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140B1 - 지반굴착장치의 신축굴착로드 - Google Patents

지반굴착장치의 신축굴착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140B1
KR101125140B1 KR1020090135140A KR20090135140A KR101125140B1 KR 101125140 B1 KR101125140 B1 KR 101125140B1 KR 1020090135140 A KR1020090135140 A KR 1020090135140A KR 20090135140 A KR20090135140 A KR 20090135140A KR 101125140 B1 KR101125140 B1 KR 101125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outer rod
projections
movable connecting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8353A (ko
Inventor
신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중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중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중기계
Priority to KR1020090135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1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 E21B3/025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with a to-and-fro rotation of the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08Roller bits
    • E21B10/18Roller bits characterised by conduits or nozzles for drilling fluid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44Bits with helical conveying portion, e.g. screw type bits; Augers with leading portion or with detach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굴착장치의 신축굴착로드에 관한 것으로, 오거머신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오거머신의 저부측에 연결되는 수조인트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 로드와, 상기 내부 로드가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외부 로드와, 상기 외부 로드의 하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암조인트 및 상기 외부 로드의 내부에 고정 장착되는 공급관을 구비하여서 되는 신축굴착로드에 있어서,
상기 신축굴착로드는,
상기 외부 로드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진 채 외부 로드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부 로드의 하단 양측에 대칭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가동접속돌기와;
상기 외부 로드의 내측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로드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의 삽탈작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가동접속돌기의 삽입시에는 내부 로드를 소정 각도 폭으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상,하부 수용공간과;
상기 외부 로드의 내부에 상,하부 수용공간을 형성되게 하면서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로드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고정접속돌기와;
상기 복수의 고정접속돌기의 상,하 양단 각각에서 서로 대칭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부 로드로 삽입 조립된 내부 로드의 가동접속돌기가 상, 하부 수용공간내에서 상,하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복수의 이탈방지돌기의 자유단과 상기 복수의 고정접속돌기 상,하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로드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를 상기 외부 로드 내부에서 상,하로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복수의 가동접속돌기를 상,하부 수용공간으로 삽탈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출입통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지반굴착장치, 신축로드, 내부 로드, 외부 로드, 가동접속돌기, 고정접속돌기, 수용공간, 이탈방지돌기, 출입통로, 안내돌기, 공기배출용 체크밸브, 공기유입용 체크밸브, 더스트 시일링

Description

지반굴착장치의 신축굴착로드{Expansion rod of earth auger machine}
본 발명은 지반굴착장치의 신축굴착로드에 관한 것으로, 오거머신에 수직상으로 다단 조립되는 복수의 로드(rod)들 중 상기 오거머신에 직접 연결 조립되는 최상단 로드를 이중 로드로 형성되는 신축굴착로드로 구성하되, 상기 신축굴착로드의 내,외부 로드를 신축 조절함에 있어 결합핀을 사용하지 않고 오거머신에 직접 연결되는 내부 로드를 정,역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작동으로 상기 내부 로드를 외부 로드속으로 삽입시키거나 또는 인출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오거머신에 수직상으로 연결 조립되는 복수의 로드들의 총 길이를 신축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반굴착장치의 신축굴착로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굴착장치는 주행장치가 구비된 크롤러 크레인(crawler crane)과, 상기 크롤러 크레인의 지지대와 백스테이에 지지되어 지상에 수직상으로 높게 고정되는 리더(leader)와, 상기 리더의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로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거머신(auger machine) 및 상기 오거머신의 저부에 수직상으로 다단 조립되는 복수의 로드로 구성된다.
상기 오거머신을 상,하로 승강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리더는 지반의 굴착작업현장에 따라 굴착 깊이가 다르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리더 중에서 가장 긴 리더의 최대 길이는 통상 40m를 넘지 않는다.
그런데 근래에 와서는 침해터널공사 및 육상 지하철 굴착공사 등의 굴착심도가 지하 40m 이상으로 점점 더 깊어지고 있는 실정인데, 이에 반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굴착장비 중 리더 장비는 40m 정도로 한정되고 있기 때문에 지반굴착작업시 굴착로드의 상측에 위치하는 로드를 분리한 다음 새로운 로드를 연결 조립하는 방법으로 굴착로드를 원하는 길이로 연결시켜서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굴착로드를 분리하고 새로운 로드를 연결시키는 작업은 크레인의 상단 높은 위치(대략 30~40m 정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높은 크레인 상단으로 올라가서 로드 연결작업을 수행하게 될 경우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며, 또한 작업자는 크레인으로 들어올린 로드를 공중에서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는 특허 제0180458호(이하 선행특허)를 제안한 바 있는데, 상기한 선행특허는 오거머신의 저부에 직접 연결되는 최상단 로드를 신축로드로 형성하여 신축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이 역시 상기 신축로드를 신축조절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크레인 상단의 높은 위치까지 올라가서 신축로드의 신축조절시 결합핀을 삽탈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여전히 작업자의 낙상사고 등의 위험이 뒤따르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한 선행특허는 신축로드의 외부 로드 속으로 삽입되어 있는 내부 로 드를 빼내기 위해서는 먼저 외부 로드와 내부 로드를 결합시키고 있는 결합핀을 빼내고, 이어서 내부 로드를 소정 높이로 상승시킨 후 다시 결합핀을 끼워주는 조립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가 크레인을 이용하여 신축로드가 있는 높은 위치까지 올라가서 수작업으로 진행하야 하므로 매우 어렵고 힘이 들기 때문에 작업자는 낙상사고의 위험을 무릅쓰고 작업을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오거머신의 저부에 직접 연결 조립되는 신축굴착로드의 내부 로드를 정,역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켜주는 수단으로 상기 내부 로드를 외부 로드에서 신축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자가 크레인 상단으로 직접 올라가지 않고도 신축굴착로드를 신축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으며, 또한 상기 신축굴착로드의 내부로 로드가 외부 로드 내측으로 삽입되는 작동으로 신축굴착로드의 길이가 축소될 때에는 상기 외부 로드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반면, 상기 신축굴착로드의 내부 로드가 외부 로드 내부에서 인출되는 작동으로 신축굴착로드의 길이가 신장될 때에는 외부 공기가 외부 로드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므로써 신축굴착로드의 신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지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한 상기 신축굴착로드의 내부 로드에서 외부 로드에 삽탈되는 부분은 외주를 진원으로 형성하므로써 상기 외부 로드의 출입통로측에 장착되어 있는 더스트 시일링이 내부 로드의 외주에 묻어있는 흙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외부 로드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오거머신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오거머신의 저부측에 연결되는 수조인트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 로드와, 상기 내부 로드가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외부 로드와, 상기 외부 로드의 하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암조인트 및 상기 외부 로드의 내부에 고정 장착되는 공급관을 구비하여서 되는 신축굴착로드에 있어서,
상기 신축굴착로드는,
상기 외부 로드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진 채 외부 로드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부 로드의 하단 양측에 대칭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가동접속돌기와;
상기 외부 로드의 내측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로드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의 삽탈작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가동접속돌기의 삽입시에는 내부 로드를 소정 각도 폭으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상,하부 수용공간과;
상기 외부 로드의 내부에 상,하부 수용공간을 형성되게 하면서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로드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고정접속돌기와;
상기 복수의 고정접속돌기의 상,하 양단 각각에서 서로 대칭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부 로드로 삽입 조립된 내부 로드의 가동접속돌기가 상,하부 수용공간내에서 상,하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복수의 이탈방지돌기의 자유단과 상기 복수의 고정접속돌기 상,하단 사 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로드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를 상기 외부 로드 내부에서 상,하로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복수의 가동접속돌기를 상,하부 수용공간으로 삽탈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출입통로;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굴착로드는, 외부 로드의 상,하부 수용공간 사이의 내면에 수직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내부 로드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를 상기 상,하부 수용공간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출입통로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축굴착로드는, 외부 로드에 내부 로드의 신축조절시 상기 외부 로드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용 체크밸브와 상기 외부 로드 내부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용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로드의 상단에는 내부 로드의 신축조절시 상기 내부 로드 외주에 묻어있는 흙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더스트 시일링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거머신의 저부측에 직접 연결 조립되는 신축굴착로드의 신축조절작동은 오거머신의 정,역 작동으로 내부 로드를 좌,우로 소정 각도 회전작동시켜서 내부 로드를 외부 로드에서 인출하거나 또는 삽입시키는 작동으로 상기 신축굴착로드를 신축조절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작업자가 크레인의 상단으로 직접 올라가지 않아도 되므로 지반굴착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신축굴착로드의 신축조절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지반굴착공사의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반굴착장치의 신축굴착로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축굴착로드 결합상태로서 내부 로드를 삽입시킨 상태의 반단면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신축굴착로드 결합상태로서 내부 로드를 인출한 상태의 반단면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신축굴착로드 반단면 분리상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D-D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2의 E-E선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외부 로드에 장착된 공기배출용 체크밸브 및 공기유입용 체크밸브의 설치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신축굴착로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신축굴착로드(1)는 오거머신의 저부측에 직접 연결되어 오거머신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내부 로드(2)와, 상기 내부 로드(2)가 삽입 조립되어 상기 신축로드(1) 하단에 굴착로드가 연결 조립되는 외부 로드(3) 및 상기 외부 로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 로 드(2)의 공급통로(21)를 통해 공급되는 공압이나 시멘트풀 또는 급결제 등을 안내하는 공급관(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신축굴착로드(1)를 구성하는 내부 로드(2)는 상단에 고정플랜지(22)와 조립플랜지(23)가 복수의 조립볼트에 의해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플랜지(23)에는 오거머신의 저부측에 형성된 암조인트(미도시)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조인트(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신축굴착로드(1)의 외부 로드(3) 상단에는 조립플랜지(31)가 복수의 조립볼트에 의해 고정 부착되며, 상기 외부 로드(3)의 하단에는 공급관(4)이 연결된 수조인트(41)가 착탈가능하게 삽입 조립되는 암조인트(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관(4)이 고정 부착되어 있는 수조인트(41)의 하단에는 굴착로드(미도시)를 연결시키기 위한 암조인트(42)가 용접되어 있다.
상기 공급관(4)의 상단에 장착된 기밀패킹(43)은 내부 로드(2)의 공급통로(21)에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관(4)의 하단은 수조인트(41) 상단에 고정 부착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신축굴착로드(1)의 외부 로드(3)에 삽입 조립된 내부 로드(2)를 자동으로 신축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내부 로드(2)의 하단에는 외부 로드(3) 속으로 삽입시킬 수 있는 반경을 가진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를 양측에 대칭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외부 로드(3)의 내면 상,하측에는 내부 로드(2)의 하단 양측에 대칭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를 삽탈가능하게 구속하는 상,하부 수용공 간(6a)(6b)을 형성하는데, 상기 상,하부 수용공간(6a)(6b)은 외부 로드(3) 내면의 상,하부 각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고정접속돌기(61)(62)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 수용공간(6a)(6b) 각각을 형성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접속돌기(61)(62) 각각의 상,하단에는 서로 대칭하도록 시계방향을 향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부 수용공간(6a)(6b) 각각의 내측에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가 상,하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복수의 이탈방지돌기(63)(6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이탈방지돌기(63)(64)는 도 6의 도시를 기준하여 볼 때 일측 고정접속돌기(61)의 상,하단에서 시계방향을 향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 이탈방지돌기(63)의 자유단(끝단)은 타측 고정접속돌기(62)에 대하여 소정 각도 폭으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타측 고정접속돌기(62)의 상,하단에서 시계방향을 향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 이탈방지돌기(64)의 자유단(끝단)은 일측 고정접속돌기(61)에 대하여 소정 각도 폭으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 수용공간(6a)(6b) 각각에는 내부 로드(2)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의 삽탈을 가능하게 하는 출입통로(65)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출입통로(65)는 도 6의 도시를 기준하여 볼 때 복수의 이탈방지돌기(63)(64) 각각의 자유단과 복수의 고정접속돌기(61)(62) 사이에는 내부 로드(2)의 하단 양측에 돌출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접속돌기(5)보다 조금 큰 각도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신축굴착로드(1)를 신축조절하기 위해 외부 로드(3)에 삽입되어 있는 내부 로드(2)를 빼내는 인출작동 및 상기 외부 로드(3)의 내부로 내부 로드(2)를 집어넣는 삽입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 로드(3)의 상부 양측에는 외부 로드(3)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용 체크밸브(7a)와 상기 외부 로드(3)의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압시키기 위한 공기유입용 체크밸브(7b)를 각각 장착한다.
상기 공기배출용 체크밸브(7a)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공기배출구(71)를 스프링(72)으로 탄력설치되는 밸브판(73)이 폐쇄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배출용 체크밸브(7b)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공기유입구(74)를 스프링(72)으로 탄력설치되는 밸브판(73)이 폐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로드(3)의 상단에 고정 부착된 조립플랜지(31)에는 내부 로드(2)가 외부 로드(3) 속으로 삽입될 때 그 외주에 묻어있는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더스트 시일링(8)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더스트 시일링(8)은 우레탄과 같이 고탄력의 특수재질로 제작되어 내부 로드(2)의 외주를 손상시키지 않고 흙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깨끗하게 씻어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축굴착로드(1)의 외부 로드(3)에 형성된 상,하부 수용공간(6a)(6b) 사이의 외부 로드(3) 내면에는 내부 로드(2)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가 상,하로 똑바르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돌 기(9)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복수의 안내돌기(9)들은 상,하부 수용공간(6a)(6b)에 형성되는 출입통로(65)를 향해 내부 로드(2)의 가동접속돌기(5)가 정확하게 출입하는 것을 안내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부 로드(3)의 상,하부에는 내부를 청소하기 위하여 세척수 등을 주입하고 빼내기 위한 청소구(부호생략)가 상,하 두곳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청소구는 나사조립되는 플러그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서 신축굴착로드(1)의 외부 로드(3)에 스크류날개(부호생략)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크류날개가 없는 신축굴착로드(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신축굴착로드(1)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내부 로드(2)를 외부 로드(3) 속으로 삽입시킨 상태로 오거머신의 저부측에 연결 조립하여 지반굴착작업을 진행하는 것인데, 이때에는 내부 로드(2)의 하단 양측에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는 외부 로드(3)의 내면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수용공간(6b)에 삽입되어 구속된 상태가 되어 오거머신의 회전동력이 내부 로드(2)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를 통해 외부 로드(3)의 하부 수용공간(6b)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접속돌기(61)(62)에 전달되므로 상기 내,외부 로드(2)(3)는 같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5의 도시와 같이 내부 로드(2)의 하단 양측에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는 외부 로드(3)의 하부 수용공간(6b)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는 하부 수용공간(6b)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접속돌기(61)(62)에 접속된 상태가 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의 상,하단은 복수의 이탈방지돌기(63)(64)에 의해 각각 구속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한 도 5의 도시와 같이 내부 로드(2)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가 외부 로드(3)의 하부 수용공간(6b)에 삽입되어 구속된 상태일 때에는 오거머신의 회전동력에 의해 내부 로드(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상기 내부 로드(2)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에 전달된 회전력이 하부 수용공간(6b)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접속돌기(61)(62)에 전달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내,외부 로드(2)(3)는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신축굴착로드(1)의 내부 로드(2)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를 외부 로드(3)의 하부 수용공간(6b)에 결합시킨 상태로 지반굴착작업을 진행하다가 상기 신축굴착로드(1)와 이의 하측에 다단상으로 연결 조립된 복수의 굴착로드들의 총 길이보다 조금 더 깊은 심도까지 굴착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상기 신축굴착로드(1)를 신장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종래 기술과 같이 작업자가 크레인을 이용하여 신축굴착로드(1)가 연결된 높은 위치까지 올라가지 않고도 오거머신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신축굴착로드(1)를 신장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1의 도시와 같이 내부 로드(2)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가 외부 로드(3)의 하부 수용공간(6b)에 결합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신축굴착로드(1)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와는 반대로 오거머신을 역구동시 키게 되는데, 이때 오거머신의 역구동은 내부 로드(2)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가 하부 수용공간(6b)에서 빠져나와 출입통로(65)에 위치하는 각도 폭만큼만 상기 내부 로드(2)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 6 참조)
이어서, 오거머신을 소정 높이로 상승 이동시키게 되면 오거머신의 저부측에 수조인트(24)가 연결 조립된 내부 로드(2)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는 하부 수용공간(6b)에 형성된 출입통로(65)를 통해 빠져나와 상승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하부 수용공간(6b)의 출입통로(65)에서 빠져나온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들은 복수의 안내돌기(9)를 따라 상부 수용공간(6a)의 출입통로(65)를 향해 똑바르게 상승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오거머신의 상승작동에 의해 상기 내부 로드(2)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가 외부 로드(3)의 상부 수용공간(6a)에 형성된 출입통로(65)의 위치까지 상승되었을 때에는 오거머신의 상승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면 상기 내부 로드(2)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도 상부 수용공간(6a)에 형성된 출입통로(65)에서 정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내부 로드(2)를 외부 로드(3)에서 인출하게 될 때에는 내부 로드(2)가 인출됨에 따라 외부 로드(3)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에는 외부 공기가 외부 로드(3)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는 공기유입용 체크밸브(7b)의 밸브판(74)을 개방시키면서 외부 로드(3) 내부로 유입되므로 상기 내부 로드(2)의 인출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 수용공간(6a)의 출입통로(65)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가 정지되었을 때에는 다시 오거머신을 정구동시켜서 상기 내부 로 드(2)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는 상부 수용공간(6a) 속으로 삽입됨과 동시 상기 상부 수용공간(6a)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접속돌기(61)(62)에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가 결합된 상태가 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는 복수의 이탈방지돌기(63)(64)에 의해 상부 수용공간(6a)에 구속된 상태가 되므로써 오거머신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도 1의 도시와 같이 신축굴착로드(1)를 수축 조절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반굴착작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축굴착로드(1)를 신장조절하여 지반굴착작업을 진행하다가 다시 상기 신축굴착로드(1)를 수축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 있듯이 내부 로드(2)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폭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내부 로드(2)의 하단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5)는 상부 수용공간(6a)에 형성된 출입통로(65)로 빠져나오게 되므로 내부 로드(2)를 하강시켜서 수축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내부 로드(2)를 수축시킬 때에는 외부 로드(3) 내부에 존재한 공기는 공기배출용 체크밸브(7a)의 밸브판(73)을 개방시키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내부 로드(2)의 수축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거머신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내부 로드(2)를 지반굴착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 폭으로 회전시키는 작동으로 상기 신축굴착로드(1)를 신축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작업자가 높은 위치까지 올라가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를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종래와 같이 크레인 상단으로 올라간 작업자의 수작업 에 의존하지 않고 오거머신의 정,역 구동시키는 작동으로 보다 신속하게 신축굴착로드(1)를 신축 조절할 수 있으므로 지반굴착공사의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축굴착로드의 결합상태로서 내부 로드를 삽입시킨 상태의 반단면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신축굴착로드의 결합상태로서 내부 로드를 인출한 상태의 반단면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신축굴착로드 반단면 분리상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7은 도 2의 D-D선 단면도
도 8은 도 2의 E-E선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외부 로드에 장착된 공기배출용 체크밸브 및 공기유입용 체크밸브의 설치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축굴착로드 2 : 내부 로드
21 : 공급통로 3 : 외부 로드
4 : 공급관 5 : 가동접속돌기
6a,6b : 상,하부 수용공간 61,62 : 고정접속돌기
63,64 : 이탈방지돌기 65 : 출입통로
7a : 공기배출용 체크밸브 7b : 공기유입용 체크밸브
8 : 더스트 시일링 9 : 안내돌기

Claims (3)

  1. 오거머신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오거머신의 저부측에 연결되는 수조인트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 로드와;
    상기 내부 로드가 삽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외부 로드와;
    상기 외부 로드의 하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암조인트 및 상기 외부 로드의 내부에 고정 장착되는 공급관과;
    상기 외부 로드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진 채 외부 로드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부 로드의 하단 양측에 대칭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가동접속돌기와;
    상기 외부 로드의 내측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로드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의 삽탈작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가동접속돌기의 삽입시에는 내부 로드를 소정 각도 폭으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상,하부 수용공간과;
    상기 외부 로드의 내부에 상,하부 수용공간을 형성되게 하면서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로드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고정접속돌기와;
    상기 복수의 고정접속돌기의 상,하 양단 각각에서 서로 대칭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부 로드로 삽입 조립된 내부 로드의 가동접속돌기가 상,하부 수용공간내에서 상,하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복수의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복수의 이탈방지돌기의 자유단과 상기 복수의 고정접속돌기 상,하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로드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를 상기 외부 로드 내부에서 상,하로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복수의 가동접속돌기를 상,하부 수용공간으로 삽탈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출입통로;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지반굴착장치의 신축굴착로드에 있어서,
    상기 외부 로드에 내부 로드의 신축조절시 상기 외부 로드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용 체크밸브와, 상기 외부 로드 내부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용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굴착장치의 신축굴착로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로드의 상,하부 수용공간 사이의 내면에 수직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내부 로드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동접속돌기를 상기 상,하부 수용공간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출입통로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굴착장치의 신축굴착로드.
  3. 삭제
KR1020090135140A 2009-12-31 2009-12-31 지반굴착장치의 신축굴착로드 KR101125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140A KR101125140B1 (ko) 2009-12-31 2009-12-31 지반굴착장치의 신축굴착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140A KR101125140B1 (ko) 2009-12-31 2009-12-31 지반굴착장치의 신축굴착로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353A KR20110078353A (ko) 2011-07-07
KR101125140B1 true KR101125140B1 (ko) 2012-03-19

Family

ID=4491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140A KR101125140B1 (ko) 2009-12-31 2009-12-31 지반굴착장치의 신축굴착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14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997B1 (ko) 2012-01-10 2013-07-17 오거토탈 주식회사 지반 굴착기용 슬라이딩 로드
KR101590731B1 (ko) * 2014-12-17 2016-02-01 정영호 지반천공용 신축로드
KR20160091028A (ko) 2015-01-23 2016-08-02 주식회사 대창중기계 디씨엠 장심도 저중심 지반굴착공법 및 장치
KR101711784B1 (ko) * 2016-01-19 2017-03-02 정영호 지반천공용 신축케이싱
KR102359157B1 (ko) 2021-09-02 2022-02-08 거성개발(주) 지반굴착장치용 신축롯드
KR102367382B1 (ko) 2021-09-03 2022-02-24 거성개발(주)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를 이용한 지반 개량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190B1 (ko) * 2014-10-13 2016-10-11 정영호 매립지용 천공기
CN110242228B (zh) * 2019-07-17 2024-01-16 山东兖能泰德重工有限公司 整体式宽翼片螺旋钻杆
CN111911149B (zh) * 2020-08-31 2021-08-24 中国科学院空间应用工程与技术中心 一种基于仿生技术的分离内杆式深层月壤钻进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0458B1 (ko) * 1996-06-29 1999-02-18 신영철 지반굴착장치의 신축로드
KR200387957Y1 (ko) * 2005-04-04 2005-06-28 노승관 지반 굴착기용 신축 스크류로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0458B1 (ko) * 1996-06-29 1999-02-18 신영철 지반굴착장치의 신축로드
KR200387957Y1 (ko) * 2005-04-04 2005-06-28 노승관 지반 굴착기용 신축 스크류로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997B1 (ko) 2012-01-10 2013-07-17 오거토탈 주식회사 지반 굴착기용 슬라이딩 로드
KR101590731B1 (ko) * 2014-12-17 2016-02-01 정영호 지반천공용 신축로드
KR20160091028A (ko) 2015-01-23 2016-08-02 주식회사 대창중기계 디씨엠 장심도 저중심 지반굴착공법 및 장치
KR101711784B1 (ko) * 2016-01-19 2017-03-02 정영호 지반천공용 신축케이싱
KR102359157B1 (ko) 2021-09-02 2022-02-08 거성개발(주) 지반굴착장치용 신축롯드
KR102367382B1 (ko) 2021-09-03 2022-02-24 거성개발(주) 지반 개량용 교반장치를 이용한 지반 개량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353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140B1 (ko) 지반굴착장치의 신축굴착로드
KR101736140B1 (ko) 디씨엠 장심도 저중심 지반굴착공법 및 장치
EP3485114B1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100886461B1 (ko) 하수관거 차수로봇용 가물막이 수밀패널
US8926229B1 (en) Trench box dewatering system
CN111305193B (zh) 一种利用伸缩式导管灌注混凝土桩的施工工法
ES2266109T3 (es) Mastil de perforacion con tornillo de banco de desenroscado movil y fijo.
ITTO20090593A1 (it) Macchina per la perforazione del terreno.
CN111911095B (zh) 低压油水井带压修井装置及带压修井方法
CN110145257B (zh) 一种井口操作台
KR20070106502A (ko) 중력 유동 차단 장치
KR101138739B1 (ko) 지하수 상부 보호공의 배관 연결장치
JP4707445B2 (ja) エントランス用シャッタ装置およびシールド掘削機の発進または到達方法
CN213330997U (zh) 一种防喷装置用钻杆密封单元
JP6853736B2 (ja) 遮水構造
JP6319839B2 (ja) ボードの水平建込み装置及び水平建込み方法
KR101220088B1 (ko) 무동력 인력펌프를 구비하는 밀폐식 지하수 상부보호장치
CN112761682A (zh) 一种带有分体式合叶胶圈的止水环
CN111911171A (zh) 用于盾构始发的洞门密封装置及密封方法
KR101651793B1 (ko) 튜브 수문 모듈
KR0180458B1 (ko) 지반굴착장치의 신축로드
CN220039271U (zh) 一种露天钻孔爆破孔口防进水装置
CN217999520U (zh) 一种油田采修作业平台用鼠洞管
KR101419593B1 (ko) 부단수 모듈장치의 막음판 구조
CN212612563U (zh) 一种井点降水用的井点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