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958B1 - 철도차량의 급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급수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5958B1 KR101575958B1 KR1020140058712A KR20140058712A KR101575958B1 KR 101575958 B1 KR101575958 B1 KR 101575958B1 KR 1020140058712 A KR1020140058712 A KR 1020140058712A KR 20140058712 A KR20140058712 A KR 20140058712A KR 101575958 B1 KR101575958 B1 KR 1015759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pipe
- pneumatic
- water
- wate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5/00—Sani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급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물탱크의 물을 급수대로 공급하는 급수관와, 상기 급수관에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배수되거나 상기 급수대로 공급되도록 물의 경로를 바꾸기 위한 관배수 밸브와,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 공급원와, 상기 관배수 밸브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공압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공압라인을 바꾸기 위한 관배수 제어밸브와, 상기 관배수 밸브와 상기 관배수 제어밸브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공압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공압을 관배수 밸브로 공급하기 위한 공압관과, 상기 관배수 밸브와 공압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관배수 밸브로 이동되는 공압을 상기 급수관으로 보내기 위한 동결방지 밸브를 포함한다. 따라서, 관배수 밸브와 배수관 및 공압관 사이에서 공압관을 통해 관배수 밸브로 유입되는 공압을 급수관으로 보내서 급수관의 잔류수를 공압으로 강제 배수시킴으로써, 급수관의 동결 및 동파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 차량의 급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 차량에서 화장실과 세면실 등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철도 차량의 급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화장실, 세면실 등에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화장실, 세면실 등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시스템이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철도차량용 급수시스템이 한국 등록특허공보 특0161685호(1998.08.26.: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차량용 급수시스템의 일예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물이 흐르는 관로, 이 관로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밸브, 밸브를 작동하기 위한 공압이 흐르는 관로 및 공압이 흐르는 관로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밸브들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져 급수 또는 배수를 수행하게 된다.
먼저, 도면에서 점선은 공기가 흐르는 공압라인이고, 실선은 물이 흐르는 관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철도 차량용 급수시스템(10)은 화장실의 세면대(1)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1), 물탱크(11)로부터 세면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인 급수관(12), 급수관(12)의 물의 배수를 제어하기 위한 전배수 밸브(13), 물탱크(11) 내의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채워졌을 때 물탱크(11) 내의 물을 배수시키도록 물탱크(11)에 연결된 오버플로우 배수관(14), 오버플로우 배수관(14)을 흐르는 물을 제어하는 오버플로우 밸브(15), 전배수 밸브(13)에 전배수 제어밸브(16) 사이에 연결되는 제1,2공압관(17), 제1,2공압관(17)의 공기흐름을 제어하여 전배수 밸브(13)를 제어하는 전배수 제어밸브(16), 제1,2공압관(17)에 소정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공급원(18)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급수시스템(10)은 전배수 밸브(13)에 인접하여 급수관(12)에 설치되는 관배수 밸브(19), 관배수 밸브(19)를 제어하는 관배수 제어밸브(20), 관배수 제어밸브(20)와 관배수 밸브(19) 사이를 연결하는 제3,4공압관(21)을 더 포함하여 물탱크(11)의 물은 배수하지 않고, 급수관(12)의 물만 배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수시스템은 동절기에 운행이 끝난 철도차량의 급수관(12)에 남아 있는 물을 배수시켜주어야 동파나 동결을 방지할 수 있는바, 급수관(12)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해서 작업자가 전배수 제어밸브(16)를 작동시키게 되면, 전배수 제어밸브(16)의 공급라인이 변환되면서 제2공압관(17)을 통해 공압이 공급되어 급수관(12)과 연결된 전배수밸브(13)를 열어 급수관(12)의 물을 배수함과 동시에 물탱크(11)의 물을 배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급수관(12)의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관배수 제어밸브(20)를 작동시키면, 관배수 제어밸브(20)의 공급라인이 제4공급관(21)으로 바뀌게 되면서 관배수 밸브(19)는 물탱크(11) 쪽의 급수관(12)이 막히고, 배수관(22) 쪽이 열리면서 이 배수관을 통해 급수관(12)의 물이 배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철도 차량의 급수시스템은, 급수관(12)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서는 관배수 밸브(19)를 열어서 자연 낙하식으로 잔류수를 배수하도록 구성됨으로, 급수관(12)의 관로 특성상 급수관(12)이 직선이면서 아래로만 향하도록 구성되기 어렵기 때문에, 급수관(12) 상에 잔류수가 남아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급수관(12)이 동결되거나 동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급수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관에 동결방지 밸브를 구성하여 관배수 제어밸브 작동시 공압이 급수관으로 공급되도록 한 철도차량의 급수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물을 급수대로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에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배수되거나 상기 급수대로 공급되도록 물의 경로를 바꾸기 위한 관배수 밸브와,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 공급원과, 상기 관배수 밸브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공압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공압라인을 바꾸기 위한 관배수 제어밸브와, 상기 관배수 밸브와 상기 관배수 제어밸브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공압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공압을 관배수 밸브로 공급하기 위한 공압관과, 상기 관배수 밸브와 공압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관배수 밸브로 이동되는 공압을 상기 급수관으로 보내기 위한 동결방지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동결방지 밸브는 상하부가 관통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밸브 하우징와, 상기 밸브 하우징과 상기 공압관을 연결하여 공압을 밸브 하우징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부재와,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한 밸브체와, 상기 밸브 하우징 내에서 밸브체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동결방지 밸브는, 상기 밸브 하우징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체가 일정이상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밸브체의 상단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가 밀착되어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배수 밸브와 배수관 및 공압관 사이에서 공압관을 통해 관배수 밸브로 유입되는 공압을 급수관으로 보내기 위한 동결방지 밸브가 구비되어 급수관의 잔류수를 공압으로 강제 배수시킴으로써, 급수관의 동결 및 동파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차량용 급수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급수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도 2의 철도차량용 급수시스템에서 동결방지용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동결방지용 밸브의 가압부재와 이탈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급수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도 2의 철도차량용 급수시스템에서 동결방지용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동결방지용 밸브의 가압부재와 이탈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급수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철도차량용 급수시스템에서 동결 방지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동결방지용 밸브의 가압부재와 이탈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면에서 점선은 공기가 흐르는 공압라인이고, 실선은 물이 흐르는 관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급수시스템(100)은, 물탱크(110), 급수관(120), 오버플로우 배수관(140), 오버플로우 제어밸브(141), 공압공급원(130), 관배수 밸브(150), 관배수 제어밸브(151), 공압관(152), 전배수 밸브(160), 전배수 제어밸브(161)를 포함하는 것으로, 급수관(120)의 동파 방지를 위하여 관배수 제어밸브(150)의 작동시 관배수 밸브(150)로 공급되는 공압을 급수관(120)으로 보내기 위한 동결 방지 밸브(200)를 더 포함한다.
먼저, 철도 차량의 급수시스템(100)에서 물이 사용되는 곳을 급수대(101)라 칭하고, 이 급수대(101)를 예를 들면, 화장실, 세면대 등이 있다.
물탱크(110)는 철도차량의 급수대(101)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한다.
급수관(120)은 물탱크(110)와 급수대(101) 사이를 연결하여, 물탱크(110)의 물이 급수대(101)로 이동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물탱크(110)에는 물탱크(110) 내에 일정수위 이상의 물이 채워졌을 때 물탱크(110) 내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오버플로우 배수관(140)이 연결된다. 이 오버플로우 배수관(140)에는 오버플로우 배수관(140)을 흐르는 물을 제어하기 위한 오버플로우 제어밸브(141)가 구비된다.
급수관(120)에는 급수관(120)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여 급수관(120)의 동결 및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관배수 밸브(150)와, 물탱크(110)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전배수 밸브(160)가 구비된다. 이 관배수 밸브(150)는 관배수 제어밸브(151)에 의해 제어된다. 관배수 제어밸브(151)는 철도차량에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철도차량의 객차에 구비된다.
관배수 밸브(150)는 3위치볼밸브(3-way ball valve)로 구성되어 물탱크에 연결된 급수관(120), 급수대(101)에 연결되는 급수관(120), 물의 외부로 배출시키기는 배수관(170)에 연결된다. 이 관배수 밸브(150)는 관배수 제어밸브(151)에 의해 물탱크(110)의 급수관(120)과 급수대(101)의 급수관(120) 사이를 연결 및 차단하거나 배수관(170)과 급수대(101)의 급수관(120) 사이를 연결 및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전배수 밸브(160)는 전배수 제어밸브(161)에 의해 제어되며, 전배수 제어밸브(161)는 관배수 제어밸브(151) 근처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인 철도차량의 객차 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압관(152)은 후술하는 공압공급원(130)과 관배수 밸브(150)와 관배수 제어밸브(151) 사이 및 전배수 밸브(160)와 전배수 제어밸브(161)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공압공급원(130)에서 공급되는 공압을 각각 관배수 밸브(150)와 전배수 밸브(160)로 공급한다.
여기서, 공압관(152)은 관배수 밸브(150)와 관배수 제어밸브(151) 사이에 한 쌍이 연결되어 구성되고, 전배수 밸브(160)와 전배수 제어밸브(161) 사이에 연결되는 것도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 공압관(152)은 관배수 밸브(150)와 관배수 제어밸브(151) 사이에 한 쌍이 서로 연결되며, 관배수 제어밸브(151)의 작동에 의해 공압공급원(130)에서 발생되는 공압이 하나의 공압관(152)에 의해 관배수 밸브(150)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즉, 관배수 제어밸브(151)의 작동에 따라 공압공급원(130)의 공압이 관배수 밸브(150)를 제어하여, 관배수 밸브(150)에 의해 물탱크(110)의 물이 급수대(101)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물탱크(110)의 물이 급수대(101)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한다.
물탱크(110)와 관배수 밸브(150) 사이를 연결하는 급수관(120)에는 물탱크(110)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전배수 밸브(160)가 구비되고, 이 전배수 밸브(160)는 전배수 제어밸브(161)의 작동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전배수 밸브(160)와 전배수 제어밸브(161) 사이에는 한 쌍의 다른 공압관이 연결된다. 전배수 제어밸브(161)의 작동에 의해 공압공급원(130)에서 발생되는 공압이 하나의 다른 공압관에 의해 전배수 밸브(160)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공압공급원(130)은 공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컴프레셔나 에어펌프로 구성된다.
동결 방지 밸브(200)는 관배수 밸브(150)와 공압관(152) 사이에 구비되어, 관배수 밸브(150)를 작동시키기 위한 공압을 급수관(120)으로 보내 급수관(120)의 동결 및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동결 방지 밸브(200)는 관배수 밸브(150)를 구성하는 3방향 밸브에서 급수관(120)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170)에 연결되고, 공압관(152)에 연결된다.
이 동결 방지 밸브(200)는 배수관(170)과 공압관(152)에 연결되며 배수관(170)과 공압관(152)을 연통시키는 연결부재(210), 연결부재(210)에 연통되어 결합되고 외부로 연통되는 밸브 하우징(220), 밸브 하우징(220) 내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차단을 해제하기 위한 밸브체(230), 밸브체(230)를 밸브 하우징(220) 내에서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240)를 포함한다.
연결부재(210)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되, 상부가 급수관(120)에서 외부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170)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연결부재(210)는 공압관(152)에 연통하여 결합되어 공압이 유입되도록 하는 공압 유입부가 연결부재(210)에 관통되도록 측부에 구비된다.
밸브하우징(220)은 내부에 연결부재(210)를 통해 유입되는 공압에 의해 후술하는 밸브체(230)가 작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밸브하우징(22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밸브 하우징(22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고, 밸브체(230)가 끼워져 밸브체(230)의 작동을 위한 밸브체 작동공간을 가지는 밸브체 작용부(221)가 형성된다.
즉, 밸브하우징(220)의 밸브체 작용부(221)에서 밸브체(230)가 상하로 왕복 이동하면서 밸브하우징(220)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거나 차단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밸브체(230)는 밸브하우징(220) 내에서 밸브체 작용부(221)의 내주면에 끼워져 상하로 왕복 이동되면서 밸브하우징의 내부를 외부로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밸브체(230)는 상단부 가장자리에 리브(231)가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탄성체(240)의 상단을 지지하게 된다.
밸브체 작용부(221)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내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경사부(221a)가 형성되고, 밸브체(230)의 하단에는 경사부(221a) 내주면에 끼워지되 경사부(221a)와 다른 경사를 갖는 경사면(231)이 형성된다. 여기서, 경사면(231)은 하측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밸브하우징(220)에는 밸브체 작용부(221)에서 경사부(221a) 상부에는 탄성체(240)가 지지되는 턱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밸브체 작용부(221)의 경사부(221a)의 경사는 밸브체(230)의 경사면(231)의 경사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게 형성됨으로써, 벨브체(230)가 하측으로 조금만 이동하더라도 밸브체(230)가 밸브하우징(220)의 내부를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동결 방지 밸브(200)는 밸브하우징(220)의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밸브체(230)의 상부에서 밸브하우징(220)으로 유입되는 공압으로 이동하면서 밸브체(230)를 하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250)을 더 구비한다.
가압부재(250)는 밸브 하우징(220)의 내주면에 끼워지되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통기홀(251)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압부재(250)는 밸브하우징(220)으로 공압이 유입되는 초기에는 통기홀(25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유입되는 공압이 통기홀(251)을 통해 배출되는 공압이 크게 될 때 하측으로 이동하여 밸브체(230)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 가압부재(20)와 밸브체(230)가 탄성체(240)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될 때 밸브체(230)가 밸브체 작용부(2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260)를 더 포함한다.
이탈방지부재(260)는 밸브하우징(2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끼움홈(220a)에 결합되되, 가압부재(250)의 위쪽에 구비된다.
이탈방지부재(260)는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반경이 밸브 하우징(22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부재로 구성된다.
이 링부재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밸브하우징(2 20)의 내경에 끼울 때 압축되어 반경이 작아진 상태로 끼워진 후에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끼움홈(220a)에 끼워진다.
이탈방지부재(260)의 개구부에는 가압부재(250)의 윗면을 지지하여 스톱퍼 역할을 하는 멈춤돌기(26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급수시스템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철도차량이 운행 중일 때에는 물탱크의 물이 세면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관배수 밸브(150)는 물탱크(110)의 물이 급수대(101)로 공급되도록 물탱크(110)의 급수관(120)과 급수대(101)로 연결되는 급수관(120)이 연통되고, 배수관(170) 쪽으로는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후에, 운행을 마치고 차량 기지에 철도차량이 들어오게 되면, 급수시스템(100)의 동파 및 동결 방지를 위하여 급수관(120)와 물탱크(110)의 물을 완전히 배수시키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관배수 제어밸브(151)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관배수 제어밸브(151)의 공압 공급라인이 공압관(152)으로 바뀌게 되면서 관배수 밸브(150)는 물탱크(110) 쪽의 급수관(120)이 차단되고, 배수관(170) 쪽이 개방된다. 이때, 관배수 밸브(150)의 하측에서 배수관(170)에 연결되는 동결 방지 밸브(200)로 공압이 유입된다. 그러면, 동결 방지 밸브(200)에서 밸브 하우징(220) 내에 구비되는 밸브체(230)가 공압에 의해 가압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밸브 하우징(220)의 하부를 막게 된다.
이때, 동결 방지 밸브(200)의 밸브 하우징(220) 내로 유입된 공압은 3방 밸브로 구성되는 관배수 밸브(150)를 통하여 급수대(101)에 연결되는 급수관(120)으로 유입되어 급수관(120)에 남아 있는 물을 강제로 배기하게 된다. 이렇게 공압에 의해 급수관(120)의 물이 배기되고 나면, 밸브 하우징(220)의 하부를 막고 있는 밸브체(230)는 탄성체(240)에 의해 밸브 하우징(220)의 하부가 개방된다. 그러면 동결 방지 밸브(200)와 관배수 밸브(150)에 남아 있는 잔류수는 밸브 하우징(220)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급수 시스템은, 동결 방지 밸브에 의하여, 급수관의 물의 배수시 급수관으로 공압을 공급하여, 급수관의 물을 강제로 배출하게 됨으로써, 급수관에 잔류수가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급수관의 동결 및 동파 방지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급수시스템 101 : 급수대
110 : 물탱크
120 : 급수관
130 : 공압공급원
140 : 오버플로우 배수관 141 : 오퍼플로우 제어밸브
150 : 관배수 밸브 151 : 관배수 제어밸브
152 : 공압관
160 : 전배수 밸브 161 : 전배수 제어밸브
170 : 배수관
200 : 동결 방지 밸브
210 : 연결부재 220 : 밸브 하우징
220a : 끼움홈
221 : 밸브체 작용부 221a: 경사부
230 : 밸브체 231 : 경사면
240 : 탄성체
250 : 밸브체 스톱퍼
250: 가압부재 251 : 통기홀
260 : 이탈방지부재 261 : 멈춤돌기
110 : 물탱크
120 : 급수관
130 : 공압공급원
140 : 오버플로우 배수관 141 : 오퍼플로우 제어밸브
150 : 관배수 밸브 151 : 관배수 제어밸브
152 : 공압관
160 : 전배수 밸브 161 : 전배수 제어밸브
170 : 배수관
200 : 동결 방지 밸브
210 : 연결부재 220 : 밸브 하우징
220a : 끼움홈
221 : 밸브체 작용부 221a: 경사부
230 : 밸브체 231 : 경사면
240 : 탄성체
250 : 밸브체 스톱퍼
250: 가압부재 251 : 통기홀
260 : 이탈방지부재 261 : 멈춤돌기
Claims (6)
-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물을 급수대로 공급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에 구비되어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배수되거나 상기 급수대로 공급되도록 물의 경로를 바꾸기 위한 관배수 밸브;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 공급원;
상기 관배수 밸브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공압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공압라인을 바꾸기 위한 관배수 제어밸브;
상기 관배수 밸브와 상기 관배수 제어밸브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공압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공압을 관배수 밸브로 공급하기 위한 공압관;
상기 관배수 밸브와 공압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관배수 밸브로 이동되는 공압을 상기 급수관으로 보내기 위한 동결방지 밸브;을 포함하고,
상기 동결방지 밸브는, 상하부가 관통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과 상기 공압관을 연결하여 공압을 밸브 하우징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부재;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거나 차단하기 위한 밸브체;
상기 밸브 하우징 내에서 밸브체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급수시스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에는,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거나 연통되도록 하는 밸브체가 작동되도록 밸브하우징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밸브체 작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급수시스템.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 작용부에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체에는 상기 경사부와 다른 경사로 형성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이 경사부에 끼워지면서 밸브하우징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급수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결 방지 밸브는,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밸브체의 상부에서 밸브하우징으로 유입되는 공압으로 유동하면서 밸브체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급수 시스템.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동결 방지 밸브는,
밸브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탄성체에 의해 밸브체가 원위치로 복귀될 때 밸브체를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밀려나 밸브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급수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8712A KR101575958B1 (ko) | 2014-05-16 | 2014-05-16 | 철도차량의 급수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8712A KR101575958B1 (ko) | 2014-05-16 | 2014-05-16 | 철도차량의 급수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1675A KR20150131675A (ko) | 2015-11-25 |
KR101575958B1 true KR101575958B1 (ko) | 2015-12-10 |
Family
ID=5484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8712A KR101575958B1 (ko) | 2014-05-16 | 2014-05-16 | 철도차량의 급수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595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3091B1 (ko) * | 2015-08-27 | 2016-11-04 | 권희준 | 철도차량용 급수장치의 동파방지시스템 |
CN108166585B (zh) * | 2017-12-16 | 2021-03-30 |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 一种卫生间控制方法 |
CN110481581A (zh) * | 2019-08-13 | 2019-11-22 | 株洲车城机车配件股份有限公司 | 一种新型高寒用机车卫生间防冻排空系统 |
KR102456305B1 (ko) * | 2020-06-24 | 2022-10-19 | 한국철도공사 | 철도차량용 제동장치 |
CN111722650A (zh) * | 2020-07-22 | 2020-09-29 | 内蒙古融通水务有限责任公司 | 一种取水控制系统及取水控制方法 |
CN112208574B (zh) * | 2020-09-11 | 2022-05-10 |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 一种车辆排水防冻系统及控制方法 |
-
2014
- 2014-05-16 KR KR1020140058712A patent/KR101575958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1675A (ko) | 2015-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5958B1 (ko) | 철도차량의 급수시스템 | |
CA2666533A1 (en) | Double check back flow prevention device | |
JP2007270612A (ja) | 真空下水管システム | |
RU2622831C2 (ru) | Сливной трубопровод для посудомоечных и стиральных машин | |
US10132067B2 (en) | Major water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water inlet valve | |
EA039580B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уалетов | |
US20150020297A1 (en) | Flush toilet with built-in unclogg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 |
KR101208146B1 (ko) | 급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급수장치 | |
US20170002555A1 (en) | Minor water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water inlet valve | |
KR101073522B1 (ko) | 동파 방지용 볼 밸브 | |
US9756988B2 (en) | Gravity shower | |
JP2009103254A (ja) | 圧力調整弁および消火設備 | |
EP2893095B1 (en) | Cistern for flushing a toilet with potable and gray water | |
US20070039649A1 (en) | Yard hydrant with drain port air line | |
KR200409455Y1 (ko) |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관붙이 앵글밸브 | |
KR101506847B1 (ko) | 진공변기의 진공식환기장치 | |
JP3897619B2 (ja) | 自動給水装置 | |
US20100139784A1 (en) | Float-controlled water inflow switching device for water pump | |
EP2615217A1 (en) |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water from the tank of a flushing system | |
NO325892B1 (no) | Vannkran | |
US10968614B2 (en) | Accumulator for vacuum drainage system | |
KR102020528B1 (ko) | 소방용 준비 작동식 밸브 | |
US6948509B1 (en) | Fluid hydrant | |
JP6497499B2 (ja) | 湯水混合水栓装置 | |
KR200482587Y1 (ko) |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