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870Y1 - 이단 또는 다단형 브이 패킹이 내장된 자동 및 수동 겸용 드레인 장치 - Google Patents

이단 또는 다단형 브이 패킹이 내장된 자동 및 수동 겸용 드레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870Y1
KR200450870Y1 KR2020080013023U KR20080013023U KR200450870Y1 KR 200450870 Y1 KR200450870 Y1 KR 200450870Y1 KR 2020080013023 U KR2020080013023 U KR 2020080013023U KR 20080013023 U KR20080013023 U KR 20080013023U KR 200450870 Y1 KR200450870 Y1 KR 200450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cylinder
piston
hose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685U (ko
Inventor
전흔수
Original Assignee
전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흔수 filed Critical 전흔수
Priority to KR2020080013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87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6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6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8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 공압기기에 공급되는 압력 유체의 여과시 응집된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 여과기의 자동 및 수동겸용 드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 여과기의 드레인장치(실용 신안 20-0214185-00-00)를 사용 하는데 있어, 피스톤 상하 작동으로 인한 실린더 내에 수막현상으로 인해 피스톤 상부에 물방울이 고이게 되는데, 피스톤의 하강시 피스톤 상부에 있는 압력 유체와 물이 피스톤의 릴리프 포트를 통과하는 만큼 시간이 지연됨으로 인해 집수구의 응축수가 초과 배출되어 집수구 내의 압축 공기가 유실되는 현상과 아울러 배출 소음이 일어나게 된다. 한편 플로트 내, 외압력의 차이로 인해 플로트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 엘리먼트를 통과한 이물질의 일부가 오수와 같이 드레인 될때 유로를 막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더불어, 호스 치부부가 고정된 호스 플러그가 부착되어 있어 사용에 불편함이 야기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드레인 부의 배출 구멍을 포함한 호스플러그의 하단에 원 터치 피팅을 장치하는 것을 기본형으로 하면서, 원 터치 피팅 대신에 니플 플러그를 사용하여 니플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호스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다양한 호스를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실린더 부에는 종전의 요철이 없는 브이 패킹 대신에 이단 또는 다단형의 립으로 구성된 브이 패킹을 사용해 종래 피스톤 상하 작동으로 발생하던 수막 현상을 제거시킴으로써 피스톤의 하강 시간이 정상적으로 소요되도록 하고, 집수구 내의 오수도 초과로 빠져나감이 없이 정상적으로 드레인 되도록 한다. 한편, 실린더 하부 유입구의 바깥쪽과 고정볼트의 단에 맞물리게 필터가 내장된 실린더 커버를 설치하여 오수의 드레인을 방해하던 이물질을 제거시킨다. 그리고 플로트 부 상단에는 깔때기 형 튜브를 장착하여 플로트의 내,외간의 압력차에 대응, 급격한 압력 차이발생을 막아 플로트의 파손을 방지하고, 플로트 밸브 시트는 실린더 밸브 시트에 시트 시킨다.
이상과 같은 효과로 인해 오토 드레인과 공기 여과기를 사용함에 있어 편이성과 효율성이 증가하게 된다.
이단 또는 다단 브이 패킹, 플로트 상단 깔때기 형 튜브, 원 터치 피팅형 호스 플러그, 호스 플러그 하단 니플 플러그와 니플, 필터 내장형 실린더 커버

Description

이단 또는 다단형 브이 패킹이 내장된 자동 및 수동 겸용 드레인 장치{ Both auto and manual drain device of air filter including a V-packing with two or more steps }
본 오토 드레인은 콤프레셔에 의하여 각종 산업 공압 기기에 공급되는 압력 유체를 공기 여과기의 엘리먼트를 통과시켜 공기에 함유된 먼지, 수분 등의 이물질 여과시에 응집된 수분이 물방울로 되어 집수구에 모이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 여과기의 자동 및 수동 겸용 드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출수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공기 여과기의 자동, 수동 겸용 오토 드레인(실용 신안 20-0214185-00-00)에 있어서, 도8과 같이 종래의 오토 드레인은 크게 몸체, 몸체 커버, 구멍이 포함된 상커버와 하커버를 포함하고 있다.
상커버와 하커버 사이에는 다공 지지판, 여과지, 글래스 화이버, 우레탄 폼으로 구성된 엘리먼트를 내입한 몸체 커버가 고정되어 있고, 몸체 커버의 하부에는 집수구가 고정되어 있다.
집수구(3)의 하부에는 패킹(11)과 구멍이 포함된 오토 드레인 커버(10)가 고정 볼트(12)와 고정 너트(13)로 설치되어 있고, 오링(15)이 포함되어 있으며 스프 링(16)의 탄발력을 받는 배출 구멍(140)이 뚫린 호스 플러그(14)가 고정 볼트(12) 내에 포함되어 있다.
오토 드레인 커버(10)의 내부에는 유입구(170)를 포함한 실린더(17)가 고정볼트(12)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17) 내에는 작동 로드(18)가 고정된 체크밸브(19)를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구멍이 있는 안내관(21)에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에는 브이 패킹(24)과 밸브 시트(23)가 내장되어 있는 한편, 피스톤(22)구멍(220)에 작동 로드(18)를 끼우고 스프링(25)으로 탄발 시켜 고정 볼트(12)의 브이패킹(26)에 접탈할 수 있도록 한 요입부(22A)와 밀착면(22B)이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17) 상부에 고정한 밸브 시트(27)의 구멍(270) 외부로 관출시킨 작동 로드(18)의 단부에는 밀폐판(28)을 고정하여 상기의 밀폐판(28)에는 플로트(29)를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공기 여과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밀폐판(28), 플로트(29), 피스톤(22)은하강되고, 피스톤(22)의 요입부(22A)는 고정 볼트(12)의 브이 패킹(26)에 위치되어 떨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콤프레셔의 압력 유체를 입구로 유입시키면 압력 유체는 상커버의 구멍과 다공 지지판, 여과지, 글래스 화이버, 우레탄 폼으로 된 엘리먼트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출구를 통하여 각종 공압 기기로 공 급되고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응축되어 생성된 물방울을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피스톤(22)은, 공기 여과기 내의 공기압에 의하여 상승 됨과 동시에 실린더(17) 내의 공기는 구멍(220)과 호스 플러그(14)의 배출구멍(1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최종 피스톤(22)의 밀착면(22B)은 고정 볼트(12)의 브이 패킹(26)에 밀착되어 밀착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몸체의 입구로 압력 유체가 유입되어 엘리먼트에 의하여 발생되는 물방울은 집수구에 모이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집수구(3) 내에 일정 수위로 오수가 모이면 부력에 의하여 플로트(29)는 상승하게 됨과 동시에 밀폐판(28)은 밸브 시트(27)에서 떨어져 밸브 시트(27)의 구멍(270)과 안내관(21)의 구멍(210)을 통하여 피스톤(22)에 공기압이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22)은 하강하게 되고 피스톤의 밀착면(22B)은 고정볼트(12)의 브이 패킹(26)에서 벗어나게 되어 집수구(3)의 오수는 오토 드레인 커버(10)의 구멍(10A)과 실린더(17)의 유입구(170) 및 호스 플러그(14)의 배출 구멍(140), 배출 호스(30)를 통해 외부로 자동으로 배출된다.
오수가 배출되면 플로트(29)는 하강하고 밀폐판(28)은 실린더 밸브 시트(27)에 밀착되며 피스톤(22)에 가해지는 공기 압력에 의하여 피스톤(22)은 상승되어 피스톤(22)의 밀착면(22B)은 브이 패킹(26)에 밀착되고 집수구(3) 내에는 다시 엘리먼트(4)에 의하여 발생 되는 물이 모이게 되는데, 상기의 작동은 집수구(3)에 일정량의 오수가 차면 자동으로 작동된다.
장기 사용으로 집수구(3)에 일정량의 오수가 차도 오수 배출이 용이하게 이 루어 지지않거나 인위적으로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필요가 있을 시에는 호스 플러그(14)를 손으로 잡고 백선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시키면 호스 플러그(14)에 밀려 상승 되는 작동 로드(18)에 의하여 밀폐판(28)과 플로트(29)가 상승 됨과 동시에 실린더 밸브 시트(27)의 구멍(270), 안내관(21)의 구멍(210)을 통하여 압력 유체가 유입되어 피스톤(22)이 하강하게 되고 피스톤(22)의 밀착면(22B)은 고정 볼트(12)의 브이 패킹(26)에서 벗어나게 되어 집수구의 오수는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배출시킨 손을 떼게 되면 스프링(16)의 탄발력에 의하여 호스 플러그(14)는 원위치로 하강 된다.
종래의 공기 여과기의 자동, 수동 겸용 오토 드레인에 있어서, 먼저,피스톤의 브이 패킹이 실린더 내벽을 상하 이동하면서, 실린더 내의 피스톤 하단에 고여 있는 응축수로 인해 실린더 내벽에 수막 현상이 발생한다. 피스톤의 브이 패킹의 상하 작동의 반복으로 인해 실린더 내벽에 수막이 형성 되고, 그 수막은 브이 패킹의 스크랩 현상에 의해 일부분이 피스톤 상부에 밀려 올라가 결국 응축수가 고이게 된다. 한편, 플로트의 부력에 의해 실린더 상부의 밸브시트가 열리고, 그 틈새로 압력 유체가 유입되어 피스톤을 가압하며 피스톤은 하강하여 요입부가 열린다. 그와 함께 배출수의 유로가 열려 집수구의 응축수가 배출되는데, 이상과 같이 피스톤 상부에 응축수가 고이게 되면, 피스톤 상부의 압력 유체는 작동 로드와 피스톤의 릴리프 포트 사이를 통과할 때 수분이 함유되게 되고, 수분의 저항으로 피스톤이 하강 되어 정지된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피스톤 상부의 압력 유체에 포함된 응축수가 배출되는 시간만큼 작동이 지연되게 된다. 지연되는 시간만큼 집수구의 응축수도 정상적인 작동에 비해 더 많이 배출되는데, 그 결과 배출되어서는 안 되는 압축 공기까지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오토 드레인 하부에서의 소음이 심해지는 것은 물론 압축 공기의 유실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두 번째로, 공기 여과기의 출구에 부착되어 있는 퀵 세트 커플링(quick set coupling) 제거 시 오작동으로 여과기 내의 압력 유체가 급격하게 배출되는 현상 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여과기 내부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급속도로 하강하게 된다. 그러면, 플로트 내부의 압력이 플로트 외부의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커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큰 플로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플로트가 파손되어 오토 드레인이나 공기 여과기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세 번째로, 압축 공기가 엘리먼트를 통과할 때 여과되는 이물질이 집수구에 오수와 함께 모이게 되는데, 모인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오수가 드레인 되는 유로가 막히거나 패킹 등의 부품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하여, 오토 드레인의 성능이 저하되어 오작동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종래의 호스 플러그의 호스 치부부는 고정형으로 되어 있어, 한번 호스를 설치하면 다시 변경시킬 수가 없어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첫 번째로, 브이 패킹의 실린더 측의 립(lip) 부분의 형태를 이단형내지 다단형의 형상으로 변경한다. 단의 형태는 실린더 내벽의 표면 거칠기의 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두 번째로, 플로트의 상부에 깔대기형 튜브를 장치하여 플로트 하단면 바로 위까지 이르도록 하여, 플로트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해소하는 연결통로로 이용되도록 한다.
세 번째로, 실린더 유입구의 외부에 필터가 내장된 실린더 커버를 고정볼트 외단에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호스 플러그에 호스의 탈부착이 용이한 원 터치 피팅(one-touch fitting)을 장착하는 것을 기본형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니플(nipple) 플러그도 설치하도록 한다. 원 터치 니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호스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이단 또는 다단형의 립 구조를 가진 패킹을 사용하면, 미세 수분이 실린더 내벽에 남는 것을 방지하여 종래 피스톤의 상하 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던 실린더 내벽의 수막 현상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피스톤 상단에 응축수의 일부가 고이는 현상도 방지되어 피스톤의 하강 시간이 정상적으로 소요되고, 집수구 내의 오수도 정상적으로 드레인 된다. 따라서 그로 인한 집수구 내의 압축 공기의 손실도 없어지게 되어, 소음 발생이나 경제적 손실분과 같은 문제점이 해결된다.
두 번째로, 플로트 상부에 깔때기 형 튜브를 장치함으로써, 플로트 내, 외부의 압력 차이로 인한 플로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오토 드레인과 공기 여과기의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세 번째로, 필터가 포함된 실린더 커버를 고정 시킴으로써, 여과된 후 집수구에 모여 집수구에 모인 오수의 드레인을 방해하던 이물질이 제거되어 드레인 작용이 원활하게 된다.
마지막으로,호스 플러그에 호스의 탈부착이 용이한 원 터치 피팅(one-touch fitting)을 장착하는 것을 기본형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니플(nipple) 플러그도 설치하도록 하여, 호스의 탈부착을 종전과 비교해 월등히 용이 하도록 한다. 또 니플 변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호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안에 따른 오토 드레인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도 1 참조)
본 오토 드레인은 전체적으로 드레인 부, 실린더 부, 플로트 부로 나뉘어 진다.
드레인 부의 세부 구조는 다음과 같다.
입구(31a)와 출구(31b)를 형성한 몸체에 디플렉션 밸브(32)와 엘리먼트(34)를 내입한 패플(35)을 스크류(36)와 너트(37)로 고정시킨다. 몸체(31)에 고정한 집수구(33)의 하부에는 오링(69)과 고정 볼트(51)를 고정 너트(59)로 고정한다. 고정 볼트(51) 내에는 호스 플러그(58)의 기밀 유지를 위해 오링(60)을 장착한다. 배출 구멍(58a)을 포함한 호스플러그(58)의 하단에 원 터치 피팅(62)을 장치하는 것을 기본형으로 하고, 호스플러그(58) 하단에 니플 플러그(63)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는 호스의 크기를 다양화 하도록 한다. 상기 호스 플러그(58)는 스톱 링(61)으로 고정시키고 스프링(57) 장력에 의해 탄발 되도록 한다.
실린더 부의 세부 구조는 다음과 같다.
실린더(52)의 하단 내측 홈에 고정볼트(51)의 상부 외경을 고정시키고, 고정볼트(51)의 상부 내 단에 컵 패킹(67)을 설치하고 컵 스톱퍼(66)로 고정시킨다. 실 린더(52) 하부에 설치된 유입구(52b) 바깥쪽에 이물질 방지용 필터가 내장된 실린더 커버(68)를 고정 볼트(51)의 외홈에 오링(69)과 같이 고정시킨다. 실린더(52)의 외형 중간 어깨 부의 돌출된 엘(L)형 지지대 중앙부에는 응축수의 통로(52a)가 있고, 지지대 선단에 플로트 보호용 커버(56)의 치부 홈(71)이 있다. 실린더(52)의 내부에는 이단 또는 다단형의 립(lip)으로 구성된 브이 패킹(64)이 피스톤(53)의 홈에 장착되어 있고, 피스톤(53)의 중앙 상부에 있는 밸브 시트(65)의 내부에 릴리프 포트(530)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피스톤(53) 하단에 요입부(53a)와 밀착면(53b)을 형성해, 고정 볼트(51)의 컵 패킹(67)에 접탈 시킬 수 있도록 피스톤(53)의 상부 스프링(70)으로 탄발 시킨다. 실린더(52) 상단 내부에 작동 로드(75)와 체크 밸브(73)를 고정 워셔(72)로 장착하고, 체크밸브 스프링(74)으로 탄발 시킨다. 실린더(52)의 상부 원통형 축에 플로트(55)의 안내(guide)홈(76)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선단에는 실린더 밸브시트(77)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밸브시트(77)의 내부 실린더 포트(77a)에 작동로드(75)의 선단부가 끼워져 있다.
플로트 부의 세부 구조는 다음과 같다.
실린더(52)의 어깨 부에 플로트 보호용 커버(56)의 홈이 있고, 그 홈에 플로트 보호용 커버(56)가 조립되어 있어며 커버(56)의 상부는 응축수 통로(52a)에 상응하는 압력 유체 통로(56a)가 설치되어 있다. 플로트 보호용 커버(56) 안쪽에는 플로트(55)과 플로트 하(54)가 결합되어 있으며, 플로트(55)에는 내, 외부를 연결하는 깔때기 형 튜브(55a)가 장착되어 있다. 플로트(55)의 중앙 상부에는 밸브 시 트(78)가 고정용 워셔(79)로 조립되어 있고, 플로트(55)의 내경 홈은 실린더(52) 외 홈의 가이드(guide)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여 실린더 밸브 시트(77)에 플로트의 밸브 시트(78)가 시트(seat) 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공기 여과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3 과 같이 체크 밸브(73), 플로트(55), 피스톤(53)은 하강하고 피스톤의 요입부(53a)는 고정 볼트(51) 의 컵패킹(67)에서 떨어져 대기압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콤프레셔의 압력 유체를 공기 여과기 입구(31a)로 유입 시키면 압력 유체는 디플렉션 밸브(32)와 엘리먼트(34)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먼지등의 이물질이 제거된 압력 유체는 출구(31b)를 통하여 각종 공압 기기로 공급되며 압력 유체에 함유된 수분은 물방울로 응축되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집수구(33) 내에 인입된 압력 유체는 실린더 커버(68)의 필터(68a)와 실린더 유입구(52b)를 거처 피스톤(53)의 하부로 유입되어 요입부(53a)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피스톤(53)은 압력 유체에 의하여 상승 되고, 피스톤(53) 상부의 실린더(52) 내의 공기는 피스톤 릴리프 포트(530)와 호스 플러그(58)의 배출구멍(58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피스톤의 밀착면(53b)은 고정 볼트(51)의 컵 패킹(67)에 밀착되어 도 4와 같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몸체(31)의 입구로 압력 유체가 유입되어 디플렉션 밸브(32)와 엘리먼트(34)에 의 하여 발생되는 물방울은 집수구(33)에 모이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집수구(33) 내의 오수가 일정 수위에 이르게 되면, 플로트(55)는 부력에 의해 도5와 같이 상승한다. 동시에 플로트 밸브시트(78)는 실린더 밸브 시트(77)에서 떨어지고, 실린더 포트(77a)를 통하여 실린더(52) 내로 압력 유체가 유입되어 피스톤(53)의 상면에 가압 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단 또는 다단형 브이패킹(64)과 피스톤(53)은 스프링(70)과 압력 유체로 인해 하강하게 되고, 피스톤 밀착면(53b)은 도 5와 같이 고정 볼트(51)의 컵 패킹(67)에서 벗어나게 되어 집수구(33)의 오수는 실린더 커버(68)의 필터(68a)와 실린더(52) 하단의 유입구(52b)를 거쳐 호스플러그(58)의 배출 구멍(58a)과 배출 호스(80)를 통하여 외부로 자동배출된다.
오수가 배출되면 플로트(55)는 하강하고, 플로트 밸브 시트(78)는 실린더 밸브 시트(77)에 밀착되게 된다. 브이 패킹(64)과 피스톤(53)은 도 4와 같이 피스톤(53)의 하부에 가해지는 압력 유체에 의하여 상승하고, 피스톤 밀착면(53b)은 컵 패킹(67)에 밀착되고, 집수구(33) 내에는 다시 디플렉션 밸브(32)와 엘리먼트(34)에 의해 발생되는 물이 고이게 된다. 상기의 작동은 집수구(33)에 일정량의 오수가 차면 자동으로 반복 실행된다.
인위적으로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필요가 있을 시에는 호스 플러그(58)의 원 터치 피팅(62)을 손으로 잡고 도 6의 백선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시킨다. 호스 플러그(58)에 밀려 상승 되는 작동 로드(75)에 의해 플로트 밸브시트(78)가 상승 됨과 동시에, 실린더 포트(77a)를 통하여 유입되는 압력 유체와 스프링(70)의 장력으로 인해 피스톤(53)이 하강하고, 피스톤의 밀착면(53b)은 고정 볼트(51)의 컵패킹(67)에서 벗어나게 되어 집수구(33)의 오수는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시킨 후 손을 떼게 되면 스프링(57)의 탄발력에 의하여 호스플러그(58)는 원위치로 하강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소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요소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요소부 작동단면도
도 5는 도 1의 부력 작동단면도
도 6은 도 1의 수동 작동단면도
도 7은 도 3의 브이패킹부 확대도
도 8은 종래 자동 및 수동겸용 드레인의 단면도
도 1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몸체
31a : 입구
31b : 출구
32 : 디플렉션 밸브
33 : 집수구
34 : 엘리먼트
35 : 패플
36 : 스크류
37 : 너트
38 : 오링
39 : 집수구 가드
50 : 본 고안의 오토드레인
51 : 고정볼트
52 : 실린더
52a : 응축수 통로
52b : 실린더 유입구
53 : 피스톤
53a : 요입부
53b : 밀착면
530 :릴리프 포트
54 : 플로트 하
55 : 플로트
55a : 깔때기 형 튜브
56 : 플로트 보호용 커버
56a : 압력 유체 통로
57 : 스프링
58 : 호스 플러그
58a : 배출 구멍
59 : 고정너트
60 : 오링
61 : 스톱 링
62 : 원 터치 피팅
62a : 선택용 원 터치 피팅(호스 선택)
63 : 니플 플러그
64 : 이단 또는 다단형 브이 패킹
65 : 피스톤 밸브 시트
66 : 컵 스톱퍼
67 : 컵 패킹
68 : 실린더 커버
68a : 필터
69 : 오링
70 : 스프링
71 : 치부 홈
72 : 고정 워셔
72a : 유로
73 : 체크밸브
74 : 스프링
75 : 작동 로드
76 : 안내 홈
77 : 실린더 밸브 시트
77a : 실린더 포트
78 : 밸브시트
79 : 워셔
80 : 호스
도 8의 주요 부품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버
10' : 커버 상
10A : 구멍
11 : 패킹
12 : 고정볼트
13 : 고정너트
14 : 호스 플러그
140 : 배출구멍
15 : 오링
16 : 스프링
17 : 실린더
170 : 유입구
18 : 작동 로드
19 : 체크 밸브
20 : 스프링
21 : 안내관
210 : 구멍
22 : 피스톤
220 : 구멍
22A : 요입부
22B : 밀착면
23 : 밸브시트
24 : 브이 패킹
25 : 스프링
26 : 브이 패킹
27 : 밸브시트
270 : 구멍
28 : 밀페판
29 : 플로트
30 : 호스

Claims (6)

  1. 실린더(52) 내부에 장착된 브이 패킹(64)과,
    실린더(52) 외부에 장착된 실린더 커버(68)와,
    호스 플러그(58)에 설치된 원 터치 피팅(62) 장치와,
    플로트(55)에 튜브(55a)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기의 자동 및 수동겸용 드레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이 패킹(64)의 이단 또는 다단형의 요철립(lip)이 실린더(52) 내벽과 맞닿는 부분에 장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여과기의 자동 및 수동 겸용 드레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커버(68)는 집수구(33)에 모인 오수의 드레인을 방해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68a)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여과기의 자동 및 수동 겸용 드레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 플러그(58)에 원터치 피팅(62)을 장착함으로써 호스(80)의 탈부착이 편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여과기의 자동 및 수동 겸용 드레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스 플러그(58)에 니플 플러그(63)를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호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니플(62a)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여과기의 자동 및 수동 겸용 드레인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55a)는 플로트(55) 내-외부를 관통하는 깔때기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여과기의 자동 및 수동 겸용 드레인 장치.
KR2020080013023U 2008-09-29 2008-09-29 이단 또는 다단형 브이 패킹이 내장된 자동 및 수동 겸용 드레인 장치 KR200450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023U KR200450870Y1 (ko) 2008-09-29 2008-09-29 이단 또는 다단형 브이 패킹이 내장된 자동 및 수동 겸용 드레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023U KR200450870Y1 (ko) 2008-09-29 2008-09-29 이단 또는 다단형 브이 패킹이 내장된 자동 및 수동 겸용 드레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685U KR20100003685U (ko) 2010-04-07
KR200450870Y1 true KR200450870Y1 (ko) 2010-11-05

Family

ID=4447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023U KR200450870Y1 (ko) 2008-09-29 2008-09-29 이단 또는 다단형 브이 패킹이 내장된 자동 및 수동 겸용 드레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87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01923B (zh) * 2023-06-27 2024-03-05 宁波优诺姆机械有限公司 一种排气式注塑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30308A2 (en) 2000-03-04 2001-09-05 CLARKE, Douglas Ceci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neumatic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30308A2 (en) 2000-03-04 2001-09-05 CLARKE, Douglas Ceci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neumatic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685U (ko)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358B1 (ko) 유하 빗물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
KR200449289Y1 (ko) 공기압용 필터의 체크밸브가 분리된 자동 및 수동겸용드레인장치
JP4659039B2 (ja) 水を使用する家庭用器具における排水導管用の導管換気装置
CA2625716A1 (en) Water sensor apparatus
KR200450870Y1 (ko) 이단 또는 다단형 브이 패킹이 내장된 자동 및 수동 겸용 드레인 장치
TWM616626U (zh) 抗堵塞免供電型自動排水器
CN210797838U (zh) 初期雨水弃流装置
RU2688045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 управляемый водоспускной клапан
KR20140052597A (ko) 부표와 여과망이 구비된 빗물처리장치
CN104594479A (zh) 真空便器系统的自动排出装置
JP3897619B2 (ja) 自動給水装置
KR100559601B1 (ko) 디젤연료필터의 공기/물 배출장치
KR101468794B1 (ko) 응축수 배출기
KR200214184Y1 (ko) 공기여과기의 차압식 자동 및 수동겸용 드레인장치
KR200214185Y1 (ko) 공기여과기의 자동 및 수동겸용 드레인장치
JP2006316809A (ja) ストレーナ付き吸排気弁
TWI765745B (zh) 抗堵塞免供電型自動排水器
EP2297497A1 (en) A wastewater valve arrangement
KR200360320Y1 (ko) 폐오일 수거장치용 오일 역류방지기
CN208281103U (zh) 一种检测柴油滤清器的放水装置
CN219623793U (zh) 一种压缩空气自动排除水分装置
CN218094248U (zh) 一种自动排水器
KR100864256B1 (ko)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
KR200345076Y1 (ko)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
KR20000013814U (ko) 드럼필터의 탈수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