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318B1 -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 - Google Patents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318B1
KR101898318B1 KR1020150172029A KR20150172029A KR101898318B1 KR 101898318 B1 KR101898318 B1 KR 101898318B1 KR 1020150172029 A KR1020150172029 A KR 1020150172029A KR 20150172029 A KR20150172029 A KR 20150172029A KR 101898318 B1 KR101898318 B1 KR 101898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wash water
discharge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814A (ko
Inventor
김상규
Original Assignee
김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규 filed Critical 김상규
Priority to KR1020150172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318B1/ko
Priority to PCT/KR2016/008444 priority patent/WO2017018866A1/ko
Priority to JP2018525333A priority patent/JP6693038B2/ja
Priority to CN201680044808.7A priority patent/CN107923171B/zh
Publication of KR2017006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814A/ko
Priority to US15/881,368 priority patent/US1064096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수형 2웨이 타입의 변기에서 용변 후 발생되는 악취가 화장실 내부로 퍼지기 전에 신속히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된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2-way type of toilet odor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변기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수형 2웨이 타입의 변기에서 용변 후 발생되는 악취가 화장실 내부로 퍼지기 전에 신속히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된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양변기를 말함)는 사람이 걸터앉아 용변을 보는 좌식형태의 서양식 수세 변기를 말한다.
이러한 변기는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앉는 좌대, 배설물을 공급수와 함께 정화조로 배출시키기 위한 변기몸체, 변기몸체의 일측 상단에 마련되어 공급수를 공급, 저장, 배수시켜 배설물을 정화조로 배출시키는 물탱크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은 변기는 용변시 사용자의 체내 배설기관(Eliminatory Organ)으로부터 배출되는 대, 소변을 임시 저장하였다가 배출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용변과 동시에 심한 악취를 풍기기 마련이고, 각종 병원균(Pathogenic Bacteria), 알려진 바로는 살모넬라균, 대장균, 쉬겔라, 글로스타리디움균 등이 번식하기 쉬우며, 특히 신체가 접촉하는 부위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단구균, 연쇄구균 등이 번식하는 것으로 발표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병원균은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위해를 가하기도 하는데, 이들 병원균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질환으로는 각종 피부질환, 호흡기질환 등이 될 수 있고, 사용시 심한 불쾌감을 준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 제2004-0103432호, 공개특허 제2010-0049464호, 공개특허 제2010-0106892호, 등록특허 제0568252호, 등록실용 제0393220호 등 다수의 기술들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개시된 기술들은 대부분 악취 제거나 병원균 제거를 위해 탈취하거나 혹은 살균, 멸균, 항균을 위한 수단으로 약품이나 자외선처리, 혹은 초음파세척 등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대됨에 반해 효과는 크지 않다는 단점을 가진다.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용변 후 변기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레버를 조작하여 배설물을 배출하는 방식으로 병원균들이 화장실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데, 이는 변기뚜껑을 덮었을 때 병원균의 퍼짐현상이 변기뚜껑을 덮지 않았을 때에 비해 2배 이상 줄어든다는 각종 보고서 및 매스컴을 통해 보고된 바에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매번 변기뚜껑을 덮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번거로움과 귀찮음으로 인해 변기뚜껑을 잘 덮지 않게 되고, 또 의식적으로 변기뚜껑을 덮는 행위를 해야 하는데 이를 쉽게 잊어버리기 때문에 사실상 변기뚜껑을 내리는 행위 자체도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변기 악취제거와 관련된 다수의 기술을 특허출원한 바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정부시책에 따라 절수형 변기들이 개시되고 있는데, 절수형 변기는 도기로 된 변기본체의 내부를 세척하는 용수를 배설물 배출용수와 다른 경로로 공급하여 용수의 낭비를 막도록 설계된 형태이다.
즉, 일반적인 변기는 물을 내리면 물탱크에 담겨져 있던 배출용수가 변기본체 내부로 쏟아져 내리면서 일부는 변기본체의 내벽면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세척수구멍을 통해 함께 흘러 내려 일부는 배설물을 변기하수구로 흘려 보내고 일부는 변기본체의 내벽면을 세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때문에, 이 구조에서는 세척수까지 감안하여 물탱크를 설계해야 하므로 배출용수의 낭비가 심해 갈수록 심화되는 물 부족 현상을 가속화시키는데 기여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절수형 변기가 개시된 것이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형태의 변기내 악취 제거기술이 많이 개발된 것에 반해, 이러한 구조에서의 악취제거 기술은 미약한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절수형 2웨이 타입의 변기에서 용변 후 발생되는 악취가 화장실 내부로 퍼지기 전에 신속히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된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플랩(120)의 개방에 따라 변기본체로 물탱크(100)에 저장된 배출용수를 공급하여 변기본체 내부의 배설물을 변기하수구로 배출시키는 배출수와, 변기본체의 내부 둘레에 형성된 세척수구멍으로 공급하는 세척수가 서로 분리된 유로를 통해 공급되도록 물탱크(100) 내부에 세척수연통챔버(150)를 구비한 절수형 2웨이 타입 변기의 악취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는 상기 플랩(120)의 개방에 따라 변기본체의 내부와 연결된 배출구로 공급되고;
상기 세척수는 상기 플랩(120) 개방시 일정시간 동안만 개방되는 세척수공급밸브(130)를 통해 세척수연통챔버(150)로 공급된 후 세척수연통챔버(150)와 연결된 세척수구멍으로 공급되며;
상기 물탱크(100) 내부에는 배출구가 배출용수 상에 침지된 상태로 배치되는 공기흡배출기(2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공급밸브(130)와 세척수연통챔버(150)를 연결하는 세척수공급관(140)에는 2방향 분배기(210)가 더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2방향 분배기(210)의 분기관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공기흡배출기(200)의 흡입단에 접속되는 흡입관(230)을 더 구비하고;
상기 흡입관(230)의 길이 일부에는 상기 공기흡배출기(200)의 맥동 소음을 감쇄시키는 버퍼용 챔버(30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절수형 2웨이 타입의 변기에서 용변 후 발생되는 악취가 화장실 내부로 퍼지기 전에 신속히 흡입하여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의 설치예를 보인 변기 물탱크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하여 모식화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는 물탱크(100)를 포함한다.
상기 물탱크(100)는 절수형 변기에서 도기로 제조되는 변기본체에 배출용수를 공급하여 변기본체 내부의 배설물을 변기하수구로 배출시킬 때 사용되는 배출용수를 저장하는 수단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변기본체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수와, 배설물을 배출하는 배출수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공급되도록 이원화된 구조의 변기에 적용된다.
즉, 배출수는 레버(110)를 당기면 플랩(120)이 열려 플랩(120)이 막고 있던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변기본체 내부로 급속히 배출되면서 변기본체 내부의 배설물과 함께 변기하수구로 흘러 내려가게 된다.
한편, 세척수는 상기 배출수와 달리 플랩(120)이 열리는 순간 일정시간 동안만 개방되도록 하는 세척수공급밸브(130)를 통해 세척수공급관(140)으로 흘러가고, 세척수공급관(140)을 통해 물탱크(150) 상에 성형된 세척수연통챔버(150)를 거쳐 변기본체 내부의 둘레, 즉 림부에 형성된 다수의 세척수구멍(미도시)으로 흘러내림으로써 변기본체의 내벽면을 세척하게 된다.
다시 말해, 배출수가 배출되는 유로와, 세척수가 배출되는 유로가 서로 독립적으로 달리 구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절수형 변기는 세척수가 배출수와 별개의 유로를 통해 변기본체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던 세척수양을 줄이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160'은 오버플로우관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조의 변기에서 물탱크(100) 내부에 공기흡배출기(200)를 더 설치하여 변기 사용시 발생하는 악취를 신속하게 흡입제거함으로써 악취가 화장실 내부로 퍼지는 것을 막고, 사용자 자신도 자신의 용변에서 나는 악취를 최대한 덜 맡도록 하여 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척수공급관(140)의 단부에 2방향 분배기(210)를 끼워 고정한다.
상기 2방향 분배기(210)는 유체의 공급방향을 2방향으로 분기시키는 일반적인 방향전환밸브로서, 대략 'T'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일단은 세척수연통챔버(150)에 접속되고, 이와 직선을 이루는 타단은 상기 세척수공급관(140)에 접속되며, 이들의 중간에 형성된 분기관(220)에는 흡입관(230)이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230)은 상기 공기흡배출기(200)의 흡입단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흡배출기(200)의 배출단은 상기 물탱크(100)에 저수된 배출용수에 침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아울러, 상기 공기흡배출기(200)는 아스피레이터에 의해 흡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세척수공급관(140)은 배관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길이 일부에 주름관이 형성되어 있어 관을 구부리기 쉽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레버(110)를 눌러 물을 내린 경우가 아니라면 상기 세척수 공급밸브(130)는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공기흡배출기(200)가 가동하여 공기를 흡입할 때 상기 공기흡배출기(200)로 빨려 들어가는 공기는 오로지 상기 세척수연통챔버(150)와 연결된 세척수구멍(변기본체의 내벽면 둘레에 다수 형성되어 있음)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공기흡배출기(200)가 가동되면 변기본체 내부의 악취는 신속하게 흡입되어 상기 공기흡배출기(200)을 출구단을 통해 물탱크(100) 내부의 물속으로 퍼지면서 용해되면서 악취가 제거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간단한 구조만으로 절수형 변기의 악취를 신속히 제거할 수 있으므로 기술적 진보를 이룬 것은 사실이지만, 공기흡배출기(200)가 가동되면서 흡입, 배출에 따른 맥동이 발생하고, 그것이 변기본체인 도기를 타고 흐르면서 신경이 쓰일 정도의 소음을 야기시키는 문제를 동반하고 있으므로 쉽지 않다.
확인을 위해 측정해 본 결과, 공간의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적어도 68dB 이상이 측정되었는데, 이는 신경이 쓰일 정도의 소음에 해당한다.
이에, 본 출원인은 수많은 고민을 하던 중 맥동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챔버를 구성하는 방법을 동원하여 이를 해결하였는 바, 그것은 다음과 같다.
즉, 맥동 발생 자체는 공기흡배출기(200)가 모터를 이용한 일종의 펌프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상황이므로, 본 출원인은 흡입관(230)의 길이 일부에 버퍼용 챔버(300)를 연결 설치하였다.
이때, 상기 버퍼용 챔버(300)는 상기 흡입관(230) 보다는 넓은 면적의 공간을 갖는 다양한 형상의 밀폐용 부재이면 족하고, 상기 흡입관(230)의 길이 일부가 분절된 상태에서 각각이 상기 버퍼용 챔버(300)의 양단에 긴밀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공기흡배출기(200)가 구동되더라도 흡입관(230)의 관경보다 상대적으로 현저히 큰 공간을 갖는 버퍼용 챔버(300)에는 일정양의 유체가 항상 차 있기 때문에 흡입과 배출을 반복하는 짧은 구간 동안에서의 압력차에 의한 맥동은 버퍼용 챔버(300) 내부에서 상쇄되므로 소음이 그 만큼 현저히 줄어 들게 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버퍼용 챔버(3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소음측정기로 측정한 결과, 버퍼용 챔버(300)가 없을 때 68dB 였던 것이 평균 59dB까지 낮추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활용하게 되면 소음도 감쇄시키면서 절수형 변기에서 효과적으로 아주 단시간에 악취를 흡입 제거할 수 있어 쾌적하고 행복한 화장실 문화를 창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덧붙여, 공기흡배출기(200)의 구동은 사람의 체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나 혹은 사람의 접근을 검출하는 근접센서를 활용하여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물탱크 200: 공기흡배출기
300: 버퍼용 챔버

Claims (2)

  1. 플랩(120)의 개방에 따라 변기본체로 물탱크(100)에 저장된 배출용수를 공급하여 변기본체 내부의 배설물을 변기하수구로 배출시키는 배출수와, 변기본체의 내부 둘레에 형성된 세척수구멍으로 공급하는 세척수가 서로 분리된 유로를 통해 공급되도록 물탱크(100) 내부에 세척수연통챔버(150)를 구비한 절수형 2웨이 타입 변기의 악취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는 상기 플랩(120)의 개방에 따라 변기본체의 내부와 연결된 배출구로 공급되고;
    상기 세척수는 상기 플랩(120) 개방시 일정시간 동안만 개방되는 세척수공급밸브(130)를 통해 세척수연통챔버(150)로 공급된 후 세척수연통챔버(150)와 연결된 세척수구멍으로 공급되며;
    상기 물탱크(100) 내부에는 배출구가 배출용수 상에 침지된 상태로 배치되는 공기흡배출기(2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공급밸브(130)와 세척수연통챔버(150)를 연결하는 세척수공급관(140)에는 2방향 분배기(210)가 더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2방향 분배기(210)의 분기관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공기흡배출기(200)의 흡입단에 접속되는 흡입관(230)을 더 구비하고;
    상기 흡입관(230)의 길이 일부에는 상기 공기흡배출기(200)의 맥동 소음을 감쇄시키는 버퍼용 챔버(30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
  2. 삭제
KR1020150172029A 2015-07-30 2015-12-04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 KR101898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029A KR101898318B1 (ko) 2015-12-04 2015-12-04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
PCT/KR2016/008444 WO2017018866A1 (ko) 2015-07-30 2016-08-01 변기 악취제거장치
JP2018525333A JP6693038B2 (ja) 2015-07-30 2016-08-01 便器の悪臭除去装置
CN201680044808.7A CN107923171B (zh) 2015-07-30 2016-08-01 便器除臭装置
US15/881,368 US10640963B2 (en) 2015-07-30 2018-01-26 Apparatus for removing bad odor from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029A KR101898318B1 (ko) 2015-12-04 2015-12-04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814A KR20170065814A (ko) 2017-06-14
KR101898318B1 true KR101898318B1 (ko) 2018-09-12

Family

ID=59218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029A KR101898318B1 (ko) 2015-07-30 2015-12-04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31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9897Y2 (ko) * 1986-05-09 1992-09-18
KR200451717Y1 (ko) * 2008-12-26 2011-01-07 주구환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814A (ko)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4431B2 (ja) 中央集積介護機器
KR101382693B1 (ko)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변기 에어커튼 장치
KR101409515B1 (ko) 위생 변기
US9890529B2 (en) Sanitary toilet
JP2017504739A (ja) 悪臭除去機能を有する水洗式腰掛便器
KR102023643B1 (ko) 변기 악취제거장치
KR101916890B1 (ko)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KR101656137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101898318B1 (ko)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
US10640963B2 (en) Apparatus for removing bad odor from toilet
KR101502302B1 (ko) 위생 변기용 변기좌대
KR20090043779A (ko) 악취제거 및 건조공기 공급이 용이한 양변기용 비데
KR20150142383A (ko) 변기 악취제거장치
JP6693038B2 (ja) 便器の悪臭除去装置
KR20190075873A (ko) 양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200447310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JP2551868Y2 (ja) 脱臭便器
KR20140103621A (ko) 변기 에어커튼 장치
KR101733445B1 (ko)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
CN109610594B (zh) 一种活氧洁厕消毒机及小便池
KR20240061025A (ko) 쾌변운동이 가능한 자동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8861697U (zh) 一种除臭气装置和马桶
KR20230137544A (ko) 음압 변기
CN212689112U (zh) 排便系统和排便设备
JP7312025B2 (ja) ユニット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