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859B1 - 슬러지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859B1
KR100882859B1 KR1020080089707A KR20080089707A KR100882859B1 KR 100882859 B1 KR100882859 B1 KR 100882859B1 KR 1020080089707 A KR1020080089707 A KR 1020080089707A KR 20080089707 A KR20080089707 A KR 20080089707A KR 100882859 B1 KR100882859 B1 KR 100882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injection
pipe
switch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연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씨 filed Critical (주)에스앤씨
Priority to KR1020080089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 공급몸체, 상기 공급몸체에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깥 둘레에 파쇄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는 파쇄회전축, 상기 공급몸체의 일측에 상기 파쇄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는 회전모터, 및 상기 공급몸체의 타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파쇄스크류로 파쇄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한 파쇄 공급부와;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가압호퍼, 및 상기 가압호퍼에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가압호퍼와 연통되어 공급된 슬러지를 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실린더를 포함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호퍼에 타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가압호퍼와 연통되어 가압된 슬러지가 토출되도록 한쪽이 연결되어 있는 절환토출관을 가지는 절환부와; 상기 절환토출관의 다른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슬러지가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슬러지가 통과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슬러지의 역류를 방지시키는 역류방지변, 및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관의 압력이 유지되는 압력유지변을 포함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관의 안쪽 둘레에 슬러지와 이송관 사이에 유체가 분사되는 경계층분사장치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80089707
슬러지, 파쇄 공급부, 가압부, 절환부, 이송부

Description

슬러지 이송 장치 {Apparatus for conveying sludge}
본 발명은 슬러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러지를 파쇄하여 실린더의 가압력으로 공급함에 따라 슬러지 이송 효율이 증대되는 슬러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sludge)는 수분을 많이 함유한 진흙 형태의 폐기물로서 각종 산업현장이나 오폐수처리장 및 음식물처리장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슬러지는 많은 유기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그대로 폐기되면 유기물의 부패로 인해 토양은 물론 지하수 및 바닷물을 오염시키는 등 환경오염의 한 요인이 되므로, 발생된 슬러지는 소정의 처리과정을 거쳐 재활용되거나 소각 처리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슬러지의 처리과정에 있어서 슬러지의 이송을 위해 흔히 펌프가 사용되고 있으나, 슬러지에 포함되는 각종 이물질에 의해 펌프의 임펠러가 손상되거나 또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막혀 원활한 펌핑을 저해하는 폐단이 있다.
이에 펌프의 흡입구측에 거름망을 설치하여 이물질에 의한 임펠러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하였으나, 거름망에 걸린 이물질이 슬러지의 유동을 방해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펌프에 부하를 발생시킴으로써 원활한 슬러지의 이송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슬러지가 이송되는 이송펌프는 슬러지의 내부의 이물질이 점성이 높아 탈수 후에는 이송되는 관에 침착되어 이송되는 관의 막힘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펌프에 가압력에 의해서 이송되는 슬러지는 가압력이 일정하게 공급되지 못하면 내부에서 맥동 현상이 발생하여 슬러지가 이송관에 충돌하면서 이송관의 수명이 축소되고, 점착력이 강한 슬러지가 압력에 의해 이송관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침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슬러지의 이물질이 파쇄된 상태로 피스톤의 가압력으로 공급되고, 이송관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른 맥동 현상과 이송관의 안쪽 면에 슬러지가 침전되는 현상을 최소화 하여 이송 효율을 증대시키는 슬러지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는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에 파쇄공간을 가지는 공급몸체, 상기 공급몸체에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깥 둘레에 파쇄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파쇄회전축, 상기 공급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파쇄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는 회전모터, 및 상기 공급몸체의 타측에 위치하 고 있으며, 상기 파쇄스크류로 파쇄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한 파쇄 공급부와 ;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파쇄된 상기 슬러지가 공급되는 가압호퍼, 및 상기 가압호퍼에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가압호퍼와 연통되어 공급된 상기 슬러지를 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실린더를 포함한 가압부와 ; 상기 가압호퍼에 타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가압호퍼와 연통되어 가압된 상기 슬러지가 토출되도록 한쪽이 연결되어 있는 절환토출관을 가지는 절환부와 ; 상기 절환토출관의 다른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슬러지가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상기 슬러지가 통과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관에서 이송되는 상기 슬러지의 역류를 방지시키는 역류방지변, 및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관의 압력이 유지되는 압력유지변을 포함한 이송부와 ; 상기 이송관의 상기 슬러지가 통과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관의 안쪽 둘레에 상기 슬러지와 상기 이송관 사이에 경계층이 형성되도록 유체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가지는 경계층분사장치 ;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상기 회전모터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파쇄회전축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파쇄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파쇄된 상기 슬러지가 공급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가압실린더 방향인 일측면에 세로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유통공을 가지고, 상기 절환토출관 방향인 타측면에 토출공을 가지는 상기 가압호퍼, 상기 제1 및 제 2 유통공에 각각 연 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유통공에서 유입되는 상기 슬러지가 흡입 및 토출되는 제1 및 제2 가압공간을 가지는 제1 및 제2 가압몸체, 상기 제1 및 제2 가압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가압공간으로 상기 슬러지를 흡입 및 토출하는 제1 및 제2 가압피스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가압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가압피스톤과 제1 및 제2 가압로드로 연결되어 흡입과 토출을 작동 시키는 제1 및 제2 가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절환토출관의 한쪽 끝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공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편, 상기 절환토출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호퍼의 일측면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제1 및 제2 유통공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절환토출관이 상기 힌지결합편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절환회전축, 그리고 상기 가압호퍼의 외부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절환회전축의 양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절환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절환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절환회전축과 상기 가압호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안쪽에 윤활유가 공급되는 윤활공간을 가지는 실링하우징, 상기 실링하우징과 상기 절환회전축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윤활공간의 상기 가압호퍼 방향의 끝단에 누유가 방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축실링, 상기 실링하우징과 상기 절환회전축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실링하우징의 내주연을 따라 연결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축실링이 밀리지 않도록 지지시키는 스냅링, 그리고 상기 실링하우징과 상기 절환회전축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축실링과 상기 스냅링 사이를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커버실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변은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슬러지가 통과되는 차단몸체, 상기 차단몸체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몸체의 내부 방향으로 차단로드가 위치하고 있는 차단실린더, 그리고 상기 차단로드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실린더의 작동으로 상기 역류방지변의 내부를 차단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차단체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체는 상기 차단실린더의 작동으로 상기 차단몸체를 차단시켜 상기 이송관에서 이송되는 상기 슬러지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유지변은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진되어 있는 유지공간을 가지는 유지몸체, 및 상기 유지몸체와 상기 이송관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이송관의 내부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유지몸체와 연결하고 있는 유지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층분사장치는 상기 이송관에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슬러지가 유통되는 이송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공간의 안쪽으로 분사홈을 가지는 분사몸체, 상기 분사홈에 분사공간이 형성되도록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슬러지가 통과하는 이송공을 가지는 분사안내관, 그리고 상기 분사공간의 외측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공간에 유체가 공급되도록 유체공급관에 연결되어 있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노즐에서 공급된 유체가 상기 분사홈과 상기 분사안내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분사공간을 통해서 상기 이송관의 안쪽둘레에 수막이 형성되어 이송되는 상기 슬러지가 부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안내관은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으며,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사공간의 내부에서 유체가 나선방향으로 안내되는 안내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는 슬러지가 투입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파쇄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파쇄된 상태로 가압실린더로 작동되는 가압피스톤의 작동으로 가압 공급됨으로써, 슬러지가 작은 입자로 파쇄되어 슬러지가 이송되는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는 파쇄 공급부에서 파쇄된 슬러지가 일측에 흡입되고, 타측이 토출되도록 양측으로 가압피스톤을 구비한 가압몸체가 형성되며, 가압몸체의 토출되는 방향에 따라 방향을 변경하여 이송관과 연결시키는 절환 밸브를 토출 측에 설치하여 일측과 타측이 번갈아 가면서 절환 밸브로 슬러지가 토출되는 가압몸체와 이송관이 연결됨으로써, 슬러지가 지속적으로 토출됨에 따라 슬러지의 이송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는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실린더에서 가압된 슬러지를 번갈아 공급되는 절환토출관을 회전 시키도록 가압호퍼에 설치되는 절환회전축과 가압호퍼 사이에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 윤활유가 공급되는 하우징의 실링 위치에 실링체가 삼중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윤활유의 누출을 방지하고, 슬러지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절환부의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는 파쇄 공급부에서 파쇄한 상태로 가압부에서 가압된 슬러지가 이송되는 이송관의 일측으로 차단실린더의 작동으로 흐름이 차단되는 역류방지변이 설치되어 있어, 토출 작동이 멈추어도 이송관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슬러지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는 이송관의 일측으로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진되어 있는 압력유지변이 연결되어 있어, 이송관의 내부에 공급되는 가압된 슬러지의 가압 압력을 압력유지변에서 일정하게 유지함에 따라 압력 변화에 따라 이송관의 수명이 축소되는 맥동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여 이송관의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는 이송관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체공급관으로 공급된 유체를 이송관의 안쪽 면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분사하여 이송관이 통과되는 슬러지와의 경계층이 형성되어 슬러지의 이송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는 이송관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분사되는 분사공간을 구비하는 분사안내관의 바깥 둘레에 나선형의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분사되는 유체가 나선형태를 따라 회전되어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이송관의 안쪽 둘레에 부착되어 강하게 분사됨에 따라 이송관 안쪽 면으로 수막의 형성되는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를 도 1 및 도 8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의 파쇄 공급부에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의 가압부와 절환부에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의 절환부에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절환부가 일측으로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절환부가 타측으로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Ⅵ-Ⅵ 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6의 A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B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의 경계층분사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의 경계층분사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12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100)는 파쇄 공급부(110), 가압부(120), 절환부(130), 이송부(140), 그리고 경계층분사장치(150)를 포함한다.
파쇄 공급부(110)는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구(112)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에 파쇄공간(113)을 가지는 공급몸체(111), 공급몸체(111)에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깥 둘레에 파쇄스크류(115)가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파쇄회전축(114), 공급몸체(111)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파쇄회전축(114)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는 회전모터(116), 및 공급몸체(111)의 내부 측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파쇄스크류(115)로 파쇄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118)를 포함한다.
또한, 파쇄 공급부(110)는 회전모터(116)와 적어도 하나의 파쇄회전축(114)을 연결하고 있으며, 회전모터(116)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적어도 하나의 파쇄회전축(114)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체(11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투입구(112)에 슬러지를 투입하고, 회전모터(116)를 작동시키면 동력전달체(117)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파쇄회전축(114)을 회전시킨다.
이렇게, 적어도 하나의 파쇄회전축(114)이 회전되면 파쇄회전축(114)에 바깥 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파쇄스크류(115)가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파쇄스크류(115)가 회전되면 파쇄공간(113)의 투입된 슬러지의 이물질을 파쇄하면서 배출구(118)로 배출한다.
가압부(120)는 배출구(118)와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세로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유통공(122)을 가지고, 타측면에 토출공(123)을 가지는 상기 가압호퍼(121), 유통공(122)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유통공(122) 에서 유입되는 슬러지가 흡입 및 토출되는 가압공간(125)을 가지는 가압몸체(124), 가압공간(125)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압공간(125)으로 슬러지를 흡입 및 토출하는 가압피스톤(126), 그리고 가압몸체(124)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압피스톤(126)과 가압로드(128)로 연결되어 흡입과 토출을 작동 시키는 가압실린더(127)를 포함한다.
따라서, 파쇄 공급부(110)에서 파쇄된 슬러지가 가압호퍼(121)로 공급되면 일측면에 세로방향으로 떨어져 있어 양측으로 위치하고 있는 유통공(122)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각각의 유통공(122)에는 가압공간(125)을 가지는 가압몸체(124)가 설치되어 있고, 가압공간(125)의 내부에는 가압실린더(127)로 작동되는 가압피스톤(126)이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가압피스톤(126)의 작동으로 유통공(122)을 통해서 슬러지가 가압공간(125)의 내부로 흡입 시킨다.
상기와 같이, 가압공간(125)으로 흡입된 슬러지는 가압실린더(127)의 작동에 의해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된 유통공(122)으로 가압 토출된다.
절환부(130)는 가압호퍼(12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토출공(123)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편(132)을 가지는 절환토출관(131), 절환토출관(1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가압호퍼(121)의 일측면에 삽입되어 있어 유통공(12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절환토출관(131)이 힌지결합편(132)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절환회전축(133), 그리고 가압호퍼(121)의 외부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절환회전축(133)의 양측에 연결 설치되어 절환회전축(133)을 회전시키는 절환 실린더(134)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절환실린더(134)를 작동시키면 절환회전축(133)이 회전되면서 힌지결합편(132)으로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절환토출관(131)이 회전되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유통공(122)과 이송부(140)를 서로 연결시킨다.
이때, 연결된 유통공(122)에는 가압피스톤(126)의 작동에 의해 가압공간(125)으로 흡입 공정을 마쳐서 토출 이전의 상태가 되고, 나머지 유통공(122)은 가압공간(125)의 내부로 가압피스톤(126)의 작동에 의해 슬러지가 흡입된다.
이렇게, 일측에 연결된 절환토출관(131)을 통해서 가압된 슬러지가 이송부(140)로 토출되고, 토출을 마치면 절환실린더(134)가 작동되어 절환토출관(131)이 회전되면서 타측의 유통공(122)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된 절환토출관(131)은 타측의 유통공(122)과 이송부(140)를 서로 연결하여 타측의 가압공간(125)에 흡입된 슬러지를 토출 공급한다.
따라서,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피스톤(126)을 번갈아 작동 시켜 흡입과 토출이 상호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절환토출관(131)이 회전되면서 번갈아 작동되는 가압피스톤(126)으로 슬러지가 지속적으로 이송부(140)에 토출된다.
여기서, 절환부(130)는 절환회전축(133)과 가압호퍼(12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안쪽에 윤활유가 공급되는 윤활공간(136)을 가지는 실링하우징(135), 실링하우징(135)과 절환회전축(133)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윤활공간(136)의 가압호퍼(121) 방향의 끝단에 누유가 방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축실링(137), 실링하우징(135)과 상기 절환회전축(133)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실링하우징(135)의 내주연을 따라 연결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축실링(137)이 밀리지 않도록 지지시키는 스냅링(139), 그리고 실링하우징(135)과 절환회전축(133)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축실링(137)과 상기 스냅링(139) 사이를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커버실링(138)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절환회전축(133)과 가압호퍼(121)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윤활유가 유입되어 절환회전축(13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실링하우징(135)의 실링부분에 축실링(137), 스냅링(139) 및 커버실링(138)을 설치하여 삼중으로 윤활유의 누출과 슬러지의 내부 유입을 방지한다.
이송부(140)는 절환토출관(131)의 다른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슬러지가 이송되는 이송관(141), 이송관(141)의 슬러지가 통과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송관(141)에서 이송되는 슬러지의 역류를 방지시키는 역류방지변(142), 및 이송관(141)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송관(141)의 압력이 유지되는 압력유지변(146)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압부(120)에서 가압된 슬러지가 절환토출관(131)을 통해서 토출되면 슬러지가 이송되는 이송관(141)을 통해서 이송된다.
이때, 역류방지변(142)은 이송관(14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슬러지가 통과되는 차단몸체(143), 차단몸체(143)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차단몸체(143)의 내부 방향으로 차단로드(144a)가 위치하고 있는 차단실린더(144), 그리고 차단로드(144a)에 결합되어 있으며, 차단실린더(144)의 작동으로 역류방지변(142)의 내부를 차단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차단체(145)를 포함한다.
차단체(145)는 차단실린더(144)의 작동으로 차단몸체(143)를 차단시켜 이송관(141)에서 이송되는 슬러지의 역류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송 장치(100)의 작동을 멈추거나, 고장으로 인해 가압부(120)의 작동이 중단되면 차단실린더(144)를 작동시켜 차단체(145)로 차단몸체(143)를 차단하여 이송관(141) 내부의 슬러지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압력유지변(146)은 이송관(141)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진되어 있는 유지공간(148)을 가지는 유지몸체(147), 및 유지몸체(147)와 이송관(141)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송관(141)의 내부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유지몸체(147)와 연결하고 있는 유지연결관(149)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송관(141)의 내부의 압력이 변화되면 유지연결관(149)으로 연결된 유지공간(148)의 내부에 충진된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변화된 압력이 상쇄되어 이송관(141)의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경계층분사장치(150)는 이송관(141)에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슬러지가 유통되는 이송공간(152)이 형성되고, 이송공간(152)의 안쪽으로 분사홈(153)을 가지는 분사몸체(151), 분사홈(153)에 분사공간(155)이 형성되도록 삽입되어 있으며, 슬러지가 통과하는 이송공(156)을 가지는 분사안내관(154), 그리고 분사공간(155)의 외측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있으며, 분사공간(155)에 유체가 공급되도록 유체공급관(159)에 연결되어 있는 분사노즐(158)을 포함한다.
분사노즐(158)에서 공급된 유체가 분사홈(153)과 분사안내관(154)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분사공간(155)을 통해서 상기 이송관(141)의 안쪽 둘레에 수막이 형성 되어 이송되는 슬러지가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송관(141)의 안쪽 둘레에 유체공급관(159)에서 공급된 유체를 분사노즐(158)로 분사하면, 분사안내관(154)과 분사홈(153)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분사공간(155)을 거쳐서 이송관(141)의 안쪽 둘레에 수막이 형성되도록 분사한다.
이렇게, 형성되어 있는 수막은 이송관(141)과 이송관(141)을 통해서 이송되는 슬러지가 직접 접촉되어 이송관(141)에 슬러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함수율이 낮고, 점착성이 높아 이송 속도가 느린 슬러지의 이송관(141) 내부의 이송속도를 향상시킨다.
분사안내관(154)은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으며,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분사공간(155)의 내부에서 유체가 나선방향으로 안내되는 안내돌기(157)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분사안내관(154)과 분사홈(153)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분사공간(155)의 내부로 나선 방향으로 안내돌기(157)가 형성되어 있어, 유체가 나선형을 따라 회전되어 원심력이 발생된 상태로 이송관(141)의 안쪽 둘레에 분사됨에 따라 이송관(141)과 슬러지 사이의 경계층을 용이하게 형성하여 슬러지의 이송효율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의 파쇄 공급부에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의 가압부와 절환부에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의 절환부에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6은 도 5의 절환부가 일측으로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5의 절환부가 타측으로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도 5의 Ⅵ-Ⅵ 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A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B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의 경계층분사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에 따른 슬러지 이송 장치의 경계층분사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송 장치 110 : 파쇄 공급부
111 : 공급몸체 112 : 투입구
113 : 파쇄공간 114 : 파쇄회전축
115 : 파쇄스크류 116 : 회전모터
117 : 동력전달체 118 : 배출구
120 : 가압부 121 : 가압호퍼
122 : 유통공 123 : 토출공
124 : 가압몸체 125 : 가압공간
126 : 가압피스톤 127 : 가압실린더
128 : 가압로드 130 : 절환부
131 : 절환토출관 132: 힌지결합편
133 : 절환회전축 134 : 절환실린더
135 : 실링하우징 136 : 윤활공간
137 : 축실링 138 : 커버실링
139 : 스냅링 140 : 이송부
141 : 이송관 142 : 역류방지변
143 : 차단몸체 144 : 차단실린더
144a : 차단로드 145 : 차단체
146 : 압력유지변 147 : 유지몸체
148 : 유지공간 149 : 유지연결관
150 : 경계층분사장치 151 : 분사몸체
152 : 이송공간 153 : 분사홈
154 : 분사안내관 155 : 분사공간
156 : 이송공 157 : 안내돌기
158 : 분사노즐 159 : 유체공급관

Claims (9)

  1. 슬러지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에 파쇄공간을 가지는 공급몸체, 상기 공급몸체에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깥 둘레에 파쇄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파쇄회전축, 상기 공급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파쇄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는 회전모터, 및 상기 공급몸체의 타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파쇄스크류로 파쇄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한 파쇄 공급부와;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파쇄된 상기 슬러지가 공급되는 가압호퍼, 및 상기 가압호퍼에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가압호퍼와 연통되어 공급된 상기 슬러지를 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실린더를 포함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호퍼에 타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가압호퍼와 연통되어 가압된 상기 슬러지가 토출되도록 한쪽이 연결되어 있는 절환토출관을 가지는 절환부와;
    상기 절환토출관의 다른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슬러지가 이송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상기 슬러지가 통과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관에서 이송되는 상기 슬러지의 역류를 방지시키는 역류방지변, 및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관의 압력이 유지되는 압력유지변을 포함한 이송부와;
    상기 이송관의 상기 슬러지가 통과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관의 안쪽 둘레에 상기 슬러지와 상기 이송관 사이에 경계층이 형성되도록 유체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가지는 경계층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공급부는
    상기 회전모터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파쇄회전축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파쇄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가압실린더 방향인 일측면에 세로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유통공을 가지고, 상기 절환토출관 방향인 타측면에 토출공을 가지는 상기 가압호퍼, 상기 제1 및 제 2 유통공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유통공에서 유입되는 상기 슬러지가 흡입 및 토출되는 제1 및 제2 가압공간을 가지는 제1 및 제2 가압몸체, 상기 제1 및 제2 가압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가압공간으로 상기 슬러지를 흡입 및 토출하는 제1 및 제2 가압피스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가압몸체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가압피스톤과 제1 및 제2 가압로드로 연결되어 흡입과 토출을 작동 시키는 제1 및 제2 가압실린더를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절환토출관의 한쪽 끝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공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편, 상기 절환토출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호퍼의 일측면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제1 및 제2 유통공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절환토출관이 상기 힌지결합편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절환회전축, 그리고 상기 가압호퍼의 외부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절환회전축의 양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절환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절환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부에는
    상기 절환회전축과 상기 가압호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안쪽에 윤활유가 공급되는 윤활공간을 가지는 실링하우징, 상기 실링하우징과 상기 절환회전축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윤활공간의 상기 가압호퍼 방향의 끝단에 누유가 방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축실링, 상기 실링하우징의 내주연을 따라 연결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축실링이 밀리지 않도록 지지시키는 스냅링, 그리고 상기 실링하우징과 상기 절환회전축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축실링과 상기 스냅링 사이를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커버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변은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슬러지가 통과되는 차단몸체,
    상기 차단몸체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몸체의 내부 방향으로 차단로드가 위치하고 있는 차단실린더, 그리고 상기 차단로드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실린더의 작동으로 상기 역류방지변의 내부를 차단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차단체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체는 상기 차단실린더의 작동으로 상기 차단몸체를 차단시켜 상기 이송관에서 이송되는 상기 슬러지의 역류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유지변은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진되어 있는 유지공간을 가지는 유지몸체, 및 상기 유지몸체와 상기 이송관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이송관의 내부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유지몸체와 연결하고 있는 유지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층분사장치는
    상기 이송관에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슬러지가 유통되는 이송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공간의 안쪽으로 분사홈을 가지는 분사몸체, 상기 분사홈에 분사공간이 형성되도록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슬러지가 통과하는 이송공을 가지는 분사안내관, 그리고 상기 분사공간의 외측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공간에 유체가 공급되도록 유체공급관에 연결되어 있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노즐에서 공급된 유체가 상기 분사홈과 상기 분사안내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분사공간을 통해서 상기 이송관의 안쪽둘레에 수막이 형성되어 이송되는 상기 슬러지가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안내관은 바깥 둘레에 돌출되어 있으며,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사공간의 내부에서 유체가 나선방향으로 안내되는 안내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장치.
KR1020080089707A 2008-09-11 2008-09-11 슬러지 이송 장치 KR100882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707A KR100882859B1 (ko) 2008-09-11 2008-09-11 슬러지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707A KR100882859B1 (ko) 2008-09-11 2008-09-11 슬러지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2859B1 true KR100882859B1 (ko) 2009-02-10

Family

ID=4068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707A KR100882859B1 (ko) 2008-09-11 2008-09-11 슬러지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8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105B1 (ko) * 2009-08-20 2010-01-28 대명엔텍(주) 쌍축 스크류 푸셔가 구비되는 고형물 이송장치
KR200468173Y1 (ko) 2013-06-25 2013-07-29 (주)에스앤씨 슬러지의 소각효율이 향상된 슬러지 처리 장치
KR20180065854A (ko) 2016-12-08 2018-06-18 (주)에스앤씨 슬러지 이송장치
KR102130918B1 (ko) 2019-06-11 2020-07-06 박은홍 역류방지용 이송펌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619A (ko) * 2000-04-11 2001-11-07 윤창진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
KR100733790B1 (ko) * 2006-07-08 2007-07-03 주식회사 대인기계공업 슬러지 이송장치
KR100809615B1 (ko) * 2007-04-05 2008-03-05 주식회사 정명 개선된 절환밸브를 갖는 복동식 피스톤 펌프
KR100809614B1 (ko) * 2007-04-05 2008-03-07 주식회사 정명 슬러지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619A (ko) * 2000-04-11 2001-11-07 윤창진 파쇄장치가 부설된 공기압을 이용한 건조된 협잡물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
KR100733790B1 (ko) * 2006-07-08 2007-07-03 주식회사 대인기계공업 슬러지 이송장치
KR100809615B1 (ko) * 2007-04-05 2008-03-05 주식회사 정명 개선된 절환밸브를 갖는 복동식 피스톤 펌프
KR100809614B1 (ko) * 2007-04-05 2008-03-07 주식회사 정명 슬러지 이송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105B1 (ko) * 2009-08-20 2010-01-28 대명엔텍(주) 쌍축 스크류 푸셔가 구비되는 고형물 이송장치
KR200468173Y1 (ko) 2013-06-25 2013-07-29 (주)에스앤씨 슬러지의 소각효율이 향상된 슬러지 처리 장치
KR20180065854A (ko) 2016-12-08 2018-06-18 (주)에스앤씨 슬러지 이송장치
KR101905148B1 (ko) * 2016-12-08 2018-10-08 (주)에스앤씨 슬러지 이송장치
KR102130918B1 (ko) 2019-06-11 2020-07-06 박은홍 역류방지용 이송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859B1 (ko) 슬러지 이송 장치
CN102667274B (zh) 具有旋塞的阀以及具有这种阀的水处理设备
CN113279967B (zh) 一种长轴泵结构
KR101373301B1 (ko) 배관내 작업 장치 및 방법
CN111056608B (zh) 一种可伸入水体的絮凝剂均匀加药设备
KR101905148B1 (ko) 슬러지 이송장치
KR101182786B1 (ko) 슬러지용 고효율 스크루 프레스
KR100945081B1 (ko) 이젝터를 이용한 슬러지의 진공흡입 준설 및 탈수 장치
CN207996870U (zh) 渣浆罐清底系统
CN217092439U (zh) 一种乙酰甲喹注射液生产用过滤装置
KR100809611B1 (ko) 3방향 밸브를 이용한 슬러지 이송장치
WO2014115998A1 (ko) 정량펌프
KR100809614B1 (ko) 슬러지 이송장치
KR100885902B1 (ko) 슬러지 및 음식물찌꺼기 등의 고점성 유체 이송용피스톤펌프
KR101864666B1 (ko) 공기압을 이용한 이동식 슬러리 이송 장치
CN202811382U (zh) 一种用于替代自吸泵工作的装置
CN112473213A (zh) 一种环保高效型污水过滤系统
KR200351381Y1 (ko) 고점도 액체이송용 복동식 피스톤 펌프
KR20210007185A (ko) 슬러지 준설장치
CN111535378A (zh) 一种用于清除河道淤泥的水利装置
CN205297903U (zh) 节能泵送料缸
CN220850056U (zh) 一种易于维修的环保泵
KR200336523Y1 (ko) 공압식 양방향 펌프
CN215444413U (zh) 一种高密封性便安装的水泵组件
KR102244106B1 (ko) 슬러지 이송용 피스톤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