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922A - 응축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응축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922A
KR20200138922A KR1020190065272A KR20190065272A KR20200138922A KR 20200138922 A KR20200138922 A KR 20200138922A KR 1020190065272 A KR1020190065272 A KR 1020190065272A KR 20190065272 A KR20190065272 A KR 20190065272A KR 20200138922 A KR20200138922 A KR 20200138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air
inlet pipe
pip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559B1 (ko
Inventor
노준식
Original Assignee
노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준식 filed Critical 노준식
Priority to KR1020190065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559B1/ko
Publication of KR20200138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2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with valves controlled by flo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38Component parts; Accessor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04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트롤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일시 수용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제1 유닛과, 본체에 내장되어 유입되는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플로트 및 플로트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작동 스템을 포함하는 제2 유닛과, 에어컨트롤 시스템으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의 불순물 및 이물질를 걸러내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3 유닛과, 이러한 제3 유닛의 가동과 연계하여 응축수를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로의 개폐에 필요한 에어 컨트롤용의 제4 유닛을 포함하는 구조로부터, 에어컨트롤 시스템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일시 수용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응축수 배출장치{CONDENSATE DIS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컨트롤 시스템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일시 수용후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사용되는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응축수는 공기압축기 가동 시 생성된 압축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결로현상에 의해 응축되어 기기내부나 배관내부에 물처럼 고여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압시스템의 에어를 공급하는 라인 상의 관로에서 부산물로 발생된 응축수가 생성되는데, 이는 공급라인 상에서 신속히 제거되어야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에 따라 공압시스템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시키지 못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제반사항이 따른다.
우선적으로 응축수가 에어 압축기에 역류하여 압축기 기능정지 및 압축에어로 제어되는 각종 보조설비에 응축수 침투로 인한 생산라인의 가동중단 및 제품의 불량이 야기되어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상기와 같이 응축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압축 에어의 시스템은 거의 사용 불능이 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응축수 배출기 등이 발명된 바 있다.
종래에 발명된 응축수 배출기를 종류별로 살펴보면, 볼플로트와 밸브가 일체형으로 되어있는 방식과, 볼플로트와 밸브가 분리된 간접방식과, 전자석 솔레노이드 방식 및 전자석 솔레노이드와 센서가 결합된 복합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응축수 배출기의 문제점을 분석해보면, 볼플로트와 밸브가 일체형으로 된 방식은 볼플로트가 배출구를 직접 제어함으로 배출 노즐사이즈를 3mm 이상 적용이 어려워 배관 내에 잔류하는 스케일 등의 이물질로 인해 배출구가 쉽게 막혀버리는 폐단이 있다.
또한 볼플로트와 밸브가 일체형으로 된 방식은, 계속적인 분해청소 관리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볼플로트와 밸브가 분리된 간접방식은 응축수 배출시 콘트롤 에어의 제어부가 하우징내 이물질에 노출됨으로 콘트롤 라인이 막혀 잦은 분해청소가 수반되며, 아울러 배출노즐 사이즈가 4mm 내외이므로 쉽게 밸브가 이물질에 간섭되고, 볼플로트의 딜레이(시간차이)를 형성시키지 못해 대량의 응축수를 배출하는데 적용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전자석 솔레노이드 방식은 응축수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집되는데 비해 임의로 외부에서 입력한 시간에 의해 강제 배출함으로 응축수와 함께 다량의 압축에어의 에너지를 손실할 뿐 아니라 역시 배출 노즐사이즈가 3mm 내외임으로 응축수내 이물질 간섭으로 인한 막힘 현상이 발생되어 이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현장 설치시 외부 전원을 연결함으로 그 적용성이 제한된다.
또한 전자석 솔레노이드와 센서가 결합된 복합방식은 다이어프램이라는 합성고무 재질인 밸브를 채택함으로 이 밸브의 잦은 동작으로 인해 밸브가 찢어지고 이 역시 배출노즐 사이즈가 4mm 내외임으로 분해청소가 수반되며, 별도 외부 전원을 설치함으로 적용성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44783호의 "응축수 배출기능이 구비된 압축공기 공급장치"(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공기를 압축하는 공기압축기와; 상기 공기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저장되는 에어탱크와; 상기 에어탱크에 연결되어 저장된 압축공기를 관측기기로 이송하는 압축공기 배출관과; 상기 에어탱크에 연결되어 저장된 압축공기가 응축되어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드레인관과; 상기 압축공기 배출관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가 선택적으로 이송되게 하는 배출밸브와; 상기 드레인관에 설치되고, 상기 응축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되게 하는 드레인 밸브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고, 상기 드레인 밸브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규모가 작은 소형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현장에서는 적용할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응축수가 배출되는 큰 규모의 에어컨트롤 시스템이 채용되어 있는 현장에서 적용하기는 힘든 문제가 있었다.
특히, 선행기술에는 에어탱크에서 생성되는 응축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여과하는 필터가 없어 장시간 사용시 배출밸브 및 배출관이 막히는 문제점도 있었던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447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에어컨트롤 시스템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일시 수용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응축수 배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어컨트롤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가 유입되는 제1 유입관과 배관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응축수 중 증발되는 분량은 상기 에어컨트롤 시스템으로 되돌리는 리턴관과 배관 연결되며,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는 제1 배출관과 배관 연결되고, 상기 응축수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으로 승강 가능한 플로트와, 상기 플로트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천장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되고 외부로부터 에어가 유입되는 제1 작동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작동 스템을 포함하는 제2 유닛; 상기 제1 유입관 및 상기 제1 배출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응축수의 불순물을 여과하고, 여과되어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상기 제1 배출관으로부터 상기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제3 유닛;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설정값을 벗어나면 가동되고 상기 제1 작동 공간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레귤레이터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설정값을 벗어나면 가동되고 상기 제1 작동 공간으로부터 상기 에어를 배출시켜 상기 제1 배출관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실린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4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유닛은, 상기 제1 유입관에 교체 및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내장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응축수로부터 불순물과 이물질을 걸러내는 링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에어레귤레이터와 상기 작동 스템을 연결하며 상기 에어가 상기 제1 작동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 유입관과, 상기 작동 스템과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를 연결하며 상기 에어가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로 이송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배출관과, 상기 플로트에 내장되어 상기 플로트와 함께 일체로 승강 가능한 링 형상의 제1 자석과, 상기 작동 스템에 내장되어 상기 제1 자석과 자력에 의하여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유입관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상기 에어레귤레이터의 가동에 의하여 상기 제1 작동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에어에 의하여 상기 제2 유입관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제1 작동 공간과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를 상기 제2 배출관을 통하여 연통시키게 상기 작동 스템 내부에서 하강하는 제2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에어컨트롤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가 유입되는 제1 유입관과 배관 연결되고, 제1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응축수 중 증발되는 분량은 에어컨트롤 시스템으로 되돌리는 리턴관과 배관 연결되며, 응축수가 배출되는 제1 배출관과 배관 연결되고, 응축수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는 제1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대량의 응축수가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대규모의 에어컨트롤 시스템이 설치된 현장에서 안정적인 응축수의 처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에 내장되고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으로 승강 가능한 플로트와, 플로트의 중심을 관통하여 본체의 천장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되고 외부로부터 에어가 유입되는 제1 작동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작동 스템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응축수의 수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가동되고 제1 작동 공간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레귤레이터와,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응축수의 수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가동되고 제1 작동 공간으로부터 에어를 배출시켜 제1 배출관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실린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4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일시 수용된 대량의 응축수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신뢰도 높은 제품을 현장에 공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유입관 및 제1 배출관에 형성되어 제1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의 불순물을 여과하고, 여과되어 본체에 수용된 응축수의 수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제1 배출관으로부터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제3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신속한 응축수의 외부 배출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지속적으로 불순물과 이물질을 필터링한 응축수를 배출시킴으로써, 배출되는 응축수의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볼 때 자원재활용의 효용성을 증대시키고, 배관 막힘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내구성과 수명 연한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3 유닛은, 상기 제1 유입관에 교체 및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내장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응축수로부터 불순물과 이물질을 걸러내는 링 필터를 포함함으로써, 필터 본연의 여과 기능에 따른 불순물과 이물질 필터링에 따른 배관 및 밸브류의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관리자의 교체 및 체결 작업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응축수의 유동에 지장을 주지않고 부피를 차지하지 않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레귤레이터와 작동 스템을 연결하며 에어가 제1 작동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 유입관과, 작동 스템과 실린더 어셈블리를 연결하며 에어가 실린더 어셈블리로 이송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배출관과, 플로트에 내장되어 플로트와 함께 일체로 승강 가능한 링 형상의 제1 자석과, 작동 스템에 내장되어 제1 자석과 자력에 의하여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2 유입관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면을 가지며, 응축수의 수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에어레귤레이터의 가동에 의하여 제1 작동 공간으로 유입된 에어에 의하여 제2 유입관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제1 작동 공간과 실린더 어셈블리를 제2 배출관을 통하여 연통시키게 작동 스템 내부에서 하강하는 제2 자석을 더 구비함으로써, 에어압력 및 자력을 이용하여 정확한 개폐 동작에 따른 응축수의 신속한 배출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전체적인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중 링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전체적인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중 링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여기서, 도 2에서 표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을 참조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닛(100)과 제2 유닛(200)과 제3 유닛(300) 및 제4 유닛(4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에어컨트롤 시스템(500)으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600)가 유입되는 제1 유입관(101)과 배관 연결되고, 제1 유입관(101)으로부터 유입된 응축수(600) 중 증발되는 분량은 에어컨트롤 시스템(500)으로 되돌리는 리턴관(102)과 배관 연결되며, 응축수(600)가 배출되는 제1 배출관(103)과 배관 연결되고, 응축수(600)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한 본체(110)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본체(110)에 내장되고 응축수(600)의 수위에 따라 부력으로 승강 가능한 플로트(210)와, 플로트(210)의 중심을 관통하여 본체(110)의 천장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되고 외부로부터 에어(700)가 유입되는 제1 작동 공간(221)이 내부에 형성된 작동 스템(220)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3 유닛(300)은 제1 유입관(101) 및 제1 배출관(103)에 형성되어 제1 유입관(101)으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600)의 불순물을 여과하고, 여과되어 본체(110)에 수용된 응축수(600)의 수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제1 배출관(103)으로부터 응축수(600)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아울러, 제4 유닛(400)은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응축수(600)의 수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가동되고 제1 작동 공간(221)으로 에어(700)를 주입하는 에어레귤레이터(410)와,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응축수(600)의 수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가동되고 제1 작동 공간(221)으로부터 에어(700)를 배출시켜 제1 배출관(103)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실린더 어셈블리(420)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응축수(600)의 유입과 배출에 따른 수위 변화가 즉각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제1 유입관(101)과 제1 배출관(103)은 본체(110)의 바닥면 또는 하부 외측면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응축수(600)로부터 증발되는 기체가 원활하게 에어컨트롤 시스템(500)으로 되돌아 들어갈 수 있도록 리턴관(102)은 본체(110)의 천장면과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체(110)는 응축수(600)의 수위를 외부에서 파악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용의 에어에 의한 제1 배출관(103)의 유로 개폐를 위하여 제2 유입관(412) 및 제2 배출관(422)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2 유입관(412)은 에어레귤레이터(410)와 작동 스템(220)을 연결하며 에어(700)가 제1 작동 공간(221)으로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제2 배출관(422)은 작동 스템(220)과 실린더 어셈블리(420)를 연결하며 에어(700)가 실린더 어셈블리(420)로 이송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플로트(210)에는 링 형상의 제1 자석(211)이 내장되어 플로트(210)와 함께 일체로 승강 가능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작동 스템(220)에는 제2 자석(222)이 내장되어 제1 자석(211)과 자력에 의하여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2 유입관(412)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면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제2 자석(222)은, 응축수(600)의 수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에어레귤레이터(410)의 가동에 의하여 제1 작동 공간(221)으로 유입된 에어(700)에 의하여 도 2(b)와 같이 제2 유입관(412)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제1 작동 공간(221)과 실린더 어셈블리(420)를 제2 배출관(422)을 통하여 연통시키게 작동 스템(220) 내부에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3 유닛(300)은, 제1 유입관(101)의 말단부와 본체(110)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응축수(600)로부터 불순물과 이물질을 걸러내는 링 필터(310)와, 제1 배출관(103) 상에 장착되어 실린더 어셈블리(420)에 의하여 제1 배출관(103)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볼밸브(320)를 포함할 수 있다.
링 필터(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 또는 원판 형상으로 제작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3(a) 및 도 3(b)와 같이 메시망 구조로 제작되거나, 도 3(c) 및 도 3(d)와 같이 평판에 일정 직경으로 타공한 여과홀들이 다수 형성된 것을 원통 또는 원판 형상으로 제작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링 필터(310)의 메시 및 여과홀의 크기는, 제1 유입관(101) 내부를 흐르는 응축수(600)의 유동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응축수(600)에 포함된 불순물이나 이물질은 걸러낼 수 있도록, 0.5mm 내외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리자는 수시로 링 필터(310)가 장착된 제1 유입관(101) 내부의 전후방 유속 또는 유량을 점검하여 이상 발생시 또는 이물질의 과도 적체시 링 필터(310)를 교체하여 새것으로 장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링 필터(310)는 그 구조를 전술한 바와 같은 원통 또는 원판 형상 외에도, 제1 유입관(101)에서 본체(110)의 바닥면으로 이어지는 곡관 부위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엘보우 형상이나, 유로의 분기가 있는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여 T자 형상, 또는 Y자 형상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하여 여과 효율 및 성능을 높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린더 어셈블리(420)는, 도 1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에어레귤레이터(410)의 가동에 의하여 작동 스템(220)으로부터 배출되는 에어(700)가 유입되는 제2 작동 공간(423)이 내부에 형성된 작동 실린더(4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 어셈블리(420)는, 작동 실린더(421)에 내장되어 제2 작동 공간(423)으로 유입되는 에어(700)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고, 제2 작동 공간(423)을 상, 하부로 구획하는 피스톤(4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 어셈블리(420)는, 피스톤(424)의 바닥면과 연결되어 작동 실린더(42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노출 연장되는 작동 로드(4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어셈블리(420)는, 피스톤(424)의 바닥면과 작동 실린더(421)의 바닥면에 상하 양단부가 고정되어 피스톤(424)을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탄성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426)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실린더 어셈블리(420)는, 작동 로드(425)의 하단부와 제1 배출관(103)상에 장착된 볼밸브(320)의 작동축(321)을 연결하여 작동 로드(425)의 직선 승강 왕복운동을 볼밸브(320)의 정,역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절환수단(427)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절환수단(427)은, 작동 로드(425)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핀(427a)과, 회동핀(427a)과 결합되는 일단부와, 볼밸브(320)의 작동축(3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타단부를 구비하는 링크편(427b)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2 유입관(412)을 통하여 제1 작동 공간(221)으로 유입되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2 자석(222)의 상면에 가해지는 에어(700)의 압력은, 제1, 2 자석(211, 222) 간의 자력보다 커야만, 제2 배출관(422)과 제2 작동 공간(423)을 연통시켜 피스톤(424)을 하강시키면서 스프링(426)을 수축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도 2(a)와 같이 에어컨트롤 시스템(500)으로부터 배출되어 본체(110)에 채워지는 응축수(600)의 수위가 설정값 이하이므로, 에어레귤레이터(410) 및 실린더 어셈블리(420)는 가동될 필요가 없을 것이며, 제1 배출관(103) 또한 볼밸브(320)에 의하여 유로가 차단된 상태인 바, 응축수(600)의 배출 또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후, 도 2(b)와 같이 응축수(600)의 수위가 설정값을 넘어서 과도하게 본체(110) 내부에 채워졌다면, 에어레귤레이터(410)가 가동되어 에어(700)를 제2 유입관(412)을 통해 제2 자석(222)의 상면을 향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제2 유입관(412)을 통해 제1 작동 공간(221) 내부로 배출되는 에어(700)의 압력은 제1, 2 자석(211, 222)에 의하여 응축수(600)의 채워진 수위에도 불구하고 요동없이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던 플로팅(210)을 하강시킬 수 있는 계기, 즉 응축수(600)를 배출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압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작동 공간(221) 내부로 배출되는 에어(700)의 압력이 제1, 2 자석(211, 222) 상호간의 고정을 위한 자기력보다 크므로, 제2 자석(222)은 제1 작동 공간(221) 내부에서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 배출관(422)의 유로가 제2 작동 공간(423)측을 향하여 개방된다.
이렇게 에어(700)는 제2 작동 공간(423)의 상부측에 유입되면서 피스톤(424)을 밀어내리고, 이에 따라 스프링(426)도 내리눌려져 수축됨에 따라 작동 로드(425)의 하단부도 하강하면서, 작동 로드(425)와 볼밸브(320)의 작동축(3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던 절환수단(427)이 작동축(321)을 회전시킴으로써, 볼밸브(320)의 유로 개방이 이루어진다.
최종적으로 제1 배출관(103)을 통하여 본체(110) 내부의 응축수(600)는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출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에어컨트롤 시스템(500)으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600)가 유입되는 제1 유입관(101)과 배관 연결되고, 제1 유입관(101)으로부터 유입된 응축수(600) 중 증발되는 분량은 에어컨트롤 시스템(500)으로 되돌리는 리턴관(102)과 배관 연결되며, 응축수(600)가 배출되는 제1 배출관(103)과 배관 연결되고, 응축수(600)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한 본체(110)를 포함하는 제1 유닛(100)을 구비함으로써, 대량의 응축수가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대규모의 에어컨트롤 시스템이 설치된 현장에서 안정적인 응축수의 처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110)에 내장되고 응축수(600)의 수위에 따라 부력으로 승강 가능한 플로트(210)와, 플로트(210)의 중심을 관통하여 본체(110)의 천장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되고 외부로부터 에어(700)가 유입되는 제1 작동 공간(221)이 내부에 형성된 작동 스템(220)을 포함하는 제2 유닛(200); 및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응축수(600)의 수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가동되고 제1 작동 공간(221)으로 에어(700)를 주입하는 에어레귤레이터(410)와,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응축수(600)의 수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가동되고 제1 작동 공간(221)으로부터 에어(700)를 배출시켜 제1 배출관(103)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실린더 어셈블리(420)를 포함하는 제4 유닛(400)을 구비함으로써, 일시 수용된 대량의 응축수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신뢰도 높은 제품을 현장에 공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유입관(101) 및 제1 배출관(103)에 형성되어 제1 유입관(101)으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600)의 불순물을 여과하고, 여과되어 본체(110)에 수용된 응축수(600)의 수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제1 배출관(103)으로부터 응축수(600)를 배출시키는 제3 유닛(300)을 구비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신속한 응축수의 외부 배출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지속적으로 불순물과 이물질을 필터링한 응축수를 배출시킴으로써, 배출되는 응축수의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볼 때 자원재활용의 효용성을 증대시키고, 배관 막힘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내구성과 수명 연한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체(110)는 응축수(600)의 수위를 외부에서 파악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비상 상황이나 오작동시에 시각적으로 인지하여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레귤레이터(410)와 작동 스템(220)을 연결하며 에어(700)가 제1 작동 공간(221)으로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 유입관(412)과, 작동 스템(220)과 실린더 어셈블리(420)를 연결하며 에어(700)가 실린더 어셈블리(420)로 이송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배출관(422)과, 플로트(210)에 내장되어 플로트(210)와 함께 일체로 승강 가능한 링 형상의 제1 자석(211)과, 작동 스템(220)에 내장되어 제1 자석(211)과 자력에 의하여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2 유입관(412)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면을 가지며, 응축수(600)의 수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에어레귤레이터(410)의 가동에 의하여 제1 작동 공간(221)으로 유입된 에어(700)에 의하여 제2 유입관(412)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제1 작동 공간(221)과 실린더 어셈블리(420)를 제2 배출관(422)을 통하여 연통시키게 작동 스템(220) 내부에서 하강하는 제2 자석(222)을 더 구비함으로써, 에어압력 및 자력을 이용하여 정확한 개폐 동작에 따른 응축수의 신속한 배출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에어컨트롤 시스템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일시 수용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응축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01...제1 유입관
102...리턴관
103...제1 배출관
110...본체
200...제2 유닛
210...플로트
211...제1 자석
220...작동 스템
221...제1 작동 공간
222...제2 자석
300...제3 유닛
310...링 필터
320...볼밸브
321...작동축
400...제4 유닛
410...에어레귤레이터
412...제2 유입관
420...실린더 어셈블리
421...작동 실린더
422...제2 배출관
423...제2 작동 공간
424...피스톤
425...작동 로드
426...스프링
427...절환수단
427a...회동핀
427b...링크편
500...에어컨트롤 시스템
600...응축수
700...에어

Claims (3)

  1. 에어컨트롤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가 유입되는 제1 유입관과 배관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응축수 중 증발되는 분량은 상기 에어컨트롤 시스템으로 되돌리는 리턴관과 배관 연결되며,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는 제1 배출관과 배관 연결되고, 상기 응축수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으로 승강 가능한 플로트와, 상기 플로트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천장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연장되고 외부로부터 에어가 유입되는 제1 작동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작동 스템을 포함하는 제2 유닛;
    상기 제1 유입관 및 상기 제1 배출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응축수의 불순물을 여과하고, 여과되어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상기 제1 배출관으로부터 상기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제3 유닛;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설정값을 벗어나면 가동되고 상기 제1 작동 공간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레귤레이터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상기 설정값을 벗어나면 가동되고 상기 제1 작동 공간으로부터 상기 에어를 배출시켜 상기 제1 배출관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실린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제4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유입관에 교체 및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내장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응축수로부터 불순물과 이물질을 걸러내는 링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레귤레이터와 상기 작동 스템을 연결하며 상기 에어가 상기 제1 작동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 유입관과,
    상기 작동 스템과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를 연결하며 상기 에어가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로 이송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배출관과,
    상기 플로트에 내장되어 상기 플로트와 함께 일체로 승강 가능한 링 형상의 제1 자석과,
    상기 작동 스템에 내장되어 상기 제1 자석과 자력에 의하여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유입관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상기 에어레귤레이터의 가동에 의하여 상기 제1 작동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에어에 의하여 상기 제2 유입관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제1 작동 공간과 상기 실린더 어셈블리를 상기 제2 배출관을 통하여 연통시키게 상기 작동 스템 내부에서 하강하는 제2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장치.
KR1020190065272A 2019-06-03 2019-06-03 응축수 배출장치 KR102236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272A KR102236559B1 (ko) 2019-06-03 2019-06-03 응축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272A KR102236559B1 (ko) 2019-06-03 2019-06-03 응축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22A true KR20200138922A (ko) 2020-12-11
KR102236559B1 KR102236559B1 (ko) 2021-04-05

Family

ID=73786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272A KR102236559B1 (ko) 2019-06-03 2019-06-03 응축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030B1 (ko) * 2023-02-13 2024-02-13 이영상 기체 이송배관용 응축수 배출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887Y1 (ko) * 1996-08-23 2000-10-02 이구택 영구자석을 이용한 응축수 자동배출장치
KR20020028929A (ko) * 2002-01-09 2002-04-17 조운제 압축에어 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KR200443601Y1 (ko) * 2008-07-09 2009-02-27 윤기영 초고온 응축수 회수장치
KR200444783Y1 (ko) 2008-11-26 2009-06-04 광주광역시 응축수 배출기능이 구비된 압축공기 공급장치
KR101454812B1 (ko) * 2014-04-07 2014-11-04 김판곤 응축수 배출밸브
KR20150130556A (ko) * 2013-03-18 2015-11-23 써멀 에너지 인터내셔널 (유케이) 리미티드 응축물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887Y1 (ko) * 1996-08-23 2000-10-02 이구택 영구자석을 이용한 응축수 자동배출장치
KR20020028929A (ko) * 2002-01-09 2002-04-17 조운제 압축에어 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KR200443601Y1 (ko) * 2008-07-09 2009-02-27 윤기영 초고온 응축수 회수장치
KR200444783Y1 (ko) 2008-11-26 2009-06-04 광주광역시 응축수 배출기능이 구비된 압축공기 공급장치
KR20150130556A (ko) * 2013-03-18 2015-11-23 써멀 에너지 인터내셔널 (유케이) 리미티드 응축물 제거 장치
KR101454812B1 (ko) * 2014-04-07 2014-11-04 김판곤 응축수 배출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559B1 (ko) 202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765Y1 (ko) 압축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KR102236559B1 (ko) 응축수 배출장치
CN102251575A (zh) 控制装置
CN112012303B (zh) 液位控制装置及使用该装置的真空抽排系统及抽排方法
US11603866B2 (en) Landfill well pump
SI22980A (sl) Samoäśistilni elektromagnetni ventil odvajalnika kondenzata
CN209084080U (zh) 用于真空泵的止回阀
EP4129441A1 (en) Drain valve
FI57667B (fi) Automatisk styranordning
CN201513337U (zh) 一种新型的真空自动引水设备
CN112178232A (zh) 一种真空排污阀
CN213038526U (zh) 高可靠性的液位控制装置及使用该装置的真空抽排系统
CN219964388U (zh) 液环水分离器
CN113551145B (zh) 浮球比例调节疏水阀
CN213451843U (zh) 一种液位控制系统
CN219865649U (zh) 一种具有过滤结构的潜水泵
RU226200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засорения механизмов электроцентробежных насосов в скважинах
CN210440983U (zh) 节能疏水装置
CN217213511U (zh) 一种自动排水控制系统
CN211232055U (zh) 一种具有缓冲作用的排气阀
CN212318945U (zh) 一种全自动气动控制装置
JPH09280413A (ja) 液体圧送装置
JP6944205B2 (ja) 凝縮水蓄積管
CN206809818U (zh) 一种蒸发器晶浆出料装置
SU1513186A1 (ru) Компрессор с жидкостным поршн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