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658U -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 - Google Patents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658U
KR20190000658U KR2020170004681U KR20170004681U KR20190000658U KR 20190000658 U KR20190000658 U KR 20190000658U KR 2020170004681 U KR2020170004681 U KR 2020170004681U KR 20170004681 U KR20170004681 U KR 20170004681U KR 20190000658 U KR20190000658 U KR 201900006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inlet
coke
purified wa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환
Original Assignee
(주)스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톰테크 filed Critical (주)스톰테크
Priority to KR2020170004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658U/ko
Publication of KR201900006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 배출시 코크 밸브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정수의 배출에 따른 압력을 분산하여 밸브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밸브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Cock Valve For a Direct Type Water Purifier}
본 고안은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 배출시 코크 밸브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정수된 물의 흐름을 레버를 통해 조작하여 사용자가 정수된 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흔히 사용되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레버를 당기면 바로 정수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밸브들은 하나의 샤프트가 레버에 의해 상승하여 정수가 바로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샤프트가 개폐하는 구멍을 통해 정수의 배출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정수기용 코크 밸브 코크를 직수형 정수기에 적용할 경우, 높은 수압으로 인하여 개폐 구조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개폐 구조가 파손된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정수의 배출을 완전히 폐쇄하지 못해 레버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수가 조금씩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직수형 정수기에 적용되는 코크 밸브는 정수의 개폐가 짧은 시간 동안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어 내구성이 더욱 중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폐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압력을 분산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킨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정수기를 통해 정수된 물(정수)을 배출하는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있어서, 정수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입구로 유입된 정수가 유출되는 유출구와 상기 제1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챔버를 구비하는 코크 몸체; 상기 코크 몸체의 챔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코크 몸체의 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코크 몸체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샤프트;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샤프트의 중심에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샤프트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정수가 상기 코크 몸체의 제1유입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코크 몸체의 제1유입구와 상기 정수기를 연결하는 유입 유로;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부에 접촉하는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샤프트의 승강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부에 연동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코크 몸체의 제1유입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유입 유로에 배치되는 제2샤프트; 기 제2샤프트의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부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유입 유로와 상기 제2샤프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 및 상기 코크 몸체에 대해 상기 제1샤프트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제1샤프트에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정수의 배출에 따른 압력을 분산하여 밸브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밸브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Ⅱ-Ⅱ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코크 몸체(100)와 제1샤프트(300)와 제1스프링(700)과 가이드부재(400)와 유입 유로(500)와 제2샤프트(600)와 제2스프링(800)과 레버(200)로 구성된다.
코크 몸체(100)는 본 고안에 따른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구성들이 설치되거나 연결되는 하우징이다. 코크 몸체(100)는 제1유입구(110)와 유출구(130)와 챔버(120)를 구비한다.
코크 몸체(100)의 제1유입구(110)는 정수기를 통해 정수된 물(정수)이 유입되도록 코크 몸체(100)에 형성된 구멍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유입구(110)는 코크 몸체(100)의 측방향에 형성된다.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는 정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코크 몸체(100)에 형성된 구멍이다. 유출구(130)는 코크 몸체(100)의 하단에 형성된다.
코크 몸체(100)의 챔버(120)는 제1유입구(110)와 유출구(130)를 연결하도록 코크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제1유입구(110)에서 유입된 정수는 챔버(120)를 경유하여 유출구(130)로 배출된다.
제1샤프트(300)는 코크 몸체(100)의 챔버(120) 내부에 배치되어 코크 몸체(100)에 대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1샤프트(300)가 챔버(120) 내부에서 승강하면,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가 개폐된다. 제1샤프트(300)가 하강하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출구(130)가 폐쇄되고 제1샤프트(300)가 상승하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출구(130)가 개방된다. 제1샤프트(300)가 유출구(130)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유출구(130)를 기밀할 수 있도록 제1기밀부재(310)는 제1샤프트(300)의 하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기밀부재(310)는 오링(O-Ring) 형태로 형성되어 제1샤프트(300)의 하부에 끼워진다. 제1기밀부재(310)가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를 효과적으로 기밀하기 위해서, 제1기밀부재(310)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스프링(700)은 코크 몸체(100)와 제1샤프트(300) 사이에 설치된다. 제1스프링(700)은 코크 몸체(100)에 대해 제1샤프트(300)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가이드부재(400)는 제1샤프트(300)에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경우 가이드부재(400)는 제1샤프트(300)의 측면에 제1샤프트(300)와 같은 재질로 구성되어 제1샤프트(300)와 일체로 형성된다. 가이드부재(400)는 경사부(410)를 구비한다. 이 경사부(410)는 제1샤프트(300)의 상측으로 갈수록 제1샤프트(300)의 중심에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가이드부재(400)의 경사부(410)는 하측으로 갈수록 코크 몸체(100)의 챔버(120) 내벽에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네 개의 가이드부재(400)가 제1샤프트(300)의 측면에 형성된다. 각 가이드부재(400)는 제1샤프트(30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배열되고, 반경반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네 개의 가이드부재들(400) 중 하나의 가이드부재(400)는 코크 몸체(100)의 제1유입구(110)와 마주보는 위치가 되도록 제1샤프트(300)는 코크 몸체(100)에 삽입된다.
유입 유로(500)는 정수기와 코크 몸체(100)의 제1유입구(110)를 연결한다. 유입 유로(500)에는 정수기와 연결되어 정수가 유입 유로(500)로 유입되는 제2유입구(510)가 구비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유입구(510)는 코크 몸체(100)의 제1유입구(110)와 이격되어 제1유입구(110)보다 후방에서 유입 유로(500)에 구비된다. 유입 유로(500)는 정수가 흐르는 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유입구(510)를 통해 유입 유로(500)로 유입된 정수가 제1유입구(110)를 통해 코크 몸체(100)의 챔버(120)로 흐르게 된다.
제2샤프트(600)는 유입 유로(500) 내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샤프트(600)는 코크 몸체(100)의 제1유입구(110)와 유입 유로(500)의 제2유입구(510)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유입 유로(500)에 설치된다.
제2샤프트(600)는 슬라이드부재(610)를 구비한다. 제2샤프트(600)의 슬라이드부재(610)는 가이드부재(400)의 경사부(410)에 접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네 개의 경사부(410) 중 제1유입구(110)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제1샤프트(300)에 형성된 경사부(410)와 제2샤프트(600)의 슬라이드부재(610)가 서로 접촉한다. 슬라이드부재(610)는 제1유입구(110)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슬라이드부재(610)는 제1유입구(110)를 경유하여 가이드부재(400)의 경사부(410)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제2샤프트(600)는 제2기밀부재(620)를 구비한다. 제2기밀부재(620)는 제2샤프트(600)가 유입 유로(500)의 제2유입구(510)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제2유입구(510)를 기밀할 수 있도록 제2샤프트(600)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기밀부재(620)는 오링(O-Ring) 형태로 제2샤프트(600)에 끼워진다. 제2기밀부재(620)가 유입 유로(500)의 제2유입구(510)를 효과적으로 기밀하기 위해서, 제2기밀부재(620)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스프링(800)은 유입 유로(500)와 제2샤프트(600) 사이에 설치된다. 제2스프링(800)은 제2샤프트(600)의 슬라이드부재(610)가 가이드부재(400)의 경사부(410)에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레버(200)는 힌지 부재(210)와 연결 부재(220)와 손잡이 부재(230)로 이루어진다.
레버(200)의 힌지 부재(210)는 하면이 코크 몸체(100)의 상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힌지 부재(210)는 코크 몸체(100)의 상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제1샤프트(3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제1샤프트(300)에 힌지 결합된다. 도 2 및 도 4을 참조하면, 힌지 부재(210)는 힌지 부재(210)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코크 몸체(100)의 상면에 접하는 제1접촉부(211)와 후방에서 코크 몸체(100)의 상면에 접하는 제2접촉부(212)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접촉부(211)의 길이가 제2접촉부(212)의 길이보다 길다. 즉 힌지 부재(210)의 회전축은 힌지 부재(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한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레버(200)의 연결 부재(220)는 힌지 부재(210)에 연결되어 코크 몸체(100)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버(200)의 회전이 코크 몸체(100)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레버(200)의 연결 부재(220)의 중간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레버(200)가 회전하면 연결 부재(220)의 빈 공간을 코크 몸체(100)가 통과한다.
레버(200)의 손잡이 부재(230)는 코크 몸체(100)의 하측에서 레버(200)의 연결 부재(220)의 말단에 연결된다. 사용자는 손잡이 부재(230)를 통해 레버(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와 유입 유로(500)의 제2유입구(510)의 개폐를 통해 정수의 배출을 조절한다. 유출구(130)의 개폐는 코크 몸체(100)의 챔버(120)에 배치된 제1샤프트(300)에 의해 조절되고, 제2유입구(510)의 개폐는 유입 유로(500)에 배치된 제2샤프트(600)에 의해 조절된다.
사용자가 레버(200)를 당기거나 밀어서 레버(200)를 회전시키면, 레버(200)의 힌지 부재(210)가 회전한다. 힌지 부재(210)의 회전에 따라 힌지 부재의 접촉부(211, 212) 일부가 코크 몸체(100)의 상면과 맞닿아 힌지 부재(210)의 회전축을 상승시킨다. 힌지 부재(210)의 회전축이 상승하면 힌지 결합된 제1샤프트(300)도 함께 상승한다.
제1샤프트(300)가 상승하면 제1샤프트(300)와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 사이가 이격 되어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가 개방된다.
또한, 제1샤프트(300)에 형성된 가이드부재(400) 역시 함께 상승한다. 이 때, 가이드부재(400)의 경사부(410)에 접촉된 제2샤프트(600)의 슬라이드부재(610)가 가이드부재(400)의 경사부(410)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제2스프링(800)이 제2샤프트(600)의 슬라이드부재(610)가 가이드부재(400)의 경사부(4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제1샤프트(300)가 상승하는 동안 제2샤프트(600)의 슬라이드부재(610)는 가이드부재(400)의 경사부(410)에 계속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400)의 경사부(410)는 상측으로 갈수록 제1샤프트(300)의 중심에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샤프트(600)의 슬라이드부재(610)가 가이드부재(400)의 경사부(410)를 따라 슬라이딩하면 제2샤프트(600)는 제1샤프트(30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제2샤프트(600)가 제1샤프트(30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유입 유로(500)의 제2유입구(510)와 제2샤프트(600) 사이가 이격 되어 제2유입구(510)가 개방된다.
정리하면, 제1샤프트(300)의 상승에 따라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가 개방되고, 제2샤프트(600)가 슬라이딩하여 제2유입구(510)가 개방된다. 즉, 먼저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가 개방되고 제2유입구(510)가 개방된다. 정수는 제2유입구(510)를 통해 유입 유로(500)로 유입된다. 유입 유로(500)로 유입된 정수는 다시 코크 몸체(100)의 제1유입구(110)를 통해 코크 몸체(100)의 챔버(120)로 유입된다. 챔버(120)로 유입된 정수는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실시예의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정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유출구(130)와 제2유입구(510)의 순차적인 개방을 통해 정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와 같은 순차적 개방을 통해 정수가 유출구(130)에 가하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유출구(130)에 가해지는 정수의 압력을 제2유입구(510)를 통해 완충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내부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였다.
제1샤프트(300)의 상승은 레버(200)의 힌지 부재(210)의 하면과 코크 몸체(100)의 상면 사이의 각도가 90도를 이룰 때까지 계속된다. 힌지 부재(210)의 하면과 코크 몸체(100)의 상면 사이의 각도가 90도를 이루기 전에 사용자가 손잡이 부재(230)를 놓는 경우에는, 제1스프링(700)에 의해 레버(200)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코크 몸체(100)와 제1샤프트(300)사이에 설치된 제1스프링(700)이 코크 몸체(100)에 대해 제1샤프트(300) 를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 방향으로 밀어서 레버(200)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한다. 힌지 부재(210)의 하면과 코크 몸체(100) 상면이 90도가 되면, 힌지 부재(210)의 후면이 코크 몸체(100)의 상면과 맞닿게 되므로 힌지 부재(210)는 고정된다. 따라서 제1샤프트(300)는 상승된 채 고정될 수 있다.
정수 이용이 끝나면 사용자는 레버(200)를 놓거나 살짝 밀어서 레버(200)의 힌지 부재(210)의 하면과 코크 몸체(100)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미만이 되도록 한다. 힌지 부재(210)와 코크 몸체(100)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미만인 경우 제1스프링(700)에 의해 레버(200)는 원위치로 돌아간다. 레버(200)가 원위치로 돌아가면 제1샤프트(300)가 하강한다. 제1샤프트(300)가 하강하면, 제1샤프트(300)가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를 폐쇄한다. 제1샤프트(300)의 제1기밀부재(310)는 코크 몸체(100)의 유출구(130)를 기밀하여 정수가 유출구(130)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1샤프트(300)의 하강에 따라 제1샤프트(300)에 형성된 가이드부재(400)도 함께 하강한다. 가이드부재(400)가 하강하면 가이드부재(400)의 경사부(410)와 접촉한 제2샤프트(600)의 슬라이드부재(610)가 가이드부재(400)의 경사부(410)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제2샤프트(600)의 슬라이드부재(610)가 경사부(410)를 따라 슬라이딩하면, 제2샤프트(600)는 제1샤프트(3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은 제2샤프트(600)의 슬라이딩에 의해 유입 유로(500)의 제2유입구(510)가 폐쇄된다. 제2샤프트(600)의 제2기밀부재(620)는 유입 유로(500)의 제2유입구(510)를 기밀하여 정수가 제2유입구(510)를 통해 유입 유로(50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레버(200)를 밀어서 회전 시킬 때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레버(200)의 힌지 부재(210)는 제1접촉부(211)의 길이가 제2접촉부(212)의 길이보다 길다. 즉, 제1샤프트(300)에 대해 회전하는 힌지 부재(210)의 회전축은 힌지 부재(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레버(200)의 손잡이 부재(230)를 통해 레버(200)를 밀면, 레버(200)의 힌지 부재(210)가 제1샤프트(300)에 대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다. 힌지 부재(21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힌지 부재(210)의 제1접촉부(211) 일부가 코크 몸체(100)의 상면과 맞닿아 받침점이 되어 힌지 부재(210)의 회전축을 상승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접촉부(211)의 길이가 제2접촉부(212)보다 길기 때문에 앞서 레버(200)를 당겨서 회전시킬 때보다 회전축이 더 많이 상승한다. 힌지 부재(210)의 회전축이 더 많이 상승하면 힌지 부재(210)와 힌지 결합된 제1샤프트(300)도 더 많이 상승한다. 즉, 레버(200)를 밀어서 회전시키면 레버(200)를 당겨서 회전시킬 때보다 더 적은 각도의 회전으로 제1샤프트(3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레버(200)를 밀어서 회전시킬 때는 당겨서 회전시킬 때보다 회전할 수 있는 각도가 제한적이다. 레버(200)를 밀면 레버(200)가 정수기에 접촉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 부재(210)의 제1접촉부(211)와 제2접촉부(212)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회전할 수 있는 각도가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제1샤프트(300)를 충분히 상승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는 가이드부재(400)가 제1샤프트(3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가이드부재를 제1샤프트와 별도로 구비하고 가이드부재를 제1샤프트에 결합시켜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 가이드부재(400)는 총 네 개가 제1샤프트(300)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가이드부재의 개 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개의 가이드부재로 본 고안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한 개의 가이드부재는 코크 몸체의 제1유입구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제1샤프트에 결합된다.
또한, 앞에서는 유입 유로(500)에 제2유입구(510)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유입 유로가 제2유입구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2샤프트가 제1유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제1유입구와 유출구의 개폐를 통해 정수의 배출이 조절된다.
또한, 앞에서는 제1기밀부재(310)와 제2기밀부재(620)가 오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기밀부재와 제2기밀부재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레버(200)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100: 코크 몸체 110: 제1유입구
120: 챔버 130: 유출구
200: 레버 210: 힌지 부재
211: 제1접촉부 212: 제2접촉부
220: 연결 부재 230: 손잡이 부재
300: 제1샤프트 310: 제1기밀부재
400: 가이드부재 410: 경사부
500: 유입 유로 510: 제2유입구
600: 제2샤프트 610: 슬라이드부재
620: 제2기밀부재 700: 제1스프링
800: 제2스프링

Claims (7)

  1. 정수기를 통해 정수된 물(정수)을 배출하는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있어서,
    정수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입구로 유입된 정수가 유출되는 유출구와 상기 제1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챔버를 구비하는 코크 몸체;
    상기 코크 몸체의 챔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코크 몸체의 유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코크 몸체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샤프트;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샤프트의 중심에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샤프트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정수가 상기 코크 몸체의 제1유입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코크 몸체의 제1유입구와 상기 정수기를 연결하는 유입 유로;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부에 접촉하는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샤프트의 승강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부에 연동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코크 몸체의 제1유입구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유입 유로에 배치되는 제2샤프트;
    상기 제2샤프트의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재의 경사부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유입 유로와 상기 제2샤프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 및
    상기 코크 몸체에 대해 상기 제1샤프트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제1샤프트에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는, 상기 코크 몸체의 유출구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유출구를 기밀하는 제1기밀부재를 구비하는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유로는, 상기 정수가 상기 유입 유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코크 몸체의 제1유입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정수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샤프트는, 상기 제1샤프트의 승강에 따른 상기 제2샤프트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유입 유로의 제2유입구를 개폐하는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샤프트는, 상기 유입 유로의 제2유입구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유입구를 기밀하는 제2기밀부재를 구비하는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하면이 상기 코크 몸체의 상면과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샤프트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코크 몸체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코크 몸체의 하측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말단에 연결되는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는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힌지 부재는, 그 힌지 부재가 상기 제1샤프트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상기 코크 몸체의 상면과 접하는 제1접촉부와, 후방으로 상기 코크 몸체의 상면과 접하는 제2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부재의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 몸체에 대해 상기 제1샤프트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코크 몸체와 제1샤프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
KR2020170004681U 2017-09-05 2017-09-05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 KR201900006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681U KR20190000658U (ko) 2017-09-05 2017-09-05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681U KR20190000658U (ko) 2017-09-05 2017-09-05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58U true KR20190000658U (ko) 2019-03-14

Family

ID=65728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681U KR20190000658U (ko) 2017-09-05 2017-09-05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65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266A (ko) * 2020-02-20 2021-08-30 안기장 고저압 겸용 출수코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266A (ko) * 2020-02-20 2021-08-30 안기장 고저압 겸용 출수코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29916B2 (ja) 平板栓
CN109695748B (zh) 一种双联阀门装置
US2604113A (en) Valve
KR20190000658U (ko)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
US10393275B2 (en) Self-cleaning double block and bleed valve
KR101869042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US6938874B2 (en) Spanner for a ball valve
KR101178834B1 (ko) 콕밸브
KR100932400B1 (ko) 메탈시트를 갖는 볼 밸브
KR101962332B1 (ko) 버터플라이밸브 통합형 게이트밸브 및 그 작동 방법
KR20090033745A (ko) 세그먼트의 분리가 용이한 개폐 밸브
JP3897619B2 (ja) 自動給水装置
KR102035520B1 (ko)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
EP3440387B1 (en) A control valve having a hollow piston for controlling flow of fluid
US20020144732A1 (en) Liquid flow control valve
KR101142197B1 (ko) 버튼형 벨로우즈 밸브
KR200379001Y1 (ko) 나이프게이트 밸브
KR101844948B1 (ko) 유로 개폐용 링크 레버리지 어셈블리를 구비한 글로브밸브
KR20190064954A (ko) 게이트밸브
KR101107785B1 (ko) 레버형 핸들을 갖는 벨로우즈 밸브
EP1601901B1 (en) Toilet cistern filling valve
AU2018260842B2 (en) Diaphragm valve sealing arrangement
KR200213323Y1 (ko) 밸브용 실링의 기밀구조
KR20190065892A (ko) 유로를 밀착 폐쇄하는 게이트밸브
JPH0544896A (ja) フロ―ト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