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148B1 - 슬러지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148B1
KR101905148B1 KR1020170057458A KR20170057458A KR101905148B1 KR 101905148 B1 KR101905148 B1 KR 101905148B1 KR 1020170057458 A KR1020170057458 A KR 1020170057458A KR 20170057458 A KR20170057458 A KR 20170057458A KR 101905148 B1 KR101905148 B1 KR 101905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pressurizing
discharge port
opening
wat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854A (ko
Inventor
이도연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씨 filed Critical (주)에스앤씨
Publication of KR20180065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3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and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e.g. for making powdered fu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02C2013/28609Dischar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가 외부로 누수(유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신속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는 슬러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 누수(유출)되는 물과 슬러지에 의해 커버가 들어 올려지면 이를 감지센서가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출력된 신호가 상황실로 전달됨에 따라 관리자는 현장으로 즉시 출동하여 더 이상의 누수(유출)를 차단함은 물론 신속하게 유지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러지 이송장치{Apparatus for conveying sludge}
본 발명은 슬러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슬러지의 외부로 누수(유출) 시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는 슬러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sludge)는 수분을 많이 함유한 진흙 형태의 폐기물로서 각종 산업현장이나 오폐수처리장 및 음식물처리장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슬러지는 많은 유기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그대로 폐기되면 유기물의 부패로 인해 토양은 물론 지하수 및 바닷물을 오염시키는 등 환경오염의 한 요인이 되므로, 발생된 슬러지는 소정의 처리과정을 거쳐 재활용되거나 소각 처리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슬러지의 처리과정에 있어서 슬러지의 이송을 위해 흔히 펌프가 사용되고 있으나, 슬러지에 포함되는 각종 이물질에 의해 펌프의 임펠러가 손상되거나 또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막혀 원활한 펌핑을 저해하는 폐단이 있다.
이에 펌프의 흡입구측에 거름망을 설치하여 이물질에 의한 임펠러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하였으나, 거름망에 걸린 이물질이 슬러지의 유동을 방해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펌프에 부하를 발생시킴으로써 원활한 슬러지의 이송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슬러지가 이송되는 이송펌프는 슬러지의 내부의 이물질이 점성이 높아 탈수 후에는 이송되는 관에 침착되어 이송되는 관의 막힘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펌프에 가압력에 의해서 이송되는 슬러지는 가압력이 일정하게 공급되지 못하면 내부에서 맥동 현상이 발생하여 슬러지가 이송관에 충돌하면서 이송관의 수명이 축소되고, 점착력이 강한 슬러지가 압력에 의해 이송관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침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2859호(슬러지 이송장치)가 있으며, 여기에는 슬러지의 이물질이 파쇄된 상태로 피스톤의 가압력으로 공급되고, 이송관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른 맥동 현상과 이송관의 안쪽 면에 슬러지가 침전되는 형상을 최소화하여 이송효율을 증대시킨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가압실린더의 가압피스톤이 가압몸체의 내부를 왕복이송하면서 슬러지를 가압해 배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 가압피스톤과 가압몸체 간의 상호 마찰로 인해 가압피스톤이 마모되기 쉽고, 이러한 마모로 인해 슬러지가 가압실린더 쪽으로 유출되기 쉬우며, 이렇게 유출된 슬러지가 외부로 배출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슬러지의 유출을 전혀 인지할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긴급하게 슬러지 이송장치를 수리해야 할 경우 슬러지의 유입을 차단한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2859호(슬러지 이송장치/2009.02.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러지의 외부로 누수(유출) 시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는 슬러지 이송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러지 이송장치의 긴급보수 시 개폐부를 통해 슬러지의 유입을 차단한 상태에서 보수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러지 이송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러지가 저장되며 배출구를 구비하는 슬러지벙커와;
상기 슬러지벙커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에 파쇄공간을 가지는 공급몸체, 상기 공급몸체에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깥 둘레에 파쇄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파쇄회전축, 상기 공급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파쇄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는 회전모터, 및 상기 공급몸체의 타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파쇄스크류로 파쇄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한 파쇄 공급부와;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파쇄된 상기 슬러지가 공급되는 가압호퍼, 및 상기 가압호퍼에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가압호퍼와 연통되어 공급된 상기 슬러지를 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실린더를 포함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호퍼에 타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가압호퍼와 연통되어 가압된 상기 슬러지가 토출되도록 한쪽이 연결되어 있는 절환토출관을 가지는 절환부와;
상기 절환토출관의 다른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슬러지가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상기 슬러지가 통과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관에서 이송되는 상기 슬러지의 역류를 방지시키는 역류방지변, 및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관의 압력이 유지되는 압력유지변을 포함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관의 상기 슬러지가 통과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관의 안쪽 둘레에 상기 슬러지와 상기 이송관 사이에 경계층이 형성되도록 유체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가지는 경계층분사장치와;
상기 가압호퍼와 가압실린더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가 상부로 개구되며 내부에 저장된 물이 가압실린더를 냉각시켜주는 워터박스, 워터박스의 상면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워터박스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 워터박스에 설치되어 커버의 개방을 제한하는 커버스토퍼, 커버스토퍼의 상부에 배치되어 커버의 개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구성된 누수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워터박스에 설치되어 커버의 개방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슬러지벙커와 파쇄공급부 사이에는 슬러지가 투입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더 보강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배출구와 투입구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관형프레임과, 이송너트를 갖추고서 관형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관형프레임의 내부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판과, 손잡이를 갖추고서 이송너트에 체결되어 개폐판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리드스크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슬러지벙커에는 내부에 저장된 슬러지를 배출구를 향해 이송시켜주는 이송스크류와,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된 슬러지유도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외부로 누수(유출)되는 물과 슬러지에 의해 커버가 들어 올려지면 이를 감지센서가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출력된 신호가 상황실로 전달됨에 따라 관리자는 현장으로 즉시 출동하여 더 이상의 누수(유출)를 차단함은 물론 신속하게 유지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긴급수리 시 슬러지가 파쇄공급부의 투입구로 유입되지 않게 개폐부를 매개로 배출구를 막아 줌으로서 편리하게 수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의 파쇄 공급부에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의 가압부와 절환부에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의 절환부에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6은 도 5의 절환부가 일측으로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5의 절환부가 타측으로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도 5의 Ⅵ-Ⅵ 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A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B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의 경계층분사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의 경계층분사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누수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개폐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의 파쇄 공급부에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의 가압부와 절환부에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의 절환부에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절환부가 일측으로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절환부가 타측으로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Ⅵ-Ⅵ 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6의 A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B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의 경계층분사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의 경계층분사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누수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에서 개폐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정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도 1 및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100)는 슬러지벙커(B), 파쇄 공급부(110), 가압부(120), 절환부(130), 이송부(140), 경계층분사장치(150) 그리고 누수감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에 개폐부(300)와 슬러지 유도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벙커(B)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슬러지가 저장되었다가 배출되는 통으로서, 내부는 상방으로 개구되고, 바닥면에 배출구(B-1)가 일체로 형성되며, 배출구(B-1)는 파쇄 공급부(110)의 투입구(112)와 상호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파쇄 공급부(110)는 슬러지벙커(B)의 배출구(B-1)로부터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구(112)를 구비하며 내부에 파쇄공간(113)을 가지는 공급몸체(111), 공급몸체(111)에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깥 둘레에 파쇄스크류(115)가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파쇄회전축(114), 공급몸체(111)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파쇄회전축(114)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는 회전모터(116), 및 공급몸체(111)의 내부 측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파쇄스크류(115)로 파쇄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118)를 포함한다.
또한, 파쇄 공급부(110)는 회전모터(116)와 적어도 하나의 파쇄회전축(114)을 연결하고 있으며, 회전모터(116)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적어도 하나의 파쇄회전축(114)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체(11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투입구(112)에 슬러지를 투입하고, 회전모터(116)를 작동시키면 동력전달체(117)로 연결되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파쇄회전축(114)을 회전시킨다.
이렇게, 적어도 하나의 파쇄회전축(114)이 회전되면 파쇄회전축(114)에 바깥 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파쇄스크류(115)가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파쇄스크류(115)가 회전되면 파쇄공간(113)의 투입된 슬러지의 이물질을 파쇄하면서 배출구(118)로 배출한다.
상기 가압부(120)는 배출구(118)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세로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유통공(122)을 가지고, 타측면에 토출공(123)을 가지는 상기 가압호퍼(121), 일측이 유통공(122)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이 워터박스(21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유통공(122)에서 유입되는 슬러지가 흡입 및 토출되는 가압공간(125)을 가지는 가압몸체(124), 가압공간(125)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압공간(125)으로 슬러지를 흡입 및 토출하는 가압피스톤(126), 그리고 워터박스(2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압피스톤(126)과 가압로드(128)로 연결되어 흡입과 토출을 작동시키는 가압실린더(127)를 포함한다.
따라서, 파쇄 공급부(110)에서 파쇄된 슬러지가 가압호퍼(121)로 공급되면 일측면에 세로방향으로 떨어져 있어 양측으로 위치하고 있는 유통공(122)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각각의 유통공(122)에는 가압공간(125)을 가지는 가압몸체(124)가 설치되어 있고, 가압공간(125)의 내부에는 가압실린더(127)로 작동되는 가압피스톤(126)이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가압피스톤(126)의 작동으로 유통공(122)을 통해서 슬러지가 가압공간(125)의 내부로 흡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가압공간(125)으로 흡입된 슬러지는 가압실린더(127)의 작동에 의해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유통공(122)으로 가압 토출된다.
상기 절환부(130)는 가압호퍼(12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토출공(123)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편(132)을 가지는 절환토출관(131), 절환토출관(1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가압호퍼(121)의 일측면에 삽입되어 있어 유통공(12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절환토출관(131)이 힌지결합편(132)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절환회전축(133), 그리고 가압호퍼(121)의 외부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절환회전축(133)의 양측에 연결 설치되어 절환회전축(133)을 회전시키는 절환실린더(134)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절환실린더(134)를 작동시키면 절환회전축(133)이 회전되면서 힌지결합편(132)으로 힌지결합되어 있는 절환토출관(131)이 회전되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유통공(122)과 이송부(140)를 서로 연결시킨다.
이때, 연결된 유통공(122)에는 가압피스톤(126)의 작동에 의해 가압공간(125)으로 흡입 공정을 마쳐서 토출 이전의 상태가 되고, 나머지 유통공(122)은 가압공간(125)의 내부로 가압피스톤(126)의 작동에 의해 슬러지가 흡입된다.
이렇게, 일측에 연결된 절환토출관(131)을 통해서 가압된 슬러지가 이부(140)로 토출되고, 토출을 마치면 절환실린더(134)가 작동되어 절환토출관(131)이 회전되면서 타측의 유통공(122)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된 절환토출관(131)은 타측의 유통공(122)과 이송부(140)를 서로 연결하여 타측의 가압공간(125)에 흡입된 슬러지를 토출 공급한다.
따라서,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피스톤(126)을 번갈아 작동 시켜 흡입과 토출이 상호 교대로 이루어지도록하고, 절환토출관(131)이 회전되면서 번갈아 작동되는 가압피스톤(126)으로 슬러지가 지속적으로 이송부(140)에 토출된다.
여기서, 절환부(130)는 절환회전축(133)과 가압호퍼(12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안쪽에 윤활유가 공급되는 윤활공간(136)을 가지는 실링하우징(135), 실링하우징(135)과 절환회전축(133)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윤활공간(136)의 가압호퍼(121) 방향의 끝단에 누유가 방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축실링(137), 실링하우징(135)과 상기 절환회전축(133)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실링하우징(135)의 내주연을 따라 연결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축실링(137)이 밀리지 않도록 지지시키는 스냅링(139), 그리고 실링하우징(135)과 절환회전축(133)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축실링(137)과 상기 스냅링(139) 사이를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커버실링(138)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절환회전축(133)과 가압호퍼(121)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윤활유가 유입되어 절환회전축(13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실링하우징(135)의 실링부분에 축실링(137), 스냅링(139) 및 커버실링(138)을 설치하여 삼중으로 윤활유의 누출과 슬러지의 내부 유입을 방지한다.
상기 이송부(140)는 절환토출관(131)의 다른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슬러지가 이송되는 이송관(141), 이송관(141)의 슬러지가 통과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송관(141)에서 이송되는 슬러지의 역류를 방지시키는 역류방지변(142), 및 이송관(141)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송관(141)의 압력이 유지되는 압력유지변(146)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압부(120)에서 가압된 슬러지가 절환토출관(131)을 통해서 토출되면 슬러지가 이송되는 이송관(141)을 통해서 이송된다.
이때, 역류방지변(142)은 이송관(14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슬러지가 통과되는 차단몸체(143), 차단몸체(143)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차단몸체(143)의 내부 방향으로 차단로드(144a)가 위치하고 있는 차단실린더(144), 그리고 차단로드(144a)에 결합되어 있으며, 차단실린더(144)의 작동으로 역류방지변(142)의 내부를 차단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차단체(145)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체(145)는 차단실린더(144)의 작동으로 차단몸체(143)를 차단시켜 이송관(141)에서 이송되는 슬러지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송 장치(100)의 작동을 멈추거나, 고장으로 인해 가압부(120)의 작동이 중단되면 차단실린더(144)를 작동시켜 차단체(145)로 차단몸체(143)를 차단하여 이송관(141) 내부의 슬러지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압력유지변(146)은 이송관(141)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진되어 있는 유지공간(148)을 가지는 유지몸체(147), 및 유지몸체(147)와 이송관(141)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송관(141)의 내부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유지몸체(147)와 연결하고 있는 유지연결관(149)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관(141)의 내부의 압력이 변화되면 유지연결관(149)으로 연결된 유지공간(148)의 내부에 충진된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변화된 압력이 상쇄되어 이송관(141)의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 경계층분사장치(150)는 이송관(141)에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슬러지가 유통되는 이송공간(152)이 형성되고, 이송공간(152)의 안쪽으로 분사홈(153)을 가지는 분사몸체(151), 분사홈(153)에 분사공간(155)이 형성되도록 삽입되어 있으며, 슬러지가 통과하는 이송공(156)을 가지는 분사안내관(154), 그리고 분사공간(155)의 외측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있으며, 분사공간(155)에 유체가 공급되도록 유체공급관(159)에 연결되어 있는 분사노즐(158)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노즐(158)에서 공급된 유체가 분사홈(153)과 분사안내관(15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분사공간(155)을 통해서 상기 이송관(141)의 안쪽 둘레에 수막이 형성되어 이송되는 슬러지가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관(141)의 안쪽 둘레에 유체공급관(159)에서 공급된 유체를 분사노즐(158)로 분사하면, 분사안내관(154)과 분사홈(153)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분사공간(155)을 거쳐서 이송관(141)의 안쪽 둘레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분사한다.
이렇게, 형성되어 있는 수막은 이송관(141)과 이송관(141)을 통해서 이송되는 슬러지가 직접 접촉되어 이송관(141)에 슬러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함수율이 낮고, 점착성이 높아 이송 속도가 느린 슬러지의 이송관(141) 내부의 이송속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분사안내관(154)은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으며,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분사공간(155)의 내부에서 유체가 나선방향으로 안내되는 안내돌기(157)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분사안내관(154)과 분사홈(153)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분사공간(155)의 내부로 나선 방향으로 안내돌기(157)가 형성되어 있어, 유체가 나선형을 따라 회전되어 원심력이 발생된 상태로 이송관(141)의 안쪽 둘레에 분사됨에 따라 이송관(141)과 슬러지 사이의 경계층을 용이하게 형성하여 슬러지의 이송효율이 향상된다.
도 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누수감지부(200)는 가압부(120)에 설치되어 물 또는 슬러지의 외부 누수(유출) 시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워터박스(210)와 커버(220), 커버스토퍼(230) 및 감지센서(240)로 구성된다.
상기 워터박스(210)는 내부가 상부로 개방된 사각형태의 통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가압몸체(124)와 가압실린더(127)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워터박스(210)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며, 저장된 물은 가압실린더(127)의 가압로드(128) 및 가압피스톤(126)을 냉각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가압피스톤(126)을 통해 세어나온 슬러지는 워터박스(2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커버(220)는 워터박스(210)의 상면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워터박스(21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커버스토퍼(230)는 워터박스(210)에 설치되어 커버(220)가 물 또는 슬러지에 의해 지나치게 개방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감지센서(240)는 통상의 근접센서(proximity sensor)로서, 워터박스(2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커버(220)의 개방시 이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일 실시 예로서, 가압몸체(124)의 내면을 따라 가압피스톤(126)이 왕복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 상호 마찰이 발생하게 되면서 가압피스톤(126)이 마모로 인해 손상되기 쉬우며, 이에 따라 슬러지가 가압피스톤(126)의 손상된 부위를 통과해 워터박스(210)의 내부로 유입되어 퇴적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워터박스(210)의 내부로 슬러지가 유입됨에 따라 물의 수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종국에는 물과 슬러지가 워터박스(210)의 개구부를 덮고 있는 커버(220)를 들어올린 상태로 외부로 누수(유출)된다.
따라서, 외부로 누수(유출)되는 물과 슬러지에 의해 커버(220)가 들어 올려지면 이를 감지센서(240)가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출력된 신호가 상황실로 전달됨에 따라 관리자는 현장으로 즉시 출동하여 더 이상의 누수(유출)을 차단함은 물론 신속하게 유지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경보수단(램프와 스피커)을 설치해 주고 이를 감지센서(24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주변으로 이를 알려주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외부로 누수(유출)되는 물과 슬러지에 의해 커버(220)가 들어 올려질 때에 지나치게 커버(220)가 들어 올려지는 것은 커버스토퍼(230)가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누수감지부(200)에서 물 또는 슬러지의 누수(유출)가 감지될 경우 전체적인 동작이 멈추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이송장치의 수리가 긴급하게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슬러지벙커(B) 내부에 슬러지를 모두 제거한 상태에서 수리를 진행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슬러지벙커(B)와 파쇄공급부(110) 사이에 개폐부(300)를 더 보강하여 이를 해소하였다는 점에 주목해 주기 바란다.
상기 개폐부(300)는 슬러지벙커(B)와 파쇄공급부(110) 사이에 설치되어 슬러지가 투입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개폐부(300)는 슬러지벙커(B)의 배출구(B-1)와 파쇄공급부(110)의 투입구(112)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관형프레임(310)과, 이송너트(321)를 갖추고서 관형프레임(31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관형프레임(310)의 내부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판(320)과, 손잡이(331)를 갖추고서 이송너트(321)에 체결되어 개폐판(32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리드스크류(330)로 구성된다.
일 예로서, 긴급하게 슬러지벙커(B)의 배출구(B-1)를 막아야 할 경우, 우선 손잡이(331)를 회전시켜 리드스크류(330)를 회전시키게 되면, 리드스크류(330)에 체결된 이송너트(321)가 리드스크류(330)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송너트(321)가 이동함에 따라 이에 의해 개폐판(320)이 이동하게 되면서 상하로 관통된 관형프레임(310)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출구(B-1)를 통해 슬러지가 파쇄공급부(110)의 투입구(112)로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작업자는 편리하게 수리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슬러지벙커(B)를 종래와 같이 깔때기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깔때기모양으로 구성할 경우 슬러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작아지는 불편함이 있고, 반대로 슬러지벙커(B)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태로 구성하게 되면 슬러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커지는 대신 슬러지를 배출구(B-1)로 유도하기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슬러지벙커(B)의 하부에 슬러지 유도부(400)를 보강하여 이를 해소하였다는 점에 주목해주기 바란다.
상기 슬러지 유도부(400)는 슬러지벙커(B)와 배출구(B-1) 사이에 설치되어 슬러지벙커(B)의 내부에 저장된 슬러지를 배출구(B-1)를 향해 이송시켜주는 이송스크류(410)와, 이송스크류(41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420)로 구성되어 쉽고 간편하게 슬러지를 배출구(B-1)쪽으로 유도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이송 장치 110 : 파쇄 공급부
111 : 공급몸체 112 : 투입구
113 : 파쇄공간 114 : 파쇄회전축
115 : 파쇄스크류 116 : 회전모터
117 : 동력전달체 118 : 배출구
120 : 가압부 121 : 가압호퍼
122 : 유통공 123 : 토출공
124 : 가압몸체 125 : 가압공간
126 : 가압피스톤 127 : 가압실린더
128 : 가압로드 130 : 절환부
131 : 절환토출관 132: 힌지결합편
133 : 절환회전축 134 : 절환실린더
135 : 실링하우징 136 : 윤활공간
137 : 축실링 138 : 커버실링
139 : 스냅링 140 : 이송부
141 : 이송관 142 : 역류방지변
143 : 차단몸체 144 : 차단실린더
144a : 차단로드 145 : 차단체
146 : 압력유지변 147 : 유지몸체
148 : 유지공간 149 : 유지연결관
150 : 경계층분사장치 151 : 분사몸체
152 : 이송공간 153 : 분사홈
154 : 분사안내관 155 : 분사공간
156 : 이송공 157 : 안내돌기
158 : 분사노즐 159 : 유체공급관
200 : 누수감지부 210 : 워터박스
220 : 커버 230 : 커버스토퍼
240 : 감지센서 300 : 개폐부
310 : 관형프레임 320 : 개폐판
321 : 이송너트 330 : 리드스크류
331 : 손잡이 400 : 슬러지 유도부
410 : 이송스크류 420 : 회전모터

Claims (4)

  1. 슬러지가 저장되며 배출구를 구비하는 슬러지벙커와;
    상기 슬러지벙커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에 파쇄공간을 가지는 공급몸체, 상기 공급몸체에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깥 둘레에 파쇄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파쇄회전축, 상기 공급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파쇄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는 회전모터, 및 상기 공급몸체의 타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파쇄스크류로 파쇄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한 파쇄 공급부와;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파쇄된 상기 슬러지가 공급되는 가압호퍼, 및 상기 가압호퍼에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가압호퍼와 연통되어 공급된 상기 슬러지를 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실린더를 포함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호퍼에 타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가압호퍼와 연통되어 가압된 상기 슬러지가 토출되도록 한쪽이 연결되어 있는 절환토출관을 가지는 절환부와;
    상기 절환토출관의 다른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슬러지가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상기 슬러지가 통과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관에서 이송되는 상기 슬러지의 역류를 방지시키는 역류방지변, 및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관의 압력이 유지되는 압력유지변을 포함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관의 상기 슬러지가 통과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관의 안쪽 둘레에 상기 슬러지와 상기 이송관 사이에 경계층이 형성되도록 유체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가지는 경계층분사장치와;
    상기 가압호퍼와 가압실린더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가 상부로 개구되며 내부에 저장된 물이 가압실린더를 냉각시켜주는 워터박스, 워터박스의 상면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워터박스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 워터박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커버의 개방시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구성된 누수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박스에 설치되어 커버의 개방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벙커와 파쇄공급부 사이에는 슬러지가 투입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더 보강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배출구와 투입구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가 상하로 관통된 관형프레임과, 이송너트를 갖추고서 관형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관형프레임의 내부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판과, 손잡이를 갖추고서 이송너트에 체결되어 개폐판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리드스크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벙커에는 내부에 저장된 슬러지를 배출구를 향해 이송시켜주는 이송스크류와,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된 슬러지유도부;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KR1020170057458A 2016-12-08 2017-05-08 슬러지 이송장치 KR1019051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66302 2016-12-08
KR1020160166302 2016-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854A KR20180065854A (ko) 2018-06-18
KR101905148B1 true KR101905148B1 (ko) 2018-10-08

Family

ID=6276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458A KR101905148B1 (ko) 2016-12-08 2017-05-08 슬러지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002B1 (ko) * 2018-11-02 2020-06-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습식벽을 이용한 유해가스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DE102018129363A1 (de) * 2018-11-21 2020-05-28 Liebherr-Betonpumpen Gmbh Betonpumpenaggregat
KR102297807B1 (ko) * 2020-03-12 2021-09-02 정택종 음식물 쓰레기 감량 처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859B1 (ko) * 2008-09-11 2009-02-10 (주)에스앤씨 슬러지 이송 장치
KR100939105B1 (ko) * 2009-08-20 2010-01-28 대명엔텍(주) 쌍축 스크류 푸셔가 구비되는 고형물 이송장치
KR200470873Y1 (ko) * 2012-07-26 2014-01-16 김옥희 야채 쓰레기 처리기
KR101645160B1 (ko) * 2016-03-17 2016-08-03 대명엔텍(주) 램씰 조립구조를 갖는 비례제어 피스톤펌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39824T1 (de) * 1992-03-21 1996-07-15 Schwing Gmbh F Dickstoffpumpe
JPH08232837A (ja) * 1995-02-24 1996-09-10 Ishigaki Mech Ind Co ケーキ等の圧送ポンプ装置
KR101218974B1 (ko) * 2010-08-27 2013-01-07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슬러지 운반용 피스톤 펌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859B1 (ko) * 2008-09-11 2009-02-10 (주)에스앤씨 슬러지 이송 장치
KR100939105B1 (ko) * 2009-08-20 2010-01-28 대명엔텍(주) 쌍축 스크류 푸셔가 구비되는 고형물 이송장치
KR200470873Y1 (ko) * 2012-07-26 2014-01-16 김옥희 야채 쓰레기 처리기
KR101645160B1 (ko) * 2016-03-17 2016-08-03 대명엔텍(주) 램씰 조립구조를 갖는 비례제어 피스톤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854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148B1 (ko) 슬러지 이송장치
US9845592B2 (en) Waste disposal system, and method of its use
AU2018256625B2 (en) Pump-Storage Device and Transportation Tool Including the Same
CN103341460B (zh) 复合轮毂轴承自动清洗机
US10478871B2 (en) Side-opening sleeve valve
KR101647133B1 (ko) 압축공기 이용 폐기물 이송시스템
KR101051795B1 (ko) 절삭유 자동 희석 및 공급장치
EP1338347A2 (en)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paint sprayer gun
US9732739B2 (en) Concrete pumping system having safety recirculation and method features
KR100882859B1 (ko) 슬러지 이송 장치
US83168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ming various components of a diesel engine
KR101200121B1 (ko) 오일 배출 및 공급장치
KR20140002105A (ko) 관세척장치
KR20180056279A (ko) 무차단 자동 스트레이너
KR101750097B1 (ko) 로터리 윙 회전 호퍼부와 해압장치의 적용으로 운전 효율을 향상시킨 폐기물 이송시스템
US5067563A (en) Spillproof oil well seal
KR101022146B1 (ko)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
KR200456935Y1 (ko) 윤활유 공급 탱크 장치
KR101955612B1 (ko)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
KR100993838B1 (ko) 내부 청소가 가능한 밀폐식 관정 상부 보호 장치
KR20170114532A (ko) 진공 배관을 이용한 절삭유 수집장치
KR100809614B1 (ko) 슬러지 이송장치
KR101587128B1 (ko) 공기 압축장치의 응축수 배출 시스템
KR102476981B1 (ko)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
KR102040921B1 (ko) 유체 공급 펌프의 잔량 누출 방지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