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216B1 -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 - Google Patents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216B1
KR100399216B1 KR10-2000-0051087A KR20000051087A KR100399216B1 KR 100399216 B1 KR100399216 B1 KR 100399216B1 KR 20000051087 A KR20000051087 A KR 20000051087A KR 100399216 B1 KR100399216 B1 KR 100399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ischarge
dredging
culvert
screw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2368A (ko
Inventor
이원상
Original Assignee
모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1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216B1/ko
Publication of KR20000072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10Wheeled apparatus for emptying sewers or cess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16Mobile land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56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93Component parts of suction heads, e.g. edges, strainers for preventing the entry of ston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수관로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주행차륜 및 보조차륜이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하수관로 내의 슬러지를 암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경로에 연통되는 배출관이 마련된 중공된 원통형의 몸체; 상기 슬러지를 파쇄하면서 퍼 담을 수 있도록 삽날부가 선단에 형성되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집적판; 상기 몸체의 중공부에 설치되며, 상기 슬러지를 배출관으로 이동시켜 암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출부재; 및 상기 집적판에 놓인 슬러지를 필터링하여, 상기 압출부재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몸체와 집적판 사이에 설치된 필터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 {A moving equipment for dreding slug with auger screw pump and method for dreding sluge without smoke, noise and digging using it}
본 발명은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 시설된 하수관로의 복개없이, 준설장치에 설치된 스크류부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하수관로 암거 내부의 슬러지 특히, 불균일한 입자의 슬러지를 완전하게 준설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로 암거에 침적되는 슬러지를 준설하는 방법은 하수관로 암거에 쌓인 슬러지를 준설용 대차의 이동에 따라 하수관로 암거의 양측에 쌓은 다음 흡입관을 통해 흡입시키는 것으로 행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맨홀 하부의 수직관로 안에 흡입관을 설치하고 준설차와 연결된 펌프와 결합시키고, 수직관로의 벽면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여 이 지지프레임의 소정위치에 회전드럼을 설치하고 지상의 윈치와 로프로 연결하고, 이 로프의 단부를 하부관로 안에 설치된 대차와 결합하여 맨홀 내부의 하수관로 암거에 쌓인 슬러지를 대차의 이동에 따라서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작업자에 의한 직접 준설작업이 아닌 지상에서 로프를 조종하여 대차를 이동시켜 작업을 하는 것으로서 하수관로 암거의 양측면부의 슬러지를 깨끗하게 준설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 대차를 이용하는 방법을 보완한 것으로서, 하수관로 암거 내에 스키드로더를 투입하여 인력에 의한 직접조종으로 슬러지를 하수관로 암거의 양측에 쌓은 후,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스키드로더에 의한 슬러지 준설공법은 소형의 스키드로더를 내연기관에 의해 작동시키므로 밀폐된 암거내부에서 매연 및 소음으로 인해 하수관로 암거내에서 사람이 작업할 수 있는 시간상의 한계가 있다. 또한, 하수관로 암거내의 소정의 위치에 쌓인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 기존 도로를 복개해야 되기 때문에 복잡한 작업 공정이 필요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주행장치, 액추에이터, 구동모터등의 구동원으로 유압을 채택하여 매연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사람이 직접 암거내에서 장시간 작업할 수 있고, 슬러지의 배출방법으로 압출부재의 회전력으로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함으로써, 이미 시설되어 있는 도로의 복개없이 맨홀을 통하여 슬러지를 배출하여 복잡한 작업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준설작업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슬러지, 특히 불균일한 입자의 슬러지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준설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의 유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이용한 준설공법의 공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레임 14...레버부재 16...후면패널
17...주행모터 18a..주행차륜 18b..보조차륜
19...감속기 20...몸체 21...곡관커플링
22...슬러지 24...배출경로 26...배출관
29a..커플링 29b..고압수배출장치 30...압출부재
40...집적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암거식 하수관로 내의 슬러지를 비굴착 방식에 의해 준설하기 위한 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로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주행차륜 및 보조차륜이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하수관로 내의 슬러지를 암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경로에 연통되는 배출관이 마련된 중공된 원통형의 몸체; 상기 슬러지를 파쇄하면서 퍼 담을 수 있도록 삽날부가 선단에 형성되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집적판; 상기 몸체의 중공부에 설치되며, 상기 슬러지를 배출관으로 이동시켜 암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출부재; 및 상기 집적판에 놓인 슬러지를 필터링하여, 상기 압출부재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몸체와 집적판 사이에 설치된 필터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길이 방향으로 분해/결합이 가능한 적어도 2개 이상의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경로상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슬러지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슬러지의 배출을 보조하는 고압수배출장치;를 더 구비한다.
또한, 암거식 하수관로 내의 불균일 입자의 슬러지를 비굴착 방식으로 준설하기 위해, 하수관로의 내부에서 자체 주행 가능한 프레임과, 하수관로 내의 슬러지를 암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을 가진 몸체와, 슬러지를 배출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출부재를 구비하는 준설장치를 이용한 준설공법에 있어서: (a) 상기 준설장치의 부품들을 암거의 맨홀을 통해 투입시키는 단계; (b) 상기 암거 내부에서 상기 부품들을 조립하여 상기 준설장치를 셋팅하는 단계; 및 (c) 상기 준설장치의 압출부재를 회전시켜 슬러지를 배출관과 연통된 배출경로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c)단계 이후에, (d) 상기 (c)단계에서 슬러지의 배출이 용이한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슬러지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한 경우 배출경로상의 소정의 거리마다 설치된 다수의 고압수배출장치를 이용하여 고압수를 분사하여 배출경로내부의 소정의 공간에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슬러지의 배출을 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준설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100)는 비굴착 방식에 의해 암거에 마련된 맨홀(미도시)을 통하여 불균일 입자의 슬러지를 준설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준설장치(100)는 엔진, 유압펌프 및 물탱크가 장착된 작업차량(미도시)과 연결된다.
상기 준설장치(100)는 주행차륜(18a)과 보조차륜(18b)이 설치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중공된 몸체(20)와, 몸체(20)의 중공부에 설치되는 압출부재(30), 및 몸체(20)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집적판(40)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준설장치(1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단에는 액추에이터(11)를 지지하는 지지패널(12)이 구비되며, 타단에는 오일(미도시)을 일시 저장하는 한쌍의 오일저장탱크(13a)(13b) 및 레버부재(14)가 설치된 조종간(15)이 결합된 후면패널(16)이 분해/결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의 측면에는 한쌍의 주행모터(17)와 결합되어 구동되는 한쌍의 주행차륜(18a)이 구비되며, 주행방향의 후방에는 자체구동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프레임(10)을 지지하는 보조차륜(18b)이 설치된다. 주행모터(17)와 주행차륜(18a)의 사이에는 감속기(19)가 설치되어 주행차륜(18a)의 회전을 감속시킨다. 상기 준설장치(100)의 방향설정은 주행차륜(18a) 각각의 회전비율을 달리하여 결정한다. 따라서 주행차륜(18a)은 주행방향의 용이성 및 안전성을 위하여 한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20)는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며 원통형으로 중공되어 있으며, 슬러지(22)를 암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경로(24)에 연통되는 배출관(26)이 마련되어 있다. 배출관(26)은 슬러지(22)를 배출경로(24)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경로이며, 배출경로(24)와 배출관(26)은 곡관커플링(21)으로 연결되어 있다. 몸체(20)의 중공부에는 구동모터(32)의 회전축(34)에 결합되는 스크류와 같은 압출부재(30)가 설치되며 몸체(20)의 중공부를 이동하는 슬러지(22)가 몸체(20)와 압출부재(30)의 사이에서 걸림현상이 발생할 경우 제거의 용이를 위하여 몸체의 상부는 개폐가능한 커버(28a)로 형성되며 참조번호 28b는 커버손잡이 이다. 구동모터(32)는 대략 호박 크기의 돌(미도시)이 압출부재(30)와 몸체(20)사이에 걸렸을 경우 파쇄할 수 있을 정도의 토크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압출부재(30)와 몸체(20)는 고강도 재질로 만들어지며 열처리를 통해서 강도를 보강한다. 슬러지(22)는 압출부재(30)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하여 배출관(26)을 통하여 배출경로(24)로 배출된다. 따라서 압력에 따른 배출관(26)과 슬러지(22)의 마찰을 고려하여 배출관(26)은 프레임(10)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휜후, 후미에서 대략 45°의 곡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20)의 선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으로는 원통형의 몸체(20)의 반원이 개구된 소정의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23)는 선단방향으로 테이 퍼로 형성되며, 테이퍼진 개구부(23)의 측면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한쌍의 액추에이터(11)에 의해 회동되는 집적판(40)이 설치된다. 상기 개구부(23)에는 집적판(40)에 집적된 슬러지를 걸러주는 필터부재(42)가 구비되며, 필터부재(42)는 망판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번호 45는 몸체(20)를 고정시키는 클램프부재이며, 참조번호 46은 몸체(20)와 회전축(34)의 연결부위를 밀폐시키는 실링부재이다.
상기 집적판(40)의 선단에는 고형의 슬러지(22)를 파쇄할 수 있도록 다수의 삽날로 형성된 삽날부(44)가 마련되고, 지지패널(12)의 돌출판(47)에 지지되는 한쌍의 액추에이터(11)에 의해 60°이상 회동 가능하도록 개구부(23)의 측면에 한쌍으로 구비된다. 참조번호 48은 돌출판(47)을 지지하는 지지대이다. 집적판(40)에 집적된 슬러지(22)는 액추에이터(11)에 의한 집적판(40)의 회동으로 인하여 필터부재(42)를 통하여 개구부(23)로 걸러져서 인입되고, 인입된 슬러지(22)는 몸체(20)에 설치된 압출부재(30)의 가이드 작용 및 압출작용으로 배출관(26)으로 유도되며,배출관(26)과 연통된 배출경로(24)를 통하여 암거외부로 배출된다. 집적판(40)으로 집적이 불가능한 암거의 측면부에 퇴적된 슬러지(22)의 준설은 작업자가 직접 삽(미도시) 또는 담을 수 있는 용기(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필터부재(42)에 직접 올려주어 걸러 줄 수 있다.
상기 배출경로(24)는 압출부재(30)의 압력에 의하여 슬러지(22)를 배출함으로서 소정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강관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출경로(24)내부의 소정의 위치에는 슬러지(22)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밸브(25a)가 설치되어 슬러지(22)의 역류를 방지한다. 참조번호(25b)는 역지밸브(25a)를 지지하는 걸림턱이다. 상기 배출경로(24)의 연결시 소정의 거리마다 고압수배출장치(29b)가 구비된 커플링(29a)으로 결합된다. 상기 슬러지(22)는 압출부재(30)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하여 배출경로(24)를 이동하기 때문에 슬러지(22)와 배출경로(24)의 마찰 및 배출경로(24)의 굴곡등으로 인한 정체현상으로 배출이 용이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압수배출장치(29b)를 통하여 배출경로(24)의 내부에 슬러지(22)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면 고압수가 빠져나간 일정의 부위에는 진공이 형성되며 진공의 공간만큼의 슬러지(22)가 빨려올라오게 된다. 이 반복작용에 의하여 배출경로(24)상에 정체되어 있는 슬러지(22)의 배출을 보조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의 유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유압 회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준설장치(100)를 구동시키는 유압시스템(200)은 작업차량(미도시)에 설치되는 1차제어부(50)와 암거(미도시)내의 준설장치(100)를 제어하는 2차제어부(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유압시스템(200)의 1차제어부(50)는, 오일을 저장하는 저장유니트(52)와, 저장유니트(52)에 저장된 오일을 순환시키기 위해, 저장유니트(52)와 연통되는 메인라인(53) 및 메인라인(53)상에 설치된 유압펌프(55)에 의해 송출되는 오일의 압력을 감지하는 유압게이지(57)와, 메인라인(53)을 조작장치(54)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메인밸브(56)와, 유압시스템(200)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오일의 일부 또는 전량을 배출시켜 유압시스템(200)내의 압력을 설정값 이하로 유지하는 릴리프밸브(58)와 유압시스템(200)의 유량을 제어하는 가변유량제어밸브(59)를 구비한다. 참조번호 51은 유압펌프(55)를 구동하는 구동엔진이다.
상기 유압시스템의 2차제어부(60)는, 1차제어부(50)로 부터 공급되는 오일의 일정량을 저장하는 제1분배탱크(13a)와, 공급된 오일을 1차제어부(50)로 귀환시키기 전에 오일의 일정량을 저장하는 제2분배탱크(13b)와, 제1분배탱크(13a)에서 다수의 브랜치라인(62)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구동부(70)와, 상기 구동부(70)와 제2분배탱크(13b)를 연결하는 리턴라인(63)과 준설장치(100)의 작동여부에 따라 오일을 선택적으로 바이패스시키는 서브밸브(6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제2분배탱크(13a)(13b)는 2차제어부(60)의 구동부(70)로 연결되는 다수의 브랜치라인(62)을 1차제어부(50)에 하나의 라인(61)으로 연결하여, 보다 간단한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70)는 한쌍의 좌/우 주행모터(17)와, 구동모터(32) 및 엑추에이터(11)를 각각 제어하는 레버부재(14)와 연계된 4개의 유압제어밸브(72)를구비한다. 참조번호 59는 스로틀밸브이고, 상기 1차제어부(60)에 구비된 압력게이지(57)와 릴리프밸브(58)가 1차분배탱크(13a)의 브랜치라인(62)에 동일하게 구비된다. 참조번호 65는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이다.
도 4는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에 의한 준설공법을 설명하는 플로챠트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거식 하수관로의 맨홀(미도시)을 통하여 준설장치(100)를 이루는 부품들을 투입한다(단계 S11).
다음, 상기 투입된 부품들을 조립하여 준설장치(100)를 셋팅한다(단계 S12).
이어서, 상기 준설장치(100)에 내재된 압출부재(30)를 회전시켜 슬러지(22)를 배출한다(단계 S13). 본 발명의 준설장치(100)는 준설장치(100)에 설치된 압출부재(30)의 회전에 따라서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배출경로(24)를 통하여 암거의 외부로 배출하게 됨으로서 무함수율의 불균일한 입자의 슬러지(22)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만약, 상기 배출경로(24)상을 이동하는 슬러지(22)의 배출이 용이한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배출경로(24)상을 이동하는 슬러지(22)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할 경우 배출경로(24)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고압수배출장치(29b)를 이용하여 고압수를 분사하여 슬러지(22)의 배출을 보조한다. 상기 슬러지(22)는 압력에 의하여 배출경로(24)를 통하여 암거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고압의 압력으로 배출되는 슬러지(22)는 배출경로(24)와의 마찰력 또는 배출경로(24)의 소정의 곡률에 의한 걸림현상으로 정체되어 배출이 용이하지 못한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배출경로(24)를 연결하는 커플링(29a)에 마련된 고압수배출장치(29b)를 작동하여 고압의 물을 슬러지(22)의 배출방향을 향하여 분사하면, 순간적으로 고압수가 빠져나간 자리에 진공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후 진공이 형성된 공간만큼의 슬러지가 빨려 올라오게 되어 슬러지의 배출을 보조하게 된다.
상기 슬러지(22)의 배출이 종료된 후 배출경로(24)의 내부에는 배출되지 못한 슬러지(22)가 잔존할 수 있다. 이 슬러지(22)의 제거는 배출경로(24)상의 소정의 거리마다 설치된 커플링(29a)을 분해하여 작업자가 직접 슬러지(22)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준설장치의 구동원으로 유압을 채택하여 기존의 준설장치에서 발생하는 매연 및 소음을 감소시켜 작업자가 장시간 동안 암거식 하수관로내에서 작업을 할 수 있음으로 보다 완벽하게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다.
둘째, 준설장치의 준설수단으로 압출부재의 회전으로 인한 압력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기시설된 맨홀을 이용하여 배출하고, 준설장치를 이루는 부품들을 분해/조립 가능하도록 하여 조립되지 않은 상태로 암거내에 투입한 후 암거내에서 준설장치를 셋팅함으로서, 별도의 도로복개 없이 준설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준설작업의 간편화와 그에 다른 비용감소의 효과가 있다.
셋째, 준설방법으로 압출부재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함으로서, 무함수율의 불균일 입자의 슬러지를 용이하게 배출 할 수 있다.

Claims (7)

  1. 암거식 하수관로 내의 불균일 입자의 슬러지를 비굴착방식에 의해 준설하기 위한 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로의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주행차륜 및 보조차륜이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하수관로 내의 슬러지를 암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경로에 연통되는 배출관이 마련된 중공된 원통형의 몸체;
    상기 슬러지를 파쇄하면서 퍼 담을 수 있도록 삽날부가 선단에 형성되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집적판;
    상기 몸체의 중공부에 설치되며, 상기 슬러지를 배출관으로 이동시켜 암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출부재; 및
    상기 집적판에 놓인 슬러지를 필터링하여, 상기 압출부재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몸체와 집적판 사이에 설치된 필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길이 방향으로 분해/결합이 가능한 적어도 2개 이상의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경로상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슬러지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슬러지의 배출을 보조하는 고압수배출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6. 암거식 하수관로 내의 불균일 입자의 슬러지를 비굴착 방식으로 준설하기 위해, 하수관로의 내부에서 자체 주행 가능한 프레임과, 하수관로 내의 슬러지를 암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을 가진 몸체와, 슬러지를 배출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출부재를 구비하는 준설장치를 이용한 준설공법에 있어서:
    (a) 상기 준설장치의 부품들을 암거의 맨홀을 통해 투입시키는 단계;
    (b) 상기 암거 내부에서 상기 부품들을 조립하여 상기 준설장치를 셋팅하는 단계; 및
    (c) 상기 준설장치의 압출부재를 회전시켜 슬러지를 배출관과 연통된 배출경로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에 의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에,
    (d) 상기 (c)단계에서 슬러지의 배출이 용이한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슬러지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한 경우 배출경로상의 소정의 거리마다 설치된 다수의 고압수배출장치를 이용하여 고압수를 분사하여 배출경로내부의 소정의 공간에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슬러지의 배출을 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에 의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
KR10-2000-0051087A 2000-08-31 2000-08-31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 KR100399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087A KR100399216B1 (ko) 2000-08-31 2000-08-31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087A KR100399216B1 (ko) 2000-08-31 2000-08-31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368A KR20000072368A (ko) 2000-12-05
KR100399216B1 true KR100399216B1 (ko) 2003-09-19

Family

ID=1968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087A KR100399216B1 (ko) 2000-08-31 2000-08-31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725B1 (ko) 2010-02-22 2010-11-03 진명이십일 (주) 흡입식 준설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694B1 (ko) * 2009-05-22 2009-10-07 김인식 수중로보트준설기를 이용한 차집관거 준설공법
CN112112205B (zh) * 2020-08-25 2022-05-10 武汉市市政路桥有限公司 一种道路排水沟清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429U (ko) * 1987-12-17 1989-08-08 이문영 준설기
KR930002506Y1 (ko) * 1990-09-10 1993-05-13 김종순 로보트 준설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429U (ko) * 1987-12-17 1989-08-08 이문영 준설기
KR930002506Y1 (ko) * 1990-09-10 1993-05-13 김종순 로보트 준설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725B1 (ko) 2010-02-22 2010-11-03 진명이십일 (주) 흡입식 준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368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3210B2 (en) Digging and backfill apparatus
US10844575B2 (en) Collection tank
US7743537B2 (en) Earth reduction tool
US20060118338A1 (en) Drill base
KR100405065B1 (ko) 하수도 박스, 암거의 퇴적물 준설장치
KR100727854B1 (ko) 준설차
KR101209450B1 (ko) 하수도 준설차량용 유압식 배수시스템
KR100399216B1 (ko)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
KR100391344B1 (ko) 주행식 임펠러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고양정 대이송 준설공법
KR20030076010A (ko) 고압살수장치 및 진공흡입장치가 부설된 준설차
KR200179087Y1 (ko) 지하철 궤도 주행용 하수구 준설차
KR20050028005A (ko) 준설토 및 슬러지의 전자동 연속 진공흡입 이송시스템
CN205475672U (zh) 一种用于真空吸淤车的淤泥集料装置
Nedwell Ancillary works–cleaning and overpum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