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042B1 - 스윙타입 디스크를 구비한 글로브 밸브 - Google Patents

스윙타입 디스크를 구비한 글로브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042B1
KR101934042B1 KR1020170130316A KR20170130316A KR101934042B1 KR 101934042 B1 KR101934042 B1 KR 101934042B1 KR 1020170130316 A KR1020170130316 A KR 1020170130316A KR 20170130316 A KR20170130316 A KR 20170130316A KR 101934042 B1 KR101934042 B1 KR 101934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ody
valve body
disk
slide
slid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민
이기동
김선홍
신동민
권기영
권기범
박영철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30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 F16K1/2014Shaping of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 F16K1/2007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16K31/50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actuating pivotable valv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윙타입 디스크를 구비한 글로브 밸브로서, 유로 개방시 유체가 흐르는 방향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한편 디스크가 유로에 위치하면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막고 원활한 유체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비하여 유체가 흐르는 배관과 연결되고, 내부에는 챔버가 형성된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에서 챔버의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 유입구를 차단하며, 상방향으로 회전하면 유입구를 개방하도록 한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상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이동체; 상기 밸브본체의 챔버 상단부 중심을 수직하게 관통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에 결합된 승강 스템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 스템의 하강시 상기 승강 스템의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를 통해 상기 디스크를 누르면서 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밸브본체의 유입구를 차단하며, 상기 승강 스템의 상승시 상기 승강 스템의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를 통해 상기 디스크를 들어올리면서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밸브본체의 유입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윙타입 디스크를 구비한 글로브 밸브{GLOBE VALVE WITH SWING TYPE DISC}
본 발명은 글로브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로 개방시 유체가 흐르는 방향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한편 디스크가 유로에 위치하면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막고 원활한 유체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한 스윙타입 디스크를 구비한 글로브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글로브 밸브(globe valve)는 유량제어를 목적으로 현재 가장 많이 채택하고 있는 밸브형식이며 고압의 유체가 흐르는 관로상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데 사용되고 밸브의 재질로는 청동, 주철, 주동(鑄銅), 합금강 등이 사용된다.
통상의 글로브 밸브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구(1)와 출구(2)가 일직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입구(1)와 출구(2)사이의 대략 중간지점에 해당되는 챔버 내부 지점에 격벽(3)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3)에 디스크(4)가 안착되는 디스크시트(5)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디스크시트(5)에는 밸브 스템(6)이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글로브밸브의 경우 디스크(4)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유로를 개방하였을 때 유체가 격벽(3)에 형성된 개폐구를 통과하면서 유체의 흐름방향이 급격히 변하게 되고, 개폐구 상측에 위치하는 디스크(4)로 인해 유로가 좁아지는 것은 물론 유체가 개폐구를 통과한 직후 디스크(4)에 부딪히게 되어 강한 와류가 형성됨과 동시에 디스크(4)의 뒤쪽으로 배압공간이 형성되므로 전체적으로 볼 때 유체의 원활한 흐름에 방해를 받게 되며,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7-0032117호(2017.03.2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로 개방시 유체가 흐르는 방향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한편 디스크가 유로에 위치하면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막고 원활한 유체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한 스윙타입 디스크를 구비한 글로브 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글로브 밸브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비하여 유체가 흐르는 배관과 연결되고, 내부에는 챔버가 형성된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에서 챔버의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 유입구를 차단하며, 상방향으로 회전하면 유입구를 개방하도록 한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상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이동체; 상기 밸브본체의 챔버 상단부 중심을 수직하게 관통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에 결합된 승강 스템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 스템의 하강시 상기 승강 스템의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를 통해 상기 디스크를 누르면서 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밸브본체의 유입구를 차단하며, 상기 승강 스템의 상승시 상기 승강 스템의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를 통해 상기 디스크를 들어올리면서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밸브본체의 유입구를 개방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 스템은 외주면에 수나사 형성된 상태로 상기 밸브본체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동작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승강 스템의 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에 대하여 공회전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는, 상단부에 상기 승강 스템의 하단부가 공회전하도록 공회전축에 의해 축결합되는 역 T자형의 이동체 본체와, 상기 이동체 본체의 하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의 하부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의 하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단부 좌측변과 우측변에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의 하부가 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슬라이드박스가 더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와 함께 하나의 모듈을 이루며, 상기 슬라이드박스가 상기 디스크의 상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크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디스크 전체를 수용하는 디스크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유로로부터 벗어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수용공간은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크 수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원판형의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식 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승강 스템의 회전 각도에 의한 유입구의 개방된 정도를 알려주는 눈금 및 수치가 표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글로브 밸브는, 유로 개방시 유체가 흐르는 방향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한편 디스크가 유로에 위치하면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막고 원활한 유체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글로브 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글로브 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유로 개방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글로브 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유로 차단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글로브 밸브에서 디스크 및 슬라이드 이동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글로브 밸브에서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글로브 밸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글로브 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유로 개방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글로브 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유로 차단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글로브 밸브에서 디스크 및 슬라이드 이동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글로브 밸브에서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글로브 밸브는, 밸브본체(150), 디스크(110), 슬라이드 이동체(121)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모듈(120), 승강 스템(130) 및 착탈식 커버(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크(110)가 스윙동작에 의해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승강 스템(130)은 수직으로 승강하면서도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121)를 매개로 디스크(110)의 상면을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디스크(110)를 누르거나 들어올려 스윙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스윙동작하는 디스크(110)가 수직으로 승강하는 승강 스템(130)에 눌리거나 들어올려지도록 함으로써 유로를 개폐하도록 한 독특한 조합에 의해 종래에 밸브본체 챔버 내에 형성되었던 격벽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되었고 개방시 디스크가 유로 중간에 위치하던 문제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유로 개방시 유체흐름의 방향 변화를 최소화하는 한편 디스크가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막고 원활한 유체의 흐름이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글로브 밸브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밸브본체(150)는 유입구(153)와 유출구(154)를 구비하여 유체가 흐르는 배관과 연결되고 내부에는 디스크(110)가 설치된 챔버(151)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본체(150)의 경우 종래와는 다르게 챔버(151) 중간에 유로를 차단하기 위한 격벽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부에는 디스크(110)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디스크(110) 전체를 수용하는 디스크 수용공간(152)이 형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2와 같이 상기 디스크(110)가 힌지축(113)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하였을 때 상기 디스크 수용공간(152)에 수용된 상태가 되어 유로로부터 벗어나 있으므로 유체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상기 디스크 수용공간(152)은 밸브본체(150)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본체(150)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크 수용공간(152)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원판형의 착탈식 커버(140)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크(110)는 상기 밸브본체(150)에서 챔버(151)의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 밸브본체(150)의 유입구(153)를 차단하며, 상방향으로 회전하면 밸브본체(150)의 유입구(153)를 완전히 개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110)는 슬라이드 이동체(121)에 의해 승강 스템(13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 스템(130)이 상승하면 그와 함께 들어올려져 도 2와 같이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밸브본체(150)의 유입구(153)를 개방하게 되고, 도 3과 같이 상기 승강 스템(130)이 하강하면 그와 함께 눌리면서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밸브본체(150)의 유입구(153)를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110)의 상면에는 슬라이드 이동체(121)의 하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라이드박스(125)가 끼워져 접합되는 슬라이드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크(110)의 하면에는 유로를 차단할 때 밸브본체(150)의 내주면에 대하여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고무 패킹(112)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121)는 상기 승강 스템(130)의 하단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디스크(110)의 상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121)는 상단부에 상기 승강 스템(130)의 하단부가 공회전하도록 공회전축(121a)에 의해 축결합되는 역 T자형의 이동체 본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체 본체의 하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12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121)는 슬라이드박스(125)를 매개로 하여 디스크(110)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박스(125)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121)의 하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내부공간(125a)을 제공하며, 상단부 좌측변과 우측변에는 롤러(122)가 설치된 슬라이드 이동체(121)의 하부가 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이탈방지턱(125b)이 형성된다. 그러니까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121)와 슬라이드박스(125)는 서로 간에 이미 결합된 상태가 되어 하나의 슬라이드 모듈(120)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모듈(120)을 가져다가 슬라이드박스(125)를 디스크(110) 상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11)에 간단히 끼운 후 접합하고, 그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체(121)의 상단부와 승강 스템(130)의 하단부를 공회전축(121a)에 의해 축결합시키기만 하면 디스크(110)와 승강 스템(130) 간 결합이 간단히 이루어진다. 단,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121)가 슬라이드박스(125)의 도움을 받지 않고 디스크(11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11)에 직접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슬라이드박스(125)에 형성된 이탈방지턱(125b)이 상기 디스크(110)의 슬라이드홈(111) 좌측변과 우측변에 대신 형성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같은 경우 슬라이드박스(125)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슬라이드 이동체(121)를 디스크(11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11)에 끼워 설치하는 어려운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승강 스템(130)은 상기 밸브본체(150)의 챔버(151) 상단부에 설치된 착탈식 커버(140)의 중심을 수직하게 관통한 상태에서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132)에 의해 나사결합된다. 이후 승강 스템(130)을 사용자가 핸들(131)을 사용하여 회전시켜주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밸브본체(150)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 스템(130)의 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121)의 상단부와 공회전축(121a)에 의해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같은 승강 스템(13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승강 스템(130)의 하강시 도 3과 같이 상기 승강 스템(130)의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121)를 통해 상기 디스크(110)를 눌러주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디스크(110)가 힌지축(113)을 중심으로 하방향 회전하여 밸브본체(150)의 유입구(153)를 차단한다. 반대로 상기 승강 스템(130)의 상승시에는 도 2와 같이 상기 승강 스템(130)의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121)를 통해 디스크(110)를 들어올리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디스크(110)는 힌지축(113)을 중심으로 상방향 회전하여 밸브본체(150)의 유입구(153)를 개방한다.
상기 착탈식 커버(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본체(150)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부 개방된 디스크 수용공간(152)의 상부를 덮어준다. 상기 착탈식 커버(140)는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밸브본체(150)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착탈식 커버(140)의 상면에는 상기 승강 스템(13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밸브본체(150) 유입구(153)의 개방된 정도를 알려주는 눈금 및 수치(141)가 표기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핸들(131)에 의해 승강 스템(130)을 돌리면서 밸브본체(150) 유입구(153)가 어느 정도 개방되어 있는지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된다. 단, 이를 위해서 상기 핸들(131)에는 상기 착탈식 커버(140)에 표시된 눈금 및 수치(141)에 대응하는 표식이 표기되어 있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디스크 120 : 슬라이드 모듈
121 : 슬라이드 이동체 122 : 롤러
125 : 슬라이드박스 130 : 승강 스템
140 : 착탈식 커버 150 : 밸브본체

Claims (8)

  1.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비하여 유체가 흐르는 배관과 연결되고, 내부에는 챔버가 형성된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에서 챔버의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 유입구를 차단하며, 상방향으로 회전하면 유입구를 개방하도록 한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상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이동체;
    상기 밸브본체의 챔버 상단부 중심을 수직하게 관통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에 결합된 승강 스템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 스템의 하강시 상기 승강 스템의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를 통해 상기 디스크를 누르면서 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밸브본체의 유입구를 차단하며, 상기 승강 스템의 상승시 상기 승강 스템의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를 통해 상기 디스크를 들어올리면서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밸브본체의 유입구를 개방하며,
    상기 승강 스템은 외주면에 수나사 형성된 상태로 상기 밸브본체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동작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승강 스템의 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에 대하여 공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는, 상단부에 상기 승강 스템의 하단부가 공회전하도록 공회전축에 의해 축결합되는 역 T자형의 이동체 본체와, 상기 이동체 본체의 하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의 하부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밸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의 하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단부 좌측변과 우측변에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의 하부가 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슬라이드박스가 더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와 함께 하나의 모듈을 이루며,
    상기 슬라이드박스가 상기 디스크의 상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크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디스크 전체를 수용하는 디스크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유로로부터 벗어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수용공간은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크 수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원판형의 착탈식 커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승강 스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유입구의 개방된 정도를 알려주는 눈금 및 수치가 표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밸브.
  8.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비하여 유체가 흐르는 배관과 연결되고, 내부에는 챔버가 형성된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에서 챔버의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 유입구를 차단하며, 상방향으로 회전하면 유입구를 개방하도록 한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상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이동체; 상기 밸브본체의 챔버 상단부 중심을 수직하게 관통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에 결합된 승강 스템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 스템의 하강시 상기 승강 스템의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를 통해 상기 디스크를 누르면서 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밸브본체의 유입구를 차단하며, 상기 승강 스템의 상승시 상기 승강 스템의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를 통해 상기 디스크를 들어올리면서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밸브본체의 유입구를 개방하며,
    상기 승강 스템은 외주면에 수나사 형성된 상태로 상기 밸브본체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동작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승강 스템의 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에 대하여 공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는, 상단부에 상기 승강 스템의 하단부가 공회전하도록 공회전축에 의해 축결합되는 역 T자형의 이동체 본체와, 상기 이동체 본체의 하부 좌측단부와 우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의 하부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의 하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상단부 좌측변과 우측변에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의 하부가 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슬라이드박스가 더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체와 함께 하나의 모듈을 이루며, 상기 슬라이드박스가 상기 디스크의 상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접합되며,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크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디스크 전체를 수용하는 디스크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유로로부터 벗어나 있도록 하되, 상기 디스크 수용공간은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크 수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원판형의 착탈식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착탈식 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승강 스템의 회전 각도에 따라 유입구의 개방된 정도를 알려주는 눈금 및 수치가 표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 밸브.
KR1020170130316A 2017-10-11 2017-10-11 스윙타입 디스크를 구비한 글로브 밸브 KR101934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316A KR101934042B1 (ko) 2017-10-11 2017-10-11 스윙타입 디스크를 구비한 글로브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0316A KR101934042B1 (ko) 2017-10-11 2017-10-11 스윙타입 디스크를 구비한 글로브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042B1 true KR101934042B1 (ko) 2018-12-31

Family

ID=6495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0316A KR101934042B1 (ko) 2017-10-11 2017-10-11 스윙타입 디스크를 구비한 글로브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166B1 (ko) 2019-04-18 2020-07-31 안천석 글로브 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324B1 (ko) * 1994-04-28 1999-08-02 가와하라 히로토 플레이트 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324B1 (ko) * 1994-04-28 1999-08-02 가와하라 히로토 플레이트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166B1 (ko) 2019-04-18 2020-07-31 안천석 글로브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5493A (en) Faucet valve
NO330605B1 (no) Styringsventil.
US4128111A (en) Wafer swing check valves
US20080216909A1 (en) Water Supply Valve Cartridge
US20060169337A1 (en) Valve with elbow joint diverter
NO20100362L (no) Strupeventilsammenstilling
CA2604947A1 (en) Fluid flow control valve with composition seal
KR20110057627A (ko) 제수밸브
KR101934042B1 (ko) 스윙타입 디스크를 구비한 글로브 밸브
US8146888B1 (en) Stopper sleeve assembly into standard valve
TW200526890A (en) Fluid controller
US8646750B1 (en) Ceramic water control valve with ceramic chips having pressing leak-proof functions
KR101419099B1 (ko) 알람밸브
US6938874B2 (en) Spanner for a ball valve
SG191364A1 (en) A valve system with a sealing member
KR101962332B1 (ko) 버터플라이밸브 통합형 게이트밸브 및 그 작동 방법
KR20190000658U (ko)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
AU2017239590B2 (en) Stopcock valve
KR20180007217A (ko) 누설방지용 밸브 구동조립체
KR20040009849A (ko) 유체 제어용 밸브
US3850198A (en) Valve housing
JPH0258508B2 (ko)
KR20080113664A (ko) 메탈시트를 갖는 볼 밸브
KR101844948B1 (ko) 유로 개폐용 링크 레버리지 어셈블리를 구비한 글로브밸브
JP7283957B2 (ja) 流体制御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