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279B1 - 분체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279B1
KR102264279B1 KR1020200136063A KR20200136063A KR102264279B1 KR 102264279 B1 KR102264279 B1 KR 102264279B1 KR 1020200136063 A KR1020200136063 A KR 1020200136063A KR 20200136063 A KR20200136063 A KR 20200136063A KR 102264279 B1 KR102264279 B1 KR 102264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inflator
sack
couple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이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영 filed Critical 이주영
Priority to KR1020200136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8Controlling escape of air or dust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내피와 외피로 이루어진 포대의 입구를 투입하여 거치시키는 환형의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내피의 입구는 하부에 배치된 배출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외피의 입구는 외측 둘레로 분리시키는 스커트부;와, 상기 투입부와 스커트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외피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되고, 선택적으로 가압튜브의 팽창에 의해 외피의 입구를 스커트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외피의 입구를 스커트부의 외측 표면에 기밀하게 가압 고정하여 밀봉시키는 인플레이터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플레이터 고정부는 가압튜브의 팽창에 의해 포대의 외피를 스커트부의 외측에 밀착시킴으로써, 배출관으로 낙하되는 분체의 역류 비산을 차단하여 분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체 배출장치{A DISCHARGE DEVICE FOR A POWDER}
본 발명은 분체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체를 배출시킬 때 비산되는 분체는 외부 유출이 없도록 복합적으로 석션하고, 더불어 포대의 내피와 외피의 입구를 분리시켜 고정함으로써 분체를 배출시킬 때 외피를 거쳐 외부로 분체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분체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한 분말 형태의 분체는 유통 및 보관 등의 용이성을 위하여 규격에 따른 일정량의 포대에 충진되어 포장되며, 이러한 분체의 정량 포장은 대부분 자동화된 설비인 분체포장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통상의 분체포장기는 저장호퍼, 차단변 혹은 스크류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분체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는 오우거피더등의 분체배출수단, 분체를 수납하는 포대(Bag)를 고정하는 포대고정수단, 포대를 받치면서 유동 및 승하강시키기 위한 벨로우즈실린더 및 진동기를 포함하는 테이블설비, 포대에 담긴 분체의 중량을 계량하는 로드셀, 수납완료된 포대를 이송하는 포대이송컨베이어 및 분진포집설비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분체포장기를 통해 포대에 분체를 수용하여 포장하는 것을 살펴보면, 먼저 포대가 포대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이후 분체 배출수단를 통해 분체가 포대 내측으로 배출된다.
특히 분체 배출수단에 사용되는 포대는 통상 비닐 또는 종이를 이용하여 소정 형태로 가공하되, 어느 한면을 개방시켜 제품을 내부에 넣은 상태에서 개방된 한면을 폐쇄시켜 밀봉 포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밀가루나 시멘트 또는 화학성 분체 등은 알루미늄 호일 또는 비닐로 제작된 포대에 포장된 상태로 공급되는데 이러한 분체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분체가 비산하여 주위를 오염시키거나 의도치 않은 장소로 침투할 수도 있고, 분체가 위험한 화학약품일 경우에는 폭발 혹은 인명의 사상이 발생할 수 있어 취급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특허등록 제2135542호 "호퍼 결합형 분진 비산 방지장치"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기의 "호퍼 결합형 분진 비산 방지장치"는 분진을 흡입한다 하더라도 작업자에게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분체가 담긴 포대를 계속에서 흔들어줘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 저하이 저하되고, 또한 포대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포대의 입구가 손상될 우려가 있어 분체가 유출될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1355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분체를 배출시킬 때 비산되는 분체는 외부 유출이 없도록 복합적으로 석션하고, 더불어 포대의 내피와 외피의 입구를 분리시켜 고정함으로써 분체를 배출시킬 때 외피를 거쳐 외부로 비산되는 분체를 방지하여 작업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분체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포대의 몸체를 마사지하여 분체의 배출을 유도하는 한편, 인플레이터부의 가압튜브를 통해 외피 입구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손상된 부위로 분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석션후드가 결합된 케이스를 포대에서 비산된 분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분체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분체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내피와 외피로 이루어진 포대의 입구를 투입하여 거치시키는 환형의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내피의 입구는 하부에 배치된 배출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외피의 입구는 외측 둘레로 분리시키는 스커트부;와, 상기 투입부와 스커트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외피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되고, 선택적으로 가압튜브의 팽창에 의해 외피의 입구를 스커트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외피의 입구를 스커트부의 외측 표면에 기밀하게 가압 고정하여 밀봉시키는 인플레이터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플레이터 고정부는 가압튜브의 팽창에 의해 포대의 외피를 스커트부의 외측에 밀착시킴으로써, 배출관으로 낙하되는 분체의 역류 비산을 차단하여 분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투입부와 인플레이터 고정부가 설치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배출관이 축설된 분체저장호퍼가 하향 결합되는 테이블;과, 상기 투입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스커트부와 인플레이터 고정부를 감싸도록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 외각에 결합되어 비산되는 분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 모서리 4개소에 각각 결합되는 실린더를 매개로 시소 형태로 승강되어 상기 투입부에 삽입된 포대의 몸체를 마사지하여 내피에 저장된 분체를 배출을 유도하는 푸싱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손삽입구에 결합되어 투입부로 삽입된 포대의 내피와 외피를 분리시키는 한쌍의 글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는 내부로 비산된 분체를 석션하기 위한 석션후드가 더 결합되고, 상기 투입부는 포대의 입구를 삽입시켜 거치시킬 수 있도록 "링" 형태로 성형된 석션파이프와, 상기 석션파이프를 테이블에 지지시키는 지지대와, 상기 석션파이프의 내경에 다수 형성되어 비산되는 분진을 석션하고 더불어 포대의 외피를 석션에 의해 흡입 밀착시키는 다수의 석션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인플레이터 고정부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엑추에이터를 매개로 결합되어 승강되는 환형의 인플레이터부로 이루어져 수직프레임에 대해 인플레이터부가 승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인플레이터부는 엑추에이터의 가동자에 결합되는 승강브라켓과, 상기 승강브라켓에 고정되고 내경 방향으로 개방된 단면이 "
Figure 112020110982007-pat00001
"자 형태로 상/하면에 제1결합플랜지를 갖는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내경에서 외경 방향으로 삽입되어 제1결합플랜지의 상부면에 중첩되는 제2결합플랜지를 갖는 가압튜브와, 제2결합플랜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공기의 누설이 없도록 가압튜브를 인플레이터 하우징에 실링하는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는 결합피스를 통해 제2결합플랜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제1결합플랜지와 체결고정되어 실링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어느 한 지점에는 가압튜브를 팽창시킬 수 있는 에어커넥터가 더 연결되고, 상기 가압튜브는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면 팽창에 의해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포대의 외피를 손상없이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4발명에서, 상기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는 가압튜브의 제2결합플랜지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 사이즈로 선택하여 포대의 외피와 접촉을 피할 수 있도록 하여 인플레이터부가 승강할 때 포대의 외피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4발명에서, 상기 가압튜브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지고, 제2결합플랜지의 사이에 오목하게 만곡된 팽창부로 이루어진 단면이 "
Figure 112020110982007-pat00002
"의 형태로 성형되어 포대의 입구 삽입할 때 팽창부의 간섭을 피하면서, 공기 주입시 오목한 팽창부가 볼록하게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포대의 외피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스커트부는 원통형상이고, 승강될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에 수평결합되는 제1환테플레이트와, 상기 제1환테플레이트에 적어도 2개 이상 하향 결합되는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스커트부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며 상부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봉을 수직가이드하는 제2환테플레이트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케이스는 내부가 투영되는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후방 내벽면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미러가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가 포대의 외피와 내피를 분리시킬 때 시야 사각을 없앨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테이블은 포대의 입구를 개방할 때 분리된 포대 조각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하향 연결되는 배출호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배출장치에 따르면, 분체를 배출시킬 때 비산되는 분체는 투입부의 석션공과, 케이스에 결합된 석션후드로 석션하여 분체의 외부 유출이 복합적으로 차단하여 쾌적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대의 몸체를 자동으로 마사지하여 분체의 배출을 유도하는 한편, 인플레이터부의 가압튜브를 통해 외피 입구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손상된 부위로 분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대의 밀봉된 입구를 개방하는 과정과, 개방된 포대의 입구를 고정하는 과정과, 분체가 배출된 포대의 묶음 처리하는 과정을 케이스의 내부에서 작업할 수 있어 작업자가 분체와 접촉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인플레이터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인플레이터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인플레이터부의 가압튜브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1의 횡단면도,
도 7은 도 1에서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체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1에서 푸싱플레이트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배출장치의 주요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배출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배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인플레이터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인플레이터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인플레이터부의 가압튜브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서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체 배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서 푸싱플레이트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체를 배출시킬 때 비산되는 분체는 외부 유출이 없도록 복합적으로 석션하고, 더불어 포대의 내피와 외피의 입구를 분리시켜 고정함으로써 분체를 배출시킬 때 외피를 거쳐 외부로 분체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분체 배출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분체 배출장치(100)는 내피를 감싸는 외피의 입구를 내피와 분리시켜 고정함으로써 분체 낙하시 비산되는 분진이 외피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인플레이터부의 가압튜브를 통해 외피 입구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손상된 부위로 분체의 유출을 방지하고, 더불어 포대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체 배출장치(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투입부(10)와, 스커트부(20)와, 인플레이터 고정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부(10)는 포대(200)의 입구를 투입하여 거치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투입부(10)는 내피(210)와 외피(220)의 입구만을 삽입하여 포대(200)를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환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스커트부(20)는 상기 투입부(10)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내피(210)의 입구는 하부에 배치된 배출관(4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외피(220)의 입구는 외측 둘레로 분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스커트부(20)는 내피(210)의 입구를 배출관(41)의 내부로 삽입시킴으로써 분체의 역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내피(210)를 감싸는 외피(220)의 입구는 스커트부(20)의 외측 둘레로 분리시킴으로써 분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커트부(20)는 원통형상이고, 승강될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에 수평결합되는 제1환테플레이트(21)와, 상기 제1환테플레이트(21)에 적어도 2개 이상 하향 결합되는 가이드봉(22)을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배출관(41)은 상기 스커트부(20)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며 상부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봉(22)을 수직가이드하는 제2환테플레이트(411)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커트부(20)는 가이드봉(22)을 통해 배출관(41)을 지지삼아 승강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된 상기 스커트부(20)를 하강시켜 배출관(41)에 근접시키면 이격 간격을 없애 분체를 안정적으로 배출관(41)의 내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스커트부(20)가 하강함에 따라 분체가 배출된 포대(200)의 입구를 묶음처리하여 밀봉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플레이터 고정부(3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투입부(10)와 스커트부(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외피(220)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되고, 선택적으로 가압튜브(333)의 팽창에 의해 외피(220)의 입구를 스커트부(20) 방향으로 가압하여 외피(220)의 입구를 스커트부(20)의 외측 표면에 기밀하게 가압 고정하여 밀봉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인플레이터 고정부(30)는 가압튜브(333)의 팽창에 의해 포대(200)의 외피(220)를 스커트부(20)의 외측에 밀착시킴으로써, 배출관(41)으로 낙하되는 분체의 역류 비산을 차단하여 분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플레이터 고정부(30)는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수직프레임(31)과, 상기 수직프레임(31)에 엑추에이터(32)를 매개로 결합되어 승강되는 환형의 인플레이터부(33)로 이루어져 수직프레임(31)에 대해 인플레이터부(33)가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엑추에이터(32)는 상기 수직프레임(31)을 승하강 할 수 있도록 로드레스 실린더, 리니어모트 등과 같이 선형운동이 가능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인플레이터부(33)는 엑추에이터(32)의 가동자에 결합되는 승강브라켓(331)과, 상기 승강브라켓(331)에 고정되고 내경 방향으로 개방된 단면이 "
Figure 112020110982007-pat00003
"자 형태로 상/하면에 제1결합플랜지(332a)를 갖는 인플레이터 하우징(332)과,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332)의 내경에서 외경 방향으로 삽입되어 제1결합플랜지(332a)의 상부면에 중첩되는 제2결합플랜지(333a)를 갖는 가압튜브(333)와, 제2결합플랜지(333a)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공기의 누설이 없도록 가압튜브(333)를 인플레이터 하우징(332)에 실링하는 상부플랜지(334) 및 하부플랜지(335)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상부플랜지(334) 및 하부플랜지(335)는 결합피스를 통해 제2결합플랜지(333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332)의 제1결합플랜지(332a)와 체결고정되어 실링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332)의 어느 한 지점에는 가압튜브(333)를 팽창시킬 수 있는 에어커넥터(332b)가 더 연결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튜브(333)는 인플레이터 하우징(332)의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면 팽창에 의해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포대(200)의 외피(220)를 손상없이 가압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튜브(333)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지고, 제2결합플랜지(333a)의 사이에 오목하게 만곡된 팽창부(333b)로 이루어진 단면이 "
Figure 112020110982007-pat00004
"의 형태로 성형되어 포대(200)의 입구 삽입할 때 팽창부(333b)의 간섭을 피하면서, 공기 주입시 오목한 팽창부(333b)가 볼록하게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포대(200)의 외피를 가압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튜브(333)는 외경방향이 개방된 단면이 "
Figure 112020110982007-pat00005
"의 형태로 접합면이 없이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환형의 가압튜브를 성형할 때 접합면으로 인해 발생되는 들뜸 현상을 방지하여 분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상기 인플레이터부(33)는 인플레이터 하우징(332)과 가압튜브(333)가 상호 간 "
Figure 112020110982007-pat00006
" 의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에어커넥터(332b)를 통해 인플레이터 하우징(332)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오목한 팽창부(333b)는 볼록하게 내경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인플레이터부(33)는 공기가 공급되지 않으면 오목한 팽창부(333b)가 포대의 외피(220)와 비접촉되므로 팽창부(333b)의 간섭없이 승강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한편 상기 상부플랜지(334) 및 하부플랜지(335)는 가압튜브(333)의 제2결합플랜지(333a)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 사이즈로 선택하여 포대(200)의 외피와 접촉을 피할 수 있도록 하여 인플레이터부(33)가 승강할 때 포대(200)의 외피(220)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분체 배출장치(100)는 테이블(40)과, 케이스(50)와, 푸싱플레이트(60)와, 글러브(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이블(40)에는 투입부(10)와 인플레이터 고정부(30)가 설치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테이블(40)의 상부면과 및 배출관(41)의 둘레로 낙하되는 분체를 수거할 수 있도록 분체저장호퍼(43)가 하향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분체저장호퍼(43)에는 상기 배출관(41)이 축설되어 분체저장호퍼(43)와는 별개로 내피(210)에 저장된 분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테이블(40)은 포대(200)의 내피(210)를 개방할 때 분리된 내피(210) 조각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42)와 상기 배출구(42)에 하향 연결되는 배출호퍼(4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플레이터 고정부(30)의 승강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4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입부(10)는 포대(200)의 입구를 삽입시켜 거치시킬 수 있도록 "링" 형태로 성형된 석션파이프(11)와, 상기 석션파이프(11)를 테이블(40)에 지지시키는 지지대(12)와, 상기 석션파이프(11)의 내경에 다수 형성되어 비산되는 분진을 석션하고 더불어 포대(200)의 외피(220)를 석션에 의해 흡입 밀착시키는 다수의 석션공(1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0)는 투입부(10)를 노출시키고 상기 스커트부(20)와 인플레이터 고정부(30)를 감싸도록 상기 테이블(40)의 상부면 외각에 결합되어 비산된 분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50)의 양측면에는 내부로 비산된 분체를 석션하기 위한 석션후드(51)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50)는 내부가 투영될 수 있도록 투명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후방 내벽면에는 도 6과 같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미러(52)가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가 포대(200)의 외피(220)와 내피(210)를 분리시킬 때 시야 사각을 없앨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석션후드(51)와 석션파이프(11)와 분체저장호퍼(43)는 각각 석션관(80)이 연결되는데, 상기 각 석션관(80)은 상호 간 상통되어 단일 석션수단(미도시)에 의해 석션되어 별도로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석션수단을 가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44) 역시 케이스(5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푸싱플레이트(60)는 도 8과 같이, 상기 테이블(40)의 상부면 모서리 4개소에 각각 결합되는 실린더(61)를 매개로 시소 형태로 승강되어 상기 투입부(10)에 삽입된 포대(200)의 몸체를 마사지하여 내피에 저장된 분체를 배출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각 푸싱플레이트(60)는 타측은 상기 실린더(61)의 로드(611)에 힌지 결합되어 승강되고, 일측은 케이스(50) 또는 석션파이프(11)를 지지하는 지지대(12)에 힌지 결합되어 포대의 몸체를 둘레를 마사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글러브(70)는 상기 케이스(50)의 전면에 형성된 손삽입구(53)에 결합되어 투입부(10)로 삽입된 포대(200)의 내피(210)와 외피(220)를 분리시키거나 컨트롤러(44)를 수동으로 제어할 때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글러브(70)를 통해 분체의 직접적인 인체 접촉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배출장치의 주요부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배출장치의 주요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손삽입구(53)에 손을 넣어 글러브(70)를 착용하고 컨트롤러(44)를 조작하여 상기 인플레이터부(33)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부(20)는 배출관(41)과 밀착되게 하강시켜 초기셋팅을 완료한다.
이후 분체가 저장된 포대(200)의 입구를 투입부(10)에 삽입시킨다. 이 때 분체가 저장된 포대(200)는 직접 사람이 설치할 수 있고, 무게가 무거울 경우 별도의 크레인을 통해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포대(200)의 외피(220)와 내피(210) 입구는 밀봉된 상태이다.
동시에 사용자는 투입부(10)에 투입된 포대(200)의 입구를 인플레이터부(33)의 중앙으로 관통시킨 후, 내피와 외피를 개봉한다.
그리고 도 9의 (a)와 같이, 내피(210)의 입구는 배출관(41)에 삽입하고, 외피(220)의 입구는 스커트부(20)의 둘레에 위치되게 분리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9의 (b)와 같이, 사용자는 컨트롤러(44)를 통해 인플레이터부(33)를 스커트부(20)까지 하강시킨다.
그리고 도 10의 (c)와 같이, 에어커넥터(332b)를 통해 인플레이터부(33)의 가압튜브(333)를 팽창시켜 외피(220)의 입구를 스커트부(20)의 외측 표면에 기밀하게 가압 고정하여 비산되는 분체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 후 사용자는 컨트롤러(44)를 통해 푸싱플레이트(6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각 푸싱플레이트(60)는 포대(200)의 몸체를 마사지하여 내피에 저장된 분체를 유동되게 함으로써 분체의 배출을 유도한다.
동시에 사용자는 석션수단(미도시)을 작동시켜 석션관(80)과 연결된 석션후드(51)와 분체저장호퍼(43)와, 석션파이프(11)를 통해 케이스(50) 내부에 비산된 분체와, 분체저장호퍼(43)에 낙하된 분체 및 투입부(10)를 통해 상부로 비산되는 분체를 복합적으로 석션하여 분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배출관(41)의 단부에는 분체를 처리시설로 반출하기 위한 분체배출라인(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분체의 배출이 끝나면 도 10의 (d)와 같이, 인플레이터부(33)를 상승시킨다.
이 때 인플레이터부(33)의 가압튜브(333)는 팽창된 상태이므로 포대(200)의 외피(220) 및 내피(210)와 더불어 스커트부(20)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내피(210)에 저장된 잔여 분체를 흔들어 배출관(41)으로 배출시킨다.
도 10의 (e)와 같이, 잔여 분체의 배출이 완료되면 인플레이터부(33)를 하강시켜 스커트부(20)를 배출관(41)까지 하강시킨다.
그리고 인플레이터부(33)가 하강함에 따라 투입부(10)와 인플레이터부(33) 간에 확보된 공간을 통해 포대(200)의 입구를 묶음처리한다.
그리고 도 11의 (f)와 같이, 인플레이터부(33)의 가압튜브(333)의 공기를 배기시켜 가압튜브(333)를 오목하게 수축킨다.
마지막으로 도 11의 (g)와 같이, 인플레이터부(33)를 개별적으로 상승시켜 초기 위치로 이동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투입부 11: 석션파이프 111: 석션공
12: 지지대
20: 스커트부 21: 제1환테플레이트 22: 가이드봉
30: 인플레이터 고정부 31: 수직프레임 32: 엑추에이터
33: 인플레이터부 331: 승강브라켓
332: 인플레이터 하우징 332a: 제1결합플랜지
332b: 에어커넥터 333: 가압튜브
333a: 제2결합플랜지 333b: 팽창부
334: 상부플랜지 335: 하부플랜지
40: 테이블 41: 배출관 411: 제2환테플레이트
42: 배출구 421: 배출호퍼
43: 분체저장호퍼 44: 컨트롤러
50: 케이스 51: 석션후드 52: 미러
53: 손삽입구
60: 푸싱플레이트 61: 실린더 611: 로드
70: 글러브
80: 석션관
100: 분체 배출장치
200: 포대 210: 내피 220: 외피

Claims (9)

  1. 내피(210)와 외피(220)로 이루어진 포대(200)의 입구를 투입하여 거치시키는 환형의 투입부(10);
    상기 투입부(10)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내피(210)의 입구는 하부에 배치된 배출관(4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외피(220)의 입구는 외측 둘레로 분리시키는 스커트부(20);
    상기 투입부(10)와 스커트부(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외피(220)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되고, 선택적으로 가압튜브(333)의 팽창에 의해 외피(220)의 입구를 스커트부(20) 방향으로 가압하여 외피(220)의 입구를 스커트부(20)의 외측 표면에 기밀하게 가압 고정하여 밀봉시키는 인플레이터 고정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플레이터 고정부(30)는 가압튜브(333)의 팽창에 의해 포대(200)의 외피(220)를 스커트부(20)의 외측에 밀착시킴으로써, 배출관(41)으로 낙하되는 분체의 역류 비산을 차단하여 분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투입부(10)와 인플레이터 고정부(30)가 설치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배출관(41)이 축설된 분체저장호퍼(43)가 하향 결합되는 테이블(40);
    상기 투입부(10)를 노출시키고 상기 스커트부(20)와 인플레이터 고정부(30)를 감싸도록 상기 테이블(40)의 상부면 외각에 결합되어 비산되는 분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케이스(50);
    상기 테이블(40)의 상부면 모서리 4개소에 각각 결합되는 실린더(61)를 매개로 시소 형태로 승강되어 상기 투입부(10)에 삽입된 포대(200)의 몸체를 마사지하여 내피(210)에 저장된 분체를 배출을 유도하는 푸싱플레이트(60);
    상기 케이스(50)의 전면에 형성된 손삽입구(53)에 결합되어 투입부(10)로 삽입된 포대(200)의 내피(210)와 외피(220)를 분리시키는 한쌍의 글러브(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커트부(20)는 원통형상이고, 승강될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에 수평결합되는 제1환테플레이트(21)와, 상기 제1환테플레이트(21)에 적어도 2개 이상 하향 결합되는 가이드봉(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41)은 상기 스커트부(20)의 하부에 이격 설치되며 상부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봉(22)을 수직가이드하는 제2환테플레이트(411)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푸싱플레이트(60)는 타측은 상기 실린더(61)의 로드(611)에 힌지 결합되어 승강되고, 일측은 케이스(50) 또는 석션파이프(11)를 지지하는 지지대(12)에 힌지 결합되어 포대의 몸체의 둘레를 마사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배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의 양측면에는 내부로 비산된 분체를 석션하기 위한 석션후드(51)가 더 결합되고,
    상기 투입부(10)는 포대(200)의 입구를 삽입시켜 거치시킬 수 있도록 "링" 형태로 성형된 상기 석션파이프(11)와, 상기 석션파이프(11)를 테이블(40)에 지지시키는 지지대(12)와 , 상기 석션파이프(11)의 내경에 다수 형성되어 비산되는 분진을 석션하고 더불어 포대(200)의 외피(220)를 석션에 의해 흡입 밀착시키는 다수의 석션공(11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고정부(30)는 수직프레임(31)과, 상기 수직프레임(31)에 엑추에이터(32)를 매개로 결합되어 승강되는 환형의 인플레이터부(33)로 이루어져 수직프레임(31)에 대해 인플레이터부(33)가 승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인플레이터부(33)는 엑추에이터(32)의 가동자에 결합되는 승강브라켓(331)과, 상기 승강브라켓(331)에 고정되고 내경 방향으로 개방된 단면이 "
    Figure 112020110982007-pat00007
    "자 형태로 상/하면에 제1결합플랜지(332a)를 갖는 인플레이터 하우징(332)과,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332)의 내경에서 외경 방향으로 삽입되어 제1결합플랜지(332a)의 상부면에 중첩되는 제2결합플랜지(333a)를 갖는 가압튜브(333)와, 제2결합플랜지(333a)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공기의 누설이 없도록 가압튜브(333)를 인플레이터 하우징(332)에 실링하는 상부플랜지(334) 및 하부플랜지(335)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플랜지(334) 및 하부플랜지(335)는 결합피스를 통해 제2결합플랜지(333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332)의 제1결합플랜지(332a)와 체결고정되어 실링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332)의 어느 한 지점에는 가압튜브(333)를 팽창시킬 수 있는 에어커넥터(332b)가 더 연결되고,
    상기 가압튜브(333)는 인플레이터 하우징(332)의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면 팽창에 의해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포대(200)의 외피(220)를 손상없이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배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334) 및 하부플랜지(335)는 가압튜브(333)의 제2결합플랜지(333a)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 사이즈로 선택하여 포대(200)의 외피와 접촉을 피할 수 있도록 하여 인플레이터부(33)가 승강할 때 포대(200)의 외피(220)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배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튜브(333)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지고, 제2결합플랜지(333a)의 사이에 오목하게 만곡된 팽창부(333b)로 이루어진 단면이 "
    Figure 112020110982007-pat00008
    "의 형태로 성형되어 포대(200)의 입구 삽입할 때 팽창부(333b)의 간섭을 피하면서, 공기 주입시 오목한 팽창부(333b)가 볼록하게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포대(200)의 외피를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배출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는 내부가 투영되는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후방 내벽면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미러(52)가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가 포대(200)의 외피(220)와 내피(210)를 분리시킬 때 시야 사각을 없앨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배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40)은 포대(200)의 입구를 개방할 때 분리된 포대 조각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42)와 상기 배출구(42)에 하향 연결되는 배출호퍼(4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배출장치.
KR1020200136063A 2020-10-20 2020-10-20 분체 배출장치 KR102264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063A KR102264279B1 (ko) 2020-10-20 2020-10-20 분체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063A KR102264279B1 (ko) 2020-10-20 2020-10-20 분체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279B1 true KR102264279B1 (ko) 2021-06-14

Family

ID=7641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063A KR102264279B1 (ko) 2020-10-20 2020-10-20 분체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2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6818A (ja) * 1999-04-13 2000-10-24 Tsukishima Kikai Co Ltd 粉粒状物質の排出装置
JP2005195049A (ja) * 2003-12-26 2005-07-2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粉体充填装置用締付具およびその締付具を備えた粉体充填装置
JP2009292530A (ja) * 2008-06-09 2009-12-17 Toyo Eng Corp 内袋を備えた容器からの粉体供給方法、および粉体供給装置
CN205739564U (zh) * 2016-06-23 2016-11-30 天津天世农农牧科技有限公司 配料仓
KR102135542B1 (ko) 2020-02-25 2020-07-17 백성훈 호퍼 결합형 분진 비산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6818A (ja) * 1999-04-13 2000-10-24 Tsukishima Kikai Co Ltd 粉粒状物質の排出装置
JP2005195049A (ja) * 2003-12-26 2005-07-2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粉体充填装置用締付具およびその締付具を備えた粉体充填装置
JP2009292530A (ja) * 2008-06-09 2009-12-17 Toyo Eng Corp 内袋を備えた容器からの粉体供給方法、および粉体供給装置
CN205739564U (zh) * 2016-06-23 2016-11-30 天津天世农农牧科技有限公司 配料仓
KR102135542B1 (ko) 2020-02-25 2020-07-17 백성훈 호퍼 결합형 분진 비산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505589A (ja) 材料取扱いシステム
US5490546A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roducts flowing out under gravity
CA12110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ackaging of contaminated waste materials
US20010027822A1 (en) Material discharge apparatus
EP0034025A1 (en) Emptiable container for bulk material and having a follower for the material
KR20200022548A (ko) 물질의 처리장치, 및 폐기물 용기/분리 장치
JPH03275422A (ja) 真空包装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袋
JPH05270521A (ja) 有害媒体の充填装置
JP4080875B2 (ja) 樽を空に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H0796991A (ja) 流動性物質の貯留装置と取扱方法
US20110258967A1 (en) Product and process for packaging a powder
US36058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ITBO20060246A1 (it) Apparato e metodo per alimentare con un prodotto una macchina confezionatrice.
KR102264279B1 (ko) 분체 배출장치
US6254330B1 (en) Drum charging system
AU6844698A (en) Transfer station
JPH10500925A (ja) 危険な流動性物質、或いは流体物質の充填装置
US857326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amination-free transport of pourable bulk product
US10752455B2 (en) Bulk bag sealing system
US20170247204A1 (en) Material transfer station
MXPA06004009A (es) Metodo y arreglo para vaciar bolsas grandes.
EP0709291A2 (en) Filling head
KR102244046B1 (ko) 분체 공급용 고정장치
US7607819B2 (en) Disposable coupling and liner for containers
CN211108410U (zh) 手动密封开袋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