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256B1 -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 - Google Patents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256B1
KR100864256B1 KR1020070022082A KR20070022082A KR100864256B1 KR 100864256 B1 KR100864256 B1 KR 100864256B1 KR 1020070022082 A KR1020070022082 A KR 1020070022082A KR 20070022082 A KR20070022082 A KR 20070022082A KR 100864256 B1 KR100864256 B1 KR 100864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water separator
por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1694A (ko
Inventor
황철용
Original Assignee
(주)하나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플랜트 filed Critical (주)하나플랜트
Priority to KR102007002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256B1/ko
Publication of KR20080081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드라이기, 에어 콤프레셔 등에 사용되는 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배수구 또는 배수부의 막힘을 조기에 감지하기 위하여, 흡기구와 배기구 및 배수구가 형성된 몸체, 흡기관, 배기관 및 배수부를 포함하는 수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제2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흡기구와 배기구 및 배수구가 형성된 몸체, 흡기관, 배기관 및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수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에 보조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분리기, 기수분리기, 에어 드라이기, 에어 콤프레셔, 배수관

Description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HIGH-EFFICIENT WATER SEPARATOR WITH SAFET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수분리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2배수부 12: 제2배수관
14: 제2드레인트랩 16: 센서
20: 보조배수부 22: 보조배수관
24: 보조드레인트랩 26: 센서
100: 몸체 110: 흡기구
120: 배기구 130: 배수구
140: 제2배수구 200: 흡기관
300: 배기관 400: 배수부
410: 배수관 412: 보조배수구
420: 드레인트랩
본 발명은 에어 드라이기, 에어 콤프레셔 등에 사용되는 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제2배수부 또는 보조배수부를 구비하여 배수구 또는 배수부의 막힘 여부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분리기는 압축공기를 사용함에 있어 공기 중의 수분 또는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습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냉각기에 의해 발생하는 습공기의 응축 수분을 분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분리기는 사이클론 타입(cyclone type)과 디미스터 타입(demister type)이 일반적이다.
사이클론 타입은 습공기를 하강 선회하도록 하여 비중이 큰 수분 등은 하강하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가 중심부에서 상승하도록 하는 방법이며, 디미스터 타입은 습공기를 디미스터에 통과시켜 수분 등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도 3은 종래의 수분리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종래의 수분리기는 몸체(100), 흡기관(200), 배기관(300) 및 배수부(4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습공기로부터 수분 등을 분리하는 곳으로서, 내부가 빈 통형상이고 흡기구(110), 배기구(120) 및 배수구(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분리된 수분 등이 모인다. 사이클론 타입의 경우에는 몸체(100)의 내부에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디미스터 타입의 경우에는 몸체(100)의 내부에 디미스터가 구비된다.
흡기구(110)는 습공기가 몸체(100) 내부로 들어가는 곳으로서 사이클론 타입인 경우에는 몸체(100)의 상부 측면에 위치하고 디미스터 타입은 몸체(100)의 하부 쪽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배기구(120)는 수분 등이 제거된 공기가 몸체(100)에서 나가는 곳으로서, 몸체(100)의 상부에 위치함이 일반적이다.
배수구(130)는 공기에서 제거되어 몸체(100)의 하부에 모인 수분 등을 배출하는 곳으로서, 몸체(100)의 하단에 위치한다.
흡기관(200)은 흡기구(110)에 연통되고, 배기관(300)은 배기구(120)에 연통된다.
배수부(400)는 배기구(120)에 연통된 배수관(410)과 배수관(410)에 연통된 드레인트랩(420)으로 구성된다. 드레인트랩(420)은 공기의 역류 방지 등을 위한 것으로 자동 드레인 트랩이 채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분리기는 냉각된 습공기가 흡기관(200)을 통하여 몸체(100) 내부로 들어가고, 몸체(100) 내부에서 공기 중의 수분 등이 응축되어 분리된 뒤에 건조한 공기가 배기관(300)을 통하여 몸체(100) 밖으로 나가며, 상기 응축된 수분 등은 몸체(100)의 하부에 모여서 배수관(410)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응축된 수분 등은 수분, 유분 등의 액체 외에도 먼지 등을 포함하고 있어 배수구(130) 및 배수부(400)가 막히는 경우가 많다.
배수구(130) 또는 배수부(400)가 완전히 막히거나 일부 막히는 경우 몸체(100)의 내부에 수분 등이 쌓여 수분리기의 성능이 저하되고, 그러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 흡기관(200)을 통한 역류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수분리기의 밀폐구조상 배수구(130) 및 배수부(400)의 막힌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우며, 배수부(400)를 통한 배출정도를 가지고도 판단이 어렵다.
우선 배수부(400)를 통해 수분 등이 전혀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도 배수구(130) 또는 배수부(400)가 막힌 것인지 공기 중에 수분이 적기 때문인지 알 수 없다.
또한 배수부(400)를 통해 수분 등이 배출되더라도 일부가 막힌 경우라면 배출량보다 응축되는 수분의 양이 많은 경우 몸체(100) 내부에 수분 등이 쌓여 상기의 문제가 발생한다.
몸체(100)의 내부에 감지기를 설치하는 것은 오작동의 우려가 커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감지기의 오작동이 없으면서 배수구(130) 또는 배수부(400)의 막힘 여부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수분리기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배수구 또는 배수부의 막힘 여부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제2배수부가 구비되고 감지기의 오작동을 최소화한 수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는, 흡기구와 배기구 및 배수구가 형성된 몸체, 흡기관, 배기관 및 배수부를 포함하는 에어 드라이기용 수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제2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배수구에는 제2배수관이 연통되고, 상기 제2배수관에는 제2드레인트랩과 유체의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드레인트랩은 소정의 수압이상에서만 유체가 배출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배수관이 상기 몸체의 내부로 돌출 연장되고, 그 끝이 굽어서 입구가 아래쪽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는, 흡기구와 배기구 및 배수구가 형성된 몸체, 흡기관, 배기관 및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수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에 보조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배수구에는 보조배수관이 연통되고, 상기 보조배수관 에는 보조드레인트랩과 유체의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드레인트랩은 소정의 수압이상에서만 유체가 배출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보조배수관이 상기 배수관의 내부로 돌출 연장되고, 그 끝이 굽어서 입구가 아래쪽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수분리기는 몸체(100), 흡기관(200), 배기관(300), 배수부(400) 및 제2배수부(10)를 포함하며, 기본구조는 전술한 종래 수분리기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상기 몸체(100)에는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제2배수구(1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2배수부(10)는 제2배수관(12), 제2드레인트랩(14) 및 센서(16)를 포함한다.
제2배수관(12)은 제2배수구(140)와 통하도록 연결되며, 수분 등이 배출되는 관이다. 제2배수구(140) 및 제2배수관(12)의 설치 이유는 수분 등이 제2배수구(140)의 높이까지 쌓인 경우에 배출시키고자 하는 것인데, 제2배수관(12)이 제2배수구(140)에 단순히 연결만 되어 있는 경우에는 몸체(100)의 내벽을 타고 흐르는 수분 등이 제2배수관(12)으로 흘러들어 갈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제2배수관(12)은 몸체(100)의 내부로 돌출 연장되어있으며, 그 끝이 굽어서 입구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제2드레인트랩(14)은 공기의 역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배수관(12)에 연통하여 설치되며, 자동 드레인 트랩이 채용된다. 제2드레인트랩(14)은 소정의 수압을 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유체를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로써, 제2배수구(140)의 높이 이상으로 수분 등이 쌓인 경우에만 제2드레인트랩(14)을 통하여 수분 등이 배출된다.
센서(16)는 유체의 흐름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제2드레인트랩(14)에서 수분 등이 배출되는 경우에 신호를 보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리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수구(130) 및 배수부(400)가 막히지 않은 경우에 몸체(100) 내부에서 응축된 수분 등은 원활하게 배수부(400)를 통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몸체(100) 내부에 수분 등이 쌓이지 않고, 따라서 제2배수부(10)를 통한 수분 등의 배출은 없다. 제2배수관(12)이 몸체(100)의 내부로 연장되고 그 끝이 굽어서 아래쪽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몸체(100) 내부에 수분 등이 제2배수구(140)의 높이 까지 쌓이지 않는 이상 제2배수관(12)으로 수분 등의 유입은 매우 어렵다. 또한, 제2드레인트랩(14)은 일정 수압 이상에서만 수분 등을 배출하기 때문에 혹시 모를 수분 등에 의하여도 제2드레인트랩(14)을 통한 수분의 배출은 없다. 따라서, 센서(16)는 작 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배수구(130) 또는 배수부(400)가 막히는 경우에는 수분 등을 배출할 수 없어서 몸체(100) 내부에 수분 등이 쌓이게 된다. 수분 등이 제2배수구(140)의 높이까지 쌓이면 수분 등은 제2배수관(12)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까지는 제2드레인트랩(14)에서의 유체의 배출은 없으나, 수분 등이 계속 쌓여 소정의 높이를 넘는 경우에 수압의 증가로 인해 제2드레인트랩(14)을 통해 수분 등의 배출이 시작된다.
제2드레인트랩(14)에서 수분 등이 배출되면 센서(16)가 작동하여 경보를 울리고, 배수구(130) 또는 배수부(400)에 이상이 생겼음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수분리기는 몸체(100), 흡기관(200), 배기관(300), 배수부(400) 및 보조배수부(20)를 포함하며, 기본구조는 전술한 종래 수분리기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상기 배수부(400)의 드레인트랩(420) 앞쪽에 위치하는 배수관(410) 측면에 보조배수구(412)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조배수부(20)는 보조배수관(22), 보조드레인트랩(24) 및 센서(26)를 포함한다.
보조배수관(22)은 보조배수구(412)와 통하도록 연결되며, 수분 등이 배출되는 관이다. 보조배수구(412) 및 보조배수관(22)의 설치 이유는 수분 등이 배수 관(410)을 통해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 이를 배출시키고자 하는 것인데, 보조배수관(22)이 보조배수구(412)에 단순히 연결만 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수관(410)의 내벽을 타고 흐르는 수분 등이 보조배수관(22)으로 흘러들어 갈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보조배수관(22)은 배수관(410)의 내부로 돌출 연장되어있으며, 그 끝이 굽어서 입구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보조드레인트랩(24)은 공기의 역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배수관(22)에 연통하여 설치되며, 자동 드레인 트랩이 채용된다. 보조드레인트랩(24)은 소정의 수압을 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유체를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로써, 소정의 높이 이상으로 수분 등이 쌓인 경우에만 보조드레인트랩(24)을 통하여 수분 등이 배출된다.
센서(26)는 유체의 흐름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보조드레인트랩(24)에서 수분 등이 배출되는 경우에 신호를 보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리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수부(400)가 막히지 않은 경우에 수분 등은 원활하게 배수부(400)를 통하여 배출되고, 따라서 보조배수부(20)를 통한 수분 등의 배출은 없다. 보조배수관(22)이 배수관(410)의 내부로 연장되고 그 끝이 굽어서 아래쪽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배수관(410) 내부에 수분 등이 보조배수구(412)의 높이 까지 쌓이지 않는 이상 보조배수관(22)으로 수분 등의 유입은 매우 어렵다. 또한, 보조드레인트랩(24)은 일정 수압 이상에서만 수분 등을 배출하기 때문에 혹시 모를 수분 등에 의하여도 보조드레인트랩(24)을 통한 수분의 배출은 없다. 따라서, 센서(26)는 작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배수부(400)가 막히는 경우, 특히 드레인트랩(420)이 막히는 경우에는 배수부(400)를 통하여 수분 등을 배출할 수 없어서 배수관(410) 내부에 수분 등이 쌓이게 된다. 수분 등이 보조배수구(412)의 높이까지 쌓이면 수분 등은 보조배수관(22)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까지는 보조드레인트랩(24)에서의 유체의 배출은 없으나, 수분 등이 계속 쌓여 소정의 높이를 넘는 경우에 수압의 증가로 인해 보조드레인트랩(24)을 통해 수분 등의 배출이 시작된다.
보조드레인트랩(24)에서 수분 등이 배출되면 센서(26)가 작동하여 경보를 울리고, 배수부(400)에 이상이 생겼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에 의하면, 제2배수부 또는 보 조배수부를 구비함으로써 배수구 또는 배수부의 막힘 여부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지기의 오작동 우려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구 또는 배수부의 막힘 여부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수분리기의 효율도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공기가 들어가는 흡기관(200)과, 공기가 나가는 배기관(300)과,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수관(410) 및 배수관(410)에 설치된 드레인트랩(420)을 포함하는 배수부(400), 및 상기 흡기관(200)이 연통되는 흡기구(110)와 상기 배기관(130)이 연통되는 배기구(120)와 상기 배수관(410)이 연통되는 배수구(130)가 형성된 몸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구(130)가 상기 몸체(100)의 바닥에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 중의 수분을 분리하는 수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제2배수구(140)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배수구(140)에는 제2배수관(12)이 연통되며, 상기 제2배수관(12)에는 제2드레인트랩(14)과 제2드레인트랩(14)을 통과한 유체의 흐름을 감지하여 상기 배수구(130) 또는 배수부(400)의 이상징후를 알려주는 센서(1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드레인트랩(14)이 소정 압력이상에서만 유체를 통과시키되, 상기 소정 압력이 상기 배수구(130) 또는 배수부(400)에 이상이 생겨 상기 몸체(100)의 일정 높이 이상으로 유체가 누적되는 경우의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관이 상기 몸체의 내부로 돌출 연장되고, 그 끝이 굽어서 입구가 아래쪽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
  5. 삭제
  6. 공기가 들어가는 흡기관(200)과, 공기가 나가는 배기관(300)과,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수관(410) 및 배수관(410)에 설치된 드레인트랩(420)을 포함하는 배수부(400), 및 상기 흡기관(200)이 연통되는 흡기구(110)와 상기 배기관(130)이 연통되는 배기구(120)와 상기 배수관(410)이 연통되는 배수구(130)가 형성된 몸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구(130)가 상기 몸체(100)의 바닥에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 중의 수분을 분리하는 수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410)에 보조배수구(412)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배수구(412)에는 보조배수관(22)이 연통되며, 상기 보조배수관(22)에는 보조드레인트랩(24)과 보조드레인트랩(24)을 통과한 유체의 흐름을 감지하여 상기 배수구(130) 또는 상기 배수부(400)의 이상징후를 알려주는 센서(2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드레인트랩(24)이 소정 압력이상에서만 유체를 통과시키되, 상기 소정 압력이 상기 배수구(130) 또는 배수부(400)에 이상이 생겨 상기 몸체(100)의 일정 높이 이상으로 유체가 누적되는 경우의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수관이 상기 배수관의 내부로 돌출 연장되고, 그 끝이 굽어서 입구가 아래쪽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
KR1020070022082A 2007-03-06 2007-03-06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 KR100864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082A KR100864256B1 (ko) 2007-03-06 2007-03-06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082A KR100864256B1 (ko) 2007-03-06 2007-03-06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694A KR20080081694A (ko) 2008-09-10
KR100864256B1 true KR100864256B1 (ko) 2008-10-17

Family

ID=4002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082A KR100864256B1 (ko) 2007-03-06 2007-03-06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081B1 (ko) 2010-06-09 2012-11-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군 함정용 드레인 트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8509A (ja) * 1986-01-21 1987-07-24 Fuji Electric Co Ltd 気水分離装置
KR20050119757A (ko) * 2004-06-17 2005-12-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압력용기의 드레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8509A (ja) * 1986-01-21 1987-07-24 Fuji Electric Co Ltd 気水分離装置
KR20050119757A (ko) * 2004-06-17 2005-12-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압력용기의 드레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081B1 (ko) 2010-06-09 2012-11-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군 함정용 드레인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694A (ko)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5703B2 (en) Purification apparatus for compressed air
KR20060087853A (ko) 오물역류 방지부재를 구비한 사이클론 집진장치
US11420137B2 (en) Effluent processing apparatus for a vehicle air brake charging system
CA2792328A1 (en) Air dryer cartridg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ir dryer cartridge
EP3225295B1 (en) Oil catcher
KR100864256B1 (ko) 안전장치가 부착된 고효율 수분리기
JP7161316B2 (ja) 不純物分離装置
TWM616626U (zh) 抗堵塞免供電型自動排水器
CN209781208U (zh) 一种旋片真空泵双级油气分离器
KR101244729B1 (ko) 압축공기 제습장치
US7938870B2 (en) Liquid separator with bypass
JP2010155229A (ja) 気固液分離器
RU2688045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 управляемый водоспускной клапан
CN110716010A (zh) 具有水气分离器的空气质量检测装置
CN205867671U (zh) 一种冷凝水储存集污零排气装置
CN213698999U (zh) 一种气水分离器的防堵排水装置
CN200995102Y (zh) 一种免滤芯式压缩空气脱水器
JP2006341153A (ja) 吸引作業車の水・空気分離装置及びこの装置を搭載した吸引作業車
KR200450870Y1 (ko) 이단 또는 다단형 브이 패킹이 내장된 자동 및 수동 겸용 드레인 장치
JPS6129993Y2 (ko)
EP3774468B1 (en) Effluen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air brake charging system
JP2005140028A (ja) 圧縮空気供給システム
CN214861872U (zh) 负压旋风分离正压排水式水气分离器
JPH10180024A (ja) ドレン除去装置
JPH08247035A (ja) 空気圧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7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8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