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593B1 -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 - Google Patents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593B1
KR101419593B1 KR1020120095563A KR20120095563A KR101419593B1 KR 101419593 B1 KR101419593 B1 KR 101419593B1 KR 1020120095563 A KR1020120095563 A KR 1020120095563A KR 20120095563 A KR20120095563 A KR 20120095563A KR 101419593 B1 KR101419593 B1 KR 101419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ipe
water
blocking plat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694A (ko
Inventor
박창묵
Original Assignee
박창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묵 filed Critical 박창묵
Priority to KR1020120095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5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1/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04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by means of a by-pass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0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by replacement of the damaged part of the pipe

Abstract

본발명은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흐르는 관을 절단 하여 유체를 유도하기 위하여 관절단박스(100)와 관연결박스(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연결박스(200)는 내부에 막음판(230)이 설치되며 측면에는 유도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의 유체유도박스(210)와, 상기 유체유도박스(210) 하부에 설치되는 샌드위치밸브(120)와, 상기 샌드위치밸브(120)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박스(130)로 구성되는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도박스(210) 외부 측면에는 막음판 유압실린더(500)가 설치되고, 상기 막음판 유압실린더(500)의 피스톤(520) 일단이 상기 막음판(230) 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막음판 유압실린더(500)의 피스톤(520)이 전진함에 따라서 물을 공급받는 측의 관인 절단된 관(300)의 절단부위면과 밀착되어 물의 흐름을 봉쇄하며, 피스톤(520)이 후진할 경우 절단된 관(300)의 절단부위면에서 이탈되어 물이 흐르게 하는 것으로,
본발명은 관연결박스 측면에 유압실린더에 막음판의 후면이 연결되어 있어서, 작동이 편리하며, 또한 개폐 동작이 정확하며, 막음판이 유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막음판이 유체흐름을 차단하는 힘이 강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sealing plate structure of non cut off water supply module equipment}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절단박스와 관연결박스를 설치하여 유체가 흐르는 관을 보수중에도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게 하는 부단수 모듈 장치에 사용되는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관과 같이 물이 지속적으로 흐르는 관이 노후되어 교체하거나 동파 및 사고 등에 의해 파손되었을 경우, 이를 교체 및 긴급히 보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교체 및 보수작업중 관을 차단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 경우 물을 공급받는 자들은 물을 사용할 수 없어서 불편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수도관 교체 및 보수공사중에도 물을 계속공급할 수 있는 부단수 장치나 방법들이 개발되었고, 일례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41576호에는 억제하기 위한 외부팩커를 구비한 팽창팩커에 의해 상하수도관의 내부를 밀폐하는 차수부;상기 연결관의 상단에 구비되며, 유사시 차수밸브핸들을 이용하여 제수용 밸브로 사용하는 차수밸브;상기 차수밸브의 상단에 구비되는 원통형의 팩커실린더;상기 팩커실린더의 상단에 구비되는 원판상의 상부덮개;상기 차수부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와;하단은 상기 차수부의 에어주입관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부덮개의 외부로 배출되는 주입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차수부는, 중앙의 하우징을 중심으로 내부고정슬리브와 외부고정슬리브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팽창팩커의 내부 사이에는 에어주입관으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팩커가 부풀어 오르도록 공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보수를 위한 비절단 차수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99480에는 수도관 보수를 위한 차수 장치에 있어서, 수도관에 결합되는 하부받침부와;상기 수도관에 형성된 절삭천공개구부 상부에 상기 수도관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받침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수도관을 따라 흐르는 물의 방향과 수평으로 작동되어 상기 수도관의 절삭천공개구부를 통해 상기 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절삭천공개구부를 개폐하는 통수용차폐밸브가 구비된 통수용차폐밸브하우징과; 상기 통수용차폐밸브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승강장치를 통해 승강동작하여 상기 통수용차폐밸브하우징과 상기 수도관의 절삭천공개구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수도관 내부를 차폐하는 차수용밸브가 구비된 차수용밸브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보수를 위한 차수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부단수 장치가 복잡하며 부단수 작업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써, 전체적인 공사시간이 길어지며 경비가 상승되고, 또한 부단수 작업 뒤에도 하자가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출원인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유체가 흐르는 관을 절단 하여 유체를 유도하기 위한 부단수 모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단수 모듈 장치는 관절단박스(100)와 관연결박스(200)로 이루어지는 부단수 모듈장치로서, 상기 관절단박스(100)는 내부에 절단톱(140)이 설치되어 있는 상부절단박스(110)와, 상기 상부절단박스(110) 하부에 설치되는 샌드위치밸브(120)와, 상기 샌드위치밸브(120)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박스(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절단톱(140)은 유압모터 또는 전기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는 띠톱장치인 것으로, 유압모터 또는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수직 구동축(142)과, 상기 수직구동축(14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반대편의 수직피동축(143)과, 상기 수직구동축(142)과 수직피동축(143)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관을 절단하는 띠톱(14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절단톱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관연결박스(200)는 내부에 막음판(230)이 설치되며 측면에는 유도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의 유체유도박스(210)와, 상기 유체유도박스(210) 하부에 설치되는 샌드위치밸브(120)와, 상기 샌드위치밸브(120)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박스(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막음판(230)은 유체유도박스(210) 상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에 상단이 결합된 것으로, 유압실린더가 하강함에 따라서 하부박스(130) 하부까지 하강하여 물을 공급받는 측의 관인 절단된 관(300)의 절단부위면과 밀착되어 물의 흐름을 봉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모듈장치를 출원하였다.
그러나 상기 부단수 모듈장치에 사용되는 막음판 구조는 상부에서 승하강하는 실린더에 막음판의 상단이 연결되어 있어서, 작동이 불편하며, 또한 승하강 동작이 정확하지 않으며, 막음판을 유체방향과 직각되는 상부에서 가압하므로, 막음판이 유체흐름을 차단하는 힘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관연결박스 측면에 유압실린더에 막음판의 후면이 연결되어 있어서, 작동이 편리하며, 또한 개폐 동작이 정확하며, 막음판이 유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막음판이 유체흐름을 차단하는 힘이 강한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흐르는 관을 절단 하여 유체를 유도하기 위하여 관절단박스(100)와 관연결박스(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연결박스(200)는 내부에 막음판(230)이 설치되며 측면에는 유도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의 유체유도박스(210)와, 상기 유체유도박스(210) 하부에 설치되는 샌드위치밸브(120)와, 상기 샌드위치밸브(120)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박스(130)로 구성되는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도박스(210) 외부 측면에는 막음판 유압실린더(500)가 설치되고, 상기 막음판 유압실린더(500)의 피스톤(520) 일단이 상기 막음판(230) 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막음판 유압실린더(500)의 피스톤(520)이 전진함에 따라서 물을 공급받는 측의 관인 절단된 관(300)의 절단부위면과 밀착되어 물의 흐름을 봉쇄하며, 피스톤(520)이 후진할 경우 절단된 관(300)의 절단부위면에서 이탈되어 물이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관절단박스와 관연결박스를 설치하여 유체가 흐르는 관을 절단하여 유체를 유도함으로써, 관을 교체 또는 보수하는 작업중에도 유체의 단수가 없이 물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발명은 관연결박스 측면에 유압실린더에 막음판의 후면이 연결되어 있어서, 작동이 편리하며, 또한 개폐 동작이 정확하며, 막음판이 유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막음판이 유체흐름을 차단하는 힘이 강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관절단박스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발명 하부박스 사시도
도 4는 본발명 관절단박스 부분절개도
도 5는 본발명 관절단박스 내부 사시도
도 6은 본발명 관절단박스의 띠톱이 관을 절단한 후 절단된 관에 철거관 승강봉이 결합된 상태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측면도
도 9는 본발명 관절단박스의 철거관 승강봉이 절단된 관을 상부로 끌어올린 후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및 부분상세도
도 11은 도 9의 평면도
도 12는 도 9의 측면도
도 13은 본발명 관절단박스의 작동 개략도
도 14는 본발명 관절단박스의 띠톱 작동 개략도
도 15는 본발명 관절단박스의 샌드위치 밸브 개략 사시도
도 16은 본발명 관절단박스의 샌드위치 작동(정면)도
도 17은 본발명 하부박스와 샌드위치 밸브의 결합도
도 18은 본발명 관연결박스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
도 20은 본발명 관연결박스에서 유체유도박스의 막음판이 관의 절단된 부위를 막은 정면도
도 21은 본발명 관연결박스에서 유체유도박스의 막음판이 관의 절단된 부위를 막은 평면도
도 22는 본발명 관연결박스에서 유체유도박스의 막음판이 관의 절단된 부위를 막은 측면도
도 23은 본발명 관연결박스의 막음판 작동도
도 24는 본발명 관연결박스의 막음판 피스톤 작동단면도
도 25는 본발명 관연결박스의 막음판 피스톤 작동사시도
도 26은 본발명에서 차단판 설치 설명도
도 27은 본발명에서 맹판 설치 설명도
도 28은 본발명에서 차단판 설치조립도
도 29는 도 28의 정면도
도 30은 도 28의 평면도
도 31은 도 28의 측면도
도 32는 차단판 및 맹판 설치후 단면설명도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관절단박스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발명 하부박스 사시도, 도 4는 본발명 관절단박스 부분절개도, 도 5는 본발명 관절단박스 내부 사시도, 도 6은 본발명 관절단박스의 띠톱이 관을 절단한 후 절단된 관에 철거관 승강봉이 결합된 상태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측면도, 도 9는 본발명 관절단박스의 철거관 승강봉이 절단된 관을 상부로 끌어올린 후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및 부분상세도, 도 11은 도 9의 평면도, 도 12는 도 9의 측면도, 도 13은 본발명 관절단박스의 작동 개략도, 도 14는 본발명 관절단박스의 띠톱 작동 개략도, 도 15는 본발명 관절단박스의 샌드위치 밸브 개략 사시도, 도 16은 본발명 관절단박스의 샌드위치 작동(정면)도, 도 17은 본발명 하부박스와 샌드위치 밸브의 결합도, 도 18은 본발명 관연결박스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 도 20은 본발명 관연결박스에서 유체유도박스의 막음판이 관의 절단된 부위를 막은 정면도, 도 21은 본발명 관연결박스에서 유체유도박스의 막음판이 관의 절단된 부위를 막은 평면도, 도 22는 본발명 관연결박스에서 유체유도박스의 막음판이 관의 절단된 부위를 막은 측면도, 도 23은 본발명 관연결박스의 막음판 작동도, 도 24는 본발명 관연결박스의 막음판 피스톤 작동단면도, 도 25는 본발명 관연결박스의 막음판 피스톤 작동사시도, 도 26은 본발명에서 차단판 설치 설명도, 도 27은 본발명에서 맹판 설치 설명도, 도 28은 본발명에서 차단판 설치조립도, 도 29는 도 28의 정면도, 도 30은 도 28의 평면도, 도 31은 도 28의 측면도, 도 32는 차단판 및 맹판 설치후 단면설명도이다.
본발명은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흐르는 관을 절단 하여 유체를 유도하기 위하여 관절단박스(100)와 관연결박스(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연결박스(200)는 내부에 막음판(230)이 설치되며 측면에는 유도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의 유체유도박스(210)와, 상기 유체유도박스(210) 하부에 설치되는 샌드위치밸브(120)와, 상기 샌드위치밸브(120)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박스(1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체유도박스(210) 외부 측면에는 유압실린더 설치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구멍에 막음판 유압실린더(500)를 설치하되, 상기 막음판 유압실린더(500)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유압에 의해 전후진 하는 피스톤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막음판 유압실린더(500)의 피스톤(520) 선단이 상기 막음판(230) 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막음판 유압실린더(500)의 피스톤(520)이 전진함에 따라서 물을 공급받는 측의 관인 절단된 관(300)의 절단부위면과 밀착되어 물의 흐름을 봉쇄게 된다.
또한 막음판 유압실린더(500)의 피스톤(520)이 후진할 경우 절단된 관(300)의 절단부위면에서 이탈되어 물이 흐르게 하는 것이다.
본발명 부단수 모듈 장치는 관절단박스(100)와 관연결박스(20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절단박스(100)는 내부에 절단톱(140)이 설치되어 있는 상부절단박스(110)와, 상기 상부절단박스(110) 하부에 설치되는 샌드위치밸브(120)와, 상기 샌드위치밸브(120)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박스(130)로 구성된다. 상기 샌드위치밸브는 직사각형 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직사각형 판상의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판형 밸브를 전후로 슬라이딩하며 물의 유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밸브이다.
그리고 본발명의 상기 절단톱(140)은 유압모터 또는 전기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는 띠톱장치인 것으로, 유압모터 또는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수직 구동축(142)과, 상기 수직구동축(14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반대편의 수직피동축(143)과, 상기 수직구동축(142)과 수직피동축(143)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관을 절단하는 띠톱(14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톱은 유압모터 또는 전기모터의 구동에 의해 유압실린더가 승하강함에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관을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절단된 철거관은 상부절단박스의 내부 상부로 들어서 철거하게 되는 것으로, 상부절단박스의 상부에는 유압으로 가동되는 철거관 승강봉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봉의 하부 단부는 나선부가 형성된 뾰족부가 형성되어 상기 뾰족부가 상기 철거관에 구멍을 뚫고 나선부에 고정한 후 유압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들어올려진 철거관은 상기 상부절단박스의 내부 상부천정부분에 그대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다음공정에서 상부절단박스를 철거하고 관연결박스를 설치할 때 상부절단박스와 함께 철거된다.
그리고 본발명의 관절단작업이 끝난 후 설치되는 관연결박스(200)는 내부에 막음판(230)이 설치되며, 바깥 측면에는 개폐가 가능한 유도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의 유체유도박스(210)와, 상기 유체유도박스(210) 하부에 설치되는 샌드위치밸브(120)와, 상기 샌드위치밸브(120)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박스(130)로 구성된다.
상기 샌드위치밸브와 하부박스는 관절단박스에서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하며, 단지 관절단박스의 상부박스를 철거하고 대신 내부에 막음판이 설치된 유체유도박스(210)를 교체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막음판(230)은 직사각형 또는 원형 형상으로서 물을 공급받는 관측인 절단된 관(240)의 절단부위면과 밀착되어 절단부위를 막게되는 것이다.
이 후 두 개의 관절단모듈 사이의 배관공사가 완료되면, 막음판을 열게 되고, 그리고 샌드위치밸브를 차단한 후 유체유도박스를 철거하며, 샌드위치 밸브 상부에 차단장치(310)를 설치한 후 샌드위치 밸브를 열고, 유압모터 및 전기모터의 구동장치에 의해 차단판이 하강하게 되어 유체가 상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차단판은 상기 샌드위치 밸브의 밸브판 위치보다 하부까지 내려간다. 이후 차단장치를 철거하고 샌드위치 밸브를 철거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맹플랜지(End cap)를 설치한다. 상기 두 개의 관절단모듈은 배관관로에 그대로 두어 물공급관으로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본발명의 작업순서를 구체적으로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의 규격에 따라 하부박스를 제작 및 설치한다. 이 후 상기 하부박스 위에 샌드위치밸브를 설치하고 밸브를 열어두게 된다. 이 후 상기 샌드위치밸브위에 상부 절단 박스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절단 박스 내부에 설치된 절단톱을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절단톱은 유압모터 또는 전기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며, 유압모터 또는 전기모터에 상하운동되는 실린더가 하강함에 따라 절단톱이 하강하며 관을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절단된 철거관은 상부절단박스의 내부 상부로 들어서 철거하게 된다. 상부절단박스의 상부에는 유압모터 또는 전기모터에 의해 가동되는 철거관 승강봉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봉의 하부단부는 나선부가 형성된 뾰족부가 형성되어 상기 뾰족부가 상기 철거관에 구멍을 뚫고 나선부에 고정한 후 상부로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들어올려진 철거관은 상기 상부절단박스의 내부 상부천정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철거관을 들어올린후 샌드위치밸브내부의 밸브를 밀어서 유체를 차단하게 된다. 이후 상부절단박스를 철거한다.
이 후 상기와 같이 상부절단박스를 철거한 곳에 유체유도박스를 설치하되, 상기 유체유도박스의 유도밸브에 유도관의 일단을 연결하며 상기 유도관의 타단에는 유도밸브가 설치되고 이후 샌드위치밸브를 개방하여 막음판으로 물을 공급받는 측의 절단관의 절단부위를 막은 뒤 상기 유도밸브를 개방하여 물을 공급하는 관에 연결되게 한다.
이 후 두 개의 관절단모듈 사이의 공사가 완료되면 막음판을 열게 된다.
그리고 샌드위치밸브를 차단한 후 유체 유도박스를 철거하며, 차단장치(310)를 샌드위치 밸브위에 설치한 후 샌드위치 밸브를 열게 되고, 유압모터 및 전기모터의 구동장치에 의해 차단판이 하강하게 되어 상부로 유출되려는 유체를 차단한다. 차단판은 상부철판과, 상기 상부철판보다 면적이 적은 하부철판 이중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박스의 상면은 테두리를 따라서 홈이 형성되어 있고, 테두리 하부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철판에는 회전가능한 결합편이 상면에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철판을 먼저 하부박스에 삽입하고 단턱에 걸려 고정시키고, 상부철판을 삽입한 후, 상부철판의 결합편을 회전시켜 상기 하부박스 테두리 홈에 삽입시켜 고정한다. 이 후 차단장치를 철거하고, 샌드위치 밸브를 철거한 후, 최종적으로 맹플랜지(End cap)를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관절단박스와 관연결박스를 설치하여 유체가 흐르는 관을 절단하여 유체를 유도함으로써, 관을 교체 또는 보수하는 작업중에도 유체의 단수가 없이 물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발명은 관연결박스 측면에 유압실린더에 막음판의 후면이 연결되어 있어서, 작동이 편리하며, 또한 개폐 동작이 정확하며, 막음판이 유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막음판이 유체흐름을 차단하는 힘이 강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관절단박스 200 : 관연결박스
110 : 상부절단박스 130 : 하부박스
120 : 샌드위치밸브 121 : 밸브케이스
122 : 밸브판 140 : 절단톱
142 : 수직구동축
143 : 수직피동축 144 : 띠톱
145 : 철거관 승강봉
210 : 유체유도박스 230 : 막음판
231 : 실링 232 : 유도밸브
240 : 절단된 관(물을 공급받는 측) 300 : 절단된 관
310 : 차단장치 320: 차단판
330 : 맹판(맹플랜지, End Cap) 340 : 상부철판
341 : 결합편 350 : 하부철판
500 : 유압실린더 520 : 피스톤

Claims (1)

  1. 유체가 흐르는 관을 절단 하여 유체를 유도하기 위하여 관절단박스(100)와 관연결박스(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연결박스(200)는 내부에 막음판(230)이 설치되며 측면에는 유도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의 유체유도박스(210)와, 상기 유체유도박스(210) 하부에 설치되는 샌드위치밸브(120)와, 상기 샌드위치밸브(120)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박스(130)로 구성되는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도박스(210) 외부 측면에는 막음판 유압실린더(500)가 설치되고, 상기 막음판 유압실린더(500)의 피스톤(520) 일단이 상기 막음판(230) 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막음판 유압실린더(500)의 피스톤(520)이 전진함에 따라서 물을 공급받는 측의 관인 절단된 관(300)의 절단부위면과 밀착되어 물의 흐름을 봉쇄하며, 피스톤(520)이 후진할 경우 절단된 관(300)의 절단부위면에서 이탈되어 물이 흐르게 하는 것이되,
    상기 관절단박스(100) 내부에는 절단톱(140)이 설치되며, 상기 절단톱(140)은 유압모터 또는 전기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는 띠톱장치인 것으로, 유압모터 또는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수직 구동축(142)과, 상기 수직구동축(14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반대편의 수직피동축(143)과, 상기 수직구동축(142)과 수직피동축(143)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관을 절단하는 띠톱(144)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단톱(140)은 유압모터 또는 전기모터의 구동에 의해 유압실린더가 승하강함에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관을 절단하게 되는 것이며,
    절단된 철거관은 상부절단박스(110)의 내부 상부로 들어서 철거하게 되는 것으로, 상부절단박스(110)의 상부에는 유압으로 가동되는 철거관 승강봉(14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철거관 승강봉(145)의 하부 단부는 나선부가 형성된 뾰족부가 형성되어 상기 뾰족부가 상기 철거관에 구멍을 뚫고 나선부에 고정한 후 유압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고 상기 들어올려진 철거관은 상기 상부절단박스(110)의 내부 상부 천정부분에 그대로 위치하게 되며, 상부절단박스(110)를 철거하고 관연결박스(200)를 설치할 때 상부절단박스(110)와 함께 철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
KR1020120095563A 2012-08-30 2012-08-30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 KR101419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563A KR101419593B1 (ko) 2012-08-30 2012-08-30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563A KR101419593B1 (ko) 2012-08-30 2012-08-30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694A KR20140028694A (ko) 2014-03-10
KR101419593B1 true KR101419593B1 (ko) 2014-07-15

Family

ID=5064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563A KR101419593B1 (ko) 2012-08-30 2012-08-30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5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8491A (zh) * 2015-06-15 2015-08-26 南通永大管业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高效剪管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0634A (ja) 2002-05-28 2003-12-02 Cosmo Koki Co Ltd 不断水式管切断方法
KR100799480B1 (ko) * 2002-12-02 2008-01-31 조희남 수도관 보수를 위한 차수 장치 및 방법
JP4401473B2 (ja) 1999-05-18 2010-01-20 日本ヴィクトリック株式会社 既設管路不断水工事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612657B2 (ja) 2007-07-09 2011-01-12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既設管の切断除去方法及び既設管用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1473B2 (ja) 1999-05-18 2010-01-20 日本ヴィクトリック株式会社 既設管路不断水工事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3340634A (ja) 2002-05-28 2003-12-02 Cosmo Koki Co Ltd 不断水式管切断方法
KR100799480B1 (ko) * 2002-12-02 2008-01-31 조희남 수도관 보수를 위한 차수 장치 및 방법
JP4612657B2 (ja) 2007-07-09 2011-01-12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既設管の切断除去方法及び既設管用切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694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78675B (zh) 在供水管道上实现不停水更换管段或阀门的方法和装置
KR101125140B1 (ko) 지반굴착장치의 신축굴착로드
CN111457189B (zh) 一种pvc管路渗水处检测修补设备
KR101419593B1 (ko)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
KR101180455B1 (ko) 부단수 모듈 장치를 이용한 부단수 시공방법
KR102356920B1 (ko) 급수부를 구비한 와이어 쏘 절단 장치의 절단 확인용 점검창
CN206230053U (zh) 带压开孔装置
CN101555947B (zh) 煤气切断水封装置
KR101352658B1 (ko) 부단수 모듈장치의 절단톱 구조
KR101199002B1 (ko) 부단수 모듈 장치
KR101309333B1 (ko) 관교체 방법
JP4664349B2 (ja) 配管穿孔機及び配管穿孔工法
JP4612657B2 (ja) 既設管の切断除去方法及び既設管用切断装置
CN212178239U (zh) 一种管道封堵装置
KR101568737B1 (ko) 부단수 할정자관
JP4011054B2 (ja) 既設管の切断除去方法及び既設管用切断装置
JP4086831B2 (ja) 既設管の弁設置工法
JP4642522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制水体設置装置
KR101203967B1 (ko) 밸브용 보수장치
CN112377145A (zh) 一种具有堵漏结构的压力控制设备及其实施方法
CN202451861U (zh) 排泥管道液压闸阀
JP4642521B2 (ja) 既設流体管の不断水制水体設置装置
RU107187U1 (ru) Кессон для ремонта подвод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CN220580879U (zh) 一种水下密闭门结构
KR200267435Y1 (ko) 침전지 수로의 게이트 실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