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046B1 -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 Google Patents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046B1
KR102237046B1 KR1020190139960A KR20190139960A KR102237046B1 KR 102237046 B1 KR102237046 B1 KR 102237046B1 KR 1020190139960 A KR1020190139960 A KR 1020190139960A KR 20190139960 A KR20190139960 A KR 20190139960A KR 102237046 B1 KR102237046 B1 KR 102237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odor
crushing
pulverizing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권식
Original Assignee
박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권식 filed Critical 박권식
Priority to KR1020190139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분쇄하우징과 메인분쇄커터와 보조분쇄커터와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분쇄유닛이 적용됨으로써 배수관 내의 막힘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악취흡입관, 공기압축기, 증압배출기, 악취배출안내라인을 포함하는 악취제거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변기의 사용시 환기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Toilet bowl having crushing function and odor removal function}
본 발명은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하우징과 메인분쇄커터와 보조분쇄커터와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분쇄유닛이 적용됨으로써 배수관 내의 막힘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악취흡입관, 공기압축기, 증압배출기, 악취배출안내라인을 포함하는 악취제거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변기의 사용시 환기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는 공공시설이나 가정집 등의 거의 모든 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는 양변기를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변기는 사람이 걸터앉아 용변을 보는 좌식 형태의 수세 변기를 칭하며, 종래의 변기는 변기를 덮는 변기커버와,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앉는 변기시트, 배설물과 공급수를 담아두는 변기몸체, 변기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공급수를 공급하기 위해 저장 및 배수시키는 수조, 공급수가 수조에서 변기 몸체로 공급되게 하는 변기 레버, 변기 몸체 내의 공급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웨어 및 배설물을 공급수와 함께 정화조로 배출시키는 배수관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변기는 용변 시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바로 배출시키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용변시 화장실 내에 심한 악취가 확산되며, 용변 시 체내의 온도와 비슷한 온도를 유지한 배설물은 변기 내부의 온도보다 높아 악취가 변기 상층으로 상승하여 용변을 보고 있는 사용자는 물론 다음 사용자에게도 매우 심한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다수의 기술들이 개시되었으나 개시된 종래의 기술들은 대부분 악취 제거를 위해 화장실의 벽면 또는 천장에 환풍기를 설치하여 용변 시 발생하는 악취와 용변 후에 존재하는 악취를 환기시키거나, 암모니아와 같은 배변 가스를 수조 내의 물속에 녹여서 물과 함께 배출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용변 시 발생하는 악취를 실시간으로 제거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용변 시 발생한 악취가 용변 후에도 계속해서 화장실 내부에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다른 한편으로는 변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뭉치 형태의 화장지 투입, 여성 사용자의 생리대 투입, 아이들에 의한 이물질 투입, 실수로 인한 주변 물건의 투입 등 각종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배수관이 막히는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즉, 배수관을 막는 이물질은 배수를 위한 배수관 내에 쌓여서 배수관을 막는다.
이처럼 이물질이 배수관 내에 쌓여 막음으로 용수의 배수관을 통한 배출이 안되는 경우,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물을 일시에 쏟아 붇거나, 가정용 기구(예; 가는 막대기, 수동식 압축 펌핑기 등)를 이용하여 뚫어보지만, 웨어 측이 막힌 경우에는 양호하게 뚫릴 수 있으나 배수관 측이 막힌 경우에는 별도의 전문가를 불러 뚫어야 하며, 이에 따라 배수관 막힘 현상을 해결하는데 용이하지 않음과 동시에 비용 발생 등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배수관 내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실시간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변기의 사용시 환기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변기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41104호 2018.03.16.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60683호 2017.07.18.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45857호 2017.06.04.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56448호 2015.09.22.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24021호 2013.11.13.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6328호 2011.10.18.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쇄하우징과 메인분쇄커터와 보조분쇄커터와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분쇄유닛이 적용됨으로써 배수관 내의 막힘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악취흡입관, 공기압축기, 증압배출기, 악취배출안내라인을 포함하는 악취제거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변기의 사용시 환기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는 공급수가 담겨져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후방 하측 내부에 공급수가 일정하게 유지되게하는 웨어와 연통되어 배수관이 구비되는 변기몸체; 상기 변기몸체의 후방 상측에 구비되어 변기몸체 측으로 공급수를 공급하기 위해 저장 및 배수시키는 수조;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위해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변기 몸체의 상단에 마련되는 변기시트; 상기 변기몸체의 배수관 내부 하측에 설치되며,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물에 내포된 이물질을 분쇄하여 하향 외부로 배출 안내하는 분쇄유닛; 및 상기 수조와 변기시트와 변기몸체에 걸쳐 설치되며, 변기시트의 내측 하방을 통해 변기몸체의 상부에 개방된 용변공간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용변시 선택적으로 흡입하여 배수관 측으로 배출시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악취제거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분쇄유닛은 배수관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배수관의 웨어로부터 배수안내되는 이물질이 내포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며, 하부에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내포하는 물에 대하여 이물질을 분쇄한 상태로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구를 가지는 분쇄하우징과, 상기 분쇄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축 설치되며, 분쇄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내포하는 물에 대하여 이물질을 분쇄시켜 배출구로 안내되도록 하는 메인분쇄커터와, 상기 분쇄하우징의 중앙부분에 내향 일정길이 돌출되게 구비되되, 상기 메인분쇄커터의 양측과 일정간극을 가지도록 한 쌍으로 돌출되며, 메인분쇄커터의 외주연과 분쇄하우징 내부로 돌출되는 단부 사이의 간극을 통해 이물질이 분쇄되도록 하는 보조분쇄커터 및 상기 분쇄하우징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분쇄커터와 회전축이 축 연결되며, 상기 메인분쇄커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메인분쇄커터는 일정길이를 갖는 기어 타입으로 제공되어, 원주방향으로 커터 날이 연이어 형성된 커터로 제공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메인분쇄커터는 상기 분쇄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축 설치되되, 축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며, 일정크기를 갖는 원판 타입으로 형성되어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한 쌍으로 대향되어 돌출날이 형성되는 대형원판커터 및 상기 대형원판커터와 교번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축 상에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며, 상기 대형원판커터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판 타입으로 형성되어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한 쌍으로 대향되어 돌출날이 형성되는 중형원판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메인분쇄커터는 상기 분쇄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축 설치되되, 원판 형 웨지타입으로 형성되어 축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는 웨지형몸체와, 상기 웨지형몸체의 평탄면인 일면에 외주연으로부터 중심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바 타입으로 돌출되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구비되며, 외면에 다수 개의 원추형 분쇄돌기가 돌출형성되는 분쇄가이드 바 및 상기 웨지형몸체의 경사면인 타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평기어형 바 타입으로 돌출되며, 웨지형몸체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외측 면에 외향 원추형으로 뾰족하게 분쇄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경사분쇄가이드 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웨지형몸체는 단면적이 넓은 일면 원주방향으로 일정두께를 가지고 직삼각형 날이 연이어지게 기어형 분쇄날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웨지형몸체는 원판 형 웨지타입으로 형성되어 축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되, 축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면과 타면이 대향되게 교번하여 고정되는 것이 양호하다.
한편, 상기 악취제거유닛은 상기 변기시트의 개방된 하부의 폭 방향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지게 설치고정되어 단부가 수조의 후방 측으로 연장배치되며, 변기시트의 폭 방향 내측과 대응되는 하부 일 측으로 변기몸체의 개방 측으로부터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공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형성되는 악취흡입관과, 상기 수조의 후방 상측에 배치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압축기와, 상기 공기압축기 하측에 공기압축기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증압시켜 증압된 압축공기를 생성시키며, 하부 증압된 압축공기의 배출 측에 악취흡입관 단부가 연통연결되어, 증압된 압축공기의 배출시 악취흡입관으로부터 악취를 흡입하여 배출안내되도록 하는 증압배출기 및 일단이 상기 증압배출기의 배출 측에 연통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변기몸체의 배수관 내부로 연통연결되며, 증압배출기를 통해 배출안내되는 악취를 배수관 측으로 배출시키는 악취배출안내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악취흡입관의 흡입공은 고압으로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외광내협의 형상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증압배출기는 합성고무로 제작되어 내부에 관통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압축홈을 갖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고정블록과,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압축돌기를 갖고 상기 고정블록의 압축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돼있는 회전축과, 상기 고정블록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원통하우징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증압된 고압의 압축공기가 발생하여 증압된 압축공기의 배출시 악취흡입관으로부터 악취를 흡입하여 배출안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분쇄유닛은 상기 변기몸체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건물의 욕실 바닥에 함몰된 설치홈 내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쇄하우징과 메인분쇄커터와 보조분쇄커터와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분쇄유닛이 적용됨으로써 배수관 내의 막힘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악취흡입관, 공기압축기, 증압배출기, 악취배출안내라인을 포함하는 악취제거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변기의 사용시 환기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의 요부인 분쇄유닛을 나타낸 측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의 요부인 분쇄유닛을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에서, 분쇄유닛의 요부인 메인분쇄커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의 악취제거유닛에 대한 요부 변기시트, 고정클램프, 악취흡입관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의 악취제거유닛에 대한 요부인 증압배출기를 나타낸 요부 단면예시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에서, 분쇄유닛의 요부인 메인분쇄커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에서, 분쇄유닛의 요부인 메인분쇄커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11 및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요부인 분쇄유닛이 욕실 바닥콘크리트 부에 형성된 설치홈 내에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 및 정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의 요부인 분쇄유닛을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의 요부인 분쇄유닛을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에서, 분쇄유닛의 요부인 메인분쇄커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의 악취제거유닛에 대한 요부 변기시트, 고정클램프, 악취흡입관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의 악취제거유닛에 대한 요부인 증압배출기를 나타낸 요부 단면예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는 크게 분류하면, 변기몸체(100), 수조(200), 변기시트(300), 분쇄유닛(500) 및 악취제거유닛(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기몸체(100)는 공급수가 담겨져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후방 하측 내부에 공급수가 일정하게 유지되게하는 웨어(110)와 연통되어 배수관(120)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조(200)는 상기 변기몸체(100)의 후방 상측에 구비되어 변기몸체(100) 측으로 공급수를 공급하기 위해 저장 및 배수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변기시트(300)는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위해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변기 몸체(100)의 상단에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쇄유닛(500)은 상기 변기몸체(100)의 배수관(120) 내부 하측에 설치되며, 배수관(120)을 통해 배수되는 물에 내포된 이물질을 분쇄하여 하향 외부로 배출 안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악취제거유닛(700)은 상기 수조(200)와 변기시트(300)와 변기몸체에 걸쳐 설치되며, 변기시트(300)의 내측 하방을 통해 변기몸체(100)의 상부에 개방된 용변공간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용변시 선택적으로 흡입하여 배수관(120) 측으로 배출시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에서, 요부인 상기 분쇄유닛(500)은 크게 분류하면, 분쇄하우징(510)과, 메인분쇄커터(520)와, 보조분쇄커터(530) 및 구동모터(54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분쇄하우징(510)은 배수관(12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배수관(120)의 웨어(110)로부터 배수안내되는 이물질이 내포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511)를 가지며, 하부에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내포하는 물에 대하여 이물질을 분쇄한 상태로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구(512)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분쇄커터(520)는 상기 분쇄하우징(510)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축 설치되며, 분쇄하우징(510)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내포하는 물에 대하여 이물질을 분쇄시켜 배출구(512)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분쇄커터(530)는 상기 분쇄하우징(510)의 중앙부분에 내향 일정길이 돌출되게 구비되되, 상기 메인분쇄커터(520)의 양측과 일정간극을 가지도록 한 쌍으로 돌출되며, 메인분쇄커터(520)의 외주연과 분쇄하우징(510) 내부로 돌출되는 단부 사이의 간극을 통해 이물질이 분쇄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540)는 상기 분쇄하우징(510)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분쇄커터(520)와 회전축이 축 연결되며, 상기 메인분쇄커터(5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분쇄유닛(500)에서, 특히 상기 메인분쇄커터(520)는 일정길이를 갖는 기어 타입으로 제공되어, 원주방향으로 커터 날이 연이어 형성된 커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에서의 요부인 상기 악취제거유닛(700)은 크게 분류하면, 악취흡입관(710)과, 공기압축기(720)와, 증압배출기(730) 및 악취배출안내라인(7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악취흡입관(710)은 상기 변기시트(300)의 개방된 하부의 폭 방향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지게 설치고정되어 단부가 수조(200)의 후방 측으로 연장배치되며, 변기시트(300)의 폭 방향 내측과 대응되는 하부 일 측으로 변기몸체(100)의 개방 측으로부터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공(711)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악취흡입관(710)의 흡입공(711)은 고압으로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외광내협의 형상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기압축기(720)는 상기 수조(200)의 후방 상측에 배치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증압배출기(730)는 상기 공기압축기(720) 하측에 공기압축기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증압시켜 증압된 압축공기를 생성시키며, 하부 증압된 압축공기의 배출 측에 악취흡입관(710) 단부가 연통연결되어, 증압된 압축공기의 배출시 악취흡입관(710)으로부터 악취를 흡입하여 배출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악취배출안내라인(740)은 일단이 상기 증압배출기(730)의 배출 측에 연통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변기몸체(100)의 배수관(120) 내부로 연통연결되며, 증압배출기(730)를 통해 배출안내되는 악취를 배수관(120) 측으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악취제거유닛(700)에서의 요부로서, 특히 상기 증압배출기(730)는 합성고무로 제작되어 내부에 관통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압축홈(731a)을 갖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고정블록(731)과,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압축돌기(732a)를 갖고 상기 고정블록(731)의 압축홈(731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돼있는 회전축(732)과, 상기 고정블록(73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원통하우징(733)을 포함한다.
즉, 상기와 같은 증압배출기(730)는 상기 회전축(732)의 회전시 증압된 고압의 압축공기가 발생하여 증압된 압축공기의 배출시 악취흡입관(710)으로부터 악취를 흡입하여 배출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에서, 분쇄유닛의 요부인 메인분쇄커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다.
도 9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8을 참고하여 설명한 메인분쇄커터의 제1실시예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 도 1 내지 8을 함께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분쇄유닛에서의 메인분쇄커터(520)는 대형원판커터(521) 및 중형원판커터(5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형원판커터(521)는 분쇄하우징(510)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축 설치되되, 축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며, 일정크기를 갖는 원판 타입으로 형성되어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한 쌍으로 대향되어 돌출날(52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형원판커터(522)는 상기 대형원판커터(521)와 교번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축 상에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며, 상기 대형원판커터(521)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판 타입으로 형성되어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한 쌍으로 대향되어 돌출날(52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에서, 분쇄유닛의 요부인 메인분쇄커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다.
도 10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8을 참고하여 설명한 메인분쇄커터의 제1실시예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 도 1 내지 8을 함께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분쇄유닛에서의 메인분쇄커터(520)는 웨지형몸체(525)와, 분쇄가이드 바(526) 및 경사분쇄가이드 바(5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웨지형몸체(525)는 분쇄하우징(510)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축 설치되되, 원판 형 웨지타입으로 형성되어 축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쇄가이드 바(526)는 상기 웨지형몸체(525)의 평탄면인 일면에 외주연으로부터 중심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바 타입으로 돌출되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구비되며, 외면에 다수 개의 원추형 분쇄돌기(526a)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사분쇄가이드 바(527)는 상기 웨지형몸체(525)의 경사면인 타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평기어형 바 타입으로 돌출되며, 웨지형몸체(525)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외측 면에 외향 원추형으로 뾰족하게 분쇄돌기(527a)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메인분쇄커터(520)에서의, 상기 웨지형몸체(525)는 특히, 단면적이 넓은 일면 원주방향으로 일정두께를 가지고 직삼각형 날이 연이어지게 기어형 분쇄날(525a)이 더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웨지형몸체(525)는 원판 형 웨지타입으로 형성되어 축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되, 축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면과 타면이 대향되게 교번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요부인 분쇄유닛이 욕실 바닥콘크리트 부에 형성된 설치홈 내에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 및 정면 예시도이다.
도 11 및 12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는 도 1 내지 8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분쇄유닛(500)이 다른 구조로 변기몸체 외부에 설치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및 12를 참고하면, 분쇄유닛(500)은 변기몸체(100)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건물의 욕실 바닥에 함몰된 설치홈(10) 내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에 의하면, 분쇄하우징과 메인분쇄커터와 보조분쇄커터와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분쇄유닛이 적용됨으로써 배수관 내의 막힘현상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악취흡입관, 공기압축기, 증압배출기, 악취배출안내라인을 포함하는 악취제거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변기의 사용시 환기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설치홈
100: 변기몸체
110: 트랩 120: 배수관
200: 수조
300: 변기시트
500: 분쇄유닛
510: 분쇄하우징 511: 유입구
512: 배출구 520: 메인분쇄커터
521:대형원판커터 521a: 돌출날
522: 중형원판커터 522a: 돌출날
525: 웨지형몸체 525a: 기어형 분쇄날
526: 분쇄가이드 바 526a: 분쇄돌기
527: 경사분쇄가이드 바 527a: 분쇄돌기
530: 보조분쇄커터 540: 구동모터
700: 악취제거유닛
710: 악취흡입관 711: 흡입공
710a: 고정클램프 720: 공기압축기
730: 증압배출기 731: 고정블록
731a: 압축홈 732: 회전축
732a: 압축돌기 733: 원통하우징
740: 악취배출안내라인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공급수가 담겨져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후방 하측 내부에 공급수가 일정하게 유지되게하는 웨어(110)와 연통되어 배수관(120)이 구비되는 변기몸체(100);
    상기 변기몸체(100)의 후방 상측에 구비되어 변기몸체(100) 측으로 공급수를 공급하기 위해 저장 및 배수시키는 수조(200);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위해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변기 몸체(100)의 상단에 마련되는 변기시트(300);
    상기 변기몸체(100)의 배수관(120) 내부 하측에 설치되며, 배수관(120)을 통해 배수되는 물에 내포된 이물질을 분쇄하여 하향 외부로 배출 안내하는 분쇄유닛(500); 및
    상기 수조(200)와 변기시트(300)와 변기몸체에 걸쳐 설치되며, 변기시트(300)의 내측 하방을 통해 변기몸체(100)의 상부에 개방된 용변공간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용변시 선택적으로 흡입하여 배수관(120) 측으로 배출시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악취제거유닛(700)을 포함하고,
    상기 분쇄유닛(500)은,
    배수관(12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배수관(120)의 웨어(110)로부터 배수안내되는 이물질이 내포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511)를 가지며, 하부에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내포하는 물에 대하여 이물질을 분쇄한 상태로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구(512)를 가지는 분쇄하우징(510)과,
    상기 분쇄하우징(510)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축 설치되며, 분쇄하우징(510)의 유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내포하는 물에 대하여 이물질을 분쇄시켜 배출구(512)로 안내되도록 하는 메인분쇄커터(520)와,
    상기 분쇄하우징(510)의 중앙부분에 내향 일정길이 돌출되게 구비되되, 상기 메인분쇄커터(520)의 양측과 일정간극을 가지도록 한 쌍으로 돌출되며, 메인분쇄커터(520)의 외주연과 분쇄하우징(510) 내부로 돌출되는 단부 사이의 간극을 통해 이물질이 분쇄되도록 하는 보조분쇄커터(530) 및
    상기 분쇄하우징(510)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분쇄커터(520)와 회전축이 축 연결되며, 상기 메인분쇄커터(5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54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분쇄커터(520)는,
    상기 분쇄하우징(510)의 내부에 회전가능토록 축 설치되되, 원판 형 웨지타입으로 형성되어 축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는 웨지형몸체(525)와,
    상기 웨지형몸체(525)의 평탄면인 일면에 외주연으로부터 중심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바 타입으로 돌출되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구비되며, 외면에 다수 개의 원추형 분쇄돌기(526a)가 돌출형성되는 분쇄가이드 바(526) 및
    상기 웨지형몸체(525)의 경사면인 타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평기어형 바 타입으로 돌출되며, 웨지형몸체(525)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외측 면에 외향 원추형으로 뾰족하게 분쇄돌기(527a)가 돌출형성되는 경사분쇄가이드 바(5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형몸체(525)는 단면적이 넓은 일면 원주방향으로 일정두께를 가지고 직삼각형 날이 연이어지게 기어형 분쇄날(525a)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형몸체(525)는 원판 형 웨지타입으로 형성되어 축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되, 축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면과 타면이 대향되게 교번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8. 삭제
  9. 삭제
  10. 공급수가 담겨져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후방 하측 내부에 공급수가 일정하게 유지되게하는 웨어(110)와 연통되어 배수관(120)이 구비되는 변기몸체(100);
    상기 변기몸체(100)의 후방 상측에 구비되어 변기몸체(100) 측으로 공급수를 공급하기 위해 저장 및 배수시키는 수조(200);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위해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변기 몸체(100)의 상단에 마련되는 변기시트(300);
    상기 변기몸체(100)의 배수관(120) 내부 하측에 설치되며, 배수관(120)을 통해 배수되는 물에 내포된 이물질을 분쇄하여 하향 외부로 배출 안내하는 분쇄유닛(500); 및
    상기 수조(200)와 변기시트(300)와 변기몸체에 걸쳐 설치되며, 변기시트(300)의 내측 하방을 통해 변기몸체(100)의 상부에 개방된 용변공간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용변시 선택적으로 흡입하여 배수관(120) 측으로 배출시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악취제거유닛(700)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제거유닛(700)은,
    상기 변기시트(300)의 개방된 하부의 폭 방향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지게 설치고정되어 단부가 수조(200)의 후방 측으로 연장배치되며, 변기시트(300)의 폭 방향 내측과 대응되는 하부 일 측으로 변기몸체(100)의 개방 측으로부터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공(711)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형성되는 악취흡입관(710)과,
    상기 수조(200)의 후방 상측에 배치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압축기(720)와,
    상기 공기압축기(720) 하측에 공기압축기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증압시켜 증압된 압축공기를 생성시키며, 하부 증압된 압축공기의 배출 측에 악취흡입관(710) 단부가 연통연결되어, 증압된 압축공기의 배출시 악취흡입관(710)으로부터 악취를 흡입하여 배출안내되도록 하는 증압배출기(730) 및
    일단이 상기 증압배출기(730)의 배출 측에 연통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변기몸체(100)의 배수관(120) 내부로 연통연결되며, 증압배출기(730)를 통해 배출안내되는 악취를 배수관(120) 측으로 배출시키는 악취배출안내라인(740)을 포함하고,
    상기 증압배출기(730)는,
    합성고무로 제작되어 내부에 관통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압축홈(731a)을 갖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고정블록(731)과,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압축돌기(732a)를 갖고 상기 고정블록(731)의 압축홈(731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돼있는 회전축(732)과,
    상기 고정블록(73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원통하우징(733)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회전축(732)의 회전시 증압된 고압의 압축공기가 발생하여 증압된 압축공기의 배출시 악취흡입관(710)으로부터 악취를 흡입하여 배출안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11. 삭제
KR1020190139960A 2019-11-05 2019-11-05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KR102237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960A KR102237046B1 (ko) 2019-11-05 2019-11-05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960A KR102237046B1 (ko) 2019-11-05 2019-11-05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046B1 true KR102237046B1 (ko) 2021-04-06

Family

ID=75472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960A KR102237046B1 (ko) 2019-11-05 2019-11-05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046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348A (ja) * 1999-07-06 2001-01-23 Yuji Kawazu 用便装置
KR100456328B1 (ko) 2002-08-07 2004-12-03 주식회사 테슬라 스테핑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
KR20110082113A (ko) * 2011-05-23 2011-07-18 (주)제이하우스 발생할 때마다 바로 처리하는 수세식 가정오물처리장치
KR101058923B1 (ko) * 2010-12-14 2011-08-24 최진태 좌변기용 탈취 장치
KR101166163B1 (ko) * 2011-10-19 2012-07-18 (주)로지탑 분쇄기의 분쇄 칼날 장치
KR101319834B1 (ko) * 2013-08-29 2013-10-29 유수철 변기용 악취제거장치
KR20130124021A (ko) 2012-05-04 2013-11-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세식좌변기용 분쇄장치
KR101556448B1 (ko) 2013-12-12 2015-10-01 박정주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KR101745857B1 (ko) 2015-07-30 2017-06-09 김상규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101760683B1 (ko) 2017-04-03 2017-07-24 주식회사 한성종합상사 악취 제거 기능이 구비된 위생 변기
KR101841104B1 (ko) 2017-04-13 2018-03-22 임진택 악취제거 변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0348A (ja) * 1999-07-06 2001-01-23 Yuji Kawazu 用便装置
KR100456328B1 (ko) 2002-08-07 2004-12-03 주식회사 테슬라 스테핑모터의 리드 스크류 결합장치
KR101058923B1 (ko) * 2010-12-14 2011-08-24 최진태 좌변기용 탈취 장치
KR20110082113A (ko) * 2011-05-23 2011-07-18 (주)제이하우스 발생할 때마다 바로 처리하는 수세식 가정오물처리장치
KR101166163B1 (ko) * 2011-10-19 2012-07-18 (주)로지탑 분쇄기의 분쇄 칼날 장치
KR20130124021A (ko) 2012-05-04 2013-11-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세식좌변기용 분쇄장치
KR101319834B1 (ko) * 2013-08-29 2013-10-29 유수철 변기용 악취제거장치
KR101556448B1 (ko) 2013-12-12 2015-10-01 박정주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KR101745857B1 (ko) 2015-07-30 2017-06-09 김상규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101760683B1 (ko) 2017-04-03 2017-07-24 주식회사 한성종합상사 악취 제거 기능이 구비된 위생 변기
KR101841104B1 (ko) 2017-04-13 2018-03-22 임진택 악취제거 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8778B2 (ja) ジュース絞り器用の搾汁モジュール
JP2007217995A (ja) トイレ装置
WO2007094400A1 (ja) 排出ホース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トイレシステム
EP1889979A1 (en) Toilet device
KR102237046B1 (ko)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KR20130124021A (ko) 수세식좌변기용 분쇄장치
CN113195839A (zh) 食物处理器
JP6631773B2 (ja) 非据付け型水洗圧送式大便器装置
US4246665A (en) Non-polluting toilet system
DE60112299T2 (de) Pumpe mit integrierter zerkleinerungsvorrichtung
JP3821025B2 (ja) 圧送排水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送排水便器
KR102226339B1 (ko) 분쇄기능을 갖는 변기
JP2007239263A (ja) 簡易トイレ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KR20150068690A (ko)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KR102237045B1 (ko)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CN212129340U (zh) 一种可拆洗水槽防臭下水器
CN105040792B (zh) 一种排泄物处理装置中能粉碎排泄物的座便器
JP2018204219A (ja) トイレ装置
CN213268160U (zh) 一种处理餐厨垃圾的破碎装置
CN101328720A (zh) 便纸、卫生巾处理器
CN204849990U (zh) 一种排泄物处理装置中能粉碎排泄物的座便器
JPH07207730A (ja) 屎尿破砕圧送装置
CN217853179U (zh) 一种物理式通便器
US20100242162A1 (en) Toilet Stool Using Cyclone Type Sewage Purifier
CN213268185U (zh) 马桶粉碎排污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