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146B1 -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146B1
KR101022146B1 KR1020090007830A KR20090007830A KR101022146B1 KR 101022146 B1 KR101022146 B1 KR 101022146B1 KR 1020090007830 A KR1020090007830 A KR 1020090007830A KR 20090007830 A KR20090007830 A KR 20090007830A KR 101022146 B1 KR101022146 B1 KR 101022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material
drum
pipe
inner pip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8744A (ko
Inventor
정영주
Original Assignee
정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주 filed Critical 정영주
Priority to KR1020090007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14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2Devices for applying air or other gas pressure for forcing liquid to delivery 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61Mean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a chosen level of a sto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6Arrangements of flow- or pressure-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컴프레셔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로 액상물질을 드럼 내부로 흡입시키거나 또는 드럼 내부에 흡입되어 있는 액상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측은 에어노즐을 관통한 상태에서 외부파이프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며 내부에는 상기 에어노즐에서 분사되는 에어를 흘려 보내는 유로가 형성된 내부파이프와, 상기 내부파이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파이프의 유로를 개폐 동작시키는 볼밸브와, 상기 내, 외부파이프의 하측에 서로 연통한 상태로 관통 설치되며 상기 볼밸브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내부파이프로 공급된 에어를 상기 드럼 내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드럼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공기를 내부파이프로 흡입시키는 구멍들 및 상기 외부파이프의 둘레면에 수평으로 관통 설치되며 상기 드럼 내부로 액상물질을 유입시키거나 또는 상기 드럼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드럼, 액상물질, 에어컴프레셔, 내, 외부파이프, 부상체

Description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equipment of discharge and inhalation}
본 발명은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에어 컴프레셔(Air Compress)를 이용하여 액상물질을 드럼 내부로 흡입시키거나 또는 드럼 내부에 흡입되어 있는 액상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드럼(일명 드럼통)이라 칭해지고 있는 탱크는 각종 기계 작업 현장에서 기계를 가동시키는 데에 필요한 연료나 윤활유 또는 그외에 각종 액상물질을 저장할 수 있도록 고안된 용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드럼에는 액상물질을 펌핑하는 펌핑장치가 설치되어 드럼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 펌핑장치와 관련한 구성을 간략히 기술하면 드럼내의 액상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상부에 위치하며 흡입관 내부를 진공시켜 액상물질이 빨려 올라오도록 하는 펌핑기와, 상기 펌핑기의 작동으로 흡입관 을 통해 빨려 올라온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호스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펌핑기는 사용시 작업자가 상기 펌핑기를 계속적으로 눌러줘야 함으로서 지속적인 힘의 소모를 요구하게 되며, 이는 불필요한 노동력의 손실을 야기시키게 되며, 또한 소요되는 힘에 비해 펌핑되는 오일량 역시 만족스럽지 못함으로서 오일 배출에 따른 작업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 컴프레셔에서 공급되는 에어로 액상물질을 드럼 내부로 흡입시키거나 또는 드럼 내부에 흡입되어 있는 액상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드럼으로 액상물질을 흡입 및 배출하는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는 외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상측 내부에 설치되며 에어컴프레서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분사시키는 에어노즐과,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측은 상기 에어노즐을 관통한 상태에서 외부파이프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며 내부에는 상기 에어노즐에서 분사되는 에어를 흘려 보내는 유로가 형성된 내부파이프와, 상기 내부파이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파이프의 유로를 개폐 동작시키는 볼밸브와, 상기 내, 외부파이프의 하측에 서로 연통한 상태로 관통 설치되며 상기 볼밸브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내부파이프로 공급된 에어를 상기 드럼 내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드럼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공기를 내부파이프로 흡입시키는 구멍들 및 상기 외부파이프의 둘레면에 수평으로 관통 설치되며 상기 드럼 내부로 액상물질을 유입시키거나 또는 상기 드럼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 외부파이프의 하측에는 서로 연결하여 통하는 액상물질 유입구멍들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내부파이프의 하측 내부에는 상기 액상물질 유입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액상물질의 부력으로 부상하며 상기 내부파이프의 구멍을 밀폐시키는 부상체를 더 포함하여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파이프의 하측에는 배출가이드파이프가 체결구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는 일선 산업현장에서 보편적이고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에어 컴프레셔 기기를 드럼에 설치되어 있는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장치에 연결 구성하여, 상기 에어컴프레셔에서 배출되는 고압의 에어 압력을 이용하여 액상물질을 드럼 내부로 흡입시키거나 또는 드럼 내부에 흡입되어 있는 액상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과 도 2는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 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100)는 드럼(200)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어, 에어 압력으로 상기 드럼(200)의 내부 공간(202)으로 액상물질을 흡입시키거나 혹은 드럼(200)의 내부 공간(202)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물질을 배출시키는 수단으로서, 원통체 형태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드럼(200)의 일측 상단에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는 외부파이프(10)로 외형을 구성하고, 상기 외부파이프(10)의 내부로 내부파이프(30)가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외부파이프(10)는 드럼(20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볼트(12)로 체결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외부파이프(10)와 체결볼트(12)의 사이에는 실링고무(14)를 끼워넣어 기밀성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외부파이프(10)의 상측 둘레에는 압력조절밸브(16)가 설치된다. 상기 압력조절밸브(16)는 에어컴프레셔(18)와 호스(20)로 연결 구성되어, 상기 에어컴프레셔(18)에서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을 조절한 상태로 하여 에어노즐(22)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외부파이프(10)의 상측 내부에는 에어노즐(22)이 설치된다. 상기 에어노즐(22)의 둘레면에는 챔버(24)가 형성되고, 그 상단 둘레에는 상기 챔버(24)와 연통하는 유로(26)들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에어노즐(22)은 압력조절밸브(16)를 통해 상기 챔버(24)로 에어가 공급되면 유로(26)를 통해 내부파이프(30)로 에어를 분사시키게 된다.
상기 외부파이프(10)의 둘레에는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파이프(28)가 수평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파이프(28)는 에어가 드럼(200) 내부로 흡입되거나 혹은 외부로 배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드럼 (200) 내부의 기압차를 통해 외부의 액상물질을 드럼(200) 내부로 흡입시키거나 혹은 드럼(20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물질을 드럼(200)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내부파이프(30)는 외부파이프(10) 내에 공간(D)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앙의 경사구간을 기준으로 해서 내부파이프(30)의 상측은 상기 에어노즐(22)을 관통한 상태에서 외부파이프(10)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내부파이프(30)의 하측은 외부파이프(1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에어노즐(22)을 관통하는 내부파이프(30)의 둘레에는 연결유로(34)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유로(34)는 에어노즐(22)의 유로(26)와 연통한 상태에서 상기 유로(26)에서 분사되는 에어를 내부파이프(30)의 내부 유로(32)로 공급시키게 된다.
상기 외부파이프(10) 외부로 노출되는 내부파이프(30)의 상측에는 볼밸브(36)가 설치되며, 상기 볼밸브(36)는 내부파이프(30)의 유로(3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내부파이프(30)로 공급되는 에어의 흐름을 단속하게 된다.
즉, 볼밸브(36)를 동작시켜 내부파이프(30)의 유로(32)를 폐쇄시키게 되면 상기 내부파이프(30)로 공급된 에어는 내부파이프(30)의 하측으로 흘러간 후, 내, 외부파이프(10, 3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멍(38, 40)들을 통해 드럼(200) 내부로 배출되어 지는 데, 이때 상기 드럼(2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드럼(200)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물질은 가압되어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파이프(28)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어 진다.
이와 반대로, 볼밸브(36)를 동작시켜 내부파이프(30)의 유로(32)를 개방시키게 되면 상기 내부파이프(30)로 공급된 에어는 상기 유로(32)를 통해 대기로 배출되는 데, 이때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압력차로 인해 드럼(20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내, 외부파이프(10, 30)의 구멍(38, 40)을 통해 내부파이프(30)로 빨려(흡입)들어가게 된다. 상기 드럼(200) 내부의 공기가 내부파이프(30)로 흡입되면 빠져나간 공기만큼 드럼(200) 내부는 기압이 낮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외부의 액상물질은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파이프(28)를 통해 드럼(200) 내부로 흡입되어 진다.
상기 내, 외부파이프(10, 30)의 하측에는 서로 연결하여 통하는 구멍(38, 40)들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상기 구멍(38, 40)들은 볼밸브(36)의 개방동작에 따라 내부파이프(30)로 공급된 공기를 드럼(200) 내부로 배출하거나 혹은 볼밸브(36)의 폐쇄동작에 따라 드럼(200) 내부의 공기를 내부파이프(30)로 흡입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내, 외부파이프(10, 30)의 하측에는 상기 구멍(38, 40) 아래로 별도의 액상물질 유입구멍(44, 46)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상기 액상물질 유입구멍(44, 46)은 서로 연결하여 통한 상태에서 드럼(200)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물질을 내부파이프(30)로 유입시키게 된다.
상기 내부파이프(30)의 하측 내부에는 부상체(42)가 설치된다. 상기 부상체(42)는 액상물질 유입구멍(44, 46)을 통해 내부파이프(30)로 유입된 액상물질의 부력으로 부상하며 내부파이프(30)의 하측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구멍(38)을 밀폐시켜 상기 구멍(38)을 통해 드럼(200) 내의 공기 또는 액상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파이프(30)의 내부에는 상, 하부걸림테(50, 5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상부걸림테(50)는 부상체(42)의 부상높이를 제한하게 되고, 상기 하부걸림테(52)는 부상체(42)가 내부파이프(30)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외부파이프(10)의 하측에는 커플러(54)를 통해 액상물질배출가이드(56)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액상물질배출가이드(56)는 일단은 커플러(54)에 연결되고, 타단은 드럼(200)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액상물질 배출시, 그 타단 둘레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구멍(58)들을 통해 액상물질을 공급받아 외부파이프(10)의 공간(D)을 거쳐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파이프(28)로 배출시키게 된다. 즉, 상기 액상물질배출가이드(56)는 드럼(200)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때에만 사용토록 하고, 액상물질을 드럼(200) 내부로 흡입시킬 때에는 커플러(54)에서 분리시키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3은 드럼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드럼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때에는 먼저, 볼밸브를 폐쇄 동작시켜 내부파이프의 유로를 폐쇄시키도록 한다.
다음, 에어컴프레셔(18)에 연결되어 있는 압력조절밸브(16)를 동작시키게 되면 에어는 에어노즐(22)의 챔버(24)와 유로(26)를 거쳐 내부파이프(30)의 연결유로(34)를 통해 내부파이프(30) 내부 유로(32)로 유입되어 지는 데, 이때 유입된 에어는 볼밸브(36)의 폐쇄동작에 따라 내부파이프(30) 하측으로 흘러가게 된다.
이어서, 내부파이프(30)의 하측으로 유입된 에어는 내, 외부파이프(10, 30)의 하측에 형성된 구멍(38, 40)을 통해 드럼(200) 내부로 배출되어 지는 데, 이때 드럼(2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드럼(200)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물질은 가압된 후, 액상물질배출가이드(56)의 구멍(58)을 통해 외부파이프(10)로 유입된 다음,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파이프(2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짐으로서 드럼(20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4는 외부의 액상물질을 드럼 내부로 흡입시킬 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액상물질을 드럼(200) 내부로 흡입시킬 때에는 먼저, 볼밸브(36)를 개방 동작시켜 내부파이프(30)의 유로를 개방시키도록 한다.
다음, 에어컴프레셔(18)에 연결되어 있는 압력조절밸브(16)를 동작시키게 되면 에어는 에어노즐(22)의 챔버(24)와 유로(26)를 거쳐 내부파이프(30)의 연결유로(34)를 통해 내부파이프(30) 내부 유로(32)로 유입되어 진다.
이어서, 내부파이프(30)의 유로(32)로 유입된 에어는 볼밸브(36)의 개방을 통해 내부파이프(30) 상측으로 흘러간 후, 대기로 배출되는 데, 이때 대기로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압력차로 인해 드럼(20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내, 외부파이프(10, 3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38, 40)을 통해 내부파이프(30)로 빨려(흡입)들어가게 된다.
상기 드럼(200) 내부의 공기가 내부파이프(30)로 흡입되면 드럼(200) 내부에는 빠져나간 공기만큼 기압이 낮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외부의 액상물질은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파이프(28)를 통해 드럼(200) 내부로 흡입되어 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드럼(200) 내부로 일정량의 액상물질이 채워지고 나면 상기 내, 외부파이프(10, 30)의 하측에 관통 형성된 액상물질 유입구멍(44, 46)을 통해 내부파이프(30) 내부로 액상물질이 유입되어 지는 데, 이때 내부파이프(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부상체(42)는 유입된 액상물질의 부력으로 부상하며 내부파이프(30)의 하측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구멍(38)을 밀폐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드럼(200) 내의 공기는 더 이상 내부파이프(30)로 빠져나가지 않게 됨으로서 액상물질의 흡입이 정지되어 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에 설치되는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드럼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외부의 액상물질이 드럼으로 흡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부파이프 18: 에어컴프레셔
22: 에어노즐 28: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파이프
30: 내부파이프 32: 유로
34: 연결유로 36: 볼밸브
38, 40: 구멍 42: 부상체
44, 46: 액상물질 유입구멍 56: 배출가이드파이프
200: 드럼

Claims (3)

  1. 드럼(200)으로 액상물질을 흡입 및 배출하는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200)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는 외부파이프(10)와;
    상기 외부파이프(10)의 상측 내부에 설치되며 에어컴프레서(18)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분사시키는 에어노즐(22)과;
    상기 외부파이프(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측은 상기 에어노즐(22)을 관통한 상태에서 외부파이프(10)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며 내부에는 상기 에어노즐(22)에서 분사되는 에어를 흘려 보내는 유로(32)가 형성된 내부파이프(30)와;
    상기 내부파이프(3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파이프(30)의 유로(32)를 개폐 동작시키는 볼밸브(36)와;
    상기 내, 외부파이프(10, 30)의 하측에 서로 연통한 상태로 관통 설치되며 상기 볼밸브(36)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내부파이프(30)로 공급된 에어를 상기 드럼(200) 내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드럼(20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공기를 내부파이프(30)로 흡입시키는 구멍(38, 40)들 및 ;
    상기 외부파이프(10)의 둘레면에 수평으로 관통 설치되며 상기 드럼(200) 내부로 액상물질을 유입시키거나 또는 상기 드럼(20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파이프(28)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 외부파이프(10, 30)의 하측에는 서로 연결하여 통하는 액상물질 유입구멍(44, 46)들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내부파이프(30)의 하측 내부에는 상기 액상물질 유입구멍(44, 46)을 통해 유입되는 액상물질의 부력으로 부상하며 상기 내부파이프(30)의 구멍(38)을 밀폐시키는 부상체(42)가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파이프(10)의 하측에는 배출가이드파이프(56)가 체결구(54)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질 흡입 및 배출장치.
KR1020090007830A 2009-02-02 2009-02-02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 KR101022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830A KR101022146B1 (ko) 2009-02-02 2009-02-02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830A KR101022146B1 (ko) 2009-02-02 2009-02-02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744A KR20100088744A (ko) 2010-08-11
KR101022146B1 true KR101022146B1 (ko) 2011-03-17

Family

ID=42754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830A KR101022146B1 (ko) 2009-02-02 2009-02-02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1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130B1 (ko) * 2011-06-28 2013-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
KR101897144B1 (ko) * 2017-06-26 2018-09-10 선호경 습식 청소기 및 그 제어 시스템
KR102277003B1 (ko) * 2020-05-19 2021-07-14 세호마린솔루션즈(주)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2000U (ko) 1987-07-13 1989-01-23
WO1998001367A1 (en) * 1996-07-08 1998-01-15 C.H. & I. Technologies, Inc. Dual action valve
JP2001271740A (ja) 2000-03-23 2001-10-05 Yoshio Kunito 灯油ポンプの定量停止装置
KR200318322Y1 (ko) 2002-12-24 2003-06-28 김만수 액체 이송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2000U (ko) 1987-07-13 1989-01-23
WO1998001367A1 (en) * 1996-07-08 1998-01-15 C.H. & I. Technologies, Inc. Dual action valve
JP2001271740A (ja) 2000-03-23 2001-10-05 Yoshio Kunito 灯油ポンプの定量停止装置
KR200318322Y1 (ko) 2002-12-24 2003-06-28 김만수 액체 이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744A (ko)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146B1 (ko)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
CN103925185A (zh) 柱塞泵及油田用二氧化碳注入装置
KR101905148B1 (ko) 슬러지 이송장치
JP4628934B2 (ja) 廃蒸気回収装置
KR101200121B1 (ko) 오일 배출 및 공급장치
KR101210944B1 (ko) 누유 방지구조를 갖는 액 주입모듈
CN115301620B (zh) 一种电池化成用负压组件的清洗方法及清洗工装
CN216077545U (zh) 一种注堵漏浆防堵塞凡尔体
KR101199793B1 (ko) 발파공 내의 물 배수장치 및 그 사용방법
JP4908463B2 (ja) 液体圧送装置
CN210866350U (zh) 一种电池注液装置
CN210049045U (zh) 一种套筒灌浆的漏浆检测器
CN220267914U (zh) 一种气动液体输送泵
JP5280721B2 (ja) 自動ガス抜き機構付き往復動ポンプ
CN209194099U (zh) 一种电镀槽自动加料装置
KR101407652B1 (ko) 흡입조건 개선 및 효율을 증대시키는 부양가이드를 구비한 펌프
RU2514453C1 (ru) Поршневой насос с газосепаратором
KR101335094B1 (ko) 케미컬 공급장치
KR101659699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용 공기차단장치
CN110285066A (zh) 自动排气自吸泵装置
JP4628933B2 (ja) 廃蒸気回収装置
KR101707341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200447996Y1 (ko) 부스터 펌프
KR101471659B1 (ko) 에어리스 펌프의 맥동방지장치
KR20100040385A (ko) 고효율 기체용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해수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