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130B1 -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130B1
KR101291130B1 KR1020110062622A KR20110062622A KR101291130B1 KR 101291130 B1 KR101291130 B1 KR 101291130B1 KR 1020110062622 A KR1020110062622 A KR 1020110062622A KR 20110062622 A KR20110062622 A KR 20110062622A KR 101291130 B1 KR101291130 B1 KR 101291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topper
suction pipe
sealing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777A (ko
Inventor
류재신
강병주
정성민
정희윤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2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13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Plugs

Abstract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는 마개와, 탱크를 밀폐시키기 위해 탱크에 수용된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파이프의 단부가 폐쇄되도록 마개를 전진시키거나, 탱크의 밀폐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흡입파이프의 단부가 개방되도록 마개를 후진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SEALING DEVICE FOR TANK OF SHIP}
본 발명은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석유 및 가스 등과 같은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천연자원을 수용하는 탱크, 청수 또는 해수를 저장하는 탱크, 잠수 또는 부상을 위해 공기 등이 강제로 유출입되는 탱크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탱크의 밀폐상태에 대한 압력 테스트가 수행되어 탱크에 수용되는 유체의 누수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즉, 탱크를 밀폐한 후 공기압 또는 수압 등을 이용하여 탱크의 밀폐(기밀 또는 수밀) 상태가 테스트될 수 있다. 예컨대, 탱크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켜 일정 압력으로 설정하고, 탱크 내부의 압력 변화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탱크의 밀폐상태가 테스트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탱크 밀폐상태를 테스트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10)에 수용된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파이프(20)는 탱크(10)에 설치된 지지대(11)에 의해 지지되며, 탱크(10) 하면에 가깝게 설치된 벨마우스(22)를 포함한다. 이때, 중공관 형태로 외부와 연결된 흡입파이프(20)의 단부를 폐쇄시킴으로써 탱크(10)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탱크(10)를 밀폐시키기 위해 먼저 벨마우스(22)를 해체하고(S11), 블라인드 플랜지(24)를 흡입파이프(20)에 설치하여 흡입파이프(20)의 단부를 폐쇄시킨다(S21).
이후, 테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탱크(10)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켜서 일정 압력으로 설정하고, 지속적으로 탱크(10) 내부의 압력 변화를 확인하면서 탱크(10)의 밀폐상태를 테스트한다.
테스트가 완료되면, 블라인드 플랜지(24)를 제거하고(S31), 해체되었던 벨마우스(22)를 다시 설치한다(S41).
이와 같이 종래에는 탱크(10)의 밀폐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S11,S21)과, 테스트 이후, 원상태로 복원하는 후처리 과정(S31,S41)에 많은 작업량 및 작업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탱크(10)에 수용된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파이프(20)를 간편하게 폐쇄시키거나 개방시켜, 탱크(10)의 밀폐상태를 테스트하고 원상태로 복원하는 데에 소요되는 작업량 및 작업 시간을 줄일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탱크 내 흡입파이프를 간편하게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킬 수 있는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개와, 탱크를 밀폐시키기 위해 상기 탱크에 수용된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파이프의 단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마개를 전진시키거나, 상기 탱크의 밀폐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흡입파이프의 단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마개를 후진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개의 폐쇄면은 상기 마개의 일부가 상기 흡입파이프 내에 삽입되어 상기 흡입파이프의 단부가 폐쇄되도록,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마개의 폐쇄면은 상기 흡입파이프의 기밀 유지를 위해 일정 간격으로 패킹부재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마개는 상기 승강장치를 수용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마개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는 탱크 내 흡입파이프를 간편하게 폐쇄시키거나 개방시켜, 탱크의 밀폐상태를 테스트하고 원상태로 복원하는 데에 소요되는 작업량 및 작업 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경사지게 마련된 마개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흡입파이프를 효율적으로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탱크 밀폐상태를 테스트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를 이용하여 탱크 내 흡입파이프의 단부를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키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의 마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흡입파이프 단부에 적용된 밀폐 장치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를 이용하여 탱크 내 흡입파이프의 단부를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키는 방법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의 마개를 도시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선박의 탱크(100)에 수용된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파이프(110)는 단부에 탱크(100) 하면에 가깝게 설치된 벨마우스(112)를 마련할 수 있다. 흡입파이프(110)는 탱크(100)에 설치된 지지대(10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200)는 탱크(100) 내에 설치되며, 탱크(100)를 밀폐시키기 위해 흡입파이프(110)의 단부가 폐쇄되도록 마개(210)를 전진시킨다. 흡입파이프(110)는 중공관 형태로 탱크(100)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탱크(100) 내의 흡입파이프(110) 단부를 폐쇄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탱크(100)가 밀폐될 수 있다. 이때, 탱크(100)의 밀폐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해, 테스트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탱크(100)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켜 탱크(100) 내부의 압력을 일정값으로 설정하고, 탱크(100) 내부의 압력 변화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탱크의 밀폐상태가 테스트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200)는 탱크(100)의 밀폐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흡입파이프(110)의 단부가 개방되도록 마개(210)를 후진시킨다. 이와 같이, 탱크(100) 내 흡입파이프(110)의 단부를 간편하게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킬 수 있어, 종래에 탱크(100)의 밀폐상태를 테스트하고 원상태로 복원하는 데에 소요되었던 작업량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와 도5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200)는 마개(210)와, 마개(2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승강장치(220)를 포함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마개(210)의 폐쇄면(214)은 그 일부가 흡입파이프(110) 내에 삽입되어 흡입파이프(110)의 단부가 폐쇄되도록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마개(210)는 중공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마개(210)의 폐쇄면(214)은 흡입파이프(110)의 기밀 유지를 위해 패킹부재(214a)를 마련할 수 있다. 패킹부재(214a)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폐쇄면(214)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패킹부재(214a)는 흡입파이프(110) 안으로 전진한 마개(210)의 폐쇄면(214)과 흡입파이프(110)의 접촉면이 밀착되도록 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마개(210)의 하부면(215)은 승강장치(220)에 의해 지지된다. 하부면(215)에는 후술할 승강장치(220)의 추진잭(224)이 고정되도록 고정부(217)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217)는 승강장치(220)의 추진잭(224)이 마개(21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마개(210)가 승강장치(22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마련된 것이다. 예컨대, 고정부(217)에는 승강장치(220)의 추진잭(22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고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마개(210)의 상부면(216)은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흡입파이프(110)의 내경에 비해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마개(210)의 적어도 일부가 흡입파이프(110)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면(216)의 외경은 흡입파이프(110)의 내경에 비해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승강장치(220)는 탱크(100)를 밀폐시키기 위해 탱크(100) 내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파이프(110)의 단부가 폐쇄되도록 마개(210)를 전진시키거나, 탱크(100)의 밀폐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흡입파이프(110)의 단부가 개방되도록 마개(210)를 후진시킨다. 승강장치(220)는 유압을 이용하여 추진잭(224)을 동작시켜 마개(2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추진잭(224)은 유압부(222)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으로 직진 운동하면서 마개(2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강장치(220)는 유압 잭 등의 유압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지지부(223)에 의해 탱크(100) 하면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흡입파이프 단부에 적용된 밀폐 장치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개(210)의 폐쇄면(214)은 경사지게 마련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흡입파이프(110)의 단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6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흡입파이프(110)는 내경이 일정한 형태이거나, 단부 측 방향으로 내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이거나 울퉁불퉁한 면을 가진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마개(210)의 폐쇄면(214)이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각각 다른 형태의 흡입파이프(110)의 단부를 효과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흡입파이프(110)의 형태에 따라 이를 폐쇄시키는 수단을 추가로 제작하거나, 별도의 제품 구매를 해야 하는 비용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마개(210)는 승강장치(220)를 수용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장치(220)가 마개(210)의 상부면(216)을 지지하면서 마개(21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된다. 이때 추진잭(224)을 고정시키는 고정부(217)가 상부면(216)에 마련될 수 있다. 마개(210)가 승강장치(220)를 수용하는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마개(210)의 폐쇄면(214) 중량 및 밀폐 장치(200)가 차지하는 공간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200)는 선박의 탱크 내 흡입파이프를 간편하게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키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실시 예에 따른 밀폐 장치(200)는 일단부가 폐쇄된 배관에 있어서, 해당 배관의 타단부를 폐쇄시켜 배관이 밀폐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후, 테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배관의 밀폐상태가 테스트될 수 있다. 여기서, 밀폐 장치(200)에 의해 배관이 밀폐된 상태에서 배관 내부에 물을 주입시켜 배관 내부의 수압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배관의 밀폐상태가 테스트될 수 있다.
10, 100: 탱크, 20, 110: 흡입파이프,
200: 밀폐 장치, 210: 마개,
214: 폐쇄면, 214a: 패킹부재,
220: 승강장치.

Claims (5)

  1. 마개와,
    탱크를 밀폐시키기 위해 상기 탱크에 수용된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파이프의 단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마개를 전진시키거나, 상기 탱크의 밀폐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흡입파이프의 단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마개를 후진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마개의 폐쇄면은 상기 마개의 일부가 상기 흡입파이프 내에 삽입되어 상기 흡입파이프의 단부가 폐쇄되도록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마련되고,
    상기 마개는 상기 승강장치를 수용하는 형태로 마련된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폐쇄면은
    상기 흡입파이프의 기밀 유지를 위해 일정 간격으로 패킹부재를 마련한 것인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마개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것인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
KR1020110062622A 2011-06-28 2011-06-28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 KR101291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622A KR101291130B1 (ko) 2011-06-28 2011-06-28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622A KR101291130B1 (ko) 2011-06-28 2011-06-28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777A KR20130001777A (ko) 2013-01-07
KR101291130B1 true KR101291130B1 (ko) 2013-08-01

Family

ID=47834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622A KR101291130B1 (ko) 2011-06-28 2011-06-28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1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3293A (en) * 1979-04-21 1980-11-08 Tokyo Tatsuno Kk Liquid feeder
KR20040045203A (ko) * 2002-11-23 2004-06-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저 개구부를 막을 수 있는 차폐수단이 구비된 선박
KR20100088744A (ko) * 2009-02-02 2010-08-11 정영주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3293A (en) * 1979-04-21 1980-11-08 Tokyo Tatsuno Kk Liquid feeder
KR20040045203A (ko) * 2002-11-23 2004-06-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저 개구부를 막을 수 있는 차폐수단이 구비된 선박
KR20100088744A (ko) * 2009-02-02 2010-08-11 정영주 액상물질의 배출 및 흡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777A (ko) 201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62863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contain pipeline leaks from a longitudinal portion of a pipeline
KR101301713B1 (ko) 선박용 천공기를 겸한 잔존유 제거 장치
RU2670816C9 (ru) Способ герметизации эксплуатационной колонны
CN203757253U (zh) 真空脱气设备的进气快速接头
WO2009149458A3 (en) Compression sea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of the same
KR101291130B1 (ko) 선박 탱크용 밀폐 장치
US9199708B2 (en) Atmospheric working cabin for underwater operation
FR2992420A1 (fr) Dispositif de detection de fuite au niveau d'une paroi d'un bassin
KR101358013B1 (ko) 시추코어 내의 가스를 선상에서 추출, 분석, 저장하기 위한 장치
EP3368804B1 (fr) Procédé de vidange d'une canalisation sous-marine de transport de fluide qui est immergée et remplie d'eau
CN103175664B (zh) 逆止阀连接部位密封性能模型试验装置及试验方法
CN205780852U (zh) 一种密封塞及应用该密封塞的发动机气密性检测装置
SG11201810564SA (en) Device for removing fuel from tank cartridges for fuel cells
FR2617285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ction des fuites de bassins notamment de piscines a usage nucleaire
CN105060223A (zh) 一种用于灌装阀回气管的开闭装置
CN209960086U (zh) 一种管道堵头及管道气密试验装置
CN104500910B (zh) 一种用于管道泄漏封堵的堵塞器
KR20130096464A (ko) 카고 딥웰 펌프의 설치 방법
CN204536072U (zh) 振动型真空饱和装置
US201502116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bandoning or isolating an underground pipeline
KR200479094Y1 (ko) 침몰 선박 인양장치
CN102635361A (zh) 一种盾构机进洞及上井的施工方法
JP2005201406A (ja) 配管の補修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配管の補修方法
WO2015159052A2 (en) Launching apparatus for introducing a pig into a pipe
KR101885077B1 (ko) 가이드 파이프 실링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