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178B1 -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0178B1 KR102240178B1 KR1020200160277A KR20200160277A KR102240178B1 KR 102240178 B1 KR102240178 B1 KR 102240178B1 KR 1020200160277 A KR1020200160277 A KR 1020200160277A KR 20200160277 A KR20200160277 A KR 20200160277A KR 102240178 B1 KR102240178 B1 KR 1022401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ttom plate
- inclined surface
- resin molded
- burr
- stri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2—Deburring or deflash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09—Cutting ou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9—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after sha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문과,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구비되고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투입되며 바닥판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의 회전에 의해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를 회전시키는 회전통과, 상기 바닥판과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내부공간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통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통의 회전 시 발생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흡입기와, 상기 회전통과 연결되되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상기 바닥판과 이어지도록 연결되어 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상기 바닥판에서 외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지재 성형물로부터 버(burr)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지재 성형물은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되어 산업 소재로 사용되며, 예컨대 롤러 소재, 패킹 소재, 신발 소재, 타이어 소재 및 부싱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신축성을 가지는 수지재 성형물은 성형 조건상 버(burr) 부분이 발생되며, 버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버 제거작업은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하여 칼 내지 연마기로 버 부분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버 제거작업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게 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제품 품질의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수지재 성형물을 회전 및 급냉하고 연마제를 분사하여 자동으로 버 부분을 제거하는 장치도 일부 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버 제거장치는 수지재 성형물을 급냉함으로 인해 수지재 성형물의 탄성력이 저하된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충격에 의한 제품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급냉을 위한 냉각원료 및 냉각구조가 고가이고, 한번 사용된 냉각원료는 실질적으로 재사용이 어려우므로 경제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재 성형물로부터 버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유지관리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문과,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구비되고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투입되며 바닥판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의 회전에 의해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를 회전시키는 회전통과, 상기 바닥판과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내부공간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통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통의 회전 시 발생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흡입기와, 상기 회전통과 연결되되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상기 바닥판과 이어지도록 연결되어 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상기 바닥판에서 외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통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테이블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타단에 구비되되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돌출되는 형태로 바닥판의 중심방향으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의 회전력으로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를 타격하는 제1타격돌기와, 상기 몸체에 돌출되는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에 의해 회전하는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타격받는 제2타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통은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투입구와, 상기 몸체와 상기 투입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타격시 발생하는 잔해물을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구멍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측면커버와, 상기 투입구의 내측 일단에 구비되어 닫힌 상태의 상기 상부커버의 상면에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투입구의 내측 타단에 구비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구비하는 센서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타격돌기는 상면이 개방된 3차원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과 맞대어지는 타격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판은 상기 바닥판의 회전방향으로 일정 각도의 오르막이 형성되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보다 높은 각도의 오르막이 형성되는 제2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보다 높은 각도의 오르막이 형성되는 제3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타격장치는 평상시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통해 일정길이 노출되고 상기 제1경사면과 맞대어지는 제4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바닥판이 회전할 시 상기 제1경사면을 타고 올라 노출 길이가 늘어나는 제1타격 바와, 제2경사면과 맞대어지는 제5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바닥판이 회전할 시 상기 제2경사면을 타고 올라 노출 길이가 늘어나는 제2타격 바와, 제3경사면과 맞대어지는 제6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바닥판이 회전할 시 상기 제3경사면을 타고 올라 노출 길이가 늘어난 제3타격 바를 구비하고, 상기 제1타격 바 내지 상기 제3타격 바의 외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돌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 테두리 내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중심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바닥판이 회전할 시 상기 연장돌기와 맞대어져 상기 제1타격 바 내지 상기 제3타격 바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이 구비되고, 상기 방지턱에는 노출된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어 상기 방지턱과 상기 타격장치 사이에 잔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림막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통에는 상기 제2타격돌기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잔해물을 제거하는 제거장치가 구비되고, 제거장치는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측면을 두르는 형태로 구비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가 미회전할 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제2타격돌기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이 회전할 시 상기 슬라이더가 내장되는 스테이션과,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잔해물과 접촉되어 잔해물을 긁어내는 스크레퍼와,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 타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냉기를 분사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온도를 낮추는 다수의 분사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에 의하면, 수지재 성형물로부터 버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유지관리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타격돌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타격돌기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에 제거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타격돌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타격돌기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에 제거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10)는 테이블(11), 개폐문(12), 회전통(100), 구동장치(13), 흡입기(14) 및 배출구(15)를 구비할 수 있다.
테이블(11)은 3차원 형상의 직사각형태로 제작되어 내부공간(11a)을 구비하고, 일면이 개방되어 개방된 일면을 통해 회전통(100), 구동장치(13), 흡입기(14) 및 배출구(15)가 테이블(11)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문(12)은 테이블(11)의 개방된 일면에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내부공간(11a)을 개방함으로써 회전통(100), 구동장치(13), 흡입기(14) 및 배출구(15)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내부공간(11a)을 폐쇄함으로써 작업시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거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통(100)은 내부공간(11a)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투입된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에 회전력을 가함과 동시에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를 타격하여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통(100)의 자세한 내용은 추후에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장치(13)는 회전통(100)과 연결되어 회전통(100)에 구동력을 공급함으로써 회전통(100)이 내부에 투입된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에 회전력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흡입기(14)는 내부공간(11a)의 타측에 구비되고 회전통(100)과 연결되어 회전통(100)이 회전함과 동시에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를 타격할 시 발생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역할을 하여 잔해물이 수지재 성형물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완료 후 잔해물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배출구(15)는 회전통(100)과 연결되어 회전통(100)에 의해 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를 회전통(100)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되도록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10)의 회전통(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10)는 회전통(100)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통(100)은 몸체(110), 바닥판(120), 제1타격돌기(130) 및 제2타격돌기(140)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110)는 원기둥의 옆면에 해당하는 것으로써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단이 테이블(11)에 고정되고 타단이 내부공간(11a)에 위치할 수 있다.
바닥판(120)은 몸체(110)의 타단에 구비되고 구동장치(13)와 연결되어 구동장치(13)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판(120)은 배출구(15)가 연결되는 방향으로 내리막이 형성되도록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배출구(15)와 이어짐으로써 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배출구(15)를 통해 바닥판(120)에서 외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제1타격돌기(130)는 바닥판(120)에 돌출되는 형태로 바닥판(120)의 중심방향으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한 쌍으로 구비되어 바닥판(120)이 구동장치(13)에 의해 회전할 시 바닥판(120)의 회전력으로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를 타격할 수 있다.
제2타격돌기(140)는 몸체(110)에 돌출되는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한 쌍으로 구비되어 바닥판(120)에 의해 회전하는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타격받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에는 제1타격돌기(130)와 제2타격돌기(140)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고, 이 충격에 의해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분리될 수 있다.
한편, 회전통(100)은 투입구(150), 상부커버(160), 배출구멍(170), 측면커버(180) 및 센서장치(1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투입구(150)는 몸체(110)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테이블(11)의 상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회전통(10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상부커버(160)는 몸체(110)와 투입구(150) 사이에 구비되어 몸체(110)의 내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여 작업시 즉, 바닥판(120)이 회전할 시에는 몸체(110)의 내부를 폐쇄하여 몸체(110)의 내부에 이물질이나 작업자의 손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잔해물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 전 또는 작업 후에는 몸체(110)의 내부를 개방하여 작업이 필요한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를 투입하거나 몸체(110)의 내부를 유지관리할 수 있다.
배출구멍(170)은 흡입기(14)의 일단과 이어지도록 몸체(110)의 일측에 다수가 형성되어 타격시 발생하는 잔해물이 흡입기(14)로 용이하게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측면커버(180)는 배출구(15)의 일단과 이어지도록 몸체(110)의 타측에 형성되어 바닥판(120)이 회전할 시에는 몸체(110)의 내부를 폐쇄하여 몸체(110)의 내부에 이물질이나 작업자의 손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잔해물이 배출구(15)를 통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 후에는 몸체(110)의 내부를 개방하여 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배출구(15)를 통해 외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센서장치(190)는 투입구(150)의 내측 일단에 구비되는 제1센서(191)와 투입구(150)의 내측 타단에 구비되는 제2센서(19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센서(191)는 상부커버(160)가 몸체(110)의 내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부커버(160)의 상면에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작업중인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의 작업이 완료될 시 상부커버(160)가 몸체(110)의 내부를 개방하도록 하여 상부커버(160)의 상면에 위치한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투입구(150)를 통해 몸체(110)의 내부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제2센서(192)는 인체를 감지하는 센서로써 상부커버(160)가 몸체(110)의 내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인체가 감지되었을 시 상부커버(160)가 몸체(110)의 내부를 폐쇄하지 못하도록 하여 손 끼임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타격돌기(13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타격돌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타격돌기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10)의 회전통(100)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단이 테이블(11)에 고정되고 타단이 내부공간(11a)에 위치하는 몸체(110), 몸체(110)의 타단에 구비되되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하는 바닥판(120), 바닥판(120)에 돌출되는 형태로 바닥판(120)의 중심방향으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한 쌍으로 구비되어 바닥판(120)의 회전력으로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를 타격하는 제1타격돌기(130) 및 몸체(110)에 돌출되는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한 쌍으로 구비되어 바닥판(120)에 의해 회전하는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타격받는 제2타격돌기(14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타격돌기(130)는 케이스(131), 경사판(132), 타격장치(133), 연장돌기(134), 방지턱(135) 및 가림막(136)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31)는 바닥판(120)에 일정길이 매립되어 구비되고 상면이 개방된 3차원 형상의 직사각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경사판(132)은 케이스(131)의 내부에 위치하며, 회전통(100)의 회전방향으로 일정 각도의 오르막이 형성되는 제1경사면(132a), 제1경사면(132a)보다 높은 각도의 오르막이 형성되는 제2경사면(132b) 및 제2경사면(132b)보다 높은 각도의 오르막이 형성되는 제3경사면(132c)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경사판(132)이 제1경사면(132a) 내지 제3경사면(132c)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사판(132)은 이보다 적거나 많은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타격장치(133)는 경사판(132)의 제1경사면(132a) 내지 제3경사면(132c)과 일면이 맞대어지도록 다수가 구비되며, 제1타격 바(1331), 제2타격 바(1332) 및 제3타격 바(13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타격 바(1331)는 제1경사면(132a)과 맞대어지는 제4경사면(133a)을 구비하고, 평상시에는 제1경사면(132a)과 제4경사면(133a)이 완전히 맞대어진 상태에서 제1타격 바(1331)가 케이스(131)의 상면을 통해 일정길이 노출된 상태가 되고, 바닥판(120)이 회전할 시에는 회전력에 의해 제4경사면(133a)이 제1경사면(132a)을 타고 올라 케이스(131)의 상면을 통해 노출되는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제2타격 바(1332)는 제2경사면(132b)과 맞대어지는 제5경사면(133b)을 구비하고, 평상시에는 제2경사면(132b)과 제5경사면(133b)이 완전히 맞대어진 상태에서 제2타격 바(1332)가 케이스(131)의 상면을 통해 일정길이 노출된 상태가 되고, 바닥판(120)이 회전할 시에는 회전력에 의해 제5경사면(133b)이 제2경사면(132b)을 타고 올라 케이스(131)의 상면을 통해 노출되는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제3타격 바(1333)는 제3경사면(132c)과 맞대어지는 제6경사면(133c)을 구비하고, 평상시에는 제3경사면(132c)과 제6경사면(133c)이 완전히 맞대어진 상태에서 제3타격 바(1333)가 케이스(131)의 상면을 통해 일정길이 노출된 상태가 되고, 바닥판(120)이 회전할 시에는 회전력에 의해 제6경사면(133c)이 제3경사면(132c)을 타고 올라 케이스(131)의 상면을 통해 노출되는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여기서, 제1경사면(132a) 내지 제3경사면(132c)의 각도가 서로 다르므로 바닥판(120)이 회전하여 제4경사면(133a) 내지 제6경사면(133c)이 각각 제1경사면(132a) 내지 제3경사면(132c)을 타고 오를 시 제1타격 바(1331) 내지 제3타격 바(1333)의 노출 길이도 서로 다르게 되어 제1타격돌기(130)가 다단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10)의 내부에서 불규칙적으로 움직이는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를 타격할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더욱 효율적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연장돌기(134)는 제1타격 바(1331) 내지 제3타격 바(1333)의 외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방지턱(135)은 케이스(131)의 상면 테두리 내측에 케이스(131)의 중심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형태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지턱(135)은 바닥판(120)이 회전하여 제1타격 바(1331) 내지 제3타격 바(1333)의 제4경사면(133a) 내지 제6경사면(133c)이 각각 제1경사면(132a) 내지 제3경사면(132c)을 타고 오를 시 제1타격 바(1331) 내지 제3타격 바(1333)에 각각 구비된 연장돌기(134)와 맞대어져 제1타격 바(1331) 내지 제3타격 바(1333)가 케이스(1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림막(136)은 방지턱(135)의 하단에 고정되고 제1타격 바(1331) 내지 제3타격 바(1333)와 연결되어 노출된 케이스(131)의 상면을 덮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지턱(135)과 타격장치(133) 사이에 공간이 폐쇄되어 방지턱(135)과 타격장치(133) 사이로 잔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잔해물에 의해 제1타격돌기(13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10)에 구비되는 제거장치(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에 제거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10)의 회전통(100)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단이 테이블(11)에 고정되고 타단이 내부공간(11a)에 위치하는 몸체(110), 몸체(110)의 타단에 구비되되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하는 바닥판(120), 바닥판(120)에 돌출되는 형태로 바닥판(120)의 중심방향으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한 쌍으로 구비되어 바닥판(120)의 회전력으로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를 타격하는 제1타격돌기(130) 및 몸체(110)에 돌출되는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한 쌍으로 구비되어 바닥판(120)에 의해 회전하는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타격받는 제2타격돌기(14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통(100)에는 제2타격돌기(140)의 상단에 위치하여 회전통(100)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잔해물을 제거하는 제거장치(2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거장치(200)는 레일(210), 슬라이더(220), 스테이션(230), 스크레퍼(240) 및 분사기(250)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일(210)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몸체(110)의 내측면을 두르는 형태로 구비되며, 몸체(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불규칙적으로 움직이는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타격받을 수 있다.
슬라이더(22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레일(210)에 연결되어 바닥판(120)이 회전하지 않을 시 레일(210)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스테이션(230)은 제2타격돌기(140)의 상단에 구비되며 바닥판(120)이 회전할 시 슬라이더(220)를 고정하여 불규칙적으로 움직이는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스크레퍼(240)는 슬라이더(220)의 길이방향 일면에 구비되며, 말단이 몸체(110)의 내측면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몸체(110)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잔해물과 접촉됨으로써 몸체(110)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잔해물을 긁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분사기(250)는 슬라이더(220)의 길이방향 타면에 다수가 구비되며, 몸체(110)의 내측면에 냉기를 분사하여 몸체(110)의 내부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110)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잔해물을 제거하고 내부온도를 낮춤으로써 유지관리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
11: 테이블 11a: 내부공간
12: 개폐문 13: 구동장치
14: 흡입기 15: 배출구
100: 회전통 110: 몸체
120: 바닥판 130: 제1타격돌기
131: 케이스 132: 경사판
132a: 제1경사면 132b: 제2경사면
132c: 제3경사면 133: 타격장치
1331: 제1타격 바 1332: 제2타격 바
1333: 제3타격 바 133a: 제4경사면
133b: 제5경사면 133c: 제6경사면
134: 연장돌기 135: 방지턱
136: 가림막 140: 제2타격돌기
150: 투입구 160: 상부커버
170: 배출구멍 180: 측면커버
190: 센서장치 191: 제1센서
192: 제2센서 200: 제거장치
210: 레일 220: 슬라이더
230: 스테이션 240: 스크레퍼
250: 분사기
11: 테이블 11a: 내부공간
12: 개폐문 13: 구동장치
14: 흡입기 15: 배출구
100: 회전통 110: 몸체
120: 바닥판 130: 제1타격돌기
131: 케이스 132: 경사판
132a: 제1경사면 132b: 제2경사면
132c: 제3경사면 133: 타격장치
1331: 제1타격 바 1332: 제2타격 바
1333: 제3타격 바 133a: 제4경사면
133b: 제5경사면 133c: 제6경사면
134: 연장돌기 135: 방지턱
136: 가림막 140: 제2타격돌기
150: 투입구 160: 상부커버
170: 배출구멍 180: 측면커버
190: 센서장치 191: 제1센서
192: 제2센서 200: 제거장치
210: 레일 220: 슬라이더
230: 스테이션 240: 스크레퍼
250: 분사기
Claims (5)
-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문과,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구비되고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투입되며 바닥판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의 회전에 의해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를 회전시키는 회전통과,
상기 바닥판과 연결되어 상기 바닥판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내부공간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통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통의 회전 시 발생하는 잔해물을 흡입하는 흡입기와,
상기 회전통과 연결되되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의 상기 바닥판과 이어지도록 연결되어 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상기 바닥판에서 외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통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단이 상기 테이블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타단에 구비되되 일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돌출되는 형태로 바닥판의 중심방향으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의 회전력으로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를 타격하는 제1타격돌기와, 상기 몸체에 돌출되는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에 의해 회전하는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가 타격받는 제2타격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은 상기 몸체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투입구와,
상기 몸체와 상기 투입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를 개폐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타격시 발생하는 잔해물을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구멍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측면커버와,
상기 투입구의 내측 일단에 구비되어 닫힌 상태의 상기 상부커버의 상면에 미분리된 수지재 성형물과 버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투입구의 내측 타단에 구비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구비하는 센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격돌기는 상면이 개방된 3차원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과 맞대어지는 타격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판은 상기 바닥판의 회전방향으로 일정 각도의 오르막이 형성되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보다 높은 각도의 오르막이 형성되는 제2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보다 높은 각도의 오르막이 형성되는 제3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타격장치는 평상시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통해 일정길이 노출되고 상기 제1경사면과 맞대어지는 제4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바닥판이 회전할 시 상기 제1경사면을 타고 올라 노출 길이가 늘어나는 제1타격 바와, 제2경사면과 맞대어지는 제5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바닥판이 회전할 시 상기 제2경사면을 타고 올라 노출 길이가 늘어나는 제2타격 바와, 제3경사면과 맞대어지는 제6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바닥판이 회전할 시 상기 제3경사면을 타고 올라 노출 길이가 늘어난 제3타격 바를 구비하고,
상기 제1타격 바 내지 상기 제3타격 바의 외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돌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 테두리 내측에는 상기 케이스의 중심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바닥판이 회전할 시 상기 연장돌기와 맞대어져 상기 제1타격 바 내지 상기 제3타격 바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이 구비되고,
상기 방지턱에는 노출된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덮어 상기 방지턱과 상기 타격장치 사이에 잔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림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에는 상기 제2타격돌기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잔해물을 제거하는 제거장치가 구비되고,
제거장치는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측면을 두르는 형태로 구비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가 미회전할 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제2타격돌기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이 회전할 시 상기 슬라이더가 내장되는 스테이션과,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잔해물과 접촉되어 잔해물을 긁어내는 스크레퍼와,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 타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냉기를 분사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온도를 낮추는 다수의 분사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0277A KR102240178B1 (ko) | 2020-11-25 | 2020-11-25 |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0277A KR102240178B1 (ko) | 2020-11-25 | 2020-11-25 |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0178B1 true KR102240178B1 (ko) | 2021-04-13 |
Family
ID=7548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0277A KR102240178B1 (ko) | 2020-11-25 | 2020-11-25 |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017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99314A (ja) * | 1994-09-30 | 1996-04-1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タブレットのバリ取り装置 |
JP2003127147A (ja) * | 2001-10-24 | 2003-05-08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タブレットのバリ取り装置 |
KR100967432B1 (ko) | 2008-03-21 | 2010-07-01 | 주식회사 월드브라스트 | 고무사출품의 냉각 및 버 제거 장치 |
KR100976235B1 (ko) * | 2008-06-27 | 2010-08-17 |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 버 커팅장치 |
KR20140112005A (ko) * | 2012-01-12 | 2014-09-22 |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전자 부품의 코어 부재의 버(burr) 제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
2020
- 2020-11-25 KR KR1020200160277A patent/KR102240178B1/ko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99314A (ja) * | 1994-09-30 | 1996-04-1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タブレットのバリ取り装置 |
JP2003127147A (ja) * | 2001-10-24 | 2003-05-08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タブレットのバリ取り装置 |
KR100967432B1 (ko) | 2008-03-21 | 2010-07-01 | 주식회사 월드브라스트 | 고무사출품의 냉각 및 버 제거 장치 |
KR100976235B1 (ko) * | 2008-06-27 | 2010-08-17 |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 버 커팅장치 |
KR20140112005A (ko) * | 2012-01-12 | 2014-09-22 |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전자 부품의 코어 부재의 버(burr) 제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0647B1 (ko) | 콘크리트 도로 보수용 다줄 커팅 장치 | |
JP4084921B2 (ja) | ブローチ盤の切屑除去装置 | |
KR102240178B1 (ko) | 수지재 성형물 분리장치 | |
WO2012165713A1 (ko) | 주스기 | |
KR101529051B1 (ko) | 초경인서트 청소장치 | |
KR101353322B1 (ko) | 탄두의 탄대부 제청기와 분진흡수장치 | |
CN111451945B (zh) | 一种可调整式叶轮喷击仓室 | |
JP2010274354A (ja) | 湿式ブラスト洗浄装置および方法 | |
CN104924221A (zh) | 一种抛丸设备 | |
JP4971606B2 (ja) | バケット式昇降機 | |
KR101470283B1 (ko) | 갠트리 타입의 에어 분사 및 흡입 혼합형 세척장치 | |
KR101096565B1 (ko) | 석재의 표면가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
JP2004352472A (ja) | 穀類等用のバケットコンベア装置 | |
CN112091318B (zh) | 一种铝合金切割配套保护设备 | |
KR200155894Y1 (ko) | 스케일 비산 방지장치 | |
CN210678360U (zh) | 一种电视机三边框表面处理自动抛丸机 | |
US20020092897A1 (en) | Automatic dross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 |
KR200433116Y1 (ko) | 룸 타입 직압식 샌드 브라스트머신의 투사재 회수장치 | |
CN220051404U (zh) | 一种履带式抛丸机 | |
KR100330281B1 (ko) | 도로경계턱의 성형보수장치 | |
KR101662637B1 (ko) |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 |
CN217801135U (zh) | 一种抛丸机用具有漏料回收功能的降尘防护装置 | |
KR102333787B1 (ko) | 주조용 목형 성형장치 | |
KR20200036547A (ko) | 날개형 다공성 필터의 분진 제거장치 | |
KR100790013B1 (ko) | 이물질 제거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