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256B1 - 조립식 나선형 계단 - Google Patents

조립식 나선형 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256B1
KR102647256B1 KR1020210123975A KR20210123975A KR102647256B1 KR 102647256 B1 KR102647256 B1 KR 102647256B1 KR 1020210123975 A KR1020210123975 A KR 1020210123975A KR 20210123975 A KR20210123975 A KR 20210123975A KR 102647256 B1 KR102647256 B1 KR 102647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re pipe
spacer
spiral staircase
handrail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0615A (ko
Inventor
김현구
Original Assignee
김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구 filed Critical 김현구
Priority to KR102021012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256B1/ko
Publication of KR20230040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32Spiral stairways supported by a central colum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35Stairway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ssembled modular parts without fur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조립식 나선형 계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 슬래브로부터 기둥부에 끼워지는 스페이서에 의하여 디딤판이 일정 높이를 가지며 나선형으로 배열되도록 결합되는 조립식 나선형 계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나선형 계단{PREFABRICATED SPIRAL STAIRCASE}
이 건 발명은 조립식 나선형 계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 슬래브로부터 기둥부에 끼워지는 스페이서에 의하여 디딤판이 일정 높이를 가지며 나선형으로 배열되도록 결합되는 조립식 나선형 계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은 내,외부가 차단되도록하여 안정된 생활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상,하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계단이 구비되어 있다.
계단은 바닥 슬래브로부터 천정 슬래브를 향하여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갖도록 되어 있으며, 바닥 슬래브와 천정 슬래브 사이의 중간 부분에는 계단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계단은 건축 구조물이 시공되는 과정에서 같이 시공되어지며, 계단폭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별도의 핸드레일이 구비되어 계단을 오르고 내리는 과정에서 바닥으로 추락하는 추락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건축 구조물이 시공된 후 리모델링 과정에서 별도의 계단이 시공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공간활용율을 높이는 가운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수개의 디딤발판을 이용한 조립식 계단이 시공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4-87588호(2014.07.09)의 조립식 나선형 계단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계단은 단수로 구비되는 계단판을 복수로 중심축에 삽입하고, 삽입된 각 계단판을 소정 각도로 이격시켜 나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나선형 계단 설치 시 작업의 효율성이 높일 수 있도록 하였으나, 중심축에 끼워지는 계단판의 삽입부와 다른 삽입부가 맞대어진 상태로 있어 계단판의 높낮이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계단판의 삽입부 내경에 일치되는 중심축이 구비되는 과정에서 삽입부 내경과 중심축의 외경이 큼으로써, 소재의 사용량이 증가되어 시공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나선형 계단이 시공되는 높이 즉, 바닥 슬래브에서 천정 슬래브까지의 높이가 상이할 경우, 현장에서 작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87588호(2014.07.09)
이 건 발명은바닥 슬래브로부터 상부를 향하는 기둥부에 디딤판이 현장에서 나선형태로 배열되게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하고, 기둥부에 끼워지며 디딤판 사이로 위치되는 스페이서에 의하여 디딤판의 높낮이가 용이하게 조절되어 용이하니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소재 사용량을 줄여 경제적인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기둥부(10)에 디딤판(20)과 스페이서(30)가 상부를 향하여 나선형으로 반복 배열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디담판(20)의 외측에 핸드레일(40)이 구비되어지며,상기 디딤판(20)은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기둥부(10)가 끼워지는 결합공(210)이 형성되고, 외측 모서리에 핸드레일 지지대(410)가 끼워지는 난간 지지공(230)이 형성되어지는 조립식 나선형 계단(A)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10)는 각관(110)으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각관(110)의 하단부에는 플랜지(111)가 구비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고, 상기 각관(110)의 상단부는 각관커버(121)가 끼워져 직결나사(DS)로 결합되어지며, 상기 각관(110)의 하단부에 구비된 플랜지(111)에는 4개의 관통홀(111-1)이 구비되어 바닥 슬래브(S)에 앵커볼트(AB)로 고정되어지고, 상기 각관(110)의 상단부에 구비된 각관커버(121)의 중앙부에는 하부를 향하는 암나사부 몸체(121-1)가 구비되어 최상단의 디딤판(20)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페이서(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30)의 내주연부에 4개의 각관 안착부재(310)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4개의 각관 안착부재(310)에 상기 기둥부(10)의 각관(110) 모서리가 안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부(10)에 구비된 플랜지(111)의 외경은 스페이서(30)의 외경보다 크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관(110)의 상단부에는 각관커버(121)가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각관 커버(121)는 사각형태를 갖는 커버편(122)의 가장자리에 나사관통홀(123-1)이 구비된 4개의 가이드편(123)이 하부를 향하여 직립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각관커버(121)의 가이드편(123)이 상기 각관(110)의 상단 외주면에 상부로부터 끼워져 상기 가이드편(123)의 나사관통홀(123-1)에 직결나사(DS)가 체결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0)의 내주면에 구비된 각관 안착부재(310)의 사이에는 일정 간격을 갖는 보강리브(32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0)의 외경은 상기 디딤판(20) 내측에 구비된 결합공(210)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딤판(20) 중 최상층에 설치된 디딤판(20)의 내측 결합공(201)의 상부에는 고정판(240)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판(240)의 상부에서 고정볼트(FB)가 상기 고정판(24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241)과 상기 최상층 디딤판(20)의 내측 결합공(201)을 관통하여 상기 각관(110) 상단부에 설치된 각관커버(121)의 암나사부 몸체(121-1)에 구비된 암나사부(121-1a)에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40)은 만곡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제1,2,3레일부재(430,430',430")가 상기 디딤판(20)에 결합된 핸드레일 지지대(410)의 핸드레일 고정부(420)에 의하여 디딤판(20)의 배열형태와 동일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2,3레일부재(430,430',430")는 관통된 형태를 갖는 조인 슬리브(440)와 일측 또는 타측이 막힌 형태를 갖는 마개 슬리브(440')에 의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0)의 내주면에 구비된 각관 안착부재(310)는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30)의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된 돌출 라이너(311)의 단부에 사기 각관(110)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90°각을 형성하는 모서리 끼움 가압편(31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딤판(20)은 목재로 구비된 것으로, 디딤판 몸체(220)의 내측에 기둥부(10)가 관통되는 가운데 상기 스페이서(30)의 상부 또는 하부가 걸려지는 결합공(210)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디딤판 몸체(220)의 외측 모서리에 각각 난간 지지공(230)이 구비되어 핸드레일 지지대(410)가 삽입되어 직결나사(DS)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바닥 슬래브에 앵커 볼트로 직립되게 구비된 기둥부에 다수개의 스페이서에 의하여 디딤판이 나선형태로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디딤판이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용이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소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경제적인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나선형 계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나선형 계단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나선형 계단을 도시한 정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나선형 계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나선형 계단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나선형 계단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나선형 계단(A)은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소재의 사용량을 줄여 경제적인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0)에 디딤판(20)과 스페이서(30)가 상부를 향하여 나선형으로 반복 배열되게 구비되고, 상기 디담판(20)의 외측에 핸드레일(40)이 구비됨에 따라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기둥부(10)는 각관(110)으로 구비된 것으로, 상기 각관(110)의 하단부는 4개의 관통홀(111-1)을 갖는 플랜지(111)가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 바닥 슬래브(S)에 안착된 상태에서 앵커볼트(AB)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관(110)의 상단부는 중앙부에 하부를 향하는 암나사부(121-1a)를 갖는 암나사부 몸체(121-1)가 구비된 각관커버(121)가 끼워져 직결나사(DS)로 결합되어짐으로써, 최상단의 디딤판(20)이 결합된다.
상기 기둥부(10)에 구비된 플랜지(111)의 외경은 스페이서(30)의 외경보다 크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각관(110)의 상단부에는 각관커버(121)가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각관 커버(121)는 사각형태를 갖는 커버편(122)의 가장자리에 나사관통홀(123-1)이 구비된 4개의 가이드편(123)이 하부를 향하여 직립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각관커버(121)의 가이드편(123)이 상기 각관(110)의 상단 외주면에 상부로부터 끼워진 상태에서 직결나사(DS)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합된다.
상기 디딤판(20)은 부채꼴형상의 목재로 구비된 것으로, 내측에 결합공(210)이 형성되어 상기 기둥부(10)가 끼워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외측 모서리에 난간 지지공(230)이 형성되어 핸드레일 지지대(410)가 끼워져 직결나사(DS)로 결합된다.
상기 디딤판(20) 중 최상층에 설치된 디딤판(20)의 내측에는 내측 결합공(201)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결합공(201)의 상부에는 고정판(24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고정판(240)의 상부에서 고정볼트(FB)가 상기 고정판(24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241)과 상기 최상층 디딤판(20)의 내측 결합공(201)을 관통하여 상기 각관(110) 상단부에 설치된 각관커버(121)의 암나사부 몸체(121-1)에 구비된 암나사부(121-1a)에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디딤판(20) 중 최상단으로 위치되는 부분은 삼각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지고, 받침 브라켓(BK)이 못 또는 피스(P)에 의하여 벽체(W)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지며, 별도의 안전난간(5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바닥으로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페이서(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30)의 내주연부에는 각각 4개의 각관 안착부재(310)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4개의 각관 안착부재(310)에 상기 기둥부(10)의 각관(110) 모서리가 안착된다.
이러한 상기 각관 안착부재(310)는 스페이서(30)의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된 돌출 라이너(311)의 단부에 상기 각관(110)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90°각을 형성하는 모서리 끼움 가압편(312)이 구비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30)의 내주면에 구비된 각관 안착부재(310)의 사이에는 일정 간격을 갖는 보강리브(320)가 구비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30)의 외경은 상기 디딤판(20) 내측에 구비된 결합공(210)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됨으로써, 디딤판(20)의 윗면과 밑면이 걸쳐지거나 받쳐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핸드레일(40)은 디딤판(20)을 딛고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오거나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가는 과정 중 계단의 밖으로 물건이 낙하되거나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만곡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제1,2,3레일부재(430,430',430")가 핸드레일 지지대(410)의 핸드레일 고정부(420)에 의하여 디딤판(20)의 배열형태와 동일한 형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핸드레일 지지대(410)는 조립식 나선형 계단에 있어 최하단으로 위치된 계단이 시작되는 부분의 디딤판(20) 입구측은 핸드레일 지지대(410)의 하부에 지지플랜지(450)가 구비되도록 하여 바닥 슬래브(S)에 상기 지지플랜지(450)가 안착된 상태에서 앵커볼트(AB)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핸드레일 고정부(42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태의 핸드레일 지지대(410)의 상단부에 암나사(421-1)를 갖는 고정편(421)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고정편(421)에 맞대어지는 힌지편(422-1)을 가지며, 나사관통홀(422-3)를 통해 삽입되는 직결나사(DS)로 결합되는 레일받침몸체(422)로 구비되어 만곡형태를 가지며, 나선형태로 배열된 제1,2,3레일부재(430,430',430")가 안정되게 지지된다. 이때, 힌지편(422-1)은 힌지볼트(HB)에 의하여 고정편(421)의 암나사(321-1)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1,2,3레일부재(430,430',430")는 관통된 형태를 갖는 조인 슬리브(440)와 일측 또는 타측이 막힌 형태를 갖는 마개 슬리브(440')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나선형태로 배열될 수 있게 된다. 이 건 발명에서는 기둥부(10)가 하나의 각관(110)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높이가 클 경우, 하나의 각관(110)에 다른 하나의 각관(110)에 연결되어지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건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기둥부 20:디딤판
30:스페이서 40:핸드레일
110:각관 111:플랜지
111-1:관통홀 121:각관커버
121-1:암나사부 몸체 210:결합공
230:난간 지지공 310:각관 안착부재
410:핸드레일 지지대

Claims (7)

  1. 기둥부(10)에 디딤판(20)과 스페이서(30)가 상부를 향하여 나선형으로 반복 배열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디딤판(20)의 외측에 핸드레일(40)이 구비되어지며,상기 디딤판(20)은 부채꼴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기둥부(10)가 끼워지는 결합공(210)이 형성되고, 외측 모서리에 핸드레일 지지대(410)가 끼워지는 난간 지지공(230)이 형성되어지는 조립식 나선형 계단(A)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10)는 각관(110)으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각관(110)의 하단부에는 플랜지(111)가 구비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고, 상기 각관(110)의 상단부에는 각관커버(121)가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각관 커버(121)는 사각형태를 갖는 커버편(122)의 가장자리에 나사관통홀(123-1)이 구비된 4개의 가이드편(123)이 하부를 향하여 직립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각관커버(121)의 가이드편(123)이 상기 각관(110)의 상단 외주면에 상부로부터 끼워져 상기 가이드편(123)의 나사관통홀(123-1)에 직결나사(DS)가 체결되어 결합되어지며, 상기 각관(110)의 하단부에 구비된 플랜지(111)에는 4개의 관통홀(111-1)이 구비되어 바닥 슬래브(S)에 앵커볼트(AB)로 고정되어지고, 상기 각관(110)의 상단부에 구비된 각관커버(121)의 중앙부에는 하부를 향하는 암나사부 몸체(121-1)가 구비되어 최상단의 디딤판(20)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페이서(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30)의 내주연부에 4개의 각관 안착부재(310)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4개의 각관 안착부재(310)에 상기 기둥부(10)의 각관(110) 모서리가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나선형 계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10)에 구비된 플랜지(111)의 외경은 스페이서(30)의 외경보다 크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나선형 계단.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30)의 내주면에 구비된 각관 안착부재(310)의 사이에는 일정 간격을 갖는 보강리브(32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나선형 계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30)의 외경은 상기 디딤판(20) 내측에 구비된 결합공(210)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나선형 계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20) 중 최상층에 설치된 디딤판(20)의 내측 결합공(201)의 상부에는 고정판(240)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판(240)의 상부에서 고정볼트(FB)가 상기 고정판(24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241)과 상기 최상층 디딤판(20)의 내측 결합공(201)을 관통하여 상기 각관(110) 상단부에 설치된 각관커버(121)의 암나사부 몸체(121-1)에 구비된 암나사부(121-1a)에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나선형 계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40)은 만곡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제1,2,3레일부재(430,430',430")가 상기 디딤판(20)에 결합된 핸드레일 지지대(410)의 핸드레일 고정부(420)에 의하여 디딤판(20)의 배열형태와 동일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2,3레일부재(430,430',430")는 관통된 형태를 갖는 조인 슬리브(440)와 일측 또는 타측이 막힌 형태를 갖는 마개 슬리브(440')에 의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나선형 계단.
KR1020210123975A 2021-09-16 2021-09-16 조립식 나선형 계단 KR102647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975A KR102647256B1 (ko) 2021-09-16 2021-09-16 조립식 나선형 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975A KR102647256B1 (ko) 2021-09-16 2021-09-16 조립식 나선형 계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615A KR20230040615A (ko) 2023-03-23
KR102647256B1 true KR102647256B1 (ko) 2024-03-13

Family

ID=8579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975A KR102647256B1 (ko) 2021-09-16 2021-09-16 조립식 나선형 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2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9031A (ja) * 2004-07-22 2006-02-02 Morgan:Kk 螺旋階段
KR101544027B1 (ko) * 2015-02-23 2015-08-13 김은하 다목적 공공시설물 시스템
KR101624706B1 (ko) * 2016-01-20 2016-06-07 (주)엠에스티통상 지주용 기초구조 및 이의 설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588A (ko) 2012-12-31 2014-07-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조립식 나선형 계단
KR102128002B1 (ko) * 2018-11-07 2020-06-29 김현구 조립식 나선형 계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9031A (ja) * 2004-07-22 2006-02-02 Morgan:Kk 螺旋階段
KR101544027B1 (ko) * 2015-02-23 2015-08-13 김은하 다목적 공공시설물 시스템
KR101624706B1 (ko) * 2016-01-20 2016-06-07 (주)엠에스티통상 지주용 기초구조 및 이의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615A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6986B2 (en) Curved pathway
JP2009541612A (ja) 建設現場用階段
US7048462B2 (en) Newel anchorage system
US3566558A (en) Apartment buildings and the like
KR101008261B1 (ko) 조립식 계단
KR102647256B1 (ko) 조립식 나선형 계단
KR102454852B1 (ko) 계단실 폭이 좁혀진 계단 난간
US20170342719A1 (en) Prefabricated spiral staircase
JP6008821B2 (ja) プレハブ式階段
KR102128002B1 (ko) 조립식 나선형 계단
US5123210A (en) Flight of stairs
US20070000191A1 (en) Spiral staircase kit
US20220372765A1 (en) Modular staircase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KR101595177B1 (ko)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JPH0593448A (ja) 標準化したステツプモジユール
KR100592657B1 (ko) 건축물 조립식 계단 장착구조
KR101080226B1 (ko) 건축물 시공용 발판 고정구조
KR20190131344A (ko) 계단 조립체
KR20120121983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KR102031079B1 (ko) 데크로드 난간 하부조립체
KR20200009806A (ko) 조립식 나선형 계단
KR200385098Y1 (ko) 조립식 철재계단
KR20240000150A (ko) 조립식 계단
KR102534196B1 (ko) 조립식 계단
KR102154971B1 (ko) 벽체고정식 계단발판모듈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