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554B1 - 부단수 할정자관 - Google Patents

부단수 할정자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554B1
KR102238554B1 KR1020150081001A KR20150081001A KR102238554B1 KR 102238554 B1 KR102238554 B1 KR 102238554B1 KR 1020150081001 A KR1020150081001 A KR 1020150081001A KR 20150081001 A KR20150081001 A KR 20150081001A KR 102238554 B1 KR102238554 B1 KR 102238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using
pipe
check valve
plat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1349A (ko
Inventor
장남종
이영복
Original Assignee
장남종
(주)지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남종, (주)지노스 filed Critical 장남종
Priority to KR102015008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554B1/ko
Publication of KR2016012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branch pipe comprising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16L41/06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making use of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2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using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관을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중단하지 않고서 분기관을 연결하거나 노후되거나 파손된 관을 교체할 때 사용하는 부단수 할정자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은 상수도관(WP)을 감싸는 상부 할정자관(10)과 하부 할정자관(15)으로 구성되고, 상부 할정자관(10)에 분기관(20)이 형성되며, 분기관(20)의 측부에 체크 밸브 하우징(30)이 일체로 형성되고, 체크 밸브 하우징(30)에 밸브실(31), 분기관(20)의 중공부(22)와 밸브실(31)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 개구부(32) 및 밸브실(31)을 중심으로 내측 개구부(32)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외측 개구부(33)가 각각 형성되고, 밸브실(31)에 밸브 플레이트(40)의 상단부가 힌지핀(42)에 의해 장착되어, 밸브 플레이트(40)에 의해 외측 개구부(33)가 개폐되고, 외측 개구부(33)의 둘레에 형성된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플랜지부(34)에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50)의 플랜지부(51)가 결합되며,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50)의 내부에 배치된 슬라이딩 차단판(55)이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외측 개구부(33), 밸브실(31) 및 내측 개구부(32)를 통해 분기관(20)을 차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단수 할정자관{KNIFE STOPPING WATER PIPE}
본 발명은 상수도관을 통과하는 물의 흐름을 중단하지 않고서 분기관을 연결하거나 노후되거나 파손된 관을 교체할 때 사용하는 부단수 할정자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할정자관의 분기관에 체크 밸브 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고, 체크 밸브 하우징의 밸브실에 밸브 플레이트가 배치되며, 밸브 플레이트의 상단부가 힌지핀에 의해 밸브실에 장착됨으로써, 밸브 플레이트에 의해 외측 개구부가 개폐될 수 있는 부단수 할정자관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 10-1488830호(2015년 1월 27일, 등록)에 "실린더 밸브를 내장한 부단수 분기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밸브를 내장한 부단수 분기장치는 배관의 외경면과 결합하는 결합 패드; 상기 결합 패드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말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분기부; 상기 분기부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차단판의 출입로를 제공하며 차단판의 출입을 가이드하는 차단판 출입로; 상기 차단판 출입로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판 출입로를 개폐하는 실린더 밸브; 및 상기 실린더 밸브와 결합하고, 상기 실린더 밸브를 통해 상기 차단판 출입로에 출입되어 상기 분기부를 개폐하는 차단판을 갖고, 상기 차단판을 상기 차단판 출입로에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차단판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실린더 밸브를 내장한 부단수 분기장치는 실린더 밸브의 부피가 크고, 성형 가공이 어려워 제조비용이 많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할정자관의 분기관에 체크 밸브 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고, 체크 밸브 하우징의 밸브실에 밸브 플레이트가 배치되며, 밸브 플레이트의 상단부가 힌지핀에 의해 밸브실에 장착됨으로써, 밸브 플레이트에 의해 외측 개구부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어, 체크 밸브 하우징의 외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슬라이딩 차단판에 의해 상수도관 천공 작업후 분기관의 플랜지부에 마감뚜껑을 수밀되게 장착할 수 있어, 상수도관 천공 작업에 따른 플러깅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밸브 플레이트에 의해 슬라이딩 차단판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을 분리할 수 있어, 시공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부단수 할정자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은, 상수도관을 감싸는 상부 할정자관과 하부 할정자관으로 이루어져 상부 할정자관에 분기관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분기관의 측부에 체크 밸브 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크 밸브 하우징에는 밸브실이 형성되어 분기관의 중공부와 밸브실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 개구부 및 밸브실을 중심으로 내측 개구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외측 개구부가 각각 연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밸브실에 밸브 플레이트의 상단부가 힌지핀에 의해 장착되어 이 밸브 플레이트에 의해 외측 개구부가 개폐됨과 동시에 외측 개구부의 둘레에 형성된 체크 밸브 하우징의 플랜지부에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의 플랜지부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슬라이딩 차단판이 체크 밸브 하우징의 외측 개구부와 밸브실의 내측 개구부를 통해 분기관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크 밸브 하우징은 상부 수평부에 보조 가압수단이 장착되어 있고, 이 보조 가압수단은 체크 밸브 하우징의 상부 수평부에 형성된 축구멍에 조절축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이 조절축 부재의 하부 나선부가 체크 밸브 하우징의 상부 수평부의 안쪽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으로 돌출되어 승하강 너트에 체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은 힌지를 중심으로 각회전할 수 있는 밸브 플레이트를 체크 밸브 하우징의 밸브실에 장착함으로써, 밸브 플레이트에 의해 체크 밸브 하우징의 외측 개구부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어, 체크 밸브 하우징의 외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슬라이딩 차단판에 의해 상수도관 천공 작업후 분기관의 플랜지부에 마감뚜껑을 수밀되게 장착할 수 있어, 상수도관 천공 작업후 플러깅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밸브 플레이트에 의해 슬라이딩 차단판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을 분리할 수 있어, 시공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을 도시한 단면도로, 부단수 공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은 상수도관(WP)을 감싸는 상부 할정자관(10)과 하부 할정자관(15)으로 구성되고, 상부 할정자관(10)에 분기관(20)이 형성되며, 분기관(20)의 측부에 체크 밸브 하우징(30)이 일체로 형성되고, 체크 밸브 하우징(30)에 밸브실(31), 분기관(20)의 중공부(22)와 밸브실(31)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 개구부(32) 및 밸브실(31)을 중심으로 내측 개구부(32)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외측 개구부(33)가 각각 형성되고, 밸브실(31)에 밸브 플레이트(40)의 상단부가 힌지핀(42)에 의해 장착되어, 밸브 플레이트(40)에 의해 외측 개구부(33)가 개폐되고, 외측 개구부(33)의 둘레에 형성된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플랜지부(34)에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50)의 플랜지부(51)가 결합되며,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50)의 내부에 배치된 슬라이딩 차단판(55)이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외측 개구부(33), 밸브실(31) 및 내측 개구부(32)를 통해 분기관(20)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체크 밸브 하우징(30)은 상부 수평부(35)에 보조 가압수단(60)이 장착되어, 보조 가압수단(60)이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외측 개구부(33)를 차단하고 있는 밸브 플레이트(40)를 가압함으로써, 밸브 플레이트(40)가 외측 개구부(33)의 둘레 면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보조 가압수단(60)은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상부 수평부(35)에 형성된 축구멍(61)에 조절축 부재(6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조절축 부재(62)의 하부 나선부(62a)가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상부 수평부(35)의 안쪽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63)으로 돌출되고, 조절축 부재(62)의 하부 나선부(62a)에 체결되는 승하강 너트(64)가 가이드 홈(63)에 끼워짐으로써, 조절축 부재(62)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 너트(64)가 가이드 홈(63)을 따라 상하로 승하강되고, 승하강 너트(64)가 하강하게 되면, 승하강 너트(64)의 측면이 밸브 플레이트(40)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밸브 플레이트(40)가 외측 개구부(33)의 둘레면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차단판(55)은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너트부(56)가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50)에 장착된 나선축(53)에 체결되어, 나선축(53)을 어느 한 방향으로 돌리면, 슬라이딩 차단판(55)이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50)에서 인출되고, 나선축(53)을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슬라이딩 차단판(55)이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50)으로 인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체크 밸브 하우징(30)에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50)을 연결하고, 분기관(20)의 플랜지부(24)에 천공기(70)를 장착한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천공기(70)의 커터(75)를 내려, 커터(75)로 상수도관(WP)을 천공하게 된다.
이후, 보수 작업, 분기 작업 등과 같은 상수도관 작업이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커터(75)를 천공기(70) 내의 원위치로 상승시킨 후,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50)에서 슬라이딩 차단판(55)을 인출하여, 슬라이딩 차단판(55)으로 분기관(20)의 중공부(22)를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딩 차단판(55)이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50)에서 인출될 때, 슬라이딩 차단판(55)이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밸브 플레이트(40)를 밀게 되어, 슬라이딩 차단판(55)에 의해 밸브 플레이트(40)가 힌지핀(42)을 중심으로 도 4의 화살표(44) 방향으로 각회전됨으로써,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외측 개구부(33)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슬라이딩 차단판(55)이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외측 개구부(33), 밸브실(31) 및 내측 개구부(32)를 통해 분기관(20)의 중공부(22)를 차단하게 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딩 차단판(55)이 분기관(20)의 중공부(22)를 밀폐한 상태에서, 분기관(20)의 플랜지부(24)에서 천공기(70)를 분리하고, 분기관(20)의 플랜지부(24)에 마감뚜껑(80)을 수밀되게 결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천공 작업후, 마감뚜껑(80)을 분기관(20)의 플랜지부(24)에 수밀되게 장착할 수 있어, 천공 작업과 마감 작업 사이의 플러깅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나선축(53)을 돌려 분기관(20)의 중공부(22)를 차단하고 있는 슬라이딩 차단판(55)을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50)으로 인입하면, 밸브 플레이트(40)가 자중에 의해 힌지핀(42)을 중심으로 화살표(47)와 같은 반시계 방향으로 각회전됨으로써, 밸브 플레이트(40)가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외측 개구부(33)를 차단하게 되어, 체크 밸브 하우징(30)에서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50)을 분리하여도, 상수도관(WP)의 물이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외측 개구부(33)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수도관(WP)에 작용하는 수압이 밸브 플레이트(40)에도 가해지게 됨으로써, 밸브 플레이트(40)가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외측 개구부(33) 둘레에 강하게 압착된다.
더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체크 밸브 하우징(30)에서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50)을 분리하고, 체크 밸브 하우징(30)에 마감판(95)을 장착한 상태에서, 보조 가압수단(60)의 조절축 부재(62)를 이용하여 승하강 너트(64)를 가이드 홈(63)을 따라 내림으로써, 승하강 너트(64)가 밸브 플레이트(40)를 가압하게 되어, 밸브 플레이트(40)가 외측 개구부(33)의 둘레면에서 들뜨는 것을 보조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할정자관은 상부 할정자관(10)의 분기관(20)에 체크 밸브 하우징(30)이 일체로 형성되고,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밸브실(31)에 밸브 플레이트(40)가 배치되며, 밸브 플레이트(40)의 상단부가 힌지핀(42)에 의해 밸브실(31)에 장착됨으로써, 밸브 플레이트(40)에 의해 외측 개구부(33)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어,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외측 개구부(33)를 개폐하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슬라이딩 차단판(55)에 의해 분기관(20)이 차단됨으로써, 상수도관 천공 작업후 분기관(20)의 플랜지부(24)에 마감뚜껑(90)을 수밀되게 장착할 수 있어, 상수도관 천공 작업에 따른 플러깅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밸브 플레이트(40)에 의해 슬라이딩 차단판(55)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50)을 분리할 수 있어, 시공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P : 상수도관 10 : 상부 할정자관
15 : 하부 할정자관 20 : 분기관
30: 체크 밸브 하우징 40 : 밸브 플레이트
50 :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 55 : 슬라이딩 차단판

Claims (1)

  1. 상수도관(WP)을 감싸는 상부 할정자관(10)과 하부 할정자관(15)으로 이루어져 상부 할정자관(10)에 분기관(20)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분기관(20)의 측부에 체크 밸브 하우징(3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크 밸브 하우징(30)에는 밸브실(31)이 형성되어 분기관(20)의 중공부(22)와 밸브실(31)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 개구부(32) 및 밸브실(31)을 중심으로 내측 개구부(32)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외측 개구부(33)가 각각 연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밸브실(31)에 밸브 플레이트(40)의 상단부가 힌지핀(42)에 의해 장착되어 이 밸브 플레이트(40)에 의해 외측 개구부(33)가 개폐됨과 동시에 외측 개구부(33)의 둘레에 형성된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플랜지부(34)에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50)의 플랜지부(51)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밸브 하우징(50)의 내부에 배치된 슬라이딩 차단판(55)이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외측 개구부(33)와 밸브실(31)의 내측 개구부(32)를 통해 분기관(20)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크 밸브 하우징(30)은 상부 수평부(35)에 보조 가압수단(60)이 장착되어 있고, 이 보조 가압수단(60)은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상부 수평부(35)에 형성된 축구멍(61)에 조절축 부재(6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이 조절축 부재(62)의 하부 나선부(62a)가 체크 밸브 하우징(30)의 상부 수평부(35)의 안쪽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63)으로 돌출되어 승하강 너트(64)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할정자관.
KR1020150081001A 2015-06-09 2015-06-09 부단수 할정자관 KR102238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001A KR102238554B1 (ko) 2015-06-09 2015-06-09 부단수 할정자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001A KR102238554B1 (ko) 2015-06-09 2015-06-09 부단수 할정자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644A Division KR101568737B1 (ko) 2015-04-08 2015-04-08 부단수 할정자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349A KR20160121349A (ko) 2016-10-19
KR102238554B1 true KR102238554B1 (ko) 2021-04-09

Family

ID=5725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001A KR102238554B1 (ko) 2015-06-09 2015-06-09 부단수 할정자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661B1 (ko) * 2018-04-18 2019-12-02 주식회사 수국수도산업 대구경 부단수 천공용 밸브장치
KR102646396B1 (ko) * 2022-04-29 2024-03-08 김제현 높이를 낮춘 저상형 부단수 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5609A (ja) * 2012-09-11 2014-03-27 Cosmo Koki Co Ltd 不断流穿孔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5609A (ja) * 2012-09-11 2014-03-27 Cosmo Koki Co Ltd 不断流穿孔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349A (ko)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8554B1 (ko) 부단수 할정자관
KR101403700B1 (ko) 원통 디스크 밸브가 설치된 부단수 밸브
CN104805642A (zh) 一种内桶无孔洗衣机
KR101575958B1 (ko) 철도차량의 급수시스템
KR101383676B1 (ko) 체크 밸브
KR20140012316A (ko) 소화전 조립체
KR101454812B1 (ko) 응축수 배출밸브
KR100885552B1 (ko) 상수 가압용 펌프유닛
EP4069938B1 (en) Valve element for drilling elements, drilling element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valve element to drilling elements
KR101568737B1 (ko) 부단수 할정자관
KR101994888B1 (ko) 가공배전선 지지를 위한 고정장치
CN203389883U (zh) 复合轮毂轴承自动清洗机
KR100446455B1 (ko) 진공 게이트밸브
CN202132511U (zh) 放油开关
KR20150001495U (ko) 선박의 배수장치
CN111720594A (zh) 具有泄压保护功能的单向阀
KR101744152B1 (ko) 핸들식 급수조절장치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KR101159647B1 (ko) 프레스 기기의 기계식 과부하 방지 밸브
KR101934042B1 (ko) 스윙타입 디스크를 구비한 글로브 밸브
CN205640028U (zh) 一种管道用封堵器
CN103933766B (zh) 半自动反冲洗过滤器
CN203906831U (zh) 一种蝶阀
KR101297622B1 (ko) 제수변
KR101419593B1 (ko)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