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621A - 변기 에어커튼 장치 - Google Patents

변기 에어커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621A
KR20140103621A KR1020130017247A KR20130017247A KR20140103621A KR 20140103621 A KR20140103621 A KR 20140103621A KR 1020130017247 A KR1020130017247 A KR 1020130017247A KR 20130017247 A KR20130017247 A KR 20130017247A KR 20140103621 A KR20140103621 A KR 20140103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air
blower
suction chamber
ai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규
Original Assignee
김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규 filed Critical 김상규
Priority to KR1020130017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3621A/ko
Priority to CN201390001079.9U priority patent/CN205205983U/zh
Priority to US14/764,867 priority patent/US9890529B2/en
Priority to EP13875532.7A priority patent/EP2960386A4/en
Priority to BR112015019893A priority patent/BR112015019893A2/pt
Priority to JP2015559171A priority patent/JP6072309B2/ja
Priority to PCT/KR2013/011809 priority patent/WO2014129734A1/ko
Publication of KR2014010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에어커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변기본체(100), 용변시 배설물을 정화조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변기본체(100)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T), 상기 물탱크(T)로부터 공급된 물의 일부를 변기본체(100)의 내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도록 변기본체(100)의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된 공급수공급챔버(130)를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공급챔버(130)가 칸막이(200)에 의해 상하구획되어 형성된 공기흡입챔버(300); 상기 공기흡입챔버(3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 형성된 공기흡입구(310); 상기 공기흡입챔버(3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송풍기(400); 상기 공기흡입챔버(300)와 송풍기(400)를 연결하는 플렉시블관(4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에어커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균과 악취의 번식을 막고, 용변 후 병원균이 화장실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쾌적한 화장실 사용환경을 제공하며,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설치 사용이 쉽고 편리하여 저렴한 비용을 제조할 수 있어 보급형 제작에 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변기 에어커튼 장치{A AIR CURTAIN DEVICE OF TOILET BOWL}
본 발명은 변기 에어커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와 세균을 에어커튼 방식으로 흡입 제거하여 세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쾌적한 환경의 화장실을 만들 수 있도록 개선된 변기 에어커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양변기를 말함)는 사람이 걸터앉아 용변을 보는 좌식형태의 서양식 수세 변기를 말한다.
이러한 변기는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앉는 좌대, 배설물을 공급수와 함께 정화조로 배출시키기 위한 변기몸체, 변기몸체의 일측 상단에 마련되어 공급수를 공급, 저장, 배수시켜 배설물을 정화조로 배출시키는 물탱크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은 변기는 용변시 사용자의 체내 배설기관(Eliminatory Organ)으로부터 배출되는 대, 소변을 임시 저장하였다가 배출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용변과 동시에 심한 악취를 풍기기 마련이고, 각종 병원균(Pathogenic Bacteria), 알려진 바로는 살모넬라균, 대장균, 쉬겔라, 글로스타리디움균 등이 번식하기 쉬우며, 특히 신체가 접촉하는 부위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단구균, 연쇄구균 등이 번식하는 것으로 발표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병원균은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위해를 가하기도 하는데, 이들 병원균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질환으로는 각종 피부질환, 호흡기질환 등이 될 수 있고, 사용시 심한 불쾌감을 준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2004-0103432호, 공개특허 제2010-0049464호, 공개특허 제2010-0106892호, 등록특허 제0568252호, 등록실용 제0393220호 등 다수의 기술들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개시된 기술들은 대부분 악취 제거나 병원균 제거를 위해 탈취하거나 혹은 살균, 멸균, 항균을 위한 수단으로 약품이나 자외선처리, 혹은 초음파세척 등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대됨에 반해 효과는 크지 않다는 단점을 가진다.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용변 후 변기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레버를 조작하여 배설물을 배출하는 방식으로 병원균들이 화장실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데, 이는 변기뚜껑을 덮었을 때 병원균의 퍼짐현상이 변기뚜껑을 덮지 않았을 때에 비해 2배 이상 줄어든다는 각종 보고서 및 매스컴을 통해 보고된 바에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매번 변기뚜껑을 덮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번거로움과 귀찮음으로 인해 변기뚜껑을 잘 덮지 않게 되고, 또 의식적으로 변기뚜껑을 덮는 행위를 해야 하는데 이를 쉽게 잊어버리기 때문에 사실상 변기뚜껑을 내리는 행위 자체도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설치 사용이 쉽고 편리하며 저렴한 비용을 제조할 수 있으면서 악취 및 병원균 제거 효과가 우수하여 인체를 보호하고, 화장실 사용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변기 에어커튼 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변기본체(100), 용변시 배설물을 정화조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변기본체(100)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T), 상기 물탱크(T)로부터 공급된 물의 일부를 변기본체(100)의 내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도록 변기본체(100)의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된 공급수공급챔버(130)를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공급챔버(130)가 칸막이(200)에 의해 상하구획되어 형성된 공기흡입챔버(300); 상기 공기흡입챔버(3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 형성된 공기흡입구(310); 상기 공기흡입챔버(3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송풍기(400); 상기 공기흡입챔버(300)와 송풍기(400)를 연결하는 플렉시블관(4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에어커튼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변기본체(100) 혹은 변기본체(100)가 설치된 인접 벽체에는 사용자의 용변시작을 감지하여 상기 송풍기(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감지센서(S)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S)는 수동식 온 오프스위치, 모션감지센서, 압력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송풍기(400)는 변기 내부에 내장하거나 혹은 외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송풍기(400)로부터 배출된 배관의 단부에는 기 설치된 환기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기포발생기가 더 설치되고, 상기 기포발생기는 상기 물탱크(T)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악취와 병원균을 용변과 함께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변기본체(100), 용변시 배설물을 정화조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변기본체(100)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T), 상기 변기본체(100)와 변기뚜껑 사이에 구비되어 착좌감을 완화시키는 좌대인 변기커버(500)를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커버(500)의 저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공기흡입챔버(300); 상기 공기흡입챔버(300)의 둘레를 따라 다수 형성된 공기흡입구(310); 상기 공기흡입챔버(3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송풍기(400); 상기 공기흡입챔버(300)와 송풍기(400)를 연결하는 플렉시블관(4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에어커튼 장치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송풍기(400)는 상기 변기커버(500)의 후측 저면에 내장 혹은 매립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 단면을 갖는 소변기 본체,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벽면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를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 본체의 양단에서 서로 마주본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공기흡입구; 상기 공기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소변기 본체에 형성된 공기흡입챔버; 상기 공기흡입챔버와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 배출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에어커튼 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균과 악취의 번식을 막고, 용변 후 병원균이 화장실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쾌적한 화장실 사용환경을 제공하며,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설치 사용이 쉽고 편리하여 저렴한 비용을 제조할 수 있어 보급형 제작에 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에어커튼 장치가 구비된 변기를 일부 절개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 장치를 변기커버에 구현한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커튼 장치의 또다른 변형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에어커튼 장치는 변기본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변기본체(100)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구조를 그대로 가지며,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용변에 따른 배설물을 배수구(110)를 통해 하수조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설물을 하수조, 즉 정화조로 배출하는데 활용되는 물은 기존처럼 변기본체(10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된 물탱크(미도시)에 저장된 공급수를 공급받아 사용하며, 연결 구조는 기존과 동일하다.
특히, 용변시 튀는 이물 및 소변 등이 변기본체(100)의 내벽면에 묻기 때문에 이를 씻어낼 수 있도록 변기본체(100)의 상단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다수의 분사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분사구(120)는 공급수공급챔버(130)와 연결되며, 상기 공급수공급챔버(130)는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어 있어 공급수 공급시 함께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본 구조를 갖는 변기본체(100)의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일부를 개량 변형하여 에어커튼식 흡입 기능을 구현시켜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와 세관(병원균)을 흡입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변기는 용변시 혹은 용변 후 변기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신속히 흡입 배출함으로써 변기본체(100) 내부와 화장실 사이를 일시 차단하여 에어커튼 역할을 수행토록 함으로써 악취와 병원균이 실내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보다 쾌적하고 인체 유해성을 저감시킨 화장실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변기본체(100)는 공급수공급챔버(130)를 칸막이(200)를 통해 상하로 구획하여 공기흡입챔버(30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변기본체(100)의 상단 내측면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분사구(120)처럼 다수의 공기흡입구(31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구(310)는 상기 공기흡입챔버(300)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챔버(300)는 송풍기(40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송풍기(400)는 상기 변기본체(100)에 내장할 수도 있고, 아니면 예시된 바와 같이 변기본체(100) 외부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송풍기(400)의 구동전원은 화장실에 기설치된 환풍기(미도시) 구동전원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변기본체(100)의 공기흡입챔버(300)와 상기 송풍기(400)는 플렉시블관(41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공기흡입챔버(300) 내부의 공기를 상기 송풍기(400)로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테면 신축 화장실의 경우에는 상기 플렉시블관(410)을 벽체에 매립하는 형태로 시공하여 환풍구와 연결시킴이 바람직하고, 기존 화장실의 경우에는 플렉시블관(410)을 벽체 또는 천정을 따라 고정한 후 환풍구까지 배관함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 상기 플렉시블관(410)을 환풍구가 아닌 배설물 배출용 공급수를 저장하고 있는 물탱크(미도시) 내부로 인출한 다음 그 단부에 기포발생기(미도시)를 설치하여 용변시 흡입된 악취 및 병원균 등의 흡입공기를 물탱크 내부에서 기포 발생과 동시에 희석시켜 용변과 함께 정화조로 배출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악취 및 병원균을 물탱크로 인출하여 배출할 경우,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물탱크 내부에 잔류하고 있다가 용변과 함께 정화조로 배출처리되기 때문에 악취나 병원균이 화장실 실내로 유입될 확률이 극히 적어 환경적인 측면, 인체 무해성 측면에서 더욱 더 높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덧붙여, 상기 송풍기(400)의 구동은 용변 전, 용변시, 용변 후 선택사용할 수 있도록 스위치 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수동스위치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송풍기(400)를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수동스위치, 즉 통상적으로 알려진 온오프스위치 외에도 모션센서방식의 스위치, 압력센서 방식의 스위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스위치 수단을 구성하는 감지센서(S)는 물탱크(T) 상부의 벽체 상에 설치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수단의 종류에 따라 그에 합당하도록 설치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만약, 모션센서방식의 스위치일 경우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전원이 온 오프되도록 하여 송풍기(400)가 구동되거나 구동 정지하도록 제어되는 것이며, 압력센서 방식은 사용자가 변기본체(100)에 앉았을 때 그 압력을 감지하여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자동으로 송풍기(400)가 구동되도록 하고 압력이 해제되면 송풍기(40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때, 변기본체(100)에 앉았을 때 압력을 감지한다는 의미는 변기커버(좌대를 말함)에 앉았을 때 변기커버가 변기본체(100)의 상단면과 접촉하는 부위 또는 사람의 체중이 가해짐에 따라 스위치 부위에 매립된 압력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스위치 수단은 온도감지식 센서를 채용한 스위치일 수도 있는데, 이는 사람의 체온 범위를 감지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것으로 변기커버와 간섭되지 않는 범위의 변기본체(100) 일부에 온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착좌하면서 온도감지센서 근방으로 체온이 전달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스위치 수단은 상기 송풍기(400)의 전원라인과 연결되어 전원을 온 오프하는 형태로 직접 제어하는 방식일 수도 있고, 유선 혹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송풍기(400)를 온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유,무선 통신 방식의 스위칭 소자는 전자산업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것이기 때문에 설치시 선택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므로 굳이 본 발명에서는 제어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필요는 없어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송풍기(400)의 동작과 함께 상기 공급수공급챔버(130)로 세균멸균액이 함께 공급되게 하여 살균 혹은 멸균 기능도 함께 갖추도록 구성하면 더욱 좋다.
아울러, 상술한 기본 개념은 비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기본 개념은 소변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변을 위해 소변기로 접근시 공기를 분사하는 형태가 아니라 소변기 양측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소변시 발생되는 악취와 병원균을 흡입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공기를 분사하는 형태의 에어커튼일 경우 악취와 병원균을 더욱 더 멀리 그리고, 신속하게 퍼지도록 하여 실내 오염을 가중시키지만, 그와 정반대의 개념인 본 발명처럼 흡입식으로 구성할 경우 악취나 병원균이 퍼지는 것을 막게 된다.
만약, 소변기에 설치할 경우에는 '∩' 단면을 갖는 소변기의 양단에서 서로 마주본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둔 다수개의 공기흡입구를 구성하고, 이 공기흡입구와 연통되는 공기흡입챔버를 만든 후 공기흡입챔버와 송풍기를 연결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에어커튼 장치는 도 3과 같이 변기커버(500)에 그대로 적용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변기커버(500)는 변기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완전히 밀폐하는 변기뚜껑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변기본체(100)에 착좌할 때 차가움을 줄이고 안착성을 좋게 하기 위해 변기뚜껑과 변기본체 사이에 구비되는 좌대를 말한다.
예컨대, 변기커버(500)에 적용될 경우, 본 발명 에어커튼 흡입 구조를 갖춘 전용 커버를 구성할 수도 있고, 이미 시판된 기존 커버에 덧붙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전용 커버의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공기흡입챔버(300)를 커버 성형시 함께 성형하여 일체로 구성하는 형태가 되며, 여기에 다수의 공기흡입구(310)가 형성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기커버(500)에는 압력센서와 같은 감지센서(S)가 내장되어 착좌시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송풍기(400)가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풍기(400)는 변기커버(500)의 후측 하부에 내장 혹은 매립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존 커버에 부착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공기흡입챔버(300) 역할을 하도록 신축관(미도시)을 기존 커버의 저면에 부착하고, 이 신축관의 일부에 다수의 구멍을 뚫어 공기흡입구(310)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기존 커버의 저면 후측에 송풍기(400)를 부착한 후 상기 신축관과 연결시키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변기커버(500)에 설치되는 본 발명 에어커튼 장치는 도 4와 같이,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갖춘 유닛(600)으로 만들고, 이 유닛(600)을 단순히 변기커버(5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하면 더욱 더 편리하고 용이한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변기커버(500)에 흡입식 에어커튼 장치가 구현된 경우는 물론이고, 도 1,2와 같이 변기본체(100)에 흡입식 에어커튼 장치가 구현된 경우 모두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변기에 앉게 되면 이를 즉시 감지하고 송풍기(400)가 구동되면서 변기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흡입 배출하게 된다.
그러면, 용변과 동시에 유발되는 악취는 물론 병원균 등이 흡입되는 공기에 반송되어 함께 외부로 배출되면서 화장실 실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에어커튼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용변 시작과 함께 최고조에 달하던 악취 및 병원균은 급속히 감소하게 되고, 용변을 마칠 시점에서는 악취와 병원균의 퍼짐 현상이 거의 없게 된다.
때문에, 보다 쾌적환 화장실 환경을 구현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모두 자동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큰 불편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가족들의 건강을 좋게 하고, 각종 피부질환 등을 방지하며, 화장실 사용시 매번 변기뚜껑을 덮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사라지게 되어 국가 전체적으로 봤을 때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덧붙여, 이러한 구성은 비데에도 그대로 설치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변기본체 200: 칸막이
300: 공기흡입챔버 310: 공기흡입구
400: 송풍기 410: 플렉시블관
500: 변기커버

Claims (8)

  1. 변기본체(100), 용변시 배설물을 정화조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변기본체(100)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T), 상기 물탱크(T)로부터 공급된 물의 일부를 변기본체(100)의 내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도록 변기본체(100)의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된 공급수공급챔버(130)를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공급챔버(130)가 칸막이(200)에 의해 상하구획되어 형성된 공기흡입챔버(300);
    상기 공기흡입챔버(3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 형성된 공기흡입구(310);
    상기 공기흡입챔버(3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송풍기(400);
    상기 공기흡입챔버(300)와 송풍기(400)를 연결하는 플렉시블관(4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에어커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00) 혹은 변기본체(100)가 설치된 인접 벽체에는 사용자의 용변시작을 감지하여 상기 송풍기(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감지센서(S)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에어커튼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S)는 수동식 온 오프스위치, 모션감지센서, 압력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에어커튼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400)로부터 배출된 배관의 단부에는 기포발생기가 더 설치되고, 상기 기포발생기는 상기 물탱크(T)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된 악취와 병원균을 용변과 함께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에어커튼 장치.
  5. 변기본체(100), 용변시 배설물을 정화조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변기본체(100)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T), 상기 변기본체(100)와 변기뚜껑 사이에 구비되어 착좌감을 완화시키는 좌대인 변기커버(500)를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커버(500)의 저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공기흡입챔버(300);
    상기 공기흡입챔버(300)의 둘레를 따라 다수 형성된 공기흡입구(310);
    상기 공기흡입챔버(30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송풍기(400);
    상기 공기흡입챔버(300)와 송풍기(400)를 연결하는 플렉시블관(4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에어커튼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400)는 상기 변기커버(500)의 후측 저면에 내장 혹은 매립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에어커튼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변기커버(500)는 비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에어커튼 장치.
  8. '∩' 단면을 갖는 소변기 본체, 상기 소변기 본체의 내벽면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를 포함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 본체의 양단에서 서로 마주본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공기흡입구;
    상기 공기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소변기 본체에 형성된 공기흡입챔버;
    상기 공기흡입챔버와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 배출하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에어커튼 장치.
KR1020130017247A 2013-02-19 2013-02-19 변기 에어커튼 장치 KR20140103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247A KR20140103621A (ko) 2013-02-19 2013-02-19 변기 에어커튼 장치
CN201390001079.9U CN205205983U (zh) 2013-02-19 2013-12-18 卫生座便器
US14/764,867 US9890529B2 (en) 2013-02-19 2013-12-18 Sanitary toilet
EP13875532.7A EP2960386A4 (en) 2013-02-19 2013-12-18 Sanitary toilet
BR112015019893A BR112015019893A2 (pt) 2013-02-19 2013-12-18 vaso sanitário
JP2015559171A JP6072309B2 (ja) 2013-02-19 2013-12-18 衛生便器
PCT/KR2013/011809 WO2014129734A1 (ko) 2013-02-19 2013-12-18 위생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247A KR20140103621A (ko) 2013-02-19 2013-02-19 변기 에어커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621A true KR20140103621A (ko) 2014-08-27

Family

ID=5174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247A KR20140103621A (ko) 2013-02-19 2013-02-19 변기 에어커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36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6404A (zh) * 2019-03-04 2019-05-10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一种清洁马桶和排水阀组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6404A (zh) * 2019-03-04 2019-05-10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一种清洁马桶和排水阀组件
CN109736404B (zh) * 2019-03-04 2024-03-29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一种清洁马桶和排水阀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693B1 (ko)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변기 에어커튼 장치
KR101409515B1 (ko) 위생 변기
US9890529B2 (en) Sanitary toilet
KR101745857B1 (ko)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US20080301865A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101154576B1 (ko) 다기능 화장실
KR101502302B1 (ko) 위생 변기용 변기좌대
KR102023643B1 (ko) 변기 악취제거장치
KR102249345B1 (ko)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양변기
KR101656137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101358493B1 (ko) 소변기
KR102581203B1 (ko) 좌변기용 덮개
KR20140103621A (ko) 변기 에어커튼 장치
KR200432717Y1 (ko) 악취제거변기
KR20060088521A (ko) 좌변기의 냄새제거 장치
KR20090043779A (ko) 악취제거 및 건조공기 공급이 용이한 양변기용 비데
KR20150142383A (ko) 변기 악취제거장치
KR200447310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JP6693038B2 (ja) 便器の悪臭除去装置
ES2288257T3 (es) Aparato extractor especifico para baños.
JP2008095414A (ja) 男子用床置型小便器における床面の乾燥・消臭装置
KR20190075873A (ko) 양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101898318B1 (ko)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
KR100654209B1 (ko) 변기용 악취 제거 장치
KR102169150B1 (ko) 직수식 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