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812B1 - 응축수 배출밸브 - Google Patents

응축수 배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812B1
KR101454812B1 KR20140040948A KR20140040948A KR101454812B1 KR 101454812 B1 KR101454812 B1 KR 101454812B1 KR 20140040948 A KR20140040948 A KR 20140040948A KR 20140040948 A KR20140040948 A KR 20140040948A KR 101454812 B1 KR101454812 B1 KR 101454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ndensed water
opening
inflow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0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판곤
Original Assignee
김판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판곤 filed Critical 김판곤
Priority to KR20140040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수 배출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공간과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출공간으로 구획되는 본체 및 상기 유출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제 1 홈부가 형성되며, 외면 일측에 상기 유출공간과 상기 제 1 홈부를 연통하는 내부유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유입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제 2 홈부가 형성되며, 외면 일측에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제 2 홈부를 연통하는 내부유입공이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유출공간을 연통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압축설비의 가동이 중단되어 압축공기 공기압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하로 내려가면 개폐부재가 개방되어 공기압축설비 내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공기압축설비의 압축공기 공기압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되면 개폐부재가 차폐되어 공기압축설비의 가동상태가 유지됨으로써, 공기압축설비 내부에 응축수가 누적되지 않아 누적된 응축수가 공기압축설비 또는 공기압축설비와 연결되는 공압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압축설비의 미가동시 개폐부재가 개방되어 공기압축설비 내부의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됨으로 인해 공기압축설비의 가동을 중단하고, 공기압축설비 내부의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배출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가 개방되거나 차폐되는 시점의 공기압축설비의 압축공기 공기압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압축설비의 압축공기 공기압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기압축설비를 요구되는 압축공기 공기압이 서로 상이한 다양한 공압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응축수 배출밸브{Drain valve of condensed water}
본 발명은 응축수 배출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압축설비의 응축수 배출관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압축설비의 압축공기 공기압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개방 또는 차폐됨으로써, 공기압축설비 내부에 생성된 응축수를 공기압축설비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응축수 배출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압축설비는 대기 중에 공기를 흡입하여 소정압력으로 압축시킨 후, 압축된 공기를 각종 공압기기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공기압축설비는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됨으로 인해 내부에 응축수가 생성되고, 이러한 응축수가 적정시기에 제거되지 않으면 설비의 오작동을 야기하게 된다. 즉, 우선적으로 응축수가 공기압축설비로 역류하여 공기압축설비의 기능정지 및 압축공기로 제어되는 각종 보조설비에 응축수가 침투하여 생산라인의 가동중단 및 제품의 불량이 야기되어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압축설비는 일측에 마련된 응축수 배출구에 별도의 드레인 유닛을 연결하여 공기압축설비 내부에 누적된 응축수를 주기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위와 같은 드레인 유닛에 관련된 기술로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92474호 및 제20-0299725호 공보 등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마다 자동으로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기적인 부가설비로 인하여 제품의 단가가 상승할 뿐 아니라 고장 발생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드레인 유닛의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응축수의 수위가 증가함에 따라 플로트가 상승하면서 밸브가 개방되어 유입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있으나, 유입되는 응축수에 포함된 유분 또는 이물질이 배출구를 쉽게 막아버리는 단점이 있어 지속적인 분해청소 관리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레인 유닛 내부에 저장되는 응축수가 일정수위에 도달해야지만 플로트가 상승하여 밸브를 개방시키는 구조로 인해 응축수가 일정수위에 도달되지 않아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기 이전에 공압기기로 압축공기를 유입하는 경우, 유입되는 압축공기에 응축수가 포함되어 공압기기를 손상시키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압축설비가 가동되어 공기압축설비를 통해 압축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압이 미리 설정된 압축공기 공기압에 도달되는 경우 자동으로 차폐되어 공기압축설비의 가동상태를 유지하고, 공기압축설비의 가동이 중단되어 공기압축설비 내부의 압축공기 공기압이 미리 설정된 압축공기 공기압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자동으로 개방되어 공기압축설비 내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응축수 배출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밸브가 개방되거나 차폐되는 시점의 공기압축설비의 압축공기 공기압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응축수 배출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압축설비의 응축수배출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압축설비 내부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압축공기와 함께 상기 공기압축설비의 외부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밸브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공간과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출공간으로 구획되는 본체 및 상기 유출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제 1 홈부가 형성되며, 외면 일측에 상기 유출공간과 상기 제 1 홈부를 연통하는 내부유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유입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제 2 홈부가 형성되며, 외면 일측에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제 2 홈부를 연통하는 내부유입공이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유출공간을 연통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공기압축설비의 공기압에 따라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유출공간 간에 연통되는 경로를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밸브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유출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본체 내면 일측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압부재에 상기 유입공간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 1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유입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본체 내면 일측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개폐부재에 상기 유출공간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 2 탄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탄성부의 탄성력은 상기 제 1 탄성부의 탄성력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제 1 탄성부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탄성부를 상기 유입공간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 내면 일측 중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공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유출공간으로 구획하며, 일측에 통과공이 형성된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 내면 일측과 상기 개폐부재 간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유출공을 통해 유출공간으로 유입된 응측수가 상기 제 1 탄성부가 설치된 유출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밀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이 상기 격벽에 지지되는 차폐위치에서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격벽 사이로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압축설비의 가동이 중단되어 압축공기 공기압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하로 내려가면 개폐부재가 개방되어 공기압축설비 내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공기압축설비의 압축공기 공기압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되면 개폐부재가 차폐되어 공기압축설비의 가동상태가 유지됨으로써, 공기압축설비 내부에 응축수가 누적되지 않아 누적된 응축수가 공기압축설비 또는 공기압축설비와 연결되는 공압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압축설비의 미가동시 개폐부재가 개방되어 공기압축설비 내부의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됨으로 인해 공기압축설비의 가동을 중단하고, 공기압축설비 내부의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배출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가 개방되거나 차폐되는 시점의 공기압축설비의 압축공기 공기압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압축설비의 압축공기 공기압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기압축설비를 요구되는 압축공기 공기압이 서로 상이한 다양한 공압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밸브의 설치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밸브의 개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밸브의 차폐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밸브의 탄성력 조절수단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밸브의 설치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밸브(1)는 구동모터(101), 압축펌프(102) 및 에어저장탱크(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압축설비(100)의 에어저장탱크(103) 하부에 별도로 마련된 응축수 배출관(103a)에 설치되어 에어저장탱크(103) 내부에 응축된 응축수를 압축공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응축수 배출밸브(1)는 에어저장탱크(103) 내부에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압에 대응하여 개폐동작이 제어되는 것으로서, 응축수 배출밸브(1)가 차폐되는 시점의 압축공기의 공기압을 체크하기 위해 응축수 배출관(103a) 일측에는 별도의 압력계(103b)가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밸브(1)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밸브(1)는 본체(10), 가압부재(20), 개폐부재(30), 탄성력 조절수단(40), 제 1 밀폐부재(50) 및 제 2 밀폐부재(60) 및 필터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는 몸체부(11), 제 1 캡부(12) 및 제 2 캡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1)는 대략 원형의 관체형상으로서 외면 일측에 유출구(11a)가 형성되고, 내면 일측 중 후술하는 제 1 캡부(12)가 결합되는 일단부와 유출구(11a) 간에 일측에 통과공(11c)이 형성된 격벽(11b)이 형성된다.
여기서, 유출구(11a)는 몸체부(11) 내부로 유입되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고, 격벽(11b)은 몸체부(11) 내부의 수용공간을 후술하는 제 1 캡부(12)에 형성된 유입구(12a)와 연통되는 유입공간(S1)과 유출구(11a)와 연통되는 유출공간(S2)으로 구획하게 된다.
제 1 캡부(12)는 대략 원형의 관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유입구(12a)가 형성되며, 타단이 몸체부(11)의 일단에 결합되어 후술하는 개폐부재(30), 필터부재 및 제 2 탄성부(33)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유입구(12a)가 형성된 제 1 캡부(12)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공기압축설비(100)의 응축수 배출구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나사결합되며, 유입구(12a)를 통해 공기압축설비(100)의 응축수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압축공기 및 응축수가 유입된다.
제 2 캡부(13)는 대략 원형의 관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삽입구(13a)가 형성되며, 타단부가 몸체부(11)의 타단에 결합되어 후술하는 가압부재(20) 및 제 1 탄성부(23)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삽입구(13a)는 후술하는 탄성력 조절수단(40)의 일단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영역을 제공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탄성력 조절수단(40)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된다.
가압부재(20)는 본체(10)의 유출공간(S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대략 본체(1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원통형상으로서 일단이 격벽(11b)에 지지되는 가압몸체(21)와, 제 2 캡부(13)의 삽입구(13a)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형상으로서 일단이 가압몸체(21)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 2 캡부(13)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 2 캡부(13)의 삽입구(13a)에 삽입되는 연장부(22) 및 가압몸체(21)와 제 2 캡부(13) 간에 개재되는 제 1 탄성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압몸체(21)는 격벽(11b)에 지지되는 일단에 제 2 캡부(13) 방향으로 제 1 홈부(21a)가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제 1 홈부(21a)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유출공(21b)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홈부(21a)는 후술하는 개폐부재(30)의 제 2 홈부(31a)와 연통되고, 제 2 홈부(31a)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가 내부유출공(21b)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내부유출공(21b)은 제 1 홈부(21a)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가 본체(10)의 유출공간(S2)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유출공간(S2)으로 유입된 응축수는 유출구(11a)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연장부(22)는 타단이 제 2 캡부(13)의 삽입구(13a)에 삽입됨으로써, 가압부재(20)가 유출공간(S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후술하는 제 1 탄성부(23)의 설치영역을 제공한다.
제 1 탄성부(23)는 연장부(22)에 삽입되어 일단이 가압몸체(21)의 타단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 2 캡부(13)에 지지되어 가압부재(20)에 유입공간(S1)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여 가압몸체(21)의 일단이 본체(10)의 격벽(11b)에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1 탄성부(23)의 탄성력은 공기압축설비의 미리 설정된 압축공기 공기압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공기압축설비의 압축공기 공기압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되는 경우, 후술하는 개폐부재가 차폐위치에 도달되어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기압축설비의 정상 가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개폐부재(30)는 본체(10)의 유입공간(S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대략 통과공(11c)과 대응되는 직경의 원통형상으로서 일단부가 통과공(11c)을 통해 삽입되어 일단이 제 1 홈부(21a)가 형성된 가압몸체(21) 일단에 지지되는 삽입부(31)와, 대략 유출공간(S2)과 대응되는 직경의 원통형상으로서 일단이 삽입부(31)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 1 캡부(12)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개폐부(32) 및 제 1 캡부(12)와 개폐부(32) 간에 개재되는 제 2 탄성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삽입부(31)는 일단에 제 1 캡부(12) 방향으로 제 2 홈부(31a)가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제 2 홈부(31a)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유입공(31b)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홈부(31a)는 제 1 홈부(21a)와 연통되어 내부유입공(31b)으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가 제 1 홈부(21a)로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내부유입공(31b)은 제 1 캡부(12)의 유입구(12a)를 통해 유입공간(S1)으로 유입된 응축수가 제 1 홈부(21a)로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유입공간(S1)으로 유입된 응축수는 제 1 홈부(21a), 제 2 홈부(31a), 내부유출공(21b) 및 유출구(11a)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개폐부(32)는 타단에 안착홈(32a)이 형성되고, 이러한 안착홈(32a)은 후술하는 제 2 탄성부(33)의 일단이 지지되는 영역을 제공하게 된다.
제 2 탄성부(33)는 일단이 제 1 캡부(12)에 지지되고, 타단이 개폐부(32)의 안착홈(32a)에 지지되어 개폐부(32)에 유출공간(S2)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역할을 하며, 제 1 탄성부(23)의 탄성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2 탄성부(33)는 유입구(12a)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압이 제 1 탄성부(23)의 탄성력 이하인 경우, 제 1 캡부(12)와 개폐부재(30) 간에 개재되어 개폐부(32)의 일측이 격벽(11b)과 이격되고, 삽입부(31)의 내부유입공(31b)이 유입공간(S1)에 위치되어 유입공간(S1)으로 유입된 압축공기 및 응축수가 내부유입공(31b)을 통해 유입되는 개방위치에 개폐부재(30)가 위치되도록 하고, 유입공간(S1)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압이 제 1 탄성부(23)의 탄성력 이상인 경우, 개폐부재(30)에 유출공간(S2)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압축공기의 공기압을 통해 개폐부(32)의 일측이 격벽(11b)에 지지되고, 삽입부(31)의 내부유입공(31b)이 통과공(11c) 내부에 위치되어 유입공간(S1)으로 유입된 압축공기 및 응축수가 유출공간(S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는 차폐위치에 개폐부재(30)가 용이하게 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개폐부재(30)는 유입공간(S1)으로 응축수와 동반유입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압이 제 1 탄성부(23)의 탄성력 이하로 하강하면 개폐부(32)의 일단이 격벽(11b)과 이격되고 삽입부(31)에 형성된 내부유입공(31b)이 유입공간(S1)에 위치하여 유입구(12a)를 통해 유입공간(S1)으로 유입된 압축공기 및 응축수가 내부유입공(31b)으로 유입되는 개방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압축공기의 공기압이 제 1 탄성부(23)의 탄성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개폐부(32)의 일단이 격벽(11b)에 지지되고 삽입부(31)에 형성된 내부유입공(31b)이 통과공(11c)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입구(12a)를 통해 유입공간(S1)으로 유입된 압축공기 및 응축수가 내부유입공(31b)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는 차폐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탄성력 조절수단(40)은 제 2 캡부(13)의 삽입구(13a)와 대응되는 직경의 관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 외주면이 삽입구(13a)의 내주면에 나사체결되어 유출공간(S2)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출공간(S2)으로 유입된 일단이 제 2 캡부(13)에 지지되는 제 1 탄성부(23)의 타단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탄성력 조절수단(40)의 타단부에는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파지부(4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력 조절수단(40)은 유출공간(S2)으로 유입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유입되는 일단에 지지되는 제 1 탄성부(23)의 타단의 지지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가압부재(20)에 유입공간(S1)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 1 탄성부(23)의 탄성력의 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개폐부재(30)가 격벽(11b)에 지지되어 유입공간(S1)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 및 응축수가 유출공간(S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는 차폐위치로 이동되는 시점의 공기압축설비의 압축공기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탄성력 조절수단(40)을 통해 제 1 탄성부(23)의 탄성력을 강도를 가변시켜 개폐부재(30)가 차폐위치로 이동되는 시점의 공기압축설비의 압축공기 공기압을 조절하는 이유는 연결되는 공압기기의 종류에 따라 공기압축설비에 요구되는 압축공기 공기압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제 1 밀폐부재(50)는 가압부재(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유출공간(S2)으로 유입된 응축수가 제 1 탄성부(23)가 설치된 유출공간(S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밀폐부재(60)는 개폐부재(30)의 일측에 설치되고, 차폐위치에서 개폐부재(30)의 일측이 격벽(11b)에 지지되는 경우, 개폐부재(30)의 일측과 격벽(11b) 사이를 통해 유입공간(S1)으로 유입된 응축수가 유출공간(S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1 밀폐부재(50) 및 제 2 밀폐부재(60)는 공지의 오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부재(70)는 제 1 캡부와 개폐부재 간에 설치되고, 제 1 캡부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밸브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밸브의 개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밸브의 차폐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공기압축설비의 가동이 중단되어 공기압축설비 내부의 압축공기 공기압이 미리 설정된 공기압 이하로 내려감과 동시에 제 1 탄성부(23)의 탄성력 이하로 하강하거나, 공기압축설비가 초기 가동되어 공기압축설비 내부의 압축공기 공기압이 미리 설정된 공기압에 도달되지 않아 제 1 탄성부(23)의 탄성력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30)는 개폐부(32)의 일단이 격벽(11b)과 이격되고, 삽입부(31)에 형성된 내부유입공(31b)이 유입공간(S1)에 위치하는 개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공기압축설비로부터 본체(10)의 유입구(12a)를 통해 유입공간(S1)으로 동반유입된 압축공기와 응축수는 내부유입공(31b), 제 2 홈부(31a), 제 1 홈부(21a) 및 내부유출공(21b)을 거쳐 유출공간(S2)으로 유입되고, 유출공간(S2)으로 유입된 압축공기와 응축수는 유출구(1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공기압축설비가 초기 가동되어 공기압축설비 내부의 압축공기 공기압이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미리 설정된 공기압에 도달하여 제 1 탄성부(23)의 탄성력 이상이 되는 경우, 개폐부재(30)는 개폐부(32)의 일단이 격벽(11b)에 지지되고, 삽입부(31)삽입부(31)내부유입공(31b)이 통과공(11c)의 내부에 위치하는 차폐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공기압축설비로부터 본체(10)의 유입구(12a)를 통해 유입공간(S1)으로 동반유입된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됨으로 인해 공기압축설비를 정상 가동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밸브(1)는 공기압축설비의 압축공기 공기압이 미리 설정된 공기압에 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부재(30)가 개방되어 유입된 압축공기와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공기압축설비의 압축공기 공기압이 미리 설정된 공기압에 도달되는 경우에는 개폐부재(30)가 차폐되어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공기압축설비의 정상 가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밸브의 탄성력 조절수단의 동작을 보여주기 개략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 조절수단(40)을 유입공간(S1) 방향으로 이동시켜 탄성력 조절수단(40)의 유입된 일단에 지지되는 제 1 탄성부(23) 타단의 지지위치를 유입공간(S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1 탄성부(23)가 압축되어 가압부재(20)에 유입공간(S1)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 1 탄성부(23)의 탄성력의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 조절수단(40)을 유입공간(S1)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탄성력 조절수단(40)의 유입된 일단에 지지되는 제 1 탄성부(23) 타단의 지지위치를 유출공간(S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1 탄성부(23)의 압축력이 해제되어 가압부재(20)에 유입공간(S1)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 1 탄성부(23)의 탄성력의 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위와 같이, 탄성력 조절수단(40)을 통해 가압부재(20)에 유입공간(S1)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 1 탄성부(23)의 탄성력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개폐부재(30)가 차폐되는 시점의 압축공기 공기압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공기압축설비에 연결되는 공압기기가 변경되어 공기압축설비의 미리 설정된 압축공기 공기압이 변경되더라도, 압력조절수단을 통해 제 1 탄성부재의 탄성력의 강도를 가변시킴으로써, 공기압축설비의 변경된 압축공기 공기압에 대응하여 개폐부재(30)가 개방 또는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응축수 배출밸브 10 : 본체
11 : 몸체부 11a : 유출구
11b : 격벽 11c : 통과공
12 : 제 1 캡부 12a : 유입구
13 : 제 2 캡부 13a : 삽입구
20 : 가압부재 21 : 가압몸체
21a : 제 1 홈부 21b : 내부유출공
22 : 연장부 23 : 제 1 탄성부
30 : 개폐부재 31 : 삽입부
31a : 제 2 홈부 31b : 내부유입공
32 : 개폐부 32a : 안착홈
33 : 제 2 탄성부 40 : 탄성력 조절수단
41 : 파지부 50 : 제 1 밀폐부재
60 : 제 2 밀폐부재 70 : 필터부재
100 : 공기압축설비 101 : 구동모터
102 : 압축펌프 103 : 에어저장탱크
103a : 응축수 배출관 103b : 압력계
S1 : 유입공간 S2 : 유출공간

Claims (6)

  1. 공기압축설비의 응축수배출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압축설비 내부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압축공기와 함께 상기 공기압축설비의 외부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밸브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되고, 내면 일측에 통과공이 형성된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유입공간과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유출공간으로 구획되는 본체와;
    상기 유출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제 1 홈부가 형성되며, 외면 일측에 상기 유출공간과 상기 제 1 홈부를 연통하는 내부유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간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유출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본체 내면 일측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압부재에 상기 유입공간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 1 탄성부와;
    상기 유입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제 2 홈부가 형성되며, 외면 일측에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제 2 홈부를 연통하는 내부유입공이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유출공간을 연통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본체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제 1 탄성부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탄성부를 상기 유입공간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 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공기압축설비의 공기압에 따라 상기 유입공간과 상기 유출공간 간에 연통되는 경로를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본체 내면 일측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개폐부재에 상기 유출공간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 2 탄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탄성부의 탄성력은 상기 제 1 탄성부의 탄성력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밸브.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면 일측과 상기 개폐부재 간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밸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유출공을 통해 유출공간으로 유입된 응측수가 상기 제 1 탄성부가 설치된 유출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밀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이 상기 격벽에 지지되는 차폐위치에서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격벽 사이로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밸브.
KR20140040948A 2014-04-07 2014-04-07 응축수 배출밸브 KR101454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0948A KR101454812B1 (ko) 2014-04-07 2014-04-07 응축수 배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0948A KR101454812B1 (ko) 2014-04-07 2014-04-07 응축수 배출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812B1 true KR101454812B1 (ko) 2014-11-04

Family

ID=52289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0948A KR101454812B1 (ko) 2014-04-07 2014-04-07 응축수 배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8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28B1 (ko) 2015-08-19 2016-01-20 김판곤 공기 압축장치의 응축수 배출 시스템
KR101897439B1 (ko) * 2018-05-17 2018-09-10 최규호 다단압축기용 오토드레인트랩
KR20200138922A (ko) * 2019-06-03 2020-12-11 노준식 응축수 배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903Y1 (ko) * 1988-01-22 1990-05-31 김영국 자동 개폐밸브
KR20000024084A (ko) * 1999-02-04 2000-05-06 경장호 증기 및 압축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KR200209980Y1 (ko) * 2000-08-04 2001-01-15 고정식 응축수 자동 배수밸브
KR101166689B1 (ko) * 2011-10-26 2012-07-19 주식회사 에네스지 체크밸브 내장형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 터빈밸브 제어 액추에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903Y1 (ko) * 1988-01-22 1990-05-31 김영국 자동 개폐밸브
KR20000024084A (ko) * 1999-02-04 2000-05-06 경장호 증기 및 압축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KR200209980Y1 (ko) * 2000-08-04 2001-01-15 고정식 응축수 자동 배수밸브
KR101166689B1 (ko) * 2011-10-26 2012-07-19 주식회사 에네스지 체크밸브 내장형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 터빈밸브 제어 액추에이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28B1 (ko) 2015-08-19 2016-01-20 김판곤 공기 압축장치의 응축수 배출 시스템
KR101897439B1 (ko) * 2018-05-17 2018-09-10 최규호 다단압축기용 오토드레인트랩
KR20200138922A (ko) * 2019-06-03 2020-12-11 노준식 응축수 배출장치
KR102236559B1 (ko) * 2019-06-03 2021-04-05 노준식 응축수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812B1 (ko) 응축수 배출밸브
US20060275141A1 (en) Method of feeding an inert gas and a system therefor
JP4917158B2 (ja) 高圧ドライエア供給システム
ZA200506449B (en) Machine for injecting liquids
JP6615523B2 (ja) 水素圧縮装置および水素充填システム
CN104088793B (zh) 一种空压机进气控制阀总成
SG11201907489SA (en) Excrement treatment method and device for same
KR101575958B1 (ko) 철도차량의 급수시스템
CN105443844B (zh) 用于容积式真空泵的真空调节阀装置
KR20180050061A (ko) 시동 공기 밸브
CN103016311B (zh) 一种应用于吸尘器反吹清灰系统的卸荷单向阀
CN108906357A (zh) 一种采煤机滚筒稳压喷嘴和稳压喷水的方法
KR101905148B1 (ko) 슬러지 이송장치
CN103899807B (zh) 弹簧外置的低维护式泄压/持压阀
KR101587128B1 (ko) 공기 압축장치의 응축수 배출 시스템
KR102099930B1 (ko) 역세척 기능을 가진 슬러지 정화장치
US2894677A (en) Rotary compressor control
CN204985755U (zh) 超高压清洗机泵用卸荷阀
KR101200121B1 (ko) 오일 배출 및 공급장치
TW201619505A (zh) 真空泵系統
KR102208930B1 (ko) 응축수 자동 드레인 밸브
US9987667B1 (en) Anti-caking device
KR200414693Y1 (ko) 유압기계용 에어 브리더
KR102032636B1 (ko) 저장조용 부착광 제거장치
CN106523887B (zh) 一种滤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