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637B1 -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637B1
KR101662637B1 KR1020140179600A KR20140179600A KR101662637B1 KR 101662637 B1 KR101662637 B1 KR 101662637B1 KR 1020140179600 A KR1020140179600 A KR 1020140179600A KR 20140179600 A KR20140179600 A KR 20140179600A KR 101662637 B1 KR101662637 B1 KR 101662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creen belt
water
roller
circul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1871A (ko
Inventor
노상기
Original Assignee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179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637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0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wa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8Splashing boards or grids, e.g. for converting liquid sprays into liquid films; Elements or beds for increasing th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0/00Liquid purification or separation
    • Y10S210/03Belt align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일측에 순환수 유입공(111)을 형성하고 하부 타측에 순환수 배출공(112)을 형성하는 탱크(110)와; 상기 탱크(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하는 다수의 롤러(120)와; 상기 롤러(120)를 전체적으로 순환하도록 연결하는 스크린벨트(130)와;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탱크(110)의 내부 양측에 설치하는 가이드레일(140)과; 상기 가이드레일(140)과 탱크(110)의 양측면과 하부면을 밀폐하는 밀폐부재(150)와; 상기 탱크(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표면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160)과; 상기 세척노즐(16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탱크(110)의 내부에 설치하는 호퍼(170)와; 상기 탱크(110)의 타측에 설치하여 상기 호퍼(170)와 관통하는 이물질 배출공(173)과; 상기 롤러(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80)와; 상기 탱크(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하는 순환수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부재(180) 및 세척노즐(160)을 작동시키기 위한 수위감지부재(190)를 포함하는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순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스크린벨트를 이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제철설비의 잦은 고장을 방지함은 물론 생산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벨트의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순환수의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스크린벨트의 막힘 현상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스크린벨트의 외측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순환수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Apparatus screening foreign substance circulatory water of iron making equipment}
본 발명은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철설비에서 사용하는 순환수에 포함된 아연분말 등과 같은 이물질을 여과시켜 생산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물질이 여과수의 내부로 다시 혼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는 제철설비에서 사용하는 린스 또는 냉각수 등과 같은 순환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는 이물질이 스크린벨트의 표면에 고착될 경우 이물질을 여과할 수 없는 기능상의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에는 순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지 못할 경우 이물질이 다시 순환수의 내부로 혼입되어 강판의 생산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스크린벨트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으나, 이는 협소한 탱크의 내부에 작업자가 들어가야 하므로 제거작업이 어렵고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스크린벨트의 막힘 현상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이물질 제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스크린벨트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생산공정을 중단시켜야 하므로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순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스크린벨트를 이용하여 여과할 수 있는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벨트의 막힘 상태를 감지하여 고압수를 분사하여 이물질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스크린벨트의 외측으로 혼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순환수의 2차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는,
상부 일측에 순환수 유입공(111)을 형성하고 하부 타측에 순환수 배출공(112)을 형성하는 탱크(110)와; 상기 탱크(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하는 다수의 롤러(120)와; 상기 롤러(120)를 전체적으로 순환하도록 연결하는 스크린벨트(130)와;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탱크(110)의 내부 양측에 설치하는 가이드레일(140)과; 상기 가이드레일(140)과 탱크(110)의 양측면과 하부면을 밀폐하는 밀폐부재(150)와; 상기 탱크(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표면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160)과; 상기 세척노즐(16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탱크(110)의 내부에 설치하는 호퍼(170)와; 상기 탱크(110)의 타측에 설치하여 상기 호퍼(170)와 관통하는 이물질 배출공(173)과; 상기 롤러(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80)와; 상기 탱크(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하는 순환수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부재(180) 및 세척노즐(160)을 작동시키기 위한 수위감지부재(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탱크(110)의 내부에는 상기 순환수 배출공(112)으로 갈수록 점차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부(11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일측에는 장력롤러(121)가 맞닿도록 형성하고, 상기 장력롤러(12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나사(122)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하부면에 맞닿도록 다수의 가이드부(123)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40)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차단판(141)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탱크(110)의 하부와 연결하도록 유도판(14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호퍼(170)의 상부에는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하부면과 맞닿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17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호퍼(170)와 지지구(171)의 사이에 스프링(17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재(180)는 상기 롤러(120)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1회전체(181)와; 상기 탱크(110)의 일측에 설치하는 구동모터(182)와; 상기 구동모터(182)의 회전축에 설치하는 제2회전체(183)와; 상기 제1회전체(181)와 제2회전체(183)의 사이를 순환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체(18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순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스크린벨트를 이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제철설비의 잦은 고장을 방지함은 물론 생산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벨트의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순환수의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스크린벨트의 막힘 현상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스크린벨트의 외측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순환수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횡단면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일측에 순환수 유입공(111)을 형성하고 하부 타측에 순환수 배출공(112)을 형성하는 탱크(110)와; 상기 탱크(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하는 다수의 롤러(120)와; 상기 롤러(120)를 전체적으로 순환하도록 연결하는 스크린벨트(130)와;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탱크(110)의 내부 양측에 설치하는 가이드레일(140)과; 상기 가이드레일(140)과 탱크(110)의 양측면과 하부면을 밀폐하는 밀폐부재(150)와; 상기 탱크(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표면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160)과; 상기 세척노즐(16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탱크(110)의 내부에 설치하는 호퍼(170)와; 상기 탱크(110)의 타측에 설치하여 상기 호퍼(170)와 관통하는 이물질 배출공(173)과; 상기 롤러(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80)와; 상기 탱크(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하는 순환수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부재(180) 및 세척노즐(160)을 작동시키기 위한 수위감지부재(190)를 포함한다.
상기 탱크(1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함체 형상으로 상기 순환수 유입공(111)을 통해서 공급되는 순환수가 상기 스크린벨트(130)를 통과한 후 상기 순환수 배출공(112)을 통해서 후속설비 및 공정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탱크(110)의 내부에는 상기 순환수 배출공(112)으로 갈수록 점차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부(113)를 형성하여 여과된 순환수를 상기 순환수 배출공(112)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롤러(120)는 상기 탱크(110)의 크기 및 순환수의 여과효율에 따라서 상기 스크린벨트(1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탱크(110)의 내부 선택된 위치에 다수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벨트(130)는 순환수가 통과하면서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고 순환수만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입도를 갖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입도는 40 마이크론(micron) 이하인 것이 사용하여 순환수의 내부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을 여과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레일(140)은 상기 스크린벨트(1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가이드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상기 순환수 유입공(111)을 통해서 유입되는 순환수의 낙차에 의해서 상기 스크린벨트(130)가 흔들거리지 않도록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일측에는 장력롤러(121)가 맞닿도록 형성하고, 상기 장력롤러(12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나사(122)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작업자가 상기 조절나사(122)를 회전시켜 상기 장력롤러(12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장력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하부면에 맞닿도록 다수의 가이드부(123)를 마련하여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원활한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23)는 롤러 또는 환봉으로 제작하여 상기 스크린벨트(130)와 맞닿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40)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차단판(141)을 형성하여 순환수가 상기 스크린벨트(130)와 충돌하면서 후방으로 넘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하부에는 상기 탱크(110)의 하부와 연결하도록 유도판(142)을 형성하여 순환수를 상기 스크린벨트(130)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폐부재(150)는 상기 가이드레일(140)과 탱크(110)의 양측면과 하부면을 밀폐하여 순환수가 상기 스크린벨트(130)과 가이드레일(140)이 서로 밀착하는 양측면과 하부면으로 바로 통과하지 않도록 밀폐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15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여 순환수가 상기 밀폐부재(150)의 상부로 떨어지는 낙차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40)과 탱크(110)의 양측면과 하부면에 긴밀하게 밀착하면서 밀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150)는 중간은 개방된 상태로 스크린벨트(130)가 노출되어 순환수의 여과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테두리만 빙둘러 상기 가이드레일(140)과 탱크(110)의 양측면과 하부면을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세척노즐(160)은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표면으로 외부에서 공급하는 고압수를 분사하여 고착된 이물질을 떨어내어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세척노줄(160)의 일측에는 개폐밸브(미 도시함)를 형성하여 세척수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호퍼(170)는 상기 세척노즐(160)의 작동으로 제거되는 이물질을 포집하여 상기 이물질 배출공(173)을 통해서 외부 또는 후속공정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호퍼(170)의 상부에는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하부면과 맞닿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171)를 형성하여 이동하는 스크린벨트(130)와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구(171)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며, 상기 호퍼(170)와 지지구(171)의 사이에 스프링(172)을 구비하여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180)는 상기 롤러(120) 및 스크린벨트(13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롤러(120)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1회전체(181)와; 상기 탱크(110)의 일측에 설치하는 구동모터(182)와; 상기 구동모터(182)의 회전축에 설치하는 제2회전체(183)와; 상기 제1회전체(181)와 제2회전체(183)의 사이를 순환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체(18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회전체(181) 및 제2회전체(183)는 다양한 규격을 갖는 스프로킷 또는 풀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체(184)는 체인 또는 벨트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82)의 작동으로 상기 스크린벨트(130)를 일정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위감지부재(190)는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표면에 이물질이 고착될 경우 순환수가 상기 스크린벨트(130)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결과적으로 수위의 상승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재(180)를 작동시켜 상기 스크린벨트(13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세척노즐(160)의 작동으로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표면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순환수의 여과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위감지부재(190)는 상기 탱크(1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순환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부력 감지장치 및 초음파센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110: 탱크 111: 순환수 유입공
112: 순환수 배출공 113: 경사부
120: 롤러 121: 장력롤러
122: 조절나사 123: 가이드부
130: 스크린벨트
140: 가이드레일 141: 차단판
142: 유도판
150: 밀폐부재 160: 세척노즐
170: 호퍼 171: 지지구
172: 스프링 180: 구동부재
181: 제1회전체 182: 구동모터
183: 제2회전체 184: 연결체
190: 수위감지부재

Claims (7)

  1. 상부 일측에 순환수 유입공(111)을 형성하고 하부 타측에 순환수 배출공(112)을 형성하는 탱크(110)와; 상기 탱크(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하는 다수의 롤러(120)와; 상기 롤러(120)를 전체적으로 순환하도록 연결하는 스크린벨트(130)와;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탱크(110)의 내부 양측에 설치하는 가이드레일(140)과;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여 순환수가 상기 가이드레일(140)과 탱크(110)의 양측면과 하부면을 밀폐하는 밀폐부재(150)의 상부로 떨어지는 낙차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40)과 탱크(110)의 양측면과 하부면에 긴밀하게 밀착하며 중간은 개방된 상태로 스크린벨트(130)가 노출되어 순환수의 여과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테두리만 빙둘러 상기 가이드레일(140)과 탱크(110)의 양측면과 하부면을 밀폐하는 밀폐부재(150)와; 상기 탱크(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표면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160)과; 상기 세척노즐(16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탱크(110)의 내부에 설치하는 호퍼(170)와; 상기 탱크(110)의 타측에 설치하여 상기 호퍼(170)와 관통하는 이물질 배출공(173)과; 상기 롤러(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180)와; 상기 탱크(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하는 순환수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부재(180) 및 세척노즐(160)을 작동시키기 위한 수위감지부재(190)를 포함하되, 상기 탱크(110)의 내부에는 상기 순환수 배출공(112)으로 갈수록 점차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부(113)를 형성하며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일측에는 장력롤러(121)가 맞닿도록 형성하고, 상기 장력롤러(12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나사(122)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하부면에 맞닿도록 롤러 또는 환봉으로 제작하는 다수의 가이드부(123)를 마련하되, 상기 가이드레일(140)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차단판(141)을 형성하여 순환수가 상기 스크린벨트(130)와 충돌하면서 후방으로 넘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하부에는 상기 탱크(110)의 하부와 연결하도록 유도판(142)을 형성하여 순환수를 상기 스크린벨트(130)로 유도하며, 상기 호퍼(170)의 상부에는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하부면과 맞닿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171)를 형성하고, 상기 호퍼(170)와 지지구(171)의 사이에 스프링(172)을 구비하여 상기 스크린벨트(130)의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구동부재(180)는 상기 롤러(120)의 일측에 설치하는 제1회전체(181)와; 상기 탱크(110)의 일측에 설치하는 구동모터(182)와; 상기 구동모터(182)의 회전축에 설치하는 제2회전체(183)와; 상기 제1회전체(181)와 제2회전체(183)의 사이를 순환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체(18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179600A 2014-12-12 2014-12-12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KR101662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600A KR101662637B1 (ko) 2014-12-12 2014-12-12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600A KR101662637B1 (ko) 2014-12-12 2014-12-12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871A KR20160071871A (ko) 2016-06-22
KR101662637B1 true KR101662637B1 (ko) 2016-10-06

Family

ID=5636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600A KR101662637B1 (ko) 2014-12-12 2014-12-12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3986B (zh) * 2018-04-30 2020-08-07 江西挺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格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985B1 (ko) * 2005-05-14 2006-03-06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오폐수 및 하수 여과장치
JP2007277855A (ja) * 2006-04-04 2007-10-25 Koyo Giken:Kk ベルト式スクリー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902B1 (ko) * 2012-05-02 2014-09-23 주식회사 포스코 쿨링 타워의 필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985B1 (ko) * 2005-05-14 2006-03-06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오폐수 및 하수 여과장치
JP2007277855A (ja) * 2006-04-04 2007-10-25 Koyo Giken:Kk ベルト式スクリー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871A (ko)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2343C (en) Liquid solid separator
KR101662637B1 (ko)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KR101415953B1 (ko) 물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제진기
KR101913409B1 (ko) 스트립 연삭장치의 스와프 처리설비
KR102141907B1 (ko) 스나우트의 내부 청소장치
KR101941140B1 (ko) 고압 세척기
KR101387714B1 (ko) 오일 필터링장치
KR101097880B1 (ko) 수위조절용 부유물 제거설비
KR101614582B1 (ko)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
KR102082164B1 (ko) 도금공정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KR100927042B1 (ko) 세척수 유도기능을 갖는 회전 디스크 필터형 연속 여과장치
JPH0966245A (ja) 異物分別装置
JP2004113962A (ja) 水力分級機
KR20240022793A (ko) 제철설비의 순환수 이물질 여과장치
KR20120091747A (ko) 용융아연도금강판용 냉각수의 이물질 여과장치
CN208389482U (zh) 一种旋流分离含尘含漆雾废气预处理设备
KR101071521B1 (ko) 냉연 도금 설비용 스프레이 헤더 진공 세척장치
KR101741016B1 (ko) 자동차용 강판 가공 습식 및 건식 진공롤러 시스템
CN105916590A (zh) 自清洁离心分离器
KR101611712B1 (ko) 저장물의 수분리 배출장치
JPH0211286B2 (ko)
CN218982473U (zh) 一种铁钉加工铁屑分离装置
KR101992435B1 (ko) 필터드럼과 스크레이퍼를 이용한 미세칩 분리장치
KR100868499B1 (ko) 강판 탈지 설비의 연마유와 스와프 분리 장치
JP6969583B2 (ja) タールデカンター装置、安水分離方法、及びメッシュ体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