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8929A - 압축에어 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 Google Patents

압축에어 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8929A
KR20020028929A KR1020020001942A KR20020001942A KR20020028929A KR 20020028929 A KR20020028929 A KR 20020028929A KR 1020020001942 A KR1020020001942 A KR 1020020001942A KR 20020001942 A KR20020001942 A KR 20020001942A KR 20020028929 A KR20020028929 A KR 20020028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valve
unit
assembly panel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9860B1 (ko
Inventor
조운제
Original Assignee
조운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운제 filed Critical 조운제
Priority to KR10-2002-0001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860B1/ko
Publication of KR20020028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2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with valves controlled by floats
    • F16T1/26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with valves controlled by floats of upright-open-bucket type
    • F16T1/28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with valves controlled by floats of upright-open-bucket type u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38Component part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에 관한 것으로써, 압축에어 공급 시스템의 라인상에 설치되어 해당 라인상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여 자동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기에 있어서, 일측에 마련된 유입구(11)를 통해 에어를 포함하는 응축수를 소정량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0)와; 저장부의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조립패널부(20)와; 상기 저장조의 내측으로 조립패널부에 연결 설치되어 에어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30)와; 상기 조립패널부(20)에 연결 설치되어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볼플로트부(40)와; 상기 조립패널부의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 유무에 따라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출부(50)와 ; 상기 조립패널부의 배출부로 향하는 일측면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볼플로트의 상.하운동에 관계없이 배출부를 수동 제어하는 테스트부(60)로 구성된 것인 바, 응축수내의 상당량 이물질의 간섭없이 작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별도 전원 공급없이 기계적으로 배출부측 밸브의 계폐시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에어의 누수 손실을 없애면서 응축수를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축에어 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A condensate drain in compressed air system}
본 발명은 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Condensate Drain)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각종 산업현장의 압축에어 공급장치 등에서 에어 압축시 대기의 습한 에어를 흡입하고 이를 사용온도로 낮추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응축수를 압축에어의 손실없이 발생된 응축수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압축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압시스템의 에어를 공급하는 라인 상의 관로에서 부산물로 발생된 응축수가 생성되는데, 이는 공급라인 상에서 신속히 제거되어야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에 따라 공압시스템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시키지 못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제반사항이 따른다.
우선적으로 응축수가 에어 압축기에 역류하여 압축기 기능정지 및 압축에어로 제어되는 각종 보조설비에 응축수 침투로 인한 생산라인의 가동중단 및 제품의 불량이 야기되어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상기와 같이 응축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압축 에어의 시스템은 거의 사용 불능이 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응축수 배출기 등이 발명된 바 있다.
종래에 발명된 응축수 배출기를 종류별로 살펴보면, 볼플로트와 밸브가 일체형으로 되어있는 방식과, 볼플로트와 밸브가 분리된 간접방식과, 전자석 솔레노이드 방식 및 전자석 솔레노이드와 센서가 결합된 복합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응축수 배출기기의 문제점을 분석해보면, 볼플로트와 밸브가 일체형으로 된 방식은 불플로트가 배출구를 직접 제어함으로 배출 노즐사이즈를 3mm 이상 적용이 어려워 배관 내에 잔류하는 스케일 등의 이물질로 인해 배출구가 쉽게 막혀버리는 폐단이 있어, 계속적인 분해청소 관리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볼플로트와 밸브가 분리된 간접방식은 응축수 배출시 콘트롤 에어의 제어부가 하우징내 이물질에 노출됨으로 콘트롤 라인이 막혀 잦은 분해청소가 수반되며, 아울러 배출노즐 사이즈가 4mm 내외이므로 쉽게 밸브가 이물질에 간섭되고, 볼플로트의 딜레이(시간차이)를 형성시키지 못해 대량의 응축수를 배출하는데 적용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으며, 전자석 솔레노이드 방식은 응축수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집되는데 반해 임의로 외부에서 입력한 시간에 의해 강제 배출함으로 응축수와 함께 다량의 압축에어의 에너지를 손실할 뿐 아니라 역시 배출 노즐사이즈가 3mm 내외임으로 응축수내 이물질 간섭으로 인한 막힘 현상이 발생되어 이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현장 설치시 외부 전원을 연결함으로 그 적용성이 제한된다. 또한 전자석 솔레노이드와 센서가 결합된 복합방식은 다이어프람이라는 합성고무 재질인 밸브를 채택함으로 이 밸브의 잦은 동작으로 인해 밸트가 찢어지고 이 역시 배출노즐 사이즈가 4mm 내외임으로 분해청소가 수반되며, 별도 외부 전원을 설치함으로 적용성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여러 종류의 응축수 배출기가 갖는 주요 문제를 살펴보면, 주로 그 구조 자체에서 배출 노즐사이즈를 3mm 이상 적용이 어려워 배관 내에 잔류하는 스케일 등의 이물질로 인해 배출구가 쉽게 막혀버리는 폐단이 있어, 계속적인 분해청소 관리가 요구되며, 또한 효율적인 응축수의 배출시기를 선택할 수 없어 고급 에너지인 에어를 함께 배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산업 현장에서 막대한 에너지 손실을 초래하는 비효율성이 있으며, 아울러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응축수 배출기는 본 배출기가 설치되는 대부분의 현장에서 그 적용성이 현저히 제한되어 효과적인 응축수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저장부 내의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볼플로트와 연결 설치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배출부의 밸브가 연동되어 작동함으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시기가 자동 선택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배출구의 노즐 사이즈를 9mm로 확대 적용하여 배관내의 이물질이나 스케일에 의한 간섭을 보강하였으며, 외부의 별도 전원 공급없이도 자동 배출됨은 물론, 피스톤 방식의 밸브를 사용함으로 밸브자체의 파손에 의한 기능 저하를 제거하였으며, 배출구측 밸브의 계폐시기를 제어부의 딜레이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에어의 누수손실을 없애면서 배관내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압 라인 상에 설치되어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여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기에 있어서, 일측에 마련된 유입구를 통해 에어를 포함하는 응축수를 소정량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저장부의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조립 패널부와; 조립패널부에 연결 설치되어 소정압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니들밸브를 조작하는 볼플로트부와; 상기 조립패널부의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어 제어부의 니들밸브 제어 유무에 따라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조립패널부의 배출부로 향하는 일측면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배출부를 수동 제어하는 테스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압축에어 공급장치의 설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응축수 배출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저장부 20: 조립패널부
30: 제어부 40: 볼플로트부
50: 배출부 60: 테스트부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응축수 배출기가 적용된 에어 공급장치의 설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응축수 배출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시스템의 공급라인상에 설치되어 관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시켜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기의 구성은 일측에 마련된 유입구(11)를 통해 에어를 포함하는 응축수를 소정량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0)와, 이 저장부(10)의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조립패널부(20)와, 조립패널부에 연결 설치되어 소정압을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볼플로트부(40)와, 상기 조립패널부의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어 제어부(30)의 제어 유무에 따라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출부(50)와 상기 조립패널부(20)의 배출부(50)로 향하는 일측면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배출부를 수동 제어하는 테스트부(60)로 크게 나뉘어 진다.
상기내용을 첨부된 도 4를 중심으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저장부(1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축수 유입관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구(12)가 소정위치에 한 개 더 형성되며, 연결구(12)는 라인선상에서 설치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10)를 향해 연결 설치된 조립패널부(20)는 에어를 포함하는 응축수내의 불순물을 필터링하여 소정압을 유통시키기 위한 필터(21)가 설치되고, 상기 조립패널부(20)에는 상기 저장부(10)와 볼트로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부(10)와 결합시 기밀을 위한 패킹이 설치되는 패킹 안내공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립패널부(20)의 상측면에는 필터(21)를 통해 필터링된 소정압을 유도하는 제 1 통로(22)가 소정의 깊이만큼 관통되고, 그 관통된 끝부분에는 유도된 소정압을 제어하는 제어부(30)가 설치되고, 제어부(30)내에는 유도된 소정압이 미세하게 흐를 수 있도록 된 샤프트(31)가 설치되고, 샤프트의 일측면에는 유도된 소정압을 대기로 방출시키거나 혹은 기밀시켜 밸브(51)의 작동을 가능케하는 합성수지 재질로 코팅된 니들밸브(33)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니들밸브(33)의 일측면인 상기 조립패널부(20)측에는 니들밸브 시트가 형성되고 니들밸브 시트면측의 중앙에는 배출부(5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제 3 통로(24)가 형성되며, 상기 니들밸브의 양옆으로 배출부의 밸브제어를 위한 제 2 통로(23)로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31)의 볼플로트(40)로 향하는 측면에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볼플로트(40)와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된 구경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샤프트(31)에는 기밀 및 샤프트의 미끄름을 유도하는 소정규격의 오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립패널부(20)의 배출부(50)로 향하는 일측면의 상부에는 테스트부(60)가 결합되도록 수용하면서 상기 니들밸브의 제 2,3 통로와 만나도록 소정의 깊이만큼 홈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조립패널부(20)의 밸브부(50)로 향하는측면에 응축수 배출통공(25)이 병렬 설치되고 배출부를 가스켓으로 결합시키도록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부의 밸브(51) 작동공간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스프링시트 면이 형성되고, 이 가운데에는 상기 제 2 통로로 유도된 미세한 소정압이 흐르는 통로가 병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밸브부(50)에는 응축수 배출통공(25)이 연통되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병렬로 소정의 깊이 만큼 형성되어 밸브부 내측으로 연결 관통되며, 밸브부(50) 내측에는 중앙에 밸브시트(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 패널부의 제 3 통로(24)로 향하는 측면에는 이 통로와 연통되어 체결된 상기 니들밸브(32)의 제어에 따라 소정압을 외부로 배출 유도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부(50)의 밸브시트면(53)에서 연결 관통되어 외부로 향하는 측면에는 배관의 설치가 될 수 있는 나사산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부(50)에 설치된 밸브(51)는 원둘레에 소정의 패킹이 설치되도록 패킹 안내구가 설치되고, 밸브 시트면으로 향하는 측면에는 합성고무가 코팅되고, 밸브(51)의 조립패널부(20)로 향하는 일측면에는 소정의 스프링이 구성된다.
상기 테스트부(60)는 조립패널부(20)에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조립패널부로 향하는 일측면에 테스트 밸브시트가 형성되며, 테스트 밸브(63)가 소정의 스프링과 결합되어 조립패널부 밑부분에 설치되고, 테스트부(60) 내부에는 테스트 밸브(63)를 제어하는 테스트 작동봉(61)이 설치되며, 기밀을 위한 소정의 오링홈이 형성되고, 배출부 상측면에는 테스트 조작 버튼(62)이 마련되고 테스트 작동봉 결합시 소정의 스프링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압축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응축수 배출기는 각종 산업현장의 압축에어 공급장치 등에서 에어압축시 대기의 습한 에어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이 압축된 에어를 사용온도로 낮추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발생되는 응축수를 소정양 발생될 때마다 자동으로 압축에어의 손실없이 발생된 응축수만을 배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공압시스템에 설치된 응축수 배출기로 설명하면, 상기 저장부(10)의 상측 또는 하단 측면에 마련된 연결구에 라인상의 응축수가 집수되는 용기의 배관과 접관되어 저장조(10)로 압축에어와 함께 응축수를 유입하여 저장한다. 공압시스템의 각 부속기기 및 관로상에 집수되는 응축수의 양은 환경 및 위치에 따라 각각 상이하다.
먼저 첨부된 도 4 및 도 5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저장조(10)에 수집되는 응축수는 일정 수위를 가지게 되는데 상기 볼플로트(40) 하단주위의 수위에서 점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승한다. 이때에는 저장조(10)가 공압시스템에 접관된 상태임으로 저장조(10)내에는 일정량의 시스템 압력이 존재한다. 응축수와 같이 유입된 이 시스템 압력은 먼저, 여러층의 스텐레스망으로 제작된 필터(21)를 경유하면서 불순물 등 이물질은 걸러지고 필터링 된 소정의 압이 제 1 통로(22)를 흘러, 상기 제어부(3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샤프트(31)을 통해 미세량만 2 통로(23)를 관통하여 밸브(51)의 후측면을 가압한다. 동시에 저장조(10)내의 시스템 압력은 배출부로 향하는 병렬로 설치된 응축수 배출통로(25)를 통해 연통된 배출부의 배출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밸브(51)를 조립패널부측으로 가압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밸브(51)의 좌.우측면에는 시스템의 압력이 동시에 동일하게 가압된 상태인데, 이렇게 가압되는 밸브(51)의 좌.우측면의 힘의 크기는 밸브의 좌측면에 소정의 스프링이 설치되면서 좌.우측에 작용하는 면적의 크기(좌측은 24mm, 우측은 9mm)가 상이함으로 밸브(51)의 좌측면의 힘이 훨씬 크므로 밸브(51)가 밸브 시트면에 완전 기밀되어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며 항상 밸브가 닫혀있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저장부(10)내에는 응축수가 점차 수집되어 응축수의 수위는 상승함에 따라 부양력을 가진 상기 볼플로트(40)가 저장조(10)의 상측 입구 방향으로 작동한다. 볼플로트(40)는 상기 조립패널부(20)에 이미 고정 설치된 브라켓에 핀으로 고정되어 상하운동이 자유로우며, 브라켓과 연결된 핀의 하단측에는 샤프트(31)가 역시 핀으로 볼플로트(40)와 결합 설치되어 볼플로트(40)의 상.하 운동시 샤프트는 좌.우 운동을 하게된다.
따라서, 응축수가 시간의 경과로 점차 저장조에 수집되면 볼플로트(40)는 고유의 부양력으로 인해 저장조(10) 상측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볼플로트(40)가 약 15°상측으로 기울기까지는 샤프트(31)와 결합된 결합핀은 샤프트(31)의 통공이 커서 자유롭게 움직여 샤프트(31)의 좌.우 운동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다가 15°를 기준으로 볼프로트의 상측으로의 운동은 샤프트(31)의 운동과 연동된다. 이때 샤프트는 저장조(10)내의 압력이 가해진 상태이므로 니들밸브의 시트면으로 밀고있어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져야만 밸브시트에서 이탈되어 작동됨으로 볼플로트의 상측운동을 저지하면서, 응축수를 계속하여 저장조에 수집하도록 유도한다. 그러나 응축수의 수위가 더욱 더 높아져 볼플로트가 수면에 잠기기 직전에는 볼플코우트의 부양력은 아주 커지게 되어 샤프트를 밀고있는 저장조내의 압력으로는 더 이상 볼플로트의 부양력을 견디지 못함에 따라 일순간 볼플로트가 응축수 수면 위로 올라오는데, 이때 니들밸브가 시트면에서 이격된다. 이러한 결과로 밸브(51) 좌측면을 가압하고 있는 시스템 압력은 니들밸브 시트의 중앙 관통구인 제 3 통로(24)를 경유하면서 연통된 배출부의 통로를 따라 일시에 대기로 방출된다. 이때, 밸브 좌측면의 압력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밸브 좌.우의 압력은 일시에 파괴되어 밸브가 순간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밸브시트에서 이격된다.
따라서, 저장조 내에 수집된 응축수는 저장조내의 압력으로 하측에 설치된 응축수 배출통로(25)를 경유하고 연통된 배출부의 배출통로를 통과하여 밸브시트 중앙의 관통구를 통해 최종 외부로 배출된다. 응축수가 배출되는 순간에는 상기 저장조의 수위가 급격히 낮아지면서 볼플로트의 낙하도 같이 이루어져, 응축수가 저장조내에서 모두 배출되기 전에 니들밸브를 작동시켜 닫음으로 밸브 좌측면에 시스템압력이 다시 공급되어 밸브가 우측으로 작동하여 응축수 배출은 중단되고 저장조내의 압축에어의 손실은 발생되지 않고 1회 사이클이 끝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외부 별도 전원공급이 없이도 그 기기내의 구조로 인해 응축수가 저장조에 충분히 수집되면 에너지 손실없이 자동으로 이를 배출시키고, 압축에어 시스템내의 과도한 이물질에 대응하도록 배출구경을 확대 적용하였으며, 오랜 내구성에도 대응하기 위해 밸브를 피스톤 형태로 적용하였음으로, 공압시스템의 생산라인에 있어 압축에어의 에너지를 절감하고 기기의 훼손방지 및 제품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요건을 충족시켜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의 별도 전원 공급 없이도 그 기기자체 내의 구조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볼플로트의 상하운동에 따른 제어부의 기계적인 운동에 의하여 응축수의 배출시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다량의 응축수 배출에도 적합하고, 배출구측 밸브의 계폐시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압축에어의 누수손실을 없애고, 시스템내의 각종 이물질에도 간섭받지 않도록 하면서 효율적으로 시스템의 응축수를 제거하여 압축에어 시스템의 효율을 최적화 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공압시스템의 에어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여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기에 있어서,
    일측에 마련된 유입구를 통해 에어를 포함하는 응축수를 소정량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0)와;
    저장부의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조립패널부(20)와;
    상기 조립패널부(20)에 연결 설치되어 저장부(10)에 유입된 응축수의 수위상승에 따라 작동되어 제어부(30)의 니들밸브(33)를 조작하는 볼플로트부(40)와;
    상기 볼플로트(40)와 연결 설치되어 샤프트(31)의 운동을 안내하며 밸브(5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조립패널부(20)의 우측면에 연결 설치되어 밸브(51)의 좌.우 운동을 안내하며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50)와;
    상기 조립패널부(20)의 배출부(50)로 향하는 상측에 마련되어 볼플로트(40)의 운동과 관계없이 수동 배출시키는 테스트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저장부(10)를 향해 연결 설치되는 조립패널부(20)에 있어서, 조립패널부(2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에어를 포함하는 응축수를 필터링하여 소정압을 제어부로 유도하는 필터(21)와;
    상기 필터(21)를 경유한 소정압을 제어부(30)로 유도하는 제 1통로(22)와
    제 1통로와 연통되어 소정압을 제어부(30)를 통해 미세량 유도하는 제 2통로(23)와
    제어부(30)와 연통되어 밸브에 가압된 소정압을 대기로 방출시키는 제 3통로(24)와
    테스트부(60)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테스트밸브(62)가 설치되고, 시스템 압이 밸브(51)의 후측면을 가압하는 통공 및 밸브의 스프링을 설치하도록 스프링시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패널부(20)가 구성된 압축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3. 제 1항에 있어서, 조립패널부(20)의 소정위치에 연결 설치되는 제어부(30)에 대하여 샤프트의 좌.우 운동을 안내하면서 기밀을 유지하는 소정의 오링과
    니들밸브가 샤프트(31)에 결합 연결되어 볼플로트(40)와 연동 조작되는 구조를 가진 제어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4.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패널부(20)의 제어부(30)와 연결 설치되면서 조립패널부(20)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에 핀으로 연결되고, 응축수 수위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하로 운동하면서 제어부(30)의 샤프트(31)를 연동하여 니들밸브(33)를 제어하는 볼플로트(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조립패널부의 일측면에 조립패널부로 부터 나오는 응축수 배출구(25)와 연통시켜 연결 설치되면서 응축수를 병렬로 연결된 관통구로 안내하면서 밸브(51)가 앉는 자리에 밸브시트를 갖추고, 아울러 밸브의 좌.우 운동을 안내하도록 되어있는 배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의 밸브(51)에 대하여, 밸브 원주둘레 면에 패킹설치를 유도하는 소정의 패킹 안내구와 밸브시트 면에 접촉되어 기밀유지를 위한 합성수지 코팅된 밸브(5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7. 제 1항에 있어서, 조립패널부의 배출부 측면의 상부에 설치되는 테스트부에 대하여 테스트버튼과 결합된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어 움직이는 테스트밸브와,
    상기 작동봉의 복귀를 돕는 스프링으로 결합 연결된 테스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KR10-2002-0001942A 2002-01-09 2002-01-09 압축에어 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KR100469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942A KR100469860B1 (ko) 2002-01-09 2002-01-09 압축에어 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942A KR100469860B1 (ko) 2002-01-09 2002-01-09 압축에어 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929A true KR20020028929A (ko) 2002-04-17
KR100469860B1 KR100469860B1 (ko) 2005-02-02

Family

ID=1971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942A KR100469860B1 (ko) 2002-01-09 2002-01-09 압축에어 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8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0421B2 (en) 2007-05-18 2015-02-10 Woon Je Joe Condensate drain for compressed air system
CN109386639A (zh) * 2018-12-10 2019-02-26 泛亚气体技术(无锡)有限公司 一种双排水阀系统
KR20200138922A (ko) * 2019-06-03 2020-12-11 노준식 응축수 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433B1 (ko) 2013-01-14 2014-08-14 조운제 볼 플로트 트랩
KR101468794B1 (ko) * 2013-01-25 2014-12-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응축수 배출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7A (ja) * 1997-06-13 1999-01-06 Tlv Co Ltd 液体圧送装置
KR20000024084A (ko) * 1999-02-04 2000-05-06 경장호 증기 및 압축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JP4139505B2 (ja) * 1999-02-09 2008-08-27 スパイラックス・サーコ リミテッド フロート作動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0421B2 (en) 2007-05-18 2015-02-10 Woon Je Joe Condensate drain for compressed air system
CN109386639A (zh) * 2018-12-10 2019-02-26 泛亚气体技术(无锡)有限公司 一种双排水阀系统
KR20200138922A (ko) * 2019-06-03 2020-12-11 노준식 응축수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9860B1 (ko)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71501A (en) Self-cleaning filter assembly for solenoid-actuated valves
KR200440765Y1 (ko) 압축에어 공급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KR100441267B1 (ko) 하수관작업용순환배수장치
KR100469860B1 (ko) 압축에어 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CA2625716A1 (en) Water sensor apparatus
EP0536818B1 (en) Improved diaphragm pump, particularly suitable for gas-containing fluid
US6227332B1 (en) Structure for changing old engine oil in transmission case by automatic circulation mechanism
US6012654A (en) Nozzle beam on a device for generating liquid streams
EP0473558A1 (en) Fitting pipe for water supplying washing machines, in particular dish washing machines
KR20080008652A (ko) 인쇄회로기판용 분진 제거 장치
EP0009909A1 (en) Spray nozzle for a dual-purpose shower system
KR100268218B1 (ko) 응축수 회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012303B (zh) 液位控制装置及使用该装置的真空抽排系统及抽排方法
KR200214184Y1 (ko) 공기여과기의 차압식 자동 및 수동겸용 드레인장치
KR102236559B1 (ko) 응축수 배출장치
KR100330506B1 (ko) 절삭유의 칩 여과장치
KR200214185Y1 (ko) 공기여과기의 자동 및 수동겸용 드레인장치
KR102608938B1 (ko) 브레드 부착형 오배수 탱크 패키지 시스템
KR200450870Y1 (ko) 이단 또는 다단형 브이 패킹이 내장된 자동 및 수동 겸용 드레인 장치
KR0140595B1 (ko) 식기세척기용 이상수위감지장치
KR100471270B1 (ko) 폐수펌프용 흡입 필터 장치
CN213038526U (zh) 高可靠性的液位控制装置及使用该装置的真空抽排系统
KR100201892B1 (ko) 브레이크의 오일 세퍼레이트 탱크
KR100386087B1 (ko) 슬러리 여과방법
KR930001080Y1 (ko) 유로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