 보행자가 스텝(10) 또는 조립식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올 경우 편안하게 손을 잡을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어 안정적인 보행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핸드레일(300)의 끝단에는 각각 핸드레일 커넥터(31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핸드레일(300)의 길이 및 방향에 따라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핸드레일 커넥터(310)는 스테인레스 304 3th 소재를 사용하여 다이캐스팅하여 제작하는 것이 좋은데, 이에 따라 녹이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보다 강한 하중을 견디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핸드레일(300)과 상기 스텝(1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발러스터(320)가 설치되는데, 상기 발러스터(320)는 상기 핸드레일(300)과 상기 스텝(10)을 결합 지지하기 때문에, 조립식 계단의 전체 하중을 분산시키고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발러스터(320)는 철판 두겹을 특수 볼트를 사용하여 조립할 수 있는데, 하나의 발러스터(320)와 인접하는 다른 발러스터(320) 사이의 공간에 평행하게 연결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다수개의 구조 파이프(330)를 더 포함함으로써, 하중의 분산 및 구조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핸드레일(300)과 상기 스텝(10) 사이의 공간으로 보행자 또는 물건 등이 낙하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스텝
20 : 제1 고정대 21 : 상단부
22 : 제1 연장부
30 : 제2 고정대 31 : 하단부
32 : 제2 연장부
40 : 스트럭쳐 41 : 연결 지지부
50 : 커넥터 51 : 중공
60 : 결합 볼트
71 : 제1 너트 72 : 제2 너트
100 : 지지핀
110 : 제1 체결구 120 : 제2 체결구
200 : 사이드 패널
210 : 제1 연결구 220 : 제1 연결핀
230 : 제2 연결구 240 : 제2 연결핀
250 : 지지대
300 : 핸드레일 310 : 핸드레일 커넥터
320 : 발러스터(Baluster) 330 : 구조 파이프

Claims (15)

  1.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개의 스텝(10);
    상기 스텝(10)의 일측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제1 고정대(20);
    상기 스텝(10)의 일측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제2 고정대(30);
    하나의 스텝(10) 하단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스텝(10) 상단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하며,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스텝(10)을 연결하는 동시에 지지하는 스트럭쳐(40);
    상기 스트럭쳐(40)의 상부 및 하부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럭쳐(4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스텝(10) 및 스트럭쳐(40)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커넥터(50);
    상기 스텝(10), 커넥터(50) 및 스트럭쳐(40)의 내부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스텝(10), 커넥터(50) 및 스트럭쳐(40)를 고정 결합시키는 결합 볼트(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결합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대(20)는 원판 형상의 상단부(21) 및 상기 상단부(21)의 중심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연장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스텝(10)의 상측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도록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결합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대(20)의 상단부(21)에는 상기 제1 고정대(20)와 상기 스텝(10)을 결합시키도록 볼트가 관통되는 두 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장부(22)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 볼트(60)가 회전 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 및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결합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대(30)는 원판 형상의 하단부(31) 및 상기 하단부(31)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연장부(32)를 포함하며, 상기 스텝(10)의 하측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도록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결합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대(30)의 하단부(31)에는 상기 제2 고정대(30)와 상기 스텝(10)을 결합시키도록 볼트가 관통되는 두 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32) 및 상기 하단부(31)의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결합 볼트(60)가 회전 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 및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결합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볼트(60)에 회전 결합하여 상기 스텝(10) 및 스트럭쳐(40)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제1 너트(7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고정대(20)의 제1 연장부(22)에 연결되는 상기 결합 볼트(60)의 회전으로 상기 스텝(10) 사이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결합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볼트(60)의 하부 끝단에 결합하여 상기 스텝(10), 스트럭쳐(40) 및 제2 고정대(30)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제2 너트(7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결합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50)는 상기 스트럭쳐(40)의 상부 및 하부 양 끝단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결합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50)는 상기 스트럭쳐(40)의 상부 및 하부 양 끝단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트럭쳐(40)의 양 끝단에는 연결 지지부(41)가 형성되어 상기 스텝(10)과 고정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결합 구조체.
  10. 조립식 계단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텝 결합 구조체를 수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11. 제10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벽면 내부에 직접 삽입 고정되는 지지핀(100);
    콘크리트 벽면에 밀착 결합되는 제1 체결구(110);
    일측면은 상기 제1 체결구(110)와 고정 결합되고 타측면은 상기 스텝(10)의 하단면과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스텝(10)과 콘크리트 벽면을 연결하는 제2 체결구(12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12. 제10항에 있어서,
    조립식 계단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사이드 패널(200);
    일측면이 상기 사이드 패널(200)에 밀착 결합되며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구(210);
    상기 사이드 패널(200)과 상기 제1 연결구(210)를 결합하는 제1 연결핀(220);
    일측면이 상기 스텝(10)에 밀착 결합되며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구(230);
    상기 스텝(10)과 상기 제2 연결구(230)를 결합하는 제2 연결핀(240);
    상기 제1 연결구(210)와 상기 제2 연결구(230)를 연결하는 지지대(25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50)는 양 측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함몰된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1 연결구(210) 및 상기 제2 연결구(230)가 회전 결합하여 상기 사이드 패널(200)과 상기 스텝(10)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계단의 일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핸드레일(300);
    상기 핸드레일(300)의 끝단에 결합되는 핸드레일 커넥터(310);
    일측 끝단은 상기 핸드레일(300)에 결합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스텝(10)에 결합되어 조립식 계단 전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나 이상의 발러스터(32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15. 제14항에 있어서,
    하나의 발러스터(320)와 인접하는 다른 발러스터(320) 사이의 공간에 평행하게 연결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다수개의 구조 파이프(3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KR1020140034960A 2014-03-25 2014-03-25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KR101595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960A KR101595177B1 (ko) 2014-03-25 2014-03-25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960A KR101595177B1 (ko) 2014-03-25 2014-03-25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44A true KR20150111244A (ko) 2015-10-05
KR101595177B1 KR101595177B1 (ko) 2016-02-18

Family

ID=5434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960A KR101595177B1 (ko) 2014-03-25 2014-03-25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1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9166A (zh) * 2019-02-28 2019-05-21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楼梯与现浇结构的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KR20220131064A (ko) * 2021-03-19 2022-09-27 김현구 조립식 계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716A (ja) * 1993-09-30 1995-04-18 Maeda Corp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階段の施工方法
JP2000034814A (ja) * 1998-07-17 2000-02-02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階段踏み板のレベル調整装置および方法
JP2007297863A (ja) * 2006-05-02 2007-11-15 Nippon Light Metal Co Ltd 階段
JP4864829B2 (ja) * 2007-07-23 2012-02-01 義邦 大倉 階段用締結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716A (ja) * 1993-09-30 1995-04-18 Maeda Corp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階段の施工方法
JP2000034814A (ja) * 1998-07-17 2000-02-02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階段踏み板のレベル調整装置および方法
JP2007297863A (ja) * 2006-05-02 2007-11-15 Nippon Light Metal Co Ltd 階段
JP4864829B2 (ja) * 2007-07-23 2012-02-01 義邦 大倉 階段用締結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9166A (zh) * 2019-02-28 2019-05-21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楼梯与现浇结构的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KR20220131064A (ko) * 2021-03-19 2022-09-27 김현구 조립식 계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177B1 (ko)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3097A (zh) 用于建筑工地的楼梯
KR101595177B1 (ko)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JP2018076684A (ja) プレハブ式階段
JP2021032043A (ja) プレハブ式階段
KR100674664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계단
KR20100055605A (ko) 개량형 조립식 계단
KR200395591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계단
KR200382475Y1 (ko) 계단난간 임시 고정구조
KR101036707B1 (ko) 난간포스트 어셈블리
JP2016204983A5 (ko)
KR101578763B1 (ko) 계단용 임시난간
KR102647256B1 (ko) 조립식 나선형 계단
KR100740945B1 (ko) 건축 구조물 안전 계단 설치구조
KR200279221Y1 (ko) 난간
KR200367391Y1 (ko) 발코니의 가설용 조립식 난간
US8091295B1 (en) Machine for constructing height adjustable stair steps
JP7160608B2 (ja) 踊り場付き階段
KR20100100537A (ko) 핸드레일 서포트어셈블리
KR102257029B1 (ko) 건축물 계단실 작업발판
KR100997684B1 (ko) 조립식 난간
KR20100065790A (ko) 난간포스트 어셈블리
KR200373457Y1 (ko) 가변형 시스템 계단
KR20040101161A (ko) 조립식 나선형 계단
KR200337170Y1 (ko) 철골 안전난간의 체결구조
JP3154247U (ja) 組み立て式螺旋階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