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981B1 -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981B1
KR102476981B1 KR1020220072293A KR20220072293A KR102476981B1 KR 102476981 B1 KR102476981 B1 KR 102476981B1 KR 1020220072293 A KR1020220072293 A KR 1020220072293A KR 20220072293 A KR20220072293 A KR 20220072293A KR 102476981 B1 KR102476981 B1 KR 102476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ed part
fluid
sludge removal
type underground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현
Original Assignee
(주) 자연과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자연과환경 filed Critical (주) 자연과환경
Priority to KR1020220072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03F9/002Cleaning sewer pipes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으로서,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단계;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현장에 하적수단에 의하여 하적되는 단계;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모니텅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는 매설형 상하수관을 포함하며, 매설형 상하수관은, 지중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되게 설치되는 이송관(100)과; 상기 이송관(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유량의 유입과 유출을 단속하는 좌우 한 쌍의 유량제어밸브(200)와; 이송관(100)의 외면에 굴절 설치되어 지상에서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된 맨홀(300)과; 한 쌍의 유량제어밸브(200)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관(100)의 내주면에침전 및 퇴적된 슬러지(S)를 제거하는 스크레이퍼(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Sludge removal type underground sewage pipe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상하수도 기술 분야 중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수 분사계통이 평상시에는 상하수관을 통해 이송되는 상하수에 노출되지 않아 슬러지에 의하여 폐색되는 일이 없게 하여 언제든지 세척수 분사계통에 의한 슬러지 제거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슬러지제거형 매설형 상하수관을 포함하는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하수관은 시간이 지나면서 내부를 유동하는 수돗물 또는 하수 이외에 불순물도 함께 내포되어 있으며, 이러한 불순물이 내주면에 부착되거나 퇴적되면서 원활히 소통되어야 할 수돗물 또는 하수가 원활히 소통하지 못하게 되고, 퇴적량이 점차 증가되는 경우 심하게는 내부가 막혀 폐구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는 감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시스템의 구축과 운용에 있어 안전한 위생환경 조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2574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하수관의 내부에 슬러지제거장치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상하수관의 내주면에 침전 및 퇴적된 슬러지(Sludge)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수돗물 또는 하수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폐구현상에 따른 상하수관에 균열(Crock)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슬러지제거장치를 포함하는 설비를 설치하기 위하여 작업자 이동과 자재 반입 등 다양한 시공과정에 있어서의 방역을 위한 유체분사수단을 제공하되,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효율적인 탈거와 장착이 가능하여 신혹하고 간편화된 유체분사수단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안정적인 충격저항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가변적인 기능동작을 통해 다양한 조건에서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크기를 다양하게 구현하여 설치 목적과 필요에 적합한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유체분사수단의 장착에 있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장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으로서,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단계;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현장에 하적수단에 의하여 하적되는 단계;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모니텅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는 매설형 상하수관을 포함하며, 매설형 상하수관은, 지중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되게 설치되는 이송관(100)과; 상기 이송관(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유량의 유입과 유출을 단속하는 좌우 한 쌍의 유량제어밸브(200)와; 이송관(100)의 외면에 굴절 설치되어 지상에서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된 맨홀(300)과; 한 쌍의 유량제어밸브(200)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관(100)의 내주면에침전 및 퇴적된 슬러지(S)를 제거하는 스크레이퍼(400)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매설형 상하수관의 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하되,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은, 중앙몸체(11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로 주변의 촬영대상이 기 설정된 대상에 해당되는지 촬영 및 판단하는 판단모듈(114')이 구비되는 상방거치몸체(112')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중앙몸체(110')의 타측으로 출몰되는 제2이동패널(118')과,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2묻힘패널(122')과,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탈거에 기반하는 교체형으로 장착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현장(P')에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유체와, 소독을 위한 제2유체와, 현장(P')에 선정된 대상에 대한 식별을 위한 식별용인 유색의 제3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되, 상기 판단모듈(114')의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상하수관의 내부에 슬러지제거장치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상하수관의 내주면에 침전 및 퇴적된 슬러지(Sludge)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수돗물 또는 하수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폐구현상에 따른 상하수관에 균열(Crock)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슬러지제거장치를 포함하는 설비를 설치하기 위하여 작업자 이동과 자재 반입 등 다양한 시공과정에 있어서의 방역을 위한 유체분사수단을 제공하되,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효율적인 탈거와 장착이 가능하여 신혹하고 간편화된 유체분사수단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안정적인 충격저항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가변적인 기능동작을 통해 다양한 조건에서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크기를 다양하게 구현하여 설치 목적과 필요에 적합한 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유체분사수단의 장착에 있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장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유량제어밸브의 양측 개폐판과 고압수분사판이 모두 열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유량제어밸브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3은 유량제어밸브가 양측 개폐판과 고압수분사판이 모두 열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유량제어밸브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5는 유량제어밸브의 양측 개폐판 중 세척대상 이송관 측 개폐판만 열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유량제어밸브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7은 유량제어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스크레이퍼의 확대 측면도,
도 9는 유량제어밸브와 스크레이퍼 및 슬러지배출수단의 제어부를 보인 기능 블록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중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되게 설치되는 이송관(100)과; 상기 이송관(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유량의 유입과 유출을 단속하는 좌우 한 쌍의 유량제어밸브(200)와; 이송관(100)의 외면에 굴절 설치되어 지상에서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된 맨홀(300)과; 한 쌍의 유량제어밸브(200)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침전 및 퇴적된 오니(S)를 제거하는 스크레이퍼(400)와; 교반된 하수와 슬러지(S)의 혼합물을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오니배출수단(500)과; 상기 유량제어밸브(200), 스크레이퍼(400) 및 슬러지배출수단(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와; 제어부(600)의 작동을 통제하는 입력부(70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관(100)은, 상하수관으로서 강관 또는 콘크리트관을 사용할 수 있다. 이송관(100)의 양단에는 이송관(100)을 연이서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랜지(110)가 구비된다. 상기 유량제어밸브(2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관(100)의 내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양단이 개방된 밸브실(211)과 상기 밸브실(211)의 상부에 연통 형성되어 작동실(212)을 가지는 밸브본체(210)와, 상기 밸브실(211)과 작동실(212)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밸브실(211)을 개폐하는 좌우 한 쌍의 개폐판(220)과, 상기 한 쌍의 개폐판(220)에 삽입되어 상기 밸브실(211)과 작동실(212)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양측면에 복수개의 세척수분사공(221)이 형성된 세척수분사판(230)과, 상기 개폐판(2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지상으로 연장되는 개폐판작동봉(240)과, 상기 세척수분사판(230)의 상단에 결합되어 세척수분사판(230)의 내부와 연통되며 지상으로 연장되는 세척수공급관(250)과, 지상에서 상기 개폐판작동봉(240)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모터축에 개폐판작동스크루(261)가 직결된 개페판구동모터(260)와, 지상에서 상기 세척수공급관(250)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모터축에 세척수공급판작동스크루(271)가 직결된 세척수분사판구동모터(270)와, 일단에 상기 개폐판작동스크루(261)의 수나사부(262)에 맞물리는 암나사부(281)가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개폐판작동봉(240)의 상단에 결합되는 개폐판작동레버(280)와, 일단에 상기 세척수작동스크루(271)의 수나사부(272)에 맞물리는 암나사부(291)가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세척수공급관(250)의 상단에 결합되는 세척수분사판작동레버(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본체(210)의 상면에는 상기 개폐판작동봉(240)과 세척수공급관(250)이 승강 가능하게 관통되는 안내공(213, 214)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본체(210)의 양측에는 상기 이송관(100)의 플랜지(110)에 대응하는 플랜지(215)가 형성되어 유량제어밸브(200)를 이송관(100) 사이에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밸브실(211)과 작동실(212)은 서로 연통되어 전체적으로 U자형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판(220)은 밸브실(211)과 작동실(212)의 형상에 대응하여 U자형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개폐판작동봉(240)은 개폐판(220)의 상면 중앙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공급관(250)은 세척수분사판(230)의 상면 중앙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할수 있다.
도 7에서 세척수분사판(230)과 세척수공급관(250)은 부분적으로 절단한 상태로 도시하였다. 상기 개폐판구동모터(260)와 세척수분사판구동모터(270)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며, 지상에 고정된 장착판(P) 상에 장착된다. 상기 개폐판작동스크루(261)와 세척수분사판작동스크루(271)를 개폐판구동모터(260)의 모터축과 고압분사판구동모터(270)의 모터축에 직결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축 연결구조를 채용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개폐판작동레버(280)와 세척수분사판작동레버(290)의 암나사부(281, 291)는 개폐판작동레버(280)와 세척수분사판작동레버(290)에 직접 형성하거나 별도의 너트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작동봉(240)과 개폐판작동레버(280)를 결합하기 위하여 개폐판작동봉(24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어 개폐판작동레버(280)에 관통되는 나사부(241)와, 나사부(241)에 체결되며 개폐판작동레버(280)의 상하면에밀착되는 결합너트(242)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수공급관(250)과 세척수분사판작동레버(290)를 결합하기 위하여 세척수공급관(25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어 세척수분사판작동레버(290)에 관통되는 나사부(251)와, 나사부(251)에 체결되며 세척수분사판작동레버(290)의 상하면에 밀착되는 결합너트(252)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수공급관(250)에는 세척수공급호스(253)가 연결된다. 상기 세척수공급호스(253)의 하단에는 플랜지(254)가 형성되며, 세척수공급호스(253)에 삽입되어 상기 세척수공급관(250)의 나사부(251)에 체결되며, 상기 플랜지(254)를 누르는 플랜지(256)를 가지는 조임너트(255)가 구비된다. 도 7에서 상기 조임너트(255)는 부분적으로 절단한 상태로 도시하였다.
상기 세척수공급호스(253)는 세척수를 가압공급하는 세척수펌프(257)에 연결된다. 상기 맨홀(300)은 하단이 이송관(100)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단은 지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단을 복개 하는 맨홀뚜껑(310)이 구비된다. 상기 맨홀(300)은 맨홀뚜껑(310)을 열고 이송관(100)에 퇴적된 슬러지(S)를 배출하거나 작업자가 수시로 내부의 하수 유동상태 및 슬러지(S)의 퇴적유무 및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맨홀(300)을 통해 역류되는 하수의 구간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폐구된 부분의 슬러지(S)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스크레이퍼(400)는 이송관(100)의 내부에 고정되는 행거(H1, H2)와, 양단이 상기 행거(H1, H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송관(100)에 퇴적된 슬러지(S)를 긁어서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본체(410)와, 상기 행거(H1, H2)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스크레이퍼본체(410)를 회전시키는 스크레이퍼구동모터(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8 참조)
상기 행거(H1, H2)는 상부가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고정수단(구체적으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하부에는 케이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내부에는 스크레이퍼구동모터(420) 또는 베어링(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실장되게 되며, 스크레이퍼구동모터(420)가 내부에 실장되는 경우 실장된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실링(Sealing)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는 유체 및 오물에 부식되지 않는 알루미늄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시켜 주는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레이퍼본체(410)는 행거(H1, H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411)과, 상기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퇴적된 슬러지(S)를 긁어 이탈시키기 위한 패드(412) 및, 상기 회전축(411)과 패드(412)를 연결하는 연결암(4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411)은 스크레이퍼구동모터(420)의 모터축에 직결된다.
상기 회전축(411)은 베어링(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행거(H1, H2)에 지지할 수 있으며, 일측 회전축(411)은 스크레이퍼구동모터(420)의 모터축에 직결된다. 상기 패드(412)는 고무,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패드부(413)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 형태로 예시하고 있으나, 회전축(411)의 외면을 감착하여 슬러지(S)를 제거할 수 있는 여러 수단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슬러지배출수단(500)은, 이송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단이 이송관(100)의 저면에 위치하여 슬러지와 세척수의 혼합물을 흡입하는 흡입관(510)과, 이송관(100)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서 설치되는 배출관(520) 및, 상기 흡입관(510)과 배출관(5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석션펌프(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관(510)과 석션펌프(Suction Pump)(530)는 도시예와 같이 이송관(100)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흡입관(510)을 지상으로 연장하고 석션펌프(530)를 지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석션펌프(530)를 이송관(10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중에서 작동할 수 있는 수중펌프를 사용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입력부(700)의 입력모드에 따라 유량제어밸브(200)의 개폐판구동모터(260)와 세척수분사판구동모터(270), 스크레이퍼(400)의 스크레이퍼구동모터(420) 및 슬러지배출수단(500)의 석션펌프(53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700)의 입력에 따라 제어부(600)가 유량제어밸브(200)의 개폐판구동모터(260)와 세척수분사판구동모터(270), 스크레이퍼(400)의 스크레이퍼구동모터(420) 및 슬러지배출수단(500)의 석션펌프(5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도 9 참조)
상기 제어부(600)와 입력부(700)는 지상에 설치된 컨트롤박스(B)에 각각 설치하며, 컨트롤박스(B)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맨홀(300)과 인접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600)와 입력부(700)는 유량제어밸브(200)를 개방모드와 폐쇄모드 및 세척모드로 제어하며, 스크레이퍼(400)를 슬러지제거모드와 정지모드로 제어하고, 슬러지배출수단(500)을 배출모드와 정지모드로 제어한다.
유량제어밸브(200)의 개방모드는 양측 개폐판(220)과 세척수분사판(230)을 모두 상승시켜 밸브실(211)을 개방하는 모드이고, 폐쇄모드는 양측 개폐판(220)과 세척수분사판(230)을 모두 하강시켜 밸브실(211)을 폐쇄하는 모드이며, 세척모드는 유량제어밸브(200)의 양측에 연결된 이송관(100) 중 슬러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이송관(100) 측개폐판(220)을 상승시키고 반대측 개폐판(220)과 세척수분사판(230)을 폐쇄상태로 하강시켜 이송관(100)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제거형 매설형 상하수관의 작용을 설명한다.
[유량제어밸브의 동작]
입력부(700)에 유량제어밸브의 개방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하여 개폐판구동모터(260)의 모터축에 직결된 개폐판작동스크루(261)와 세척수분사판구동모터(270)의 모터축에 직결된 세척수분사판작동스크루(271)가 개방모드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개폐판작동스크루(261)와 세척수분사판작동스크루(271)의 수나사부(262, 272)에 각각 암나사부(281, 291)가 맞물려 있는 개폐판작동레버(280)와 세척수작동레버(290)가 상승하게되고, 개폐판작동레버(280)와 세척수작동레버(290)에 나사부(241, 251)와 결합나사(242, 252)로 결합되어 있는 개폐판작동봉(240)과 세척수공급관(250), 개폐판작동봉(240)과 세척수공급관(250)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개폐판(220)과 세척수분사판(230)이 상승하게 되어 밸브본체(210)의 밸브실(211)이 개방된다(도 1 및 도 2 참조)
입력부(700)에 유량제어밸브의 폐쇄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하여 개폐판구동모터(260)의 모터축에 직결된 개폐판작동스크루(261)와 세척수분사판구동모터(270)의 모터축에 직결된 세척수분사판작동스크루(271)가 폐쇄모드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개폐판작동스크루(261)와 세척수분사판작동스크루(271)의 수나사부(262, 272)에 각각 암나사부(281, 291)가 맞물려 있는 개폐판작동레버(280)와 세척수작동레버(290)가 하강하게 되고, 개폐판작동레버(280)와 세척수작동레버(290)에 나사부(241, 251)와 결합나사(242, 252)로 결합되어 있는개폐판작동봉(240)과 세척수공급관(250), 개폐판작동봉(240)과 세척수공급관(250)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개폐판(220)과 세척수분사판(230)이 하강하게 되어 밸브본체(210)의 밸브실(211)이 폐쇄된다(도 3 및 도 4 참조)
또한 입력부(700)에 원하는 개방정도가 입력되면 개폐판(220)과 세척수분사판(230)이 개방모드와 폐쇄모드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유량제어밸브(200)의 개방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700)에 유량제어밸브의 세척모드가 입력되면, 유량제어밸브(200)의 양측에 연결된 이송관(100) 중 슬러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이송관(도면에서는 중간에 위치하는 이송관) 측에 위치하는 개폐판(220)은 개방위치로 상승하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개폐판(220)과 세척수분사판(230)은 폐쇄위치로 하강하여 슬러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이송관(100) 측으로 세척수분사판(230)이 노출되고 반대측 이송관(100) 측은 개폐판(220)에 의하여 폐쇄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스크레이퍼의 동작]
입력부(700)에 스크레이퍼의 슬러지제거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600)에 의하여 스크레이퍼구동모터(420)의 모터축이 회전하게 되고, 스크레이퍼구동모터(420)의 모터축에 직결된 회전축(411)과 연결암(413) 및 패드(412)로 구성되는 스크레이퍼본체(410)가 회전하게 된다(도 8 참조) 스크레이퍼본체(410)의 회전방향은 도시예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설정하거나 반시계방향과 시계방향이 교번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입력부(700)에 스크레이퍼 정지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600)에 의하여 스크레이퍼구동모터(420)의 모터축이 정지하고, 스크레이퍼본체(410)가 정지하게 된다. 스크레이퍼(400)는 이송관(100)을 통해 상하수가 이송되는 평상시에는 패드(412)가 이송관(100)의 내주면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하수의 유동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스크레이퍼(400)가 회전하다고 정지할 때 역시 패드(412)가 이송관(100)이 내주면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러지배출수단의 동작]
입력부(700)에 슬러지배출수단의 슬러지배출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600)에 의하여 석션펌프(530)가 가동되어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흡입력에 의하여 이송관(100) 내의 슬러지와 세척수의 혼합물이 흡입관(510)을 통해 흡입되어 배출관(5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입력부(700)에 슬러지배출수단의 정지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600)에 의하여 석션펌프(530)가 정지되고, 슬러지배출이 중지된다.
[상하수의 이송]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제거형 매설형 상하수관은 평상시에는 유량제어밸브(200)를 개방모드로 유지하여 유량제어밸브(200)의 양측에 연결된 이송관(100)을 통해 상하수가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량조절밸브(200)의 세척수분사판(230)은 한 쌍의 개폐판(220) 사이에 위치하므로 세척수분사공(231)이상하수 및 이물질에 노출되지 않아 세척수분사공(231)이 이물질에 의하여 폐색되는 일이 없게 된다.
[슬러지제거, 세척 및 배출]
장기간에 걸쳐 상하수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침전 및 퇴적하게 되어 이송관(100)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입력부(700)에 유량제어밸브(200)의 세척모드와 스크레이퍼(400)의 슬러지제거모드및 슬러지배출수단(500)의 슬러지배출모드를 입력한다. 먼저, 상술한 유량제어밸브(200)의 세척모드가 진행되어 유량제어밸브(200)의 양측에 연결된 이송관(100) 중 오니를 제거하고자 하는 이송관(도면에서는 중간에 위치하는 이송관) 측에 위치하는 개폐판(220)은 개방위치로 상승하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개폐판(220)과 세척수분사판(230)은 폐쇄위치로 하강하여 슬러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이송관(100) 측으로 세척수분사판(230)이 노출되고 반대측 이송관(100) 측은 개폐판(220)에 의하여 폐쇄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때, 슬러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이송관(100)의 양측에 위치하는 이송관(100)을 바이패스관(구체적으로 도시하지아니함)에 의하여 바이패스시킴으로써 상하수의 이송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세척수펌프(257)가 가동되어 세척수가 세척수공급호스(253)와 세척수공급관(250)을 통해 세척수분사판(230)에 고압의 세척수가 공급되고, 세척수분사판(230)의 세척수분사공(231)을 통해 세척수가 이송관(100) 내로 분사되어 이송관(100) 내의 슬러지를 세척하게 된다.
이때, 세척수분사판(230)은 평상시 양측 개폐판(220) 사이에 삽입되어 이송관(100)을 통해 이송되는 상하수 및 상하수에 포함된 이물질과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세척수분사공(231)이 이물질에 의해 폐색되는 일이 없게 되어 세척이 필요할 때 세척수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동시에, 스크레이퍼(400)의 슬러지제거모드가 진행되어 스크레이퍼본체(410)가 회전하게 되고, 패드(412)가 이송관(100)의 내주면에 침전 및 퇴적된 슬러지(S)를 긁어낸다.
세척수분사공(231)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이송관(100) 내의 슬러지(S)를 불려주고 분쇄시켜 주며, 스크레이퍼(400)는 패드(412)에 의하여 슬러지(S)를 직접 긁어내게 되므로 이송관(100) 내의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제거 및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일정 시간동안 슬러지제거모드가 진행되면, 슬러지배출수단(500)의 석션펌프(530)가 가동되고, 흡입관(510)을 통해슬러지와 세척수의 혼합물이 흡입되고, 배출관(5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평상시로의 복귀]
슬러지제거, 세척 및 배출이 완료되면, 세척수의 분사와 스크레이퍼(400)의 회전 및 석션펌프(257)의 가동이 중지되고, 밸브실(211)을 폐쇄하고 있던 개폐판(220)과 세척수분사판(230)이 개방위치로 상승하여 평상시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은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단계;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현장에 하적수단에 의하여 하적되는 단계;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모니텅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는 매설형 상하수관을 포함한다.
매설형 상하수관은, 지중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되게 설치되는 이송관(100)과; 상기 이송관(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유량의 유입과 유출을 단속하는 좌우 한 쌍의 유량제어밸브(200)와; 이송관(100)의 외면에 굴절 설치되어 지상에서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된 맨홀(300)과; 한 쌍의 유량제어밸브(200)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관(100)의 내주면에침전 및 퇴적된 슬러지(S)를 제거하는 스크레이퍼(40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지중배전선로의 누전차단장치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한다.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은, 중앙몸체(11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로 주변의 촬영대상이 기 설정된 대상에 해당되는지 촬영 및 판단하는 판단모듈(114')이 구비되는 상방거치몸체(112')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중앙몸체(110')의 타측으로 출몰되는 제2이동패널(118')과,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2묻힘패널(122')과,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탈거에 기반하는 교체형으로 장착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현장(P')에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유체와, 소독을 위한 제2유체와, 현장(P')에 선정된 대상에 대한 식별을 위한 식별용인 유색의 제3유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되, 상기 판단모듈(114')의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한다.
아울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조체(221')와,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분사구조체(221') 로부터 모터회전방식을 회전구동되는 가변구조체(222')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양측 상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상부이동체(310')와, 양측 하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하부이동체(316')와,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와 대향하는 제1간격유지패널(312')과,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양측으로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와 대향하는 제2간격유지패널(314')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에는 하부에 제1-1함입부와 제1-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부에는 제2-1함입부와 제2-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하부에는 제3-1함입부와 제3-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상부에는 제4-1함입부와 제4-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하부에는 제5-1함입부와 제5-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는 상부에 제6-1함입부와 제6-2함입부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제1-1함입부와 상기 제2-1함입부 사이 제1-1영역(S1')에 거치 장착되는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함입부와 상기 제2-2함입부 사이 제1-2영역(S2')에 거치 장착되는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1함입부와 상기 제3-1함입부 사이 제2-1영역(S3')에 거치 장착되는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2-2함입부와 상기 제3-2함입부 사이 제2-2영역(S4')에 거치 장착되는 제4유체분사모듈(214')과, 상기 제3-1함입부와 상기 제4-1함입부 사이 제3-1영역(S5')에 거치 장착되는 제5유체분사모듈(215')과, 상기 제3-2함입부와 상기 제4-2함입부 사이 제3-2영역(S6')에 거치 장착되는 제6유체분사모듈(216')을 포함한다.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상기 중앙몸체(110')에서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은 하부에 상기 제1묻힘패널(120')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1저면유동체(116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하부에 상기 제2묻힘패널(122')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2저면유동체(1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에서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은 각기 수평방향으로 각기 슬라이딩 유동되어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력에 기반하여 상기 중앙몸체(110')는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하여 연동고정이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 내지 상기 제6유체분사모듈(216')은 상기 거치 장착상태에서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수평방향간에 둘레회전으로 회전힘을 가하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이 상기 상방거치몸체(112'),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에서 장착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묻힘패널(120')의 상부에는 제1외측패널(124')이 구비되며, 상기 제1외측패널(124')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1가변구동체(1241, 12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묻힘패널(122')의 상부에는 제2이동패널(118')이 구비되며,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2가변구동체(1261',1262')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각각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측으로 슬라이딩형태로 이동되며, 상기 제1가변구동체(1241,1242')는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일측에서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의 상부면과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의 하부면을 눌러 고정하며, 상기 제2가변구동체(1261',1262')는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타측에서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의 상부면과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의 하부면을 눌러 고정한다.
상기 제1이동패널(116') 및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각각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을 상하로 눌러 가압하는 제1접촉모듈(411')과 상기 제3유체분사모듈(213')을 눌러 가압하는 제2접촉모듈(412')과 상기 제5유체분사모듈(215')을 상하로 눌러 가압하는 제3접촉모듈(413')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상기 제1-1영역(S1')과 상기 제1-2영역(S2') 사이로 출몰되는 제1세로몸체(511')와, 상기 제1세로몸체(511')에서 상기 제1-1영역(S1')의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영역(S2')의 제2유체분사모듈(212')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1가로몸체(52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는, 상기 제2-1영역(S3')과 상기 제2-2영역(S4') 사이로 출몰되는 제2세로몸체(512')와,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에서 상기 제2-1영역(S3')의 상기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2영역(S4')의 제3유체분사모듈(213')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2가로몸체(522')가 구비된다.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는, 상기 제3-1영역(S5')과 상기 제3-2영역(S6') 사이로 출몰되는 제3세로몸체(513')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서 상기 제3-1영역(S5')의 상기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3-2영역(S6')의 제4유체분사모듈(214')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3가로몸체(523')가 구비된다.
한편 여기서의 현장(P)은 본 발명명의 설비가 위치되는 제1현장(P1)과, 상기 제1현장(P1)으로 진입하기 위한 게이트에 해당되는 제3현장(P3)과 상기 제1현장(P1)과 상기 제3현장(P3) 사이에서 위치되는 제2현장(P2)을 포함한다. 여기서의 적어도 상기 제2현장(P2)은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이 배치 혹은 설치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이송관 200 : 유량제어밸브
210 : 밸브본체 220 : 개폐판
230 : 세척수분사판 260 : 개폐판구동모터

Claims (2)

  1. 삭제
  2.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으로서,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단계;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현장에 하적수단에 의하여 하적되는 단계;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가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모니텅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는 매설형 상하수관을 포함하며,
    매설형 상하수관은,
    지중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되게 설치되는 이송관(100)과; 상기 이송관(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유량의 유입과 유출을 단속하는 좌우 한 쌍의 유량제어밸브(200)와; 이송관(100)의 외면에 굴절 설치되어 지상에서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된 맨홀(300)과; 한 쌍의 유량제어밸브(200)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관(100)의 내주면에침전 및 퇴적된 슬러지(S)를 제거하는 스크레이퍼(400)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매설형 상하수관의 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하되,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은,
    중앙몸체(11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로 주변의 촬영대상이 기 설정된 대상에 해당되는지 촬영 및 판단하는 판단모듈(114')이 구비되는 상방거치몸체(112')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중앙몸체(110')의 타측으로 출몰되는 제2이동패널(118')과,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2묻힘패널(122')과,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탈거에 기반하는 교체형으로 장착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현장(P')에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유체와, 소독을 위한 제2유체와, 현장(P')에 선정된 대상에 대한 식별을 위한 식별용인 유색의 제3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되, 상기 판단모듈(114')의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조체(221')와,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분사구조체(221') 로부터 모터회전방식을 회전구동되는 가변구조체(222')를 포함하며,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양측 상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상부이동체(310')와,
    양측 하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하부이동체(316')와,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와 대향하는 제1간격유지패널(312')과,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양측으로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와 대향하는 제2간격유지패널(314')을 포함하되,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에는 하부에 제1-1함입부와 제1-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부에는 제2-1함입부와 제2-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하부에는 제3-1함입부와 제3-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상부에는 제4-1함입부와 제4-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하부에는 제5-1함입부와 제5-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는 상부에 제6-1함입부와 제6-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제1-1함입부와 상기 제2-1함입부 사이 제1-1영역(S1')에 거치 장착되는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함입부와 상기 제2-2함입부 사이 제1-2영역(S2')에 거치 장착되는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1함입부와 상기 제3-1함입부 사이 제2-1영역(S3')에 거치 장착되는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2-2함입부와 상기 제3-2함입부 사이 제2-2영역(S4')에 거치 장착되는 제4유체분사모듈(214')과,
    상기 제3-1함입부와 상기 제4-1함입부 사이 제3-1영역(S5')에 거치 장착되는 제5유체분사모듈(215')과,
    상기 제3-2함입부와 상기 제4-2함입부 사이 제3-2영역(S6')에 거치 장착되는 제6유체분사모듈(216')을 포함하는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
KR1020220072293A 2022-06-14 2022-06-14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 KR102476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293A KR102476981B1 (ko) 2022-06-14 2022-06-14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293A KR102476981B1 (ko) 2022-06-14 2022-06-14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981B1 true KR102476981B1 (ko) 2022-12-14

Family

ID=8443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293A KR102476981B1 (ko) 2022-06-14 2022-06-14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9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697A (ko) * 2014-09-25 2016-04-05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오니제거형 지하 매설형 상하수관
KR101975477B1 (ko) * 2018-12-26 2019-05-09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KR102362558B1 (ko) * 2021-11-11 2022-02-16 (주)광명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실내전기의 누전 감지 시스템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697A (ko) * 2014-09-25 2016-04-05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오니제거형 지하 매설형 상하수관
KR101975477B1 (ko) * 2018-12-26 2019-05-09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KR102362558B1 (ko) * 2021-11-11 2022-02-16 (주)광명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실내전기의 누전 감지 시스템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701B1 (ko) 오니제거형 지하 매설형 상하수관
KR100441267B1 (ko) 하수관작업용순환배수장치
US20170320111A1 (en) Side-opening sleeve valve
US5569372A (en) Catch basin structure for interception of contaminants having detachable parts
US10478871B2 (en) Side-opening sleeve valve
KR100405065B1 (ko) 하수도 박스, 암거의 퇴적물 준설장치
KR100727854B1 (ko) 준설차
KR100775953B1 (ko) 준설차
US7614192B2 (en) Building drainage system
KR102476981B1 (ko) 슬러지제거형 지중매설 하수관 설비 설치방법
KR20180056279A (ko) 무차단 자동 스트레이너
US9765578B2 (en) Sanitary check valve to prevent well contamination
KR100956645B1 (ko) 오니제거형 지중매설형 상하수관
CN112575838B (zh) 一种清淤机器人的工作方法
CN205206021U (zh) 一种污水一体化智能提升设备
EP0918709B1 (en) Tank for storing liquid products
KR100399216B1 (ko)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
KR20080068379A (ko) 휴대용 피그발사장치
KR102458632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쓰레기 처리설비 제공방법
KR102671735B1 (ko) 유압모터펌프 수문을 포함하는 유압식 수문관리 시스템
CN112609764B (zh) 一种清淤机器人排污系统
CN112575839B (zh) 一种清淤机器人
KR20230059368A (ko) 이동식 플러싱 장치
JP2002285636A (ja) 管渠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SU127672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качки жидкост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