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046B1 -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046B1
KR102244046B1 KR1020200136149A KR20200136149A KR102244046B1 KR 102244046 B1 KR102244046 B1 KR 102244046B1 KR 1020200136149 A KR1020200136149 A KR 1020200136149A KR 20200136149 A KR20200136149 A KR 20200136149A KR 102244046 B1 KR102244046 B1 KR 102244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tube
powder
flange
inflato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호
Original Assignee
최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호 filed Critical 최승호
Priority to KR1020200136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8Controlling escape of air or dust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부에 저장된 분체를 공급관에 고정하는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엑추에이터를 매개로 결합되고, 분체가 저장된 저장부의 입구를 따라 승강되는 환형의 인플레이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인플레이터부는 가압튜브의 팽창에 의해 분체가 저장된 저장부의 입구를 배출관에 밀착 고정시켜 낙하되는 분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A FIXING DEVICE OF BAG FOR DISCHARGING POWDER}
본 발명은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체가 저장된 저장부의 입구를 가압튜브의 팽창에 의해 배출구에 밀착시켜 분체의 외부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가압튜브는 외경방향이 개방된 형태로 오목하게 만곡된 단면이 "
Figure 112020111051656-pat00001
"의 형태로 성형되어 공기 주입시 오목한 팽창부가 볼록하게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저장부의 입구를 손상없이 가압하여 실링할 수 있도록 한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한 분말 형태의 분체는 유통 및 보관 등의 용이성을 위하여 규격에 따른 일정량의 저장부에 충진되어 포장되며, 이러한 분체의 정량 포장은 대부분 자동화된 설비인 분체포장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통상의 분체포장기는 저장호퍼, 차단변 혹은 스크류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분체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는 오우거피더 등의 분체배출수단, 분체를 수납하는 저장부(Bag)를 고정하는 저장부고정수단, 저장부를 받치면서 유동 및 승하강시키기 위한 벨로우즈실린더 및 진동기를 포함하는 테이블설비, 저장부에 담긴 분체의 중량을 계량하는 로드셀, 수납완료된 저장부를 이송하는 저장부이송컨베이어 및 분진포집설비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분체포장기를 통해 저장부에 분체를 수용하여 포장하는 것을 살펴보면, 먼저 저장부가 저장부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이후 분체 배출수단를 통해 분체가 저장부 내측으로 배출된다.
특히 분체 배출수단에 사용되는 저장부는 통상 비닐 또는 종이를 이용하여 소정 형태로 가공하되, 어느 한면을 개방시켜 제품을 내부에 넣은 상태에서 개방된 한면을 폐쇄시켜 밀봉 포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밀가루나 시멘트 또는 화학성 분체 등은 알루미늄 호일 또는 비닐로 제작된 저장부에 포장된 상태로 공급되는데 이러한 분체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분체가 비산하여 주위를 오염시키거나 의도치 않은 장소로 침투할 수도 있고, 분체가 위험한 화학약품일 경우에는 폭발 혹은 인명의 사상이 발생할 수 있어 취급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종래의 "포장대용 배출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105536호)"는 분체를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나, 저장부의 입구를 밴딩 처리할 때 저장부가 손상되어 분체가 누출되거나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10553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분체가 저장된 저장부의 입구를 가압튜브의 팽창에 의해 배출구에 밀착시켜 분체의 외부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가압튜브는 외경방향이 개방된 형태로 오목하게 만곡된 단면이 "
Figure 112020111051656-pat00002
"의 형태로 성형되어 공기 주입시 오목한 팽창부가 볼록하게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저장부의 입구를 손상없이 가압하여 실링할 수 있도록 한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환형의 가압튜브를 성형할 때 접합면으로 인해 발생되는 들뜸 현상을 없애 분체 비산과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경방향이 개방된 단면이 "
Figure 112020111051656-pat00003
"의 형태로 접합면(이음매)이 없이 일체로 성형되는 가압튜브를 갖는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저장부에 저장된 분체를 공급관에 고정하는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엑추에이터를 매개로 결합되고, 분체가 저장된 저장부의 입구를 따라 승강되는 환형의 인플레이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인플레이터부는 가압튜브의 팽창에 의해 분체가 저장된 저장부의 입구를 배출관에 밀착 고정시켜 낙하되는 분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인플레이터부는 내경 방향으로 개방된 단면이 "
Figure 112020111051656-pat00004
"자 형태로 상하부에 제1결합플랜지가 형성된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내경에서 외경 방향으로 삽입되어 제1결합플랜지의 상부면에 중첩되는 제2결합플랜지가 형성된 가압튜브와, 상기 제2결합플랜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공기의 누설이 없도록 가압튜브를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실링하는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튜브는 제2결합플랜지의 사이에 오목하게 만곡된 팽창부로 이루어진 단면이 "
Figure 112020111051656-pat00005
"의 형태로 성형되어 저장부의 입구를 따라 승강할 때 팽창부의 간섭을 피하면서, 공기 주입시 오목한 팽창부가 볼록하게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저장부의 입구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는 결합피스를 통해 제2결합플랜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제1결합플랜지와 체결고정되어 실링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어느 한 지점에는 가압튜브를 팽창시킬 수 있는 에어커넥터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는 가압튜브의 제2결합플랜지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 사이즈로 선택하여 저장부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가압튜브의 각 제2결합플랜지에는 환테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는 상기 환테홈에 형상적으로 대응되 결합되는 환테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에 따르면, 분체가 저장된 저장부의 입구를 가압튜브의 팽창에 의해 배출구에 밀착시켜 분체의 외부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가압튜브는 외경방향이 개방된 형태로 오목하게 만곡된 단면이 "
Figure 112020111051656-pat00006
"의 형태로 성형되어 공기 주입시 오목한 팽창부가 볼록하게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저장부의 입구를 손상없이 가압하여 실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튜브의 바깥쪽에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위치시켜 가압튜브가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튜브는 외경방향이 개방된 단면이 "
Figure 112020111051656-pat00007
"의 형태로 접합면(이음매)이 없이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환형의 가압튜브를 성형할 때 접합면으로 인해 발생되는 들뜸 현상을 없애 분체의 비산과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은 딱딱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의 공기 주입만으로 가압튜브를 손쉽게 팽창시킬 수 있고, 또한 주입된 공압이 온전히 가압튜브로 전달되어 가압튜브의 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압튜브는 저장부의 입구를 따라 승강할 때 오목한 팽창부가 저장부의 입구와 비접촉되므로 팽창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인플레이터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인플레이터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의 제1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의 제2작동도,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인플레이터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인플레이터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체가 저장된 저장부의 입구를 가압튜브의 팽창에 의해 배출구에 밀착시켜 분체의 외부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가압튜브는 외경방향이 개방된 형태로 오목하게 만곡된 단면이 "
Figure 112020111051656-pat00008
"의 형태로 성형되어 공기 주입시 오목한 팽창부(231)가 볼록하게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저장부(300)의 입구를 손상없이 가압하여 실링할 수 있도록 한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100)는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수직프레임(10)과,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엑추에이터(11)를 매개로 결합되어 저장부(300)의 입구를 따라 승강되는 환형의 인플레이터부(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엑추에이터(11)는 상기 수직프레임(10)을 승하강할 수 있는 로드레스 실린더, 리니어모터 등과 같이 선형운동이 이루어지는 구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저장부(300)의 입구를 배출관(200)에 외장한 상태에서 인플레이터부(20)를 하강시켜 저장부(300)의 입구가 부분적으로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분체가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저장부(300)의 가입 위치를 손쉽게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300)는 분체를 저장하는 포대, 마대 등과 같이 분체를 담을 수 있는 합성수지, 종이, 피륙, 가축, 천 등으로 제작된 큰 자루로 형상의 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입구를 통해 분체를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저장부(300)는 금속,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을 통해 특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입구를 통해 분체를 공급 및 배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부(300)는 입구를 통해 내부에 분체를 저장하며, 필요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재질 및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인플레이터부(20)는 인플레이터 하우징(22)과, 가압튜브(23)와, 상부플랜지(24) 및 하부플랜지(25)로 구성된다.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2)은 엑추에이터(11)의 가동자에 결합되는 승강브라켓(21)로 승강되는 구조이고, 내경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이다.
이러한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2)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하부에 제1결합플랜지(221)가 형성된 구조로 단면 "
Figure 112020111051656-pat00009
"자 형태로 성형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2)은 둘레의 어느 한 지점에 에어커넥터(222)가 더 연결되어 상기 가압튜브(23)를 선택적으로 팽창시킬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2)은 딱딱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의 공기 주입만으로 가압튜브(23)를 손쉽게 팽창시킬 수 있고, 또한 주입된 공압이 온전히 가압튜브(23)로 전달되어 가압튜브(23)의 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기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압튜브(23)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2)와는 반대로 외경방향이 개방된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가압튜브(23)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2)의 내경에서 외경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압튜브(23)는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2)의 제1결합플랜지(221)의 상부면에 중첩되는 제2결합플랜지(232)가 형성된 구조로, 상호 간 밀착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이러한 상기 가압튜브(23)는 인플레이터 하우징(22)의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면 팽창에 의해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저장부(300)의 입구를 손상없이 가압 고정할 수 있게 기능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압튜브(23)는 탄력성이 부여되도록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고, 2개의 제2결합플랜지(232)의 사이에 오목하게 만곡된 팽창부(231)로 이루어진 단면이 "
Figure 112020111051656-pat00010
"의 형태로 성형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튜브(23)는 저장부(300)의 입구를 따라 승강할 때 오목한 팽창부(231)가 저장부(300)의 입구와 비접촉되므로 팽창부(231)의 간섭을 피할 수 있고, 공기 주입시 오목한 팽창부(231)가 볼록하게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저장부(300)를 가압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튜브(23)는 외경방향이 개방된 단면이 "
Figure 112020111051656-pat00011
"의 형태로 접합면(이음매)이 없이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환형의 가압튜브를 성형할 때 접합면으로 인해 발생되는 들뜸 현상을 없애 분체의 비산과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상기 인플레이터부(20)는 인플레이터 하우징(22)과 가압튜브(23)가 상호 간 "
Figure 112020111051656-pat00012
" 의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에어커넥터(222)를 통해 인플레이터 하우징(22)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오목한 팽창부(231)는 볼록하게 내경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부플랜지(24) 및 하부플랜지(25)는 상기 제2결합플랜지(23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공기의 누설이 없도록 가압튜브(23)를 인플레이터 하우징(22)에 실링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상부플랜지(24) 및 하부플랜지(25)는 결합피스를 통해 제2결합플랜지(23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2)의 제1결합플랜지(221)와 체결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플랜지(24) 및 하부플랜지(25)는 가압튜브(23)의 제2결합플랜지(232)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로 선택하여 저장부(300)의 입구와 접촉을 피할 수 있으므로, 인플레이터부(20)가 승강할 때 저장부(300)의 입구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압튜브(23)의 제2결합플랜지(232) 상부면에는 환테홈(232a)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24) 및 하부플랜지(25)는 상기 환테홈(232a)에 형상적으로 대응되 결합되는 환테돌기(26)가 더 형성된다.
상기 환테홈(232a)과 환테돌기(26)는 팽창부(231)의 팽창에 의해 가압튜브(23)가 내경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부플랜지(24)와 하부플랜지(25)를 제2결합플랜지(232)에 결합하기 전에 상기 제2결합플랜지(232)에 정위치를 셋팅할 수 있는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의 제1작동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의 제2작동도이다.
도 4와 같이, 한겹으로 이루어진 저장부의 경우:
이때 분체가 저장된 저장부(300)는 직접 사람이 설치할 수 있고, 무게가 무거울 경우 별도의 크레인을 통해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다.
먼저 도 4의 (a)와 같이, 저장부(300)의 입구 중간 부분을 묶음 처리한 후, 저장부(300) 입구의 하부를 인플레이터부(20)를 거쳐 배출관(200)에 외장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인플레이터부(20)를 배출관(200)의 외주면까지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저장부(300)의 입구는 인플레이터부(20)와 배출관(200)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이다.
그리고 도 4의 (c)와 같이, 에어커넥터(222)를 통해 가압튜브(23)를 팽창시켜 저장부(300)의 입구를 배출관(200)의 외측 표면에 기밀하게 가압 고정한다.
그리고 분체의 배출이 끝나면 입구 중간부분을 다시 묶음 처리한 후, 인플레이터부(20)의 공기를 배기시켜 볼록하게 팽창된 팽창부(231)를 오목하게 복귀시켜 저장부(300)의 입구 구속을 해제하고, 빈 저장부를 이탈시킨다.
마지막으로 인플레이터부(20)를 상승시켜 배출관(200)과 인플레이터부(20)를 분리시킨다.
도 5와 같이, 저장부가 내피와 외피로 분리된 경우:
먼저 도 5의 (a)와 같이, 저장부(300)의 내피(310) 입구를 개방하여 배출관(200)에 삽입시키고, 외피(320)의 입구를 배출관(200)의 둘레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인플레이터부(20)를 배출관(200)의 외주면까지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외피(320)의 입구는 인플레이터부(20)와 배출관(200)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이다.
그리고 도 5의 (c)와 같이, 에어커넥터(222)를 통해 가압튜브(23)를 팽창시켜 외피(320)의 입구를 배출관(200)의 외측 표면에 기밀하게 가압 고정하여 내피(310)를 통해 배출관(200)으로 낙하되는 분체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저장부(300)를 마사지하여 분체를 배출이 끝나면 입구 중간부분을 다시 묶음 처리한 후, 인플레이터부(20)의 공기를 배기시켜 볼록하게 팽창된 팽창부(231)를 오목하게 복귀시켜 외비의 입구를 구속을 해제하고, 빈 저장부를 이탈시킨다.
이후 인플레이터부(20)를 상승시켜 배출관(200)과 인플레이터부(20)를 분리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는 하기와 같은 차별적인 특징을 갖는다.
첫째: 가압튜브의 바깥쪽에 인플레이터 하우징을 위치시켜 가압튜브가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가압튜브는 외경방향이 개방된 단면이 "
Figure 112020111051656-pat00013
"의 형태로 접합면(이음매)이 없이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환형의 가압튜브를 성형할 때 접합면으로 인해 발생되는 들뜸 현상을 없애 분체의 비산과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은 딱딱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의 공기 주입만으로 가압튜브를 손쉽게 팽창시킬 수 있고, 또한 주입된 공압이 온전히 가압튜브로 전달되어 가압튜브의 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기능할 수 있다.
넷째: 상기 가압튜브는 저장부의 입구를 따라 승강할 때 오목한 팽창부가 저장부의 입구와 비접촉되므로 팽창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수직프레임 11: 엑추에이터
20: 인플레이터부 21: 승강브라켓 22: 인플레이터 하우징
221: 제1결합플랜지 222: 에어커넥터
23: 가압튜브 231: 팽창부
232: 제2결합플랜지 232a: 환테홈
24: 상부플랜지 25: 하부플랜지
26: 환테돌기
100: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
200: 배출관
300: 저장부 310: 내피 320: 외피

Claims (5)

  1. 저장부에 저장된 분체를 공급관에 고정하는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100)는,
    수직프레임(10)과,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엑추에이터(11)를 매개로 결합되고, 분체가 저장된 저장부의 입구를 따라 승강되는 환형의 인플레이터부(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인플레이터부(20)는 가압튜브(23)의 팽창에 의해 분체가 저장된 저장부(300)의 입구를 배출관(200)에 밀착 고정시켜 낙하되는 분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부(20)는
    내경 방향으로 개방된 단면이 "
    Figure 112021000921100-pat00021
    "자 형태로 상하부에 제1결합플랜지(221)가 형성된 인플레이터 하우징(22)과,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2)의 내경에서 외경 방향으로 삽입되어 제1결합플랜지(221)의 상부면에 중첩되는 제2결합플랜지(232)가 형성된 가압튜브(23)와,
    상기 제2결합플랜지(23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공기의 누설이 없도록 가압튜브(23)를 인플레이터 하우징(22)에 실링하는 상부플랜지(24) 및 하부플랜지(25)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튜브(23)는 제2결합플랜지(232)의 사이에 오목하게 만곡된 팽창부(231)로 이루어진 단면이 "
    Figure 112021000921100-pat00022
    "의 형태로 성형되어 저장부(300)의 입구를 따라 승강할 때 팽창부(231)의 간섭을 피하면서, 공기 주입시 오목한 팽창부(231)가 볼록하게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저장부(300)의 입구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압튜브(23)는 외경방향이 개방된 단면이 "
    Figure 112021000921100-pat00023
    "의 형태로 접합면이 없이 일체로 성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부(20)는 인플레이터 하우징(22)과 가압튜브(23)가 상호 간 "
    Figure 112021000921100-pat00024
    " 의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플랜지(24) 및 하부플랜지(25)는 가압튜브(23)의 제2결합플랜지(232)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 사이즈로 선택하여 저장부(300)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압튜브(23)의 각 제2결합플랜지(232)에는 환테홈(232a)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24) 및 하부플랜지(25)는 상기 환테홈(232a)에 형상적으로 대응되 결합되는 환테돌기(26)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24) 및 하부플랜지(25)는 결합피스를 통해 제2결합플랜지(23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2)의 제1결합플랜지(221)와 체결고정되어 실링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22)의 어느 한 지점에는 가압튜브(23)를 팽창시킬 수 있는 에어커넥터(222)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00136149A 2020-10-20 2020-10-20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 KR102244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149A KR102244046B1 (ko) 2020-10-20 2020-10-20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149A KR102244046B1 (ko) 2020-10-20 2020-10-20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046B1 true KR102244046B1 (ko) 2021-04-22

Family

ID=7573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149A KR102244046B1 (ko) 2020-10-20 2020-10-20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0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5536B2 (ja) 1990-11-29 2000-11-06 株式会社トプコン 半導体レーザ治療装置
JP2003246462A (ja) * 2002-02-02 2003-09-02 Itw Gema Ag 粉末袋からコーティング粉末を適量取り出す装置および方法
JP2005195049A (ja) * 2003-12-26 2005-07-2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粉体充填装置用締付具およびその締付具を備えた粉体充填装置
KR101586583B1 (ko) * 2014-09-11 2016-01-18 정명수 분체포장기의 분진비산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5536B2 (ja) 1990-11-29 2000-11-06 株式会社トプコン 半導体レーザ治療装置
JP2003246462A (ja) * 2002-02-02 2003-09-02 Itw Gema Ag 粉末袋からコーティング粉末を適量取り出す装置および方法
JP2005195049A (ja) * 2003-12-26 2005-07-2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粉体充填装置用締付具およびその締付具を備えた粉体充填装置
KR101586583B1 (ko) * 2014-09-11 2016-01-18 정명수 분체포장기의 분진비산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8458A (en) Closed system and container for dust free loading and unloading of powdered materials
US5348063A (en) Material handling system
CN1019182B (zh) 运输和储存液态或粉末状材料的容器装置
JPH0796991A (ja) 流動性物質の貯留装置と取扱方法
KR102244046B1 (ko)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
US2861714A (en) Shipping unit
US3199735A (en) Container
EP1656311B1 (en) Connection assembly for flexible containers
CN104093634B (zh) 用于无污染地排空至少部分柔性的容器的排空方法和排空装置
FI97043C (fi) Materiaalin, kuten nesteen, varastoimiseen metallitynnyreissä käytettävä laite
US10752455B2 (en) Bulk bag sealing system
CN216510384U (zh) 一种同时方便装卸和灌装物料的改进集装箱专用集装袋
CN205418612U (zh) 一种可回用防泄漏包装袋
KR102264279B1 (ko) 분체 배출장치
CN210392978U (zh) 一种胶囊式太空包袋口密封下料装置
GB2033868A (en) Opening and filling sacks
US6722402B2 (en) Apparatus for unloading bags containing bulk particulate materials
CN210883562U (zh) 一种吨包投料用压袋式卸料装置
EP0630839B1 (en) Sealing device
JP3646222B2 (ja) エーロゾル分与装置に有用なたわみ可能な障壁部材
CN208906939U (zh) 一种吨包装卸料夹袋装置
US7320344B2 (en) Device for compacting a flowable solid material
CN208617354U (zh) 一种铁路槽车装卸用鹤管的装卸连接管头
CN215045512U (zh) 一种防漏周转集装袋
GB780029A (en) Improvements i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llapsible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