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025A - 쾌변운동이 가능한 자동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쾌변운동이 가능한 자동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61025A KR20240061025A KR1020220142227A KR20220142227A KR20240061025A KR 20240061025 A KR20240061025 A KR 20240061025A KR 1020220142227 A KR1020220142227 A KR 1020220142227A KR 20220142227 A KR20220142227 A KR 20220142227A KR 20240061025 A KR20240061025 A KR 202400610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toilet
- air
- container
- siph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60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584 sile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77903 Mon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9517 Pseudomonas aerugin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142 Salmone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768 Shige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1967 Staphylococcus aure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4017 Strept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94 reproduc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쾌변운동이 가능한 자동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켈할 때는 주로 냉수을 사용하는데, 가끔 온수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 냉수/온수 싯점을 음성 또는/및 LED로 알려주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쾌변운동이 가능한 자동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켈할 때는 주로 냉수을 사용하는데, 가끔 온수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 냉수/온수 싯점을 음성 또는/및 LED로 알려주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양변기를 말함)는 사람이 걸터앉아 용변을 보는 좌식형태의 서양식 수세 변기를 나타내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물을 이용하는 다른 타입의 변기도 포함한다.
이러한 변기는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배설물을 배출하는 탱크 방식과 수도관과 직접 연결되고 수압을 이용하여 배설물을 배출하는 직수 방식이 사용된다.
통상의 변기는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앉는 좌대, 배설물을 물과 함께 정화조로 배출시키기 위한 변기본체, 변기본체의 일측 상단에 마련되어 물을 공급, 저장, 배수시켜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시키는 물탱크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며, 도 1에 종래 변기(10)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표시와 같이, 변기는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앉을 수 있으며, 일정량의 물이 차있는 변기본체(20), 변기본체(20)의 하부로부터 외부의 정화조로 연결되어 배설물을 배출하는 사이펀 관(3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변기본체(20)로 물을 흘려보내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물탱크(40), 변기본체(20)의 상부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물탱크의 물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구(21) 및 변기본체(20)의 하부에서 사이펀 관(30)을 향하여 물탱크의 물을 분사하는 직수구(22)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변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변기의 레버를 조작하면, 물탱크(40)의 물이 복수의 분사구(21)를 통해 변기본체(20)로 유입되고, 이와 동시에 직수구(22)를 통해 물탱크(40)의 물이 사이펀 관(30) 측으로 분사되어 배설물이 사이펀 관(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사이펀 관(30)에서는 물을 강력하게 빨아들여 배출하는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 사이펀 현상은 일시에 배출되는 물의 흐름이 클수록 강하게 그리고 빠르게 작용됨은 공지의 일반적인 원리이다.
그러나 종래의 변기는 사이펀 현상이 자연적으로 발생될 때까지 많은 양의 물을 흘려보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사이펀 현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 구조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변기는 용변시 사용자의 체내 배설기관(Eliminatory Organ)으로부터 배출되는 대변 및 소변을 임시 저장하였다가 배출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용변과 동시에 심한 악취를 풍기기 마련이고, 각종 병원균(Pathogenic Bacteria), 알려진 바로는 살모넬라균, 대장균, 쉬겔라, 글로스타리디움균 등이 번식하기 쉬우며, 특히 신체가 접촉하는 부위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단구균, 연쇄구균 등이 번식하는 것으로 발표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병원균은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해를 가하기도 하는데, 이들 병원균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질환으로는 각종 피부질환, 호흡기질환, 생식기 계통의 질환 등이 될 수 있고, 사용시 심한 불쾌감을 준다.
이와 관련하여,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로 한국 공개특허 제2004-0103432호, 공개특허 제2010-0049464호, 공개특허 제2010-0106892호, 한국 등록특허 제0568252호, 한국 등록실용 제0393220호 등 다수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개시된 기술들은 대부분 악취 제거나 병원균 제거를 위해 탈취하거나 혹은 살균, 멸균, 항균을 위한 수단으로 약품이나 자외선처리, 혹은 초음파세척 등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대됨에 반해 효과는 크지 않다는 단점을 가진다.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용변 후 변기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레버를 조작하여 배설물을 배출하는 방식으로 병원균들이 화장실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데, 이는 변기뚜껑을 덮었을 때 병원균의 퍼짐현상이 변기뚜껑을 덮지 않았을 때에 비해 2배 이상 줄어든다는 각종 보고서 및 매스컴을 통해 보고된 바에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매번 변기뚜껑을 덮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번거로움과 귀찮음으로 인해 변기뚜껑을 잘 덮지 않게 되고, 또 의식적으로 변기뚜껑을 덮는 행위를 해야 하는데 이를 쉽게 잊어버리기 때문에 사실상 변기뚜껑을 내리는 행위 자체도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며,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켈할 때는 주로 냉수을 사용하는데, 가끔 온수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 냉수/온수 싯점을 음성 또는/및 LED로 알려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변기본체; 상기 변기본체의 내부에서 용변과 함께 배출될 수 있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하는 물 저장수단; 상기 변기본체의 하부와 외부의 정화조 사이에 연결되어 물과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는 사이펀 관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펀 관의 내부에는 물이 배출되지 않는 평상시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물 배출수단; 및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공통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통과 사이펀 관의 공기층을 연락하도록 공기흡입호스가 설치되어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순간에 상기 진공통 내부에서 발생하는 읍압에 의해 상기 사이펀 관의 공기층에 잔존하는 공기를 상기 공기흡입호스를 통해 진공통의 내부로 흡입하여 상기 사이펀 관의 내부에서 사이펀 현상을 가속화될 수 있게 하는 사이펀현상 가속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 저장수단은: 상기 수조의 내부를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부에는 사이펀현상 가속화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2공간부에는 변기본체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악취제거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악취제거수단은: 상기 제2공간부에 설치되어 물이 저장되는 악취제거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제거통은 흡입구 및 흡입구로부터 공급된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배출구는 악취제거통 내에 저수된 물에 침지된 상태에서 공기를 배출하고, 감지수단 및 제어부의 동작에 의거 동작되는 공기 흡/배출수단; 및 상기 공기 흡/배출수단의 동작 중에 악취제거통의 내부압을 일정하게 해소하여 배압을 제거할 수 있도록 악취제거통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기구멍을 포함하는 내부압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변기를 세척하는 세척수를 변기본체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세척수 구멍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하는 물 저장수단; 상기 변기본체의 하부와 외부의 정화조 사이에 연결되어 물과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는 사이펀 관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펀 관의 내부에는 물이 배출되지 않는 평상시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물 배출수단; 상기 수조의 내부에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 내부를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제1공간부에 설치되어 음압을 형성할 수 있는 진공통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통과 사이펀 관의 공기층을 연락하도록 공기흡입호스가 설치되어 상기 제1공간부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순간에 상기 진공통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상기 사이펀 관의 공기층에 잔존하는 공기를 상기 공기흡입호스를 통해 진공통 내부로 흡입하여 상기 사이펀 관의 내부에서 사이펀 현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 사이펀현상 가속화수단;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제2공간부에 설치되어 물의 일부가 저장되는 악취제거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제거통은 흡입구 및 흡입구로부터 공급된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배출구는 악취제거통 내에 저수된 물에 침지된 상태에서 공기를 배출하고, 감지수단 및 제어부의 동작에 의거 동작되는 공기 흡/배출수단; 및 상기 공기 흡/배출수단의 동작 중에 악취제거통의 내부압을 일정하게 해소하여 배압을 제거할 수 있도록 악취제거통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기구멍을 포함하는 내부압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의 하부에는 물교환용 제1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제1공간부의 물과 제2공간부의 물이 상기 물교환용 제1구멍을 통해 상호 교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악취제거통의 일측 하부에는 물교환용 제2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악취제거통의 내부에 저장되는 물이 상기 물교환용 제2구멍을 통해 악취제거장치 동작시에는 물이 배출되어 내부압을 해소하고, 악취제거장치 정시시에 물을 흡입하는 사인클을 통하여 물이 교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악취제거통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기구멍에는 소음기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흡/배출수단으로 아스피레이터(Aspirator) 혹은 기포발생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통은: 수조에 저장된 물의 일부가 진공통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도록 진공통의 하부가 개구되게 형성되어 수조 내에 저장된 물에 진공통의 하부가 침지되어 진공통의 상부가 수조 내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 상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통의 상부에는: 진공통의 내부공기는 진공통 외부로 배출되게 하고, 진공통의 외부공기는 진공통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펀 관은: 상기 변기본체의 하부로 연결되며 U자형 곡률을 이루게 형성되는 제1곡률부와, 상기 제1곡률부로부터 연결되며 C자형 곡률을 이루게 형성되는 제2곡률부와, 상기 제2곡률부로부터 연결되며 U자형 곡률을 이루게 형성되는 제3곡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곡률부와 제2곡률부가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제2곡률부와 제3곡률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내부에 각각 물이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2곡률부의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공기층이 형성되는 제2곡률부에 공기흡입호스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의하면, 본 발명은 쾌변운동이 가능한 자동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켈할 때는 주로 냉수을 사용하는데, 가끔 온수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 냉수/온수 싯점을 음성 또는/및 LED로 알려주어 사용자로 하여금, 냉수, 온수 사용시점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혼합수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혼합수 제어 장치의 블록(Block)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념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노즐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혼합수 제어 장치의 블록(Block)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념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노즐부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들은 직접적인 접촉이나 연결뿐만 아니라 구성과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통해 접촉이나 연결된 것도 같은 범위로 해석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주요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수조 내부에 진공통이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변기본체(1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기본체(100)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구조를 그대로 가지며,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용변 후 남긴 배설물을 정화조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물교환~” 또는 “물순환~” 표현은 실질적으로 같은 의미라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 저장수단(2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 저장수단(200)은 변기본체(100)의 내부에서 용변과 함께 배출될 수 있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2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210)에는 직수관(수도관)과 연결되어 수조 내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구(212)와, 상기 수조(210)에 저장된 물을 변기본체(100)의 내부로 배출할 수 있는 물 배출구(214)가 구비되며, 상기 물 배출구(214)를 제어하기 위한 레버(21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 공급구(212)와 물 배출구(214) 및 레버(216)는 통상의 변기 수조의 내부에 구비되는 기술로서, 상기 레버는 푸쉬형 또는 다른 장치로도 대체 가능하고, 개폐(open/close)를 위한 사용자 명령입력수단의 하나의 예이다. 즉, 물을 개폐하는 제어수단의 하나의 예이기에 다른 수단으로 대체 가능하기에 권리범위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 배출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 배출수단(300)은 수조(210)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면서 변기본체(100)의 내부를 세척할 때, 상기 변기본체(100)의 하부와 외부의 정화조(미도시) 사이에 연결되어 물과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는 사이펀 관(3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사이펀 관(310)의 내부에는 물이 배출되지 않는 평상시에 공기층(318)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의 변기에 설치되는 사이펀 관은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이나, 본 발명은 사이펀 관의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한, 상기 사이펀 관(310)의 구조는 상기 변기본체(100)의 하부로 연결되며 U자형 곡률을 이루게 형성되는 제1곡률부(312)와, 상기 제1곡률부(312)로부터 연결되며 C자형 곡률을 이루게 형성되는 제2곡률부(314)와, 상기 제2곡률부(314)로부터 연결되며 U자형 곡률을 이루게 형성되는 제3률부(31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곡률부(312)와 제2곡률부(314)가 연결되는 부위 및 상기 제2곡률부(314)와 제3률부(316)가 연결되는 부위의 내부에 각각 물이 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그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2곡률부(314)의 내부에 공기층(318)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층(318)이 형성되는 제2곡률부(314)에는 공기흡입호스(420)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물이 배출될 때 상기 사이펀 관(3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사이펀 현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이펀현상 가속화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펀현상 가속화수단(400)은 수조(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공통(410)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통(410)과 사이펀 관(310)의 공기층(318)을 연락하도록 호스를 포함하는 공기흡입수단(42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통(410)은 수조(210)에 저장된 물의 일부가 진공통(410)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도록 진공통(410)의 하부가 개구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조(210) 내에 저장된 물에 진공통(410)의 하부가 침지되어 진공통(410)의 상부가 수조 내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 상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진공통(410)의 내부 상측에는 물이 채워지지 않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통(410)의 상부에는 진공통(410)의 내부공기는 진공통 외부로 배출되게 하고, 진공통(410)의 외부공기는 진공통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4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크밸브(430)의 설치로 인해 상기 진공통(410)의 내부에 물이 채워질 때에는 진공통의 내부공기가 상기 체크밸브(4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통 내부에 물이 쉽게 채워지게 할 수 있고, 물이 배출될 때에는 체크밸브에 의해 진공통의 내부는 음압을 형성하여 상기 공기흡입호스(420)를 통해 상기 사이펀 관(310)에 잔존하는 공기를 빠르게 흡입할 수 있음으로, 사이펀 현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수조(210)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순간에 상기 진공통(4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읍압에 의해 상기 사이펀 관(310)의 공기층(318)에 잔존하는 공기를 상기 공기흡입호스(420)를 통해 진공통(410)의 내부로 흡입함에 의해 상기 사이펀 관(310)의 내부에서 사이펀 현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음으로, 물을 빠르게 배출할 수 있어 물의 흐름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기존 사이펀 방식에 비해 사용되는 물의 양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구조에 의거 사이펀의 내경을 크게 할 수 있어 변기의 막힘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수조(210)의 내부를 제1공간부(510)와 제2공간부(520)로 구획하는 격벽(5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격벽(500)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1공간부(510)에는 상기 사이펀현상 가속화수단(400)이 구비되고, 상기 격벽(500)에 의해 구획되는 제2공간부(520)에는 변기본체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악취제거수단(6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악취제거수단(600)은 상기 제2공간부(520)에 설치되는 악취제거통(610)을 포함하며, 상기 악취제거통(610)의 내부에 공기 흡/배출수단의 하나인 아스피레이터(Aspirator)(62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스피레이터(620)는 일종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유닛의 일반적이 총칭으로서, 변기본체(100)의 내부에 잔류하는 악취를 빨아들여 악취제거통(610)에 저장되어 있는 물속에서 용해되도록 한다.
따라서, 악취가 녹아 정화된 내부 공기의 일부는 정화된 공기배출구멍(612)또는/및 공기배출 소음기(640)를 통해 정화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유닛이다.
때문에, 상기 공기배출구멍(612)은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써, 공기 흡/배출수단인 아스피레이터(620)가 동작함으로 인해 악취제거통(610)의 내부압이 변하게 되는데(예들 들어 내부압이 증가하면 악취가 포함된 혼합가스가 흡입되지 아니함), 변하는 내부압은 상기 공기배출구멍(612)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되면서 평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악취제거통(610)의 내부압을 일정하게 해소하여 배압을 제거할 수 있는 내부압 조절수단의 하나이다.
즉, 상기 악취제거통(610)의 상부면에 내부압 해소를 위해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구멍(612)이 뚫려 있고, 이러한 공기구멍(612)이 내부압 조절수단의 하나이다.
또한, 상기 악취제거통(610)의 내부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악취제거통(610) 내부의 물을 교환하는 수단으로 물교환구멍(630)이 뚫려있다, 물 교환구멍(630)은 악취제거장치 동작시 악취제거통(610) 내부의 물을 배출하여 내부압을 해소하고, 악취제거장치 정지시 악취제거통(610)에 물을 흡입하여 물교환수단으로 활용된다.
또한, 상기 공기 흡/배출수단에는 흡입구(622) 및 배출구(624)가 구비되는데, 상기 흡입구(622)는 물 배출구에 연결호스(626)를 통해 아스피레이터(620)의 상부로 연결되고, 아스피레이터(620)의 하단을 포함하는 하부 측면에는 다수의 배출구(624)가 형성되어 빨아들인 악취를 악취제거통(610) 내에서 배출하며, 특히 배출구(624)는 항상 물에 잠겨 있는 상태여야 한다.
이러한 아스피레이터의 동작에 있어서, 동작을 위한 하나의 예로써 변기본체의 일부에 사람의 체온을 검출하는 온도센서 혹은 사람의 접근을 검출하는 근접센서, 혹은 악취를 검출하는 센서(이를테면, 특정 냄새를 풍기는 성분이 일정 이상되면 동작하도록 검출하는 일종의 냄새센서) 등을 설치하고, 이들 센서의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거 on/off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악취제거수단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사용자가 용변을 위해 변기본체(100)에 앉고 용변이 시작되면 아스피레이터(620)가 동작된다. 즉, 센서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과 제어부의 제어에 의거 아스피레이터(620)가 동작 가능하다.
그러면, 변기본체(100)의 내벽면에 뚫려 있는 물공급구 또는 세척수 구멍과 오버프로우관(미도시)을 통해 악취가 흡입되며, 흡입된 악취는 호스를 포함하는 연결수단(626)을 통해 아스피레이터(620)를 거쳐 배출구(624)를 통해 악취제거통(610) 내부의 저장된 물속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악취는 버블 형태로 물속으로 방출되므로 표면적이 넓어 대부분은 순간적으로 용해되며, 이 과정에서 발생된 악취제거통(610) 내부의 증가된 압력은 정화된 공기배출구멍(612)를 통해 해소된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구멍(612)에는 소음기(64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음기(640)의 설치로 인해 상기 공기 흡/배출수단의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줄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흡/배출수단으로 어항 등에 사용되는 기포발생기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변기몸체의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는 기포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격벽(500)의 하부에 물교환용 제1구멍(5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물교환용 제1구멍(530)은 상기 격벽(500)에 의해 구획되는 제1공간부(510)에 저장되는 물과 제2공간부(520)에 저장되는 물이 상기 물교환용 제1구멍(530)을 통해 상호 교환되게 하여 상기 공기 흡/배출수단이 구비되는 제2공간부의 물이 고여 섞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악취제거통(610)의 일측 하부에는 물교환용 제2구멍(6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물교환용 제2구멍(630)을 통해 상기 악취제거통(610)의 내부에 저장되는 물이 교환되게 하여 악취제거통 내의 물이 고여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물교환용 제1구멍(530)과 물교환용 제2구멍(630)을 통해 제2공간부(520)에 저장되는 물이 고여있지 않고 제1공간부(510)의 물과 교환되게 할 수 있다. 즉, 제1공간부(510)에 저장되는 물은 변기 세척을 위해 사용되는 물로서, 항상 배출되면 새로 저장되는데, 이때 제2공간부의 물이 물교환용 제1구멍(530)과 물교환용 제2구멍(630)을 통해 교환되게 하여 제2공간부(520)에 저장되는 물이 고여 악취가 발생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변기를 세척하는 세척수를 변기본체(100)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세척수 구멍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210)를 포함하는 물 저장수단(200)과, 상기 변기본체(100)의 하부와 외부의 정화조 사이에 연결되어 물과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하는 사이펀 관(310)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펀 관(310)의 내부에는 물이 배출되지 않는 평상시에 공기층(318)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물 배출수단(300)과; 상기 수조(210)의 내부에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 내부를 제1공간부(510)와 제2공간부(520)로 구획하는 격벽(500)과, 상기 격벽(500)에 의해 구획된 제1공간부(510)에 설치되어 음압을 형성할 수 있는 진공통(410)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통(410)과 사이펀 관(310)의 공기층을 연락하도록 호스를 포함하는 공기흡입수단(420)이 설치되어 상기 제1공간부(510)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순간에 상기 진공통(4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상기 사이펀 관(310)의 공기층에 잔존하는 공기를 상기 공기흡입호스(420)를 통해 진공통 내부로 흡입하여 상기 사이펀 관(310)의 내부에서 사이펀 현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 사이펀현상 가속화수단(400)과, 상기 격벽(500)에 의해 구획된 제2공간부(520)에 설치되어 물의 일부가 저장되는 악취제거통(610)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제거통(610)은 흡입구 및 흡입구로부터 공급된 악취를 포함하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배출구는 악취제거통 내에 저수된 물에 침지된 상태에서 공기를 배출하고, 감지수단 및 제어부의 동작에 의거 동작되는 공기 흡/배출수단, 및 상기 공기 흡/배출수단의 동작 중에 악취제거통(610)의 내부압을 일정하게 해소하여 배압을 제거할 수 있도록 악취제거통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구멍(612)과 하부에 설치되어있는 물 교환수단(630)을 포함하는 내부압 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장실 등 변기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 시설, 구조물 등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변기본체
200 - 물 저장수단
Claims (2)
- 변기본체;
상기 변기본체의 내부에서 용변과 함께 배출될 수 있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하는 물 저장수단;
노즐;
냉수, 온수의 제공상태를 보여줄 수 있는 LED를 포함하는 빛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쾌변운동이 가능한 자동세정장치.
- 변기본체;
상기 변기본체의 내부에서 용변과 함께 배출될 수 있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를 포함하는 물 저장수단;
노즐;
냉수, 온수의 제공상태를 알려줄 수 있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소리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쾌변운동이 가능한 자동세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2227A KR20240061025A (ko) | 2022-10-31 | 2022-10-31 | 쾌변운동이 가능한 자동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2227A KR20240061025A (ko) | 2022-10-31 | 2022-10-31 | 쾌변운동이 가능한 자동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1025A true KR20240061025A (ko) | 2024-05-08 |
Family
ID=9107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2227A KR20240061025A (ko) | 2022-10-31 | 2022-10-31 | 쾌변운동이 가능한 자동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61025A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3220B1 (ko) | 2001-03-23 | 2003-07-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Esd 보호용 반도체 장치 |
KR20040103432A (ko) | 2003-05-29 | 2004-12-08 | 김태형 | 비데좌변기 |
KR100568252B1 (ko) | 2005-10-07 | 2006-04-07 | 양승란 | 양변기의 탈취장치 |
KR20100049464A (ko) | 2008-11-03 | 2010-05-12 | 문재성 |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 |
KR20100106892A (ko) | 2009-06-03 | 2010-10-04 | (주)크로스디앤씨 | 세균 증식억제 및 용변물 튐 방지 장치 |
-
2022
- 2022-10-31 KR KR1020220142227A patent/KR20240061025A/ko unknow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3220B1 (ko) | 2001-03-23 | 2003-07-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Esd 보호용 반도체 장치 |
KR20040103432A (ko) | 2003-05-29 | 2004-12-08 | 김태형 | 비데좌변기 |
KR100568252B1 (ko) | 2005-10-07 | 2006-04-07 | 양승란 | 양변기의 탈취장치 |
KR20100049464A (ko) | 2008-11-03 | 2010-05-12 | 문재성 |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 |
KR20100106892A (ko) | 2009-06-03 | 2010-10-04 | (주)크로스디앤씨 | 세균 증식억제 및 용변물 튐 방지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2693B1 (ko) |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변기 에어커튼 장치 | |
KR101409515B1 (ko) | 위생 변기 | |
US20150354189A1 (en) | Sanitary toilet | |
US20040064884A1 (en) | Toiler odor blocking system | |
US10640963B2 (en) | Apparatus for removing bad odor from toilet | |
KR101908846B1 (ko) | 세정액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기 수조 | |
KR102023643B1 (ko) | 변기 악취제거장치 | |
KR100585485B1 (ko) |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 |
KR20240061025A (ko) | 쾌변운동이 가능한 자동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56137B1 (ko) |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 |
KR20230137544A (ko) | 음압 변기 | |
US20220205231A1 (en) | Toilet flush device fitting | |
JP7373244B2 (ja) | 超節水型洋式便器 | |
CN107923171B (zh) | 便器除臭装置 | |
KR20150142383A (ko) | 변기 악취제거장치 | |
US6823532B1 (en) | Malodor control systems for toilets | |
KR101898318B1 (ko) |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 | |
JPH09296495A (ja) | 真空水洗便器 | |
KR20230001389U (ko) | 악취제거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 | |
KR20190089256A (ko) | 냄새흡입장치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 |
JP7134741B2 (ja) | 泡発生装置及び便器装置 | |
JP5120825B2 (ja) | 便器と洗浄便座装置 | |
JPH08105095A (ja) | 臭気防止装置 | |
KR20180009299A (ko) | 양변기용 탈취 장치 | |
KR20140103621A (ko) | 변기 에어커튼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