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003B1 -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003B1
KR102277003B1 KR1020200062464A KR20200062464A KR102277003B1 KR 102277003 B1 KR102277003 B1 KR 102277003B1 KR 1020200062464 A KR1020200062464 A KR 1020200062464A KR 20200062464 A KR20200062464 A KR 20200062464A KR 102277003 B1 KR102277003 B1 KR 102277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chemical
inner pipe
cargo tan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원
Original Assignee
세호마린솔루션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호마린솔루션즈(주) filed Critical 세호마린솔루션즈(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8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h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화물탱크 내부로 이너 파이프를 연결되게 설치하는 단계, 이너 파이프를 통해 화물탱크 내 화학화물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이너 파이프를 통해 화물탱크 내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하는 단계, 화물탱크 내 겔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Method for removing contaminated chemical cargo from cargo tanks of fire­damaged}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 후 화재진압된 선박의 화물탱크에 저장된 화학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화물선박은 화재가 진압된 후, 화물탱크에 저장된 화물을 제거하게 된다. 특히, 화물탱크에 화학물질이 있는 경우, 폭발이나 아주 미량의 누출시 해양오염이나 인적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필수적으로 신속한 제거작업을 요구한다.
이러한, 선박의 화물탱크 내 화물의 일반적인 제거방법으로는, 선박의 데크(Deck)를 천공시켜 화물탱크와 연결되게 한 후, 차단밸브를 구비하는 배출관을 화물탱크 내부에 삽입 배치시킨 상태에서 펌프의 펌핑을 통해 회수하거나 이송 또는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때, 화물탱크 내부에 화학물질을 저장한 선박의 경우, 특히 화학물질로 스티렌 모노머일 때 안정성을 위해 액상상태로 화물탱크에 저장하게 되는데, 화재에 의한 고열로 화학물질의 성질이 변형되거나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즉, 화물탱크 내 저장하는 화학화물 중에는 화재시 발생된 고열에 의해 일부가 겔(Gell) 상태로 진행됨과 더불어 하절기에는 화재진압이 완료되더라도 선체의 가열로 인한 증발상태로 유독가스를 발생시켜 화물탱크 내부에 들어찬 상태가 되고, 폭발위험성을 내재하게 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물탱크 내부에 화학화물 상태를 확인하지 않고 데크에 바로 천공한 후, 배출관을 통해 화학화물을 펌핑 제거시,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는 상태의 화학물질을 구별없이 한번에 제거되게 하는데, 이로 인해 사용가능한 화학화물의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점성이 다른 상태의 화물탱크 내 화학화물이 하나의 배출관으로 펌핑시 점성이 높은 화학화물이 배출관에 막혀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선박의 탱크 내 연료와 같은 화물을 제거하는 관련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21552호(2016.02.2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1713호(2013.08.23)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 후 화재진압된 선박의 화물탱크에 저장된 화학화물을 안전하게 선박 외부로 이송 제거하는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선박의 화물탱크 내부로 이너 파이프를 연결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이너 파이프를 통해 화물탱크 내 화학화물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이너 파이프를 통해 화물탱크 내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하는 단계, 상기 화물탱크 내 겔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박의 화물탱크 내부로 이너 파이프를 연결되게 설치하는 단계는, 하단 외주면에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이너 파이프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화물탱크 경계부의 온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데크 상에 화물탱크와 연결된 연결구 부분을 개방하여, 화물탱크 내부를 환기하는 단계, 상기 선박의 데크에 수직한 상태로 연결구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대빗의 체인블록으로 이너 파이프의 일측을 연결 지지하는 단계, 상기 이너 파이프의 상단 부분을 유압잭으로 가압하면서 이너 파이프가 연결구를 통해 화물탱크 내 화학화물 내측으로 삽입 배치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파이프를 통해 화물탱크 내 화학화물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는, 이너 파이프 내측으로 내시경 카메라를 투입하여 이너 파이프 내 화학화물 상태를 확인하면서 화학탱크 내 화학화물의 상태를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파이프를 통해 화물탱크 내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하는 단계는,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선박의 데크 상에 배치한 흡입펌프와 연결하고, 길이방향 타단은 이너 파이프의 내측 하단에 위치하도록 배출호스를 이너 파이프에 삽입 설치하는 단계,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선박의 데크 상에 배치한 송풍팬과 연결하고,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이너 파이프가 삽입된 선박의 연결구 이외의 다른 연결구를 통해 화물탱크 내 화학화물 내측으로 삽입 배치하도록 송풍호스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흡입펌프와 송풍팬을 작동시켜, 배출호스가 화물탱크 내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을 흡입 배출되게 함과 더불어 송풍팬은 송풍호스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화물탱크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물탱크 내 겔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화물탱크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화물탱크 상측에 위치하는 선박의 데크 부분을 워터젯 커팅머신으로 절단 제거하는 단계, 상기 화물탱크 내부의 겔 상태의 화학화물을 중장비로 퍼서 화물탱크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은, 이너 파이프를 선박의 화물탱크 내부로 연결 배치한 후, 화물탱크 내 화학화물의 액상 상태 및 겔상태에 대해 파악하고, 폭발 가능성이 높은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을 제거한 후 겔 상태의 화학화물을 제거되게 하는 바, 화재가 발생 후 화재진압된 선박의 화물탱크 내 화학화물을 쉽고 안전하게 선박 외부로 이송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S100 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S120 단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은, 선박의 화물탱크 내부로 이너 파이프를 연결되게 설치하는 단계(S100), 이너 파이프를 통해 화물탱크 내 화학화물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S110), 이너 파이프를 통해 화물탱크 내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하는 단계(S120), 화물탱크 내 겔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선박의 화물탱크(10) 내부에 저장된 화학화물은 스티렌 모노머(Styrene monom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먼저, 선박의 화물탱크(10) 내부로 이너 파이프(100)를 연결되게 설치한다(S100). 이러한, 이너 파이프(100)는 화물탱크(10) 내부의 화학화물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화학화물을 화물탱크(10) 외부로 배출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배출호스(200)를 삽입되게 한다.
여기서, 선박의 화물탱크(10) 내부로 이너 파이프(100)를 연결되게 설치하는 단계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길이방향 양단으로 개방된 상태로 직선형 구조를 가지며, 길이방향 일단,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단 외주면에는 복수의 유입공(110)이 형성된 이너 파이프(100)를 준비한다. 이러한, 유입공(110)은 이너 파이프(100)를 화물탱크(10)의 내부로 삽입시, 화물탱크(10) 내 액체상태의 화학화물이 이너 파이프(100)의 내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선박의 화물탱크(10) 경계부에 대한 온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화물탱크(10)의 경계부에 대한 온도 측정을 통해 화물탱크(10) 내부에서 화학화물의 가열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이후 화물탱크(10) 내 산소농도 감소로 인해 화물탱크(10)의 개방시 폭발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화물탱크(10)의 경계부에 대한 온도를 확인한 후에는 화물탱크(10)와 연결된 선박의 데크 상 연결구(11) 부분을 개방하여 화물탱크(10) 내부를 환기시키면서 화물탱크(10) 내부의 유해 가스를 제거한다. 이때, 화물탱크(10) 내부의 환기는 연결구(11)에 별도의 연결호스(도면미도시)를 연결한 후 흡입팬(도면미도시)으로 화물탱크(10) 내부의 유해가스를 별도의 저장공간으로 흡입 배출되게 하거나 집진기를 통해 유해 물질을 제거하면서 바로 배출되게 할 수도 있다. 화물탱크(10) 내부에 대한 환기가 완료된 후에는, 대빗(20)의 체인블록(21)으로 이너 파이프(100)의 일측을 연결 지지한 후, 체인블록(21)을 통해 이너 파이프(100)를 상방으로 이동되게 하여, 이너 파이프(100)가 선박의 데크에 수직한 상태로 연결구(11)의 상부에 배치되게 한다. 그리고, 연결구(11)의 상단 플랜지부에는 이너 파이프(100)의 상하 이동시 수평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너 파이프(100)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12)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후에는 이너 파이프(100)의 상단 부분을 유압잭(30)으로 가압하면서 이너 파이프(100)가 연결구(11)를 통해 화물탱크(10) 내 화학화물 내측으로 삽입 배치되게 한다. 이때, 이너 파이프(100)의 상단 테두리 부분은 선박의 데크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연결구(100)의 상단에 배치되게 하고, 이너 파이프(100)의 하단 테두리 부분은 선박의 화물탱크(10) 내측 바닥면에 접하게 배치한다.
이렇게, 상기 이너 파이프(100)가 화물탱크(10) 내부로 연결되게 설치한 후에는, 이너 파이프(100)를 통해 화물탱크(10) 내 화학화물의 상태를 체크한다(S110). 즉, 이너 파이프(100)의 내측으로 내시경 카메라(도면미도시)를 투입하여, 이너 파이프(100)가 화물탱크(10) 내부로 삽입시 이너 파이프(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화학화물을 내시경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으로 확인한다. 이때, 내시경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통해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 영역 'L'과 겔(Gel) 상태의 화학화물 영역 'G'의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은 겔 상태의 화학화물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이너 파이프(100)로 내시경 카메라를 투입하여, 화물탱크(10) 내 화학화물 상태를 체크한 후에는, 이너 파이프(100)를 통해 화물탱크(10) 내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을 화물탱크(10)의 외부로 배출한다(S120).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배출호스(200)와 흡입펌프(210)를 설치한다. 즉, 흡입펌프(210)는 선박의 데크 상에 배치한 후, 배출호스(200)의 길이방향 일단은 흡입펌프(210)에 연결하고, 배출호스(2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이너 파이프(100)의 내측 하단에 위치하도록 배출호스(200)를 이너 파이프(10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설치한다. 이때, 이너 파이프(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배출호스(2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이 위치하는 이너 파이프(100) 내측 하단까지 배치되게 한다. 이후, 송풍호스(300)와 송풍팬(310)을 설치한다. 즉, 송풍팬(310)은 선박의 데크 상에 배치한 후, 송풍호스(3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송풍팬(310)에 연결하고, 송풍호스(3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이너 파이프(100)가 삽입된 선박의 연결구(11) 이외의 다른 연결구(11)를 통해 화물탱크(10) 내 화학화물 내측으로 삽입되게 설치한다. 이때, 송풍호스(300)에 배치되는 연결구(11)에는 송풍호스(300)를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이 배치된 영역 'L'까지 쉽게 삽입 배치할 수 있도록 이너 파이프(100)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선박의 데크 상에는 화물탱크(10)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보다 높아질 경우 개방되면서 화물탱크(10) 내 기체를 일부 외부로 배출되게 하면서 화물탱크(10) 내부의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안전밸브(4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펌프(210)와 송풍팬(310)을 작동시켜, 배출호스(200)가 화물탱크(10) 내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을 흡입 배출되게 함과 더불어 송풍팬(310)은 송풍호스(30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화물탱크(10) 내부로 공급되게 한다. 이때, 배출호스(200)를 통해 화물탱크(10)에서 배출되는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은 선박 외부에 배치된 별도의 저장탱크(도면미도시)에 이동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송풍팬(310)의 작동을 통해 송풍호스(300)에서 화물탱크(1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화물탱크(10) 내부를 접압상태로 유지되게 하면서 배출호스(200)에 의해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이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은 냉각 및 불순물에 대한 재처리를 통해 재사용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선박의 화물탱크(10) 내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완료한 후에는, 화물탱크(10) 내부에 남아 있는 겔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되게 한다(S130). 이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화물탱크(10)의 내부로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를 주입한다. 이때, 불활성 가스는 선박의 연결구(11)를 통해 주입하며, 불활성 가스는 이후 선박의 데크 부분에 대한 절단시 화물탱크(10) 내부의 증발된 가스를 통한 폭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같이, 불활성 가스를 화물탱크(10)의 내부에 주입한 후에는, 화물탱크(10) 상측에 위치하는 선박의 데크 부분을 워터젯 커팅머신(도면미도시)으로 절단 제거한다. 그리고, 선박의 데크 상에 집게차나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배치한 후, 중장비를 통해 화물탱크(10) 내 겔 상태의 화학화물을 퍼서 화물탱크(10)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렇게, 배출되는 겔 상태의 화학화물은 폐기물 처리 규정에 의해 처리하게 된다.
이같이, 상기 화물탱크(10) 내 화학화물에 대한 배출이 완료된 후에는, 화물탱크(10)의 하부에 배치된 발라스트 탱크에 저장된 평형수 제거 작업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발라스트 탱크는 화재에 따른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발라스트 탱크에 저장된 평형수에는 화물탱크(10)에 저장되어 있던 일부의 화학화물이 유입된다. 따라서, 발라스트 탱크의 평형수에 대한 제거는, 선박의 데크 상에 여과탱크(도면미도시) 및, 여과탱크와 발라스트 탱크를 연결하도록 평형수배출호스를 설치하고, 평형수 배출호스에 구비된 펌프를 통해 평형수가 여과탱크로 이동 저장되게 한다. 이때, 여과탱크로 저장된 평형수 내 화학화물의 함유율을 측정한 후, 여과탱크로 흡습포와 청수를 투입하여 화학화물의 제거 및 희석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후, 평형수를 해상으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여과탱크의 배출구에 제오라이트를 공급하면서 잔여 화학화물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은, 이너 파이프(100)를 선박의 화물탱크(10) 내부로 연결 배치한 후, 화물탱크(10) 내 화학화물의 액상 상태 및 겔 상태에 대해 파악하고, 먼저 폭발 가능성이 높은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을 제거한 후 겔 상태의 화학화물을 제거되게 하는 바, 화재가 발생 후 화재진압된 선박의 화물탱크 내 화학화물을 쉽고 안전하게 선박 외부로 이송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선박의 화물탱크 내부로 이너 파이프를 연결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이너 파이프를 통해 화물탱크 내 화학화물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이너 파이프를 통해 화물탱크 내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화물탱크 내 겔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박의 화물탱크 내부로 이너 파이프를 연결되게 설치하는 단계는,
    하단 외주면에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이너 파이프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화물탱크 경계부의 온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선박의 데크 상에 화물탱크와 연결된 연결구 부분을 개방하여, 화물탱크 내부를 환기하는 단계와,
    상기 선박의 데크에 수직한 상태로 연결구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대빗의 체인블록으로 이너 파이프의 일측을 연결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이너 파이프의 상단 부분을 유압잭으로 가압하면서 이너 파이프가 연결구를 통해 화물탱크 내 화학화물 내측으로 삽입 배치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
  2. 선박의 화물탱크 내부로 이너 파이프를 연결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이너 파이프를 통해 화물탱크 내 화학화물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이너 파이프를 통해 화물탱크 내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화물탱크 내 겔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파이프를 통해 화물탱크 내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하는 단계는,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선박의 데크 상에 배치한 흡입펌프와 연결하고, 길이방향 타단은 이너 파이프의 내측 하단에 위치하도록 배출호스를 이너 파이프에 삽입 설치하는 단계와,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선박의 데크 상에 배치한 송풍팬과 연결하고,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이너 파이프가 삽입된 선박의 연결구 이외의 다른 연결구를 통해 화물탱크 내 화학화물 내측으로 삽입 배치하도록 송풍호스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펌프와 송풍팬을 작동시켜, 배출호스가 화물탱크 내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을 흡입 배출되게 함과 더불어 송풍팬은 송풍호스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화물탱크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
  3. 선박의 화물탱크 내부로 이너 파이프를 연결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이너 파이프를 통해 화물탱크 내 화학화물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이너 파이프를 통해 화물탱크 내 액상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화물탱크 내 겔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물탱크 내 겔 상태의 화학화물을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화물탱크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화물탱크 상측에 위치하는 선박의 데크 부분을 워터젯 커팅머신으로 절단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화물탱크 내부의 겔 상태의 화학화물을 중장비로 퍼서 화물탱크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파이프를 통해 화물탱크 내 화학화물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는, 이너 파이프 내측으로 내시경 카메라를 투입하여 이너 파이프 내 화학화물 상태를 확인하면서 화학탱크 내 화학화물의 상태를 유추하는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
  5. 삭제
KR1020200062464A 2020-05-19 2020-05-25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 KR102277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59448 2020-05-19
KR1020200059448 2020-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003B1 true KR102277003B1 (ko) 2021-07-14

Family

ID=76863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464A KR102277003B1 (ko) 2020-05-19 2020-05-25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0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8744A (ko) * 2009-02-02 2010-08-11 정영주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
KR100999540B1 (ko) * 2010-04-16 2010-12-08 한국기계연구원 압력기체를 이용한 저장탱크의 액상화물 잔류량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20150044694A (ko) * 2013-10-17 2015-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종 유체 분리 배출 장치
KR101988225B1 (ko) * 2018-10-24 2019-06-12 한동훈 선박의 유류 제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8744A (ko) * 2009-02-02 2010-08-11 정영주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
KR100999540B1 (ko) * 2010-04-16 2010-12-08 한국기계연구원 압력기체를 이용한 저장탱크의 액상화물 잔류량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20150044694A (ko) * 2013-10-17 2015-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종 유체 분리 배출 장치
KR101988225B1 (ko) * 2018-10-24 2019-06-12 한동훈 선박의 유류 제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06841C (en) System for washing a tank and recovering and treating residual tank liquid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US8136540B2 (en) Cleaning system having heated cleaning enclosure for cleaning heat exchanger tube bundles
JP6669768B2 (ja) タンクシステム
CN1348525A (zh) 内部转塔系泊系统的防爆系统
KR102277003B1 (ko) 화재선박의 화물탱크 내 손상 화학화물 제거방법
US3279198A (en) Method for reducing gas concentrations in cargo tanks
KR20010098745A (ko) 기판 처리방법 및 기판 처리장치
KR20130053355A (ko) 잠수함 기관실의 소화설비
PT1548195E (pt) Processo permitindo impedir a formação de uma atmosfera insalubre e/ou explosiva no ambiente de uma cisterna e dispositivo permitindo a implementação deste processo
EP3747560B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pre-degassing of a fuel tank
JP2021175660A (ja) 車両、及び船舶
DK176065B1 (da) Tankskib med kontrolleret indhold af gasser i ballasttanke
KR102576207B1 (ko) 암모니아 방출방지 및 제거장치
RU2633917C2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агона-цистерны к ремонту или наливу сжиженного углеводородного газ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11821564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export fluid without discharge
JP2005098599A (ja) 可燃性冷媒の処理方法及び可燃性冷媒の処理装置
WO2017155183A1 (ko) 원유탱크 물 세정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22062406A (ja) 配管撤去前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配管撤去前処理方法
JPH0421650Y2 (ko)
JPS59154108A (ja) 可燃性ガス処理用冷却水中溶存成分解離法
JPH0421651Y2 (ko)
RU2585784C1 (ru) Способ мойки резервуаров для нефт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ли опасных жидких сред и комплекс оборудования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AU2022330643A1 (en) Buffer gate, pump carrying-in method, and pump pulling-up method
JPH06219374A (ja) 小型油槽船のガスフリー方法
CN114609336A (zh) 一种粗苯槽的动火检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