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448B1 -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448B1
KR101556448B1 KR1020130154647A KR20130154647A KR101556448B1 KR 101556448 B1 KR101556448 B1 KR 101556448B1 KR 1020130154647 A KR1020130154647 A KR 1020130154647A KR 20130154647 A KR20130154647 A KR 20130154647A KR 101556448 B1 KR101556448 B1 KR 101556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toilet
pressing member
handle
clog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690A (ko
Inventor
박정주
Original Assignee
박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주 filed Critical 박정주
Priority to KR1020130154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44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의 트랩 내부를 가압하여 막힌 상태를 뚫을 수 있는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트랩이 마련된 양변기에 있어서, 양변기 몸체를 관통하여 트랩까지 연장 설치되고 상측에 손잡이가 달린 작동 부재와, 작동 부재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트랩 내의 오물을 가압하기 위한 가입 부재 및, 평상시 가압 부재가 트랩 상부에 위치하도록 양변기 몸체로부터 손잡이를 이격시켜 둘 수 있도록 이격부재가 구비된다.
상기의 가압 부재는 트랩의 상부 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의 가압 부재는 트랩 내의 오물 분쇄가 용이하도록 하면이 삼각형상으로 구현된다.
상기의 이격부재는 작동 부재에 끼워져 손잡이와 양변기 몸체 사이에 위치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양호하게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의 트랩 내에는 나선형 홈관이 더 설치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양변기의 트랩 내부를 가압하여 오물이나 이물질에 의한 막힘을 신속하게 뚫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습기가 많은 욕실 겸용 화장실에서 전기적으로 안전할 뿐 아니라 유지보수가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막힘 제거장치의 사용 후 가압 부재의 원위치로 트랩 관로가 평상시 개방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APPARATUS FOR SOLVING CLOGGED TOILET BOWL}
본 발명은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트랩 내부를 가압하여 막힌 상태를 뚫을 수 있는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걸터앉은 상태에서 대변을 볼 수 있는 변기로, 물탱크에 담긴 물의 수압을 이용해 대변을 정화조로 흘려보내게 된다.
이를 위하여 양변기는 대변을 보기 위한 공간과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관로를 U자 또는 S자 형태로 구부려 물이 고이도록 하는 트랩이 마련된다.
양변기의 트랩은 한꺼번에 많은 양의 대변이나 화장지 등의 이물질이 투입될 경우 쉽게 막히게 된다.
이와 같이 양변기가 막히는 경우, 사용자는 많은 양의 물을 일시에 쏟아붓거나 압축기 등을 사용하여 막힌 상태를 뚫게 된다.
그러나 많은 양의 물을 일시에 쏟아부을 경우 양변기 위로 넘쳐흐를 우려가 있고, 압축기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 후 세척 및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1798호(2010. 12. 07)에는 양변기의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 외부 기술자의 도움없이 사용자가 직접 용이하게 막힘을 해제할 수 있는 막힘해제기능 일체형 양변기가 개시된다.
동 공보를 참조하면, 종래 막힘해제기능 일체형 양변기는 내부에 일정 양의 저수물이 고이는 변기 몸체와, 변기 몸체로 저수물을 공급하도록 변기 몸체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는 수조와, 변기 몸체에 연통되어 하수구로 배출시키는 배출 통로를 포함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변기 몸체의 배출통로 일부에서 외부와 연통되거나 연통을 막기 위한 막힘해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변기 몸체로부터 고정구를 제거하고, 고정구가 제거된 구멍을 통해 막힘의 원인이 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막힘 현상을 해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막힘해제기능 일체형 양변기는 고정구를 풀어낸 순간 트랩 내부의 오수가 외부로 누수될 수 있고, 좁은 고정구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수거된 이물질을 재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양변기의 트랩 내부를 가압하여 막힌 상태를 뚫을 수 있는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트랩이 마련된 양변기에 있어서, 양변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트랩까지 연장 설치되고 상측에 손잡이가 달린 작동 부재와, 작동 부재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트랩 내의 오물을 가압하여 막힘을 해소할 수 있도록 트랩의 상부 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된 가압 부재 및, 평상시 가압 부재가 트랩 상부에 위치하도록 양변기 몸체로부터 손잡이를 이격시켜 두기 위한 이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트랩 내에 삽입 설치되되 가압 부재와 오물을 분리할 수 있도록 트랩과의 사이에 가압 부재를 수용하고 양단에 트랩의 내주면과 기밀하게 밀착되는 패킹이 마련된 튜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가압 부재는 트랩 내의 오물 분쇄가 용이하도록 하면이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이격부재는 작동 부재에 끼워져 손잡이와 양변기 몸체 사이에 위치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트랩 내에는 나선형 홈관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변기의 트랩 내부를 가압하여 오물이나 이물질에 의한 막힘을 신속하게 뚫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습기가 많은 욕실 겸용 화장실에서 전기적으로 안전할 뿐 아니라 유지보수가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막힘 제거장치의 사용 후 가압 부재의 원위치로 트랩의 관로가 평상시 개방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양변기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양변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의 다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의 가압 부재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용 막힘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용 막힘 제거장치는 대변을 보기 위한 공간(2)과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관로를 구부려 물이 고이도록 하는 트랩(3)이 마련된 양변기에 양호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용 막힘 제거장치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트랩(3)이 마련된 양변기에 있어서, 양변기 몸체(1)를 관통하여 트랩(3)까지 연장 설치되고 상측에 손잡이(11)가 달린 작동 부재(10)와, 작동 부재(10)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트랩(3) 내의 오물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 부재(20) 및, 평상시 가압 부재(20)가 트랩(3) 상부에 위치하도록 양변기 몸체(1)로부터 손잡이(11)를 이격시켜 둘 수 있도록 이격부재(30)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작동 부재(10)는 양변기 몸체(1)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여 하단부가 트랩(3) 내에 위치한다.
즉, 작동 부재(10)는 양변기 몸체(1)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론, 양변기 몸체(1)의 관통 부위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가압 부재(20)는 작동 부재(10)의 손잡이(11)가 양변기 몸체(1)로부터 이격 위치되는데, 손잡이(11)의 이격 높이만큼 트랩(3) 내에서 상승하여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부재(10)의 손잡이(11)가 양변기 몸체(1)로부터 이격 위치된 경우 가압 부재(20)가 트랩(3) 상부에 밀착되도록 하여 트랩(3) 내의 관로를 개방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압 부재(20)는 작동 부재(10)의 하단에 장착되어 작동 부재(10)의 작동에 따라 트랩(3)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녹이 슬지 않도록 합성수지재나 금속 중에서 재질이 선택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양변기의 트랩(3)이 막힌 경우 사용자는 작동 부재(10)의 손잡이(11)를 잡고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트랩(3) 내부를 가압한다.
이때, 작동 부재(10)의 하단에 장착된 가압 부재(20)가 트랩(3)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트랩(3) 내부의 오물 등을 가압하게 된다.
이로써, 트랩(3) 내에 막혀있는 이물질과 트랩(3) 사이에 이격이 발생하고 오물 덩어리가 흩어져 트랩(3) 내부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트랩(3) 내부의 막힘이 해소된 경우 양변기 몸체(1)로부터 작동 부재(10)의 손잡이(11)를 이격시켜 가압 부재(20)가 트랩(3)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평상시와 다름없이 양변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의 가압 부재(20)는 트랩(3)의 상부 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가압 부재(20)와 오물을 분리할 수 있도록 트랩(3)과의 사이에 가압 부재(20)를 수용하고 양단에 트랩(3)의 내주면과 기밀하게 밀착되는 패킹(51)이 마련된 튜브(50)가 더 구비된다.
즉, 가압 부재(20)는 트랩(3) 내부의 오수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트랩(3) 상부와 밀착되게 설치되고, 트랩(3) 내부로 유입된 오물 등이 가압 부재(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다.
또한, 양단의 패킹(51)이 트랩(3) 내주면과 기밀하게 밀착되는 튜브(50)가 트랩(3) 내부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가압 부재(20)는 튜브(50)와 트랩(3) 사이에 수용된다.
따라서 튜브(50) 내부로 유입된 오물 등이 가압 부재(20)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이때 가압 부재(20)가 튜브(50)에 의해 감싸진 상태이므로 오물이 가압 부재(20)와 트랩(3)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의 이격부재(30)는 작동 부재(10)에 끼워져 손잡이(11)와 양변기 몸체(1) 사이에 위치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양호하게 구현된다.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는 이격부재(30)는 나선형으로 감긴 스프링으로 손잡이(11)를 눌렀을 때 수축되어 작동 부재(10)의 하단부에 장착된 가압 부재(20)가 트랩(3) 중심부로 이동하고 손잡이(11)를 놓으면 복원력에 의해 양변기 몸체(1)로부터 손잡이(11)를 밀어올려 가압 부재(20)를 트랩(3) 상부로 위치시킴으로써 평상시 트랩(3) 관로를 개방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트랩(미도시) 내에는 나선형 홈관(40)이 더 설치되고, 트랩 부위의 오물 분쇄가 용이하도록 가압 부재(20)의 하면이 삼각형상으로 구현된다.
상세하게는, 가압 부재(20)는 하면이 삼각형상으로 뾰족하게 성형되어 적은 힘으로도 오물 덩어리를 분쇄할 수 있게 된다.
나선형 홈관(40)은 내면에 나선형으로 홈이 형성되어 오수 통과시 회전 수류(水流)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작동 부재(10)의 손잡이(11)를 잡고 상하방향으로 몇 번만 나선형 홈관(40) 내부를 가압하면 쉽게 트랩 부위의 막힘 현상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랩 내부에 나선형 홈관(40)이 설치되어 오물 배출시 회전 수류를 발생시켜 사이펀 작용의 극대화를 통해 흡인과 배출능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가압 부재(20)가 나선형 홈관(40)의 상부에 밀착 위치되더라도 나선형 홈에 의해 틈이 형성되어 가압 부재(20)와 나선형 홈관(40)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거나 오물의 잔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나선형 홈관(40)은 가압 부재(20)에 의한 충격의 흡수 및 굴곡진 트랩 내로의 삽입 설치가 용이하도록 고무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양변기 몸체
2 : 공간
3 : 트랩
10: 작동 부재
11: 손잡이
20: 가압 부재
30: 이격부재
40: 나선형 홈관
50: 튜브

Claims (5)

  1.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트랩이 마련된 양변기에 있어서,
    양변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트랩까지 연장 설치되고 상측에 손잡이가 달린 작동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트랩 내의 오물을 가압하여 막힘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트랩의 상부 곡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된 가압 부재 및,
    평상시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트랩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양변기 몸체로부터 상기 손잡이를 이격시켜 두기 위한 이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 내에 삽입 설치되되 상기 가압 부재와 오물을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트랩과의 사이에 상기 가압 부재를 수용하고 양단에 상기 트랩의 내주면과 기밀하게 밀착되는 패킹이 마련된 튜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트랩 내의 오물 분쇄가 용이하도록 하면이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와 상기 양변기 몸체 사이에 위치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 내에는 나선형 홈관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KR1020130154647A 2013-12-12 2013-12-12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KR101556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647A KR101556448B1 (ko) 2013-12-12 2013-12-12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647A KR101556448B1 (ko) 2013-12-12 2013-12-12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690A KR20150068690A (ko) 2015-06-22
KR101556448B1 true KR101556448B1 (ko) 2015-10-01

Family

ID=5351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647A KR101556448B1 (ko) 2013-12-12 2013-12-12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4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429Y1 (ko) * 2016-02-16 2017-01-23 이순호 막힘 해소장치를 갖는 양변기
KR102226339B1 (ko) 2019-11-05 2021-03-09 박권식 분쇄기능을 갖는 변기
KR102237046B1 (ko) 2019-11-05 2021-04-06 박권식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5803A (zh) * 2017-08-30 2018-08-10 蒋盘君 节能高效、能防止异味的蹲便器及其工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5099A (ja) * 2005-09-22 2007-04-05 Max Co Ltd 粉砕圧送装置および簡易トイレシステム
JP2008291647A (ja) 2008-09-08 2008-12-0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便器装置
KR101251858B1 (ko) 2012-02-06 2013-04-10 최준 자동 막힘 제거 기능을 갖는 양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5099A (ja) * 2005-09-22 2007-04-05 Max Co Ltd 粉砕圧送装置および簡易トイレシステム
JP2008291647A (ja) 2008-09-08 2008-12-0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便器装置
KR101251858B1 (ko) 2012-02-06 2013-04-10 최준 자동 막힘 제거 기능을 갖는 양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429Y1 (ko) * 2016-02-16 2017-01-23 이순호 막힘 해소장치를 갖는 양변기
KR102226339B1 (ko) 2019-11-05 2021-03-09 박권식 분쇄기능을 갖는 변기
KR102237046B1 (ko) 2019-11-05 2021-04-06 박권식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690A (ko) 201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448B1 (ko)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US9951503B2 (en) Odor trap device
WO2016184179A1 (zh) 带有碎发功能的地漏
KR101531110B1 (ko) 무동력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US20100089838A1 (en) Floor drain
US20140298579A1 (en) Plunger
KR100838406B1 (ko)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
US9234339B2 (en) Flush toilet with built-in unclogg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9695583B2 (en) Flush toilet with build-in one-way valve system for use in unclogging clogs and for efficient water-saving flush operations and related methods
KR101400086B1 (ko) 변기막힘 제거장치
US2077516A (en) Apparatus for cleaning drain pipes
KR101277772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0945394B1 (ko) 세면대 배출구
KR101475500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누름장치
KR101459974B1 (ko) 양변기용 막힘 제거 장치
KR20100010818U (ko) 막힌 변기를 뚫기 위한 막힘제거 압력장치
KR101912041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
US8756721B1 (en) Toilet with built-in plunger
KR102111661B1 (ko) 막힘 제거장치를 갖는 양변기
CN105863037A (zh) 一种下水道盖板组件
KR200475101Y1 (ko) 변기용 펌프
KR101367809B1 (ko) 배수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물질 분쇄장치
KR101100365B1 (ko) 하수 배관 막힘 방지 및 뚫음 장치
EP3507427A1 (en) Shower drain fitting
KR102294900B1 (ko) 전자식 출수 밸브용 수동 출수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