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857B1 -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857B1
KR101745857B1 KR1020150108326A KR20150108326A KR101745857B1 KR 101745857 B1 KR101745857 B1 KR 101745857B1 KR 1020150108326 A KR1020150108326 A KR 1020150108326A KR 20150108326 A KR20150108326 A KR 20150108326A KR 101745857 B1 KR101745857 B1 KR 101745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supply pipe
water tank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4632A (ko
Inventor
김상규
Original Assignee
김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규 filed Critical 김상규
Priority to KR1020150108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857B1/ko
Priority to JP2018525333A priority patent/JP6693038B2/ja
Priority to PCT/KR2016/008444 priority patent/WO2017018866A1/ko
Priority to CN201680044808.7A priority patent/CN107923171B/zh
Publication of KR20170014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857B1/ko
Priority to US15/881,368 priority patent/US1064096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Abstract

본 발명은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수식 변기의 급수관이 관통되게 배치되고, 급수관의 상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되며, 일측면에는 밸브체를 구비한 직수관이 연결되고, 상면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소형 수조;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급수관을 개방하면서 회전 상승시 상기 공기구멍을 밀폐하도록 설계된 부레; 상기 소형 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흡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물에 잠기도록 배치되고, 흡입구는 급수관과 연결되게 설치된 아스피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APPARATUS OF STRAIGHT WATER SUPPLY TYPE TOILET BOWL}
본 발명은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와 세균을 흡입 제거하여 세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쾌적한 환경의 화장실을 만들 수 있도록 개선된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양변기를 말함)는 사람이 걸터앉아 용변을 보는 좌식형태의 서양식 수세 변기를 말한다.
이러한 변기는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앉는 좌대, 배설물을 공급수와 함께 정화조로 배출시키기 위한 변기몸체, 변기몸체의 일측 상단에 마련되어 공급수를 공급, 저장, 배수시켜 배설물을 정화조로 배출시키는 물탱크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은 변기는 용변시 사용자의 체내 배설기관(Eliminatory Organ)으로부터 배출되는 대, 소변을 임시 저장하였다가 배출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용변과 동시에 심한 악취를 풍기기 마련이고, 각종 병원균(Pathogenic Bacteria), 알려진 바로는 살모넬라균, 대장균, 쉬겔라, 글로스타리디움균 등이 번식하기 쉬우며, 특히 신체가 접촉하는 부위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단구균, 연쇄구균 등이 번식하는 것으로 발표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병원균은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위해를 가하기도 하는데, 이들 병원균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질환으로는 각종 피부질환, 호흡기질환 등이 될 수 있고, 사용시 심한 불쾌감을 준다.
이와 관련하여,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로 공개특허 제2004-0103432호, 공개특허 제2010-0049464호, 공개특허 제2010-0106892호, 등록특허 제0568252호, 등록실용 제0393220호 등 다수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개시된 기술들은 대부분 악취 제거나 병원균 제거를 위해 탈취하거나 혹은 살균, 멸균, 항균을 위한 수단으로 약품이나 자외선처리, 혹은 초음파세척 등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대됨에 반해 효과는 크지 않다는 단점을 가진다.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용변 후 변기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레버를 조작하여 배설물을 배출하는 방식으로 병원균들이 화장실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데, 이는 변기뚜껑을 덮었을 때 병원균의 퍼짐현상이 변기뚜껑을 덮지 않았을 때에 비해 2배 이상 줄어든다는 각종 보고서 및 매스컴을 통해 보고된 바에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매번 변기뚜껑을 덮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번거로움과 귀찮음으로 인해 변기뚜껑을 잘 덮지 않게 되고, 또 의식적으로 변기뚜껑을 덮는 행위를 해야 하는데 이를 쉽게 잊어버리기 때문에 사실상 변기뚜껑을 내리는 행위 자체도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다년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등록특허 제1502302호, 등록특허 제1382693호, 등록특허 제1409515호를 비롯하여 다수의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한편, 상술한 변기들은 모두 물탱크를 구비한 상태에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흘려 보내 배설물을 처리하는 방식이지만, 이는 물 낭비가 많고 수압이 약할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이와 달리 물탱크를 구비하지 않고 수도관을 직접 연결하여 필요시에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직수식 변기도 보편화되어 있다.
예컨대, 직수식 변기는 도 1의 예시와 같이, 변기몸체(10)의 후측에 변기몸체(1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20)이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20)에는 밸브체(30)를 매개로 수도관인 직수관(40)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용변 후 밸브체(30)에 구비된 레버(32)를 누름으로써 수도파이프에 걸려 있는 수압이 그대로 작용하면서 물이 공급되어 배설물을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설명하였듯이, 간단하고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며 수압이 높아 배출능력도 뛰어난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이와 같은 직수식 변기의 경우에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물탱크식의 경우에는 물탱크를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지만, 직수식은 물탱크가 없기 때문에 기껏해야 등록특허 제1058923호나 혹은 일본공개특허 제1996-277563호에 나타나 있는 착탈형 탈취장치 정도 밖에 구현할 수 없다.
그러나, 개시된 착탈형은 변기몸체에 떼었다 붙였다 하는 구조이므로 착좌시 매우 불편하고, 외관이 불량하며, 특히 남성의 경우 서서 소변을 소게 되는데 그때 비산되는 소변이 묻게 되므로 위생상으로 청결하지 못한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설치 사용이 쉽고 편리하며 저렴한 비용을 제조할 수 있으면서 악취 및 병원균 제거 효과가 우수하여 인체를 보호하고, 화장실 사용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직수식 변기의 급수관이 관통되게 배치되고, 급수관의 상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되며, 일측면에는 밸브체를 구비한 직수관이 연결되고, 상면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소형 수조;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급수관을 개방하면서 회전 상승시 상기 공기구멍을 밀폐하도록 설계된 부레; 상기 소형 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흡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물에 잠기도록 배치되고, 흡입구는 급수관과 연결되게 설치된 아스피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부레의 일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의 상단에는 소형 수조의 천정면 접촉시 개방되면서 공기구멍과 연통되는 푸쉬형 체크밸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공의 하단에는 일방향 체크밸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수식 변기의 급수관이 관통되게 배치되고, 급수관의 상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되며, 일측면에는 밸브체를 구비한 직수관이 연결되고, 상면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소형 수조;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도록 설계된 부레; 상기 밸브체를 통해 공급되는 수압에 따라 상기 공기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수압밸브; 상기 소형 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흡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물에 잠기도록 배치되고, 흡입구는 급수관과 연결되게 설치된 아스피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수압밸브는 소형 수조의 천정면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고정하우징과, 상기 고정하우징의 하단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바닥판을 경계로 고정하우징과 분리된 원통형상의 저수하우징과,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여 설치된 개폐로드와, 상기 개폐로드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공기구멍을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로드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저수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수압판과, 상기 저수하우징과 연통되도록 바닥면을 관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밸브체의 밸브관 내부에 노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수압판에 의해 개폐되는 유압유도호스와, 상기 수압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 개재되는 개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수식 변기의 급수관이 관통되게 배치되고, 급수관의 상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되며, 일측면에는 밸브체를 구비한 직수관이 연결되고, 상면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소형 수조; 상기 밸브체를 통해 공급되는 수압에 따라 상기 급수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수압밸브; 상기 밸브체를 통해 공급되는 수압에 따라 상기 공기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수압밸브; 상기 소형 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흡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물에 잠기도록 배치되고, 흡입구는 급수관과 연결되게 설치된 아스피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수압밸브는 소형 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상,하면이 밀폐된 관상체와, 상기 관상체의 하단부 외주면 일측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밸브체의 밸브관 내부에 노출되게 연장된 수압발생호스와, 상기 수압발생호스가 연결된 지점보다 높은 위치의 관상체 내부에 설치된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과 상기 관상체의 천정면 사이에 개재된 가동스프링과, 상기 가동판의 하단면에 고정된 가동로드와, 상기 가동로드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관개폐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직수식 변기에서도 악취 제거 효과가 탁월하므로 세균과 악취의 번식을 막고, 용변 후 병원균이 화장실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쾌적한 화장실 사용환경을 제공하며,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설치 사용이 쉽고 편리하여 저렴한 비용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직수식 변기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가 설치된 직수식 변기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구성 및 설치예를 보이기 위해 일부 분해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또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는 변기본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변기본체(100)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구조를 그대로 가지며,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용변 후 남긴 배설물을 하수조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소형 수조(200)를 구비한다.
상기 소형 수조(200)는 기존 물탱크와 달리 크기가 상대적으로 현저히 작고, 직수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기존 물탱크와 차이가 있다.
때문에, 설치공간상 제약이 거의 없고, 물탱크식 변기의 장점과 직수식 변기의 장점만을 고루 갖춘 일종의 하이브리드 형태라고 이해하면 된다.
다만, 단순히 두 개를 일부 병합한 형태가 아니라, 직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량되었다는 점에서 명백히 새로운 발명인 바,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즉, 소형 수조(200)의 일측면에는 직수관(수도관)과 연결된 밸브체(300)가 연결 배관되고, 상기 밸브체(300)에는 레버(31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310)를 누르면 직수관의 수압이 그대로 걸린 채 물이 공급되어 소형 수조(200) 내부로 급수된다.
아울러, 상기 소형 수조(200)의 하단면에는 이를 관통하여 급수관(210)이 배관되고, 상기 급수관(210)의 하단은 변기본체(100)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급수관(210)의 상단은 상기 소형 수조(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것은 기존 물탱크식 변기와 완전히 다른 개념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소형 수조(200)의 바닥에 일정 높이의 물이 항상 차 있어야 하는 구조이고, 종래 물탱크식 변기에서는 물탱크의 바닥에 물이 잔수되지 않고 전량 배출되어야 수압을 충분히 얻을 수 있으므로 급수관의 상단이 물탱크의 바닥과 일치되게 배관되어야 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210)의 상단에는 이를 개폐하는 부레(2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소형 수조(200)의 천정면에는 내부압 해소를 위해 외부 공기를 도입할 수 있는 공기구멍(240)이 뚫려 있다.
한편, 상기 소형 수조(200) 내부에는 아스피레이터(Aspirator)(250)가 설치된다.
상기 아스피레이터(250)는 일종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유닛의 총칭으로서, 급수관(210)을 통해 변기본체(100)의 내부에 잔류하는 악취를 빨아들여 소형 수조(200)의 바닥에 일정 높이 저수되어 있는 물 속에 용해시킨 후 악취가 녹은 내부 공기의 일부는 공기구멍(240)을 통해 정화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유닛이다.
때문에, 상기 공기구멍(240)은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서, 아스피레이터(250)가 동작함으로 인해 소형 수조(200)의 내부압이 변하게 되는데, 변하는 내부압은 상기 공기구멍(240)을 통해 자연스럽게 벤트되면서 평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210)의 외주면 일부와 상기 아스피레이터(250)의 흡입구(252)는 연결관(254)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아스피레이터(250)의 하단에는 다수의 배출구(256)가 형성되며, 특히 상기 배출구(256)는 항상 물에 잠겨 있는 상태여야 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급수관(210)의 상단이 소형 수조(2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 배관되어 있으므로 그 이하의 높이까지는 항상 물이 차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아스피레이터(250)는 변기본체(100)의 일부에 사람의 체온을 검출하는 온도센서 혹은 사람의 접근을 검출하는 근접센서, 혹은 악취를 검출하는 센서(이를 테면 특정 냄새를 풍기는 성분이 일정 이상되면 동작하도록 검출하는 일종의 냄새센서) 등을 설치하고, 이들 센서의 검출신호를 받아 일정시간 동안 가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용변 후 물을 내릴 경우에도 부레(220)가 닫힌 후 일정시간 동안 가동되도록 회로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변기본체(100)에 앉고 용변이 시작되면 아스피레이터(250)가 동작된다.
그러면, 변기본체(100)의 내벽면 둘레에 뚫려 있는 물공급구(112)를 통해 악취가 흡입되며, 흡입된 악취는 급수관(210)으로 모인 후 연결관(254)을 타고 아스피레이터(250)를 거쳐 배출구(256)를 통해 소형 수조(200) 내부의 저수된 물 속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악취는 버블 형태로 물 속으로 방출되므로 표면적이 넓어 대부분은 순간적으로 용해되며, 이 과정에서 발생된 소형 수조(200) 내부의 압 변동은 공기구멍(240)을 통해 해소된다.
이후, 용변을 종료하고 레버(310)를 눌러 물을 내리게 되면 수도관으로부터 직수된 물은 소형 수조(200) 내부로 순식간에 유입되고, 동시에 부레(220)가 상승하며 수위가 급수관(210)의 상단을 넘어서게 되면 급수관(210)을 통해 물이 급속하게 빠져나가면서 배설물을 하수조로 배출시킨다.
이 과정에서 만약, 수위가 과다하게 높아질 경우 상승되는 부레(220)의 상단부는 소형 수조(200)의 천정면과 접촉하면서 공기구멍(240)을 밀폐하여 공기구멍(240)을 통해 물이 외부로 비산되지 못하도록 밀폐하게 되므로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물을 내릴 때에는 아스피레이터(250)의 구동은 정지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직수식에도 소형 수조(200)를 접목하여 하이브리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악취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흡입 제거할 수 있어 위생상, 건강상 매우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 도 4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부레(220)는 기존처럼 상기 급수관(210)에서 연장된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힌지고정될 수도 있고, 또는 소형 수조(200)의 양측 내벽에 힌지축이 고정되어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부레(220)의 선단(힌지축 반대단)에는 상하로 관통된 통기공(230)이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230)은 부레(220)가 부력을 크게 받았을 때는 닫혀 있고, 부력을 작게 받았을 때는 열리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통기공(230)의 상단에는 푸쉬형 체크밸브(CK1)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동작의 안정성을 위해 통기공(230)의 하단에도 공지의 체크밸브(CK2)를 더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푸쉬형 체크밸브(CK1)만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푸쉬형 체크밸브(CK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230)의 상단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베이스(400)와, 상기 고정베이스(400)를 관통하여 형성된 유동구멍(410)과, 상기 유동구멍(410)에 끼워지는 유동로드(420)와, 상기 유동로드(420)의 하단에 고정되는 밀폐판(430)과, 상기 고정베이스(40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캡(440)과, 상기 캡(440)의 둘레 일부에 천공 형성된 공기유출공(450)과, 상기 캡(440)의 내부 바닥면과 상기 밀폐판(430)의 하면 사이에 개재된 탄성스프링(4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형 체크밸브(CK1)의 작동을 위해 상기 공기구멍(240)은 도 4의 예시와 같이 원형 중앙에 다수의 리브(R)에 의해 지지되는 접촉판(P)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때문에, 푸쉬형 체크밸브(CK1)의 유동로드(420) 상단은 상기 접촉판(P)과 접촉하면서 눌리게 되므로 열리게 되고, 이때 공기구멍(240)을 통해 공급된 공기는 유동구멍(410), 공기유출공(450)을 거쳐 통기공(230)으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부레(220)가 상승하여 소형 수조(200)의 천정면, 더 정확하게는 접촉판(P)과 접촉하게 되면 눌리면서 통기공(230)이 개방되고, 그러면 소형 수조(200) 외측의 외부공기가 도입되어 부레(220) 하방으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그 만큼 부레(220)가 닫히는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다시 말해, 부레(220)의 닫힘을 지연시킨다.
이것은 밸브체(300)의 레버(310)를 너무 일찍 닫거나 혹은 수압 변동이 발생했을 때 최초 물공급시 수압보다 부레(220)가 상승한 후 수압이 떨어지게 되면 부레(220)는 순간적으로 하강하여 금새 닫혀버리므로 그럴 경우 배설물이 완전히 배출되기 전에 물 공급이 중단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충분히 배출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 경우를 예컨대 부력을 작게 받았을 때라고 하며, 최초 물 공급시 부레(220)가 강하게 상승하는 경우를 예컨대 부력을 크게 받았을 때라고 한다.
그리고, 체크밸브(CK2)가 더 설치된 경우라면, 체크밸브(CK2)는 하방향으로만 개방되고 역방향으로는 항상 닫혀 있는 밸브이므로 통기공(230)이 소형 수조(200)의 천정면과 접촉하면서 공기구멍(240)과 일치되게 되면 푸쉬형 체크밸브(CK1)가 열리면서 외부 공기가 도입되고, 접촉상태가 해제되면 푸쉬형 체크밸브(CK1)의 자체 스프링 탄성에 의해 통기공(230)이 닫히게 되는데 이때 소형 수조(200) 내부로 공급된 공기의 역류를 막게 된다.
물론, 앞서 설명하였듯이 통기공(230)에 푸쉬형 체크밸브(CK1) 및 체크밸브(CK2)가 없어도 되지만, 이들을 더 구비함으로써 불측의 사고, 이를 테면 밸브체(300)의 고장으로 과다한 수압이 걸릴 경우 통기공(230)과 공기구멍(240)을 통해 소형 수조(200) 내부의 물이 수조 밖으로 분출될 수 있는 개연성까지 완벽하게 방지하기 위해 이들을 구비하면 더욱 좋다.
이러한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또다른 한편, 다른 변형예로 도 6에서와 같이, 통기공(230)이 없는 부레(220)를 사용하면서 상술한 체크밸브(CK1) 대신 제1수압밸브(500)를 소형 수조(200)의 공기구멍(240) 하방에 설치하여 상기 공기구멍(240)을 제1수압밸브(500)가 직접 개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수압밸브(500)는 소형 수조(200)의 천정면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고정하우징(510)과, 상기 고정하우징(510)의 하단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고정하우징(510)과 바닥판(512)을 경계로 분리된 원통형상의 저수하우징(520)과, 상기 바닥판(512)을 관통하여 설치된 개폐로드(530)와, 상기 개폐로드(530)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공기구멍(240)을 개폐하는 개폐판(540)과, 상기 개폐로드(530)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저수하우징(520) 내부에 배치된 수압판(550)과, 상기 저수하우징(520)과 연통되도록 바닥면을 관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밸브체(300, 도 3 참조)의 밸브관 내부에 노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수압판(550)에 의해 개폐되는 유압유도호스(560)와, 상기 수압판(550)과 상기 바닥판(512) 사이에 개재되는 개폐스프링(5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레버(310)를 눌러 밸브체(300)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그때 물의 일부가 수압유도호스(560)를 타고 이동되고, 그때의 수압은 수압판(550)을 밀어 올리기에 충분한 압이기 때문에 수압판(550)은 개폐스프링(570)을 압축시키면서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개폐로드(530)가 올라가면서 개폐판(540)이 소형 수조(200)의 천정면에 밀착되면서 공기구멍(240)을 막아 과도한 물 공급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하우징(510)을 소형 수조(200)의 천정면에 고정하는 방식은 구체적으로 도시 하지 않았지만, 앞서 설명하였던 바와 같이 천청면에 돌출부를 만들고 그 돌출부에 나사체결되게 한다던지 혹은 별도의 브라켓으로 고정한다든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굳이 한정하지 않으며, 저수하우징(520)이 고정하우징(510)에 고정되는 방식도 마찬가지이다.
아울러, 미설명 부호 'AH'는 공기유동홀로서, 공기구멍(240)이 개방되었을 때 소형 수조(200)의 내부압을 해소하는 통로이다.
그리고, 아스피레이터(250) 등 그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다른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제2수압밸브(600)를 이용하여 부레(220)를 사용하지 않고 급수관(210)을 직접 개폐하는 방식으로도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압밸브(600)는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소형 수조(20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상,하면이 밀폐된 관상체(610)와, 상기 관상체(610)의 하단부 외주면 일측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밸브체(300, 도 3 참조)의 밸브관 내부에 노출되게 연장된 수압발생호스(620)와, 상기 수압발생호스(620)가 연결된 지점보다 높은 위치의 관상체(610) 내부에 설치된 가동판(630)과, 상기 가동판(630)과 상기 관상체(610)의 천정면 사이에 개재된 가동스프링(640)과, 상기 가동판(630)의 하단면에 고정된 가동로드(650)와, 상기 가동로드(650)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급수관(210)을 개폐하는 급수관개폐판(6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이 경우 공기구멍(240)의 개폐는 앞서 설명한 제1수압밸브(50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레버(310)를 눌러 밸브체(300)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그때 물의 일부가 수압발생호스(620)를 타고 이동되고, 그때의 수압은 가동판(630)을 밀어 올리기에 충분한 압이기 때문에 가동판(630)은 가동스프링(640)을 압축시키면서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가동로드(650)가 올라가면서 급수관개폐판(660)이 들어 올려지므로 결국 급수관(210)은 개방되고 이때, 이 급수관(210)을 통해 물이 공급되어 용변을 하수조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 레버(310)를 놓으면 물 공급이 끊기기 때문에 수압이 떨어지므로 결국 가동스프링(64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급수관(210)은 급수관개폐판(660)에 의해 밀폐된다.
아울러, 악취 제거 동작은 상기 급수관(210)이 밀폐되어 있는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210)의 외주면 일부와 아스피레이터(250)의 흡입구(252)는 연결관(254)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악취제거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100: 변기본체 200: 소형 수조
300: 밸브체

Claims (7)

  1. 직수식 변기의 급수관이 관통되게 배치되고, 일측면에는 밸브체를 구비한 직수관이 연결되며, 상면에는 내부압 해소를 위한 공기구멍이 형성된 소형 수조;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급수관을 개방하면서 회전 상승시 상기 공기구멍을 밀폐하도록 설계된 부레;
    상기 소형 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흡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물에 잠기도록 배치되고, 흡입구는 급수관과 연결되게 설치된 아스피레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급수관의 상단은 상기 소형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레의 일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의 상단에는 소형 수조의 천정면 접촉시 개방되면서 공기구멍과 연통되는 푸쉬형 체크밸브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의 하단에는 일방향 체크밸브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4. 직수식 변기의 급수관이 관통되게 배치되고, 급수관의 상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되며, 일측면에는 밸브체를 구비한 직수관이 연결되고, 상면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소형 수조;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도록 설계된 부레;
    상기 밸브체를 통해 공급되는 수압에 따라 상기 공기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수압밸브;
    상기 소형 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흡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물에 잠기도록 배치되고, 흡입구는 급수관과 연결되게 설치된 아스피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수압밸브는 소형 수조의 천정면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고정하우징과, 상기 고정하우징의 하단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바닥판을 경계로 고정하우징과 분리된 원통형상의 저수하우징과,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여 설치된 개폐로드와, 상기 개폐로드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공기구멍을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로드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저수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수압판과, 상기 저수하우징과 연통되도록 바닥면을 관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밸브체의 밸브관 내부에 노출되게 연장되고 상기 수압판에 의해 개폐되는 유압유도호스와, 상기 수압판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 개재되는 개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6. 직수식 변기의 급수관이 관통되게 배치되고, 급수관의 상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도록 설계되며, 일측면에는 밸브체를 구비한 직수관이 연결되고, 상면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소형 수조;
    상기 밸브체를 통해 공급되는 수압에 따라 상기 급수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수압밸브;
    상기 밸브체를 통해 공급되는 수압에 따라 상기 공기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수압밸브;
    상기 소형 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흡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물에 잠기도록 배치되고, 흡입구는 급수관과 연결되게 설치된 아스피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수압밸브는 소형 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상,하면이 밀폐된 관상체와, 상기 관상체의 하단부 외주면 일측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밸브체의 밸브관 내부에 노출되게 연장된 수압발생호스와, 상기 수압발생호스가 연결된 지점보다 높은 위치의 관상체 내부에 설치된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과 상기 관상체의 천정면 사이에 개재된 가동스프링과, 상기 가동판의 하단면에 고정된 가동로드와, 상기 가동로드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관개폐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1020150108326A 2015-07-30 2015-07-30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101745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326A KR101745857B1 (ko) 2015-07-30 2015-07-30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JP2018525333A JP6693038B2 (ja) 2015-07-30 2016-08-01 便器の悪臭除去装置
PCT/KR2016/008444 WO2017018866A1 (ko) 2015-07-30 2016-08-01 변기 악취제거장치
CN201680044808.7A CN107923171B (zh) 2015-07-30 2016-08-01 便器除臭装置
US15/881,368 US10640963B2 (en) 2015-07-30 2018-01-26 Apparatus for removing bad odor from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326A KR101745857B1 (ko) 2015-07-30 2015-07-30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632A KR20170014632A (ko) 2017-02-08
KR101745857B1 true KR101745857B1 (ko) 2017-06-09

Family

ID=5815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326A KR101745857B1 (ko) 2015-07-30 2015-07-30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8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045B1 (ko) 2019-11-05 2021-04-06 박권식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KR102237046B1 (ko) 2019-11-05 2021-04-06 박권식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WO2022055213A1 (ko) * 2020-09-08 2022-03-17 김유성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643B1 (ko) * 2017-11-28 2019-09-23 김상규 변기 악취제거장치
CN108222132B (zh) * 2018-01-13 2024-04-05 谷力(厦门)科技有限公司 一种进排水一体控制阀
KR102626578B1 (ko) * 2020-12-04 2024-01-19 (주)수테크놀로지 직수식 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661B1 (ko) 2006-11-15 2008-01-28 이세환 절수형 양변기
KR101409515B1 (ko) * 2013-07-29 2014-06-19 김상규 위생 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661B1 (ko) 2006-11-15 2008-01-28 이세환 절수형 양변기
KR101409515B1 (ko) * 2013-07-29 2014-06-19 김상규 위생 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045B1 (ko) 2019-11-05 2021-04-06 박권식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KR102237046B1 (ko) 2019-11-05 2021-04-06 박권식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WO2022055213A1 (ko) * 2020-09-08 2022-03-17 김유성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632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857B1 (ko)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101382693B1 (ko)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변기 에어커튼 장치
KR101409515B1 (ko) 위생 변기
US9890529B2 (en) Sanitary toilet
KR102023643B1 (ko) 변기 악취제거장치
KR20130002392A (ko) 탈취장치를 갖는 양변기
US10640963B2 (en) Apparatus for removing bad odor from toilet
KR101656137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JP2007285070A (ja) バキューム式トイレ装置
KR101502302B1 (ko) 위생 변기용 변기좌대
JP6693038B2 (ja) 便器の悪臭除去装置
KR20150142383A (ko) 변기 악취제거장치
US20060264813A1 (en) Aerated and deaerated intestinal irrigation apparatus
GB2589304A (en) Toilet system
JP4920488B2 (ja) リザーブタンクに装着された収納袋への汚物吸引装置
KR101098291B1 (ko) 악취 제거용 양변기
KR20180009299A (ko) 양변기용 탈취 장치
KR200447310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20160033487A (ko) 냄새 없는 절수형 소변기
KR200482587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JP5871476B2 (ja) トイレ装置
KR102169150B1 (ko) 직수식 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20140103621A (ko) 변기 에어커튼 장치
KR20020037578A (ko) 좌변기용 환기장치
KR200469658Y1 (ko) 양변기 악취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