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9464A -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9464A
KR20100049464A KR1020080109145A KR20080109145A KR20100049464A KR 20100049464 A KR20100049464 A KR 20100049464A KR 1020080109145 A KR1020080109145 A KR 1020080109145A KR 20080109145 A KR20080109145 A KR 20080109145A KR 20100049464 A KR20100049464 A KR 20100049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stool
co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성
Original Assignee
문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성 filed Critical 문재성
Priority to KR1020080109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9464A/ko
Publication of KR20100049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용변을 볼 수 있는 좌변기와, 용변을 볼 때 좌변기 내부에 항상 고여있는 물 또는 용변물이 좌변기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휴지를 제공 및 보관하는 휴지 제공장치와, 휴지 제공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각각의 휴지를 좌변기 내부로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작동시키고 휴지가 비어있는 상항을 알 수 있도록 하여주는 신호장치와, 사용자가 용변 후 좌변기 커버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할 수 있는 동작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남 녀의 구분없이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좌변기 내부에 항상 고여있는 물이나 용변물이 좌변기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줌으로 편안한 마음으로 용변을 볼 수 있으며, 신체 및 옷, 신발 등에 튀지 않도록 하여 줌으로 위생상으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용변 후 물을 내릴 때 발생되기 쉬운 세균의 퍼짐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109145
좌변기, 휴지 제공장치, 신호장치, 동작감지센서, 커버, 패드

Description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Going to stool the fried food prevention system which will bite}
본 발명은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남 녀의 구분없이 사용자가 용변을 보려할 때 휴지 제공장치를 통하여 좌변기내부에 항상 고여있는 물의 수면에 자동으로 휴지를 제공을 하여주기에 좌변기 내부의 물이나 용변물이 좌변기 외부로 튀어나와 신체 및 옷, 신발 등에 묻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인 면과 심적으로 안정된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안에 따르면 용변 후에 자동으로 좌변기의 커버가 닫히고 휴지를 제공하여 주기에 용변 후 물을 내릴 때 발생하는 각종 세균이 수증기와 함께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더불어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생리적인 현상은 불가항력인 것으로 가정에서든 직장에서든 공공장소에서든 용변은 해결해야 하는게 사실이다. 생리적인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화장실의 방문 시 우려되는 부분 중에 하나가 바로 좌변기 내에 항상 고여있 는 물과 용변물이 외부로의 튀어 신체 또는 옷, 신발 등에 묻는 것을 염두하지 않을 수 없다.
일반적으로 좌변기 내부에는 사용자의 용변을 인입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물이 항상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 후 새로이 보충되어 저장되어진다. 이는 용변을 볼 때 악취를 최소화하기 위한 장점이기도 하지만 이로 인한 문제점은 용변 시 떨어지는 내용물의 충격으로 인하여 좌변기 내에 고여 있는 물이 외부로 튀기도 한다. 일부 사용자는 이러한 점을 무시하고 사용하기도 하지만,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장지를 뜯어 좌변기 내의 수면위에 깔고 용변을 보기도 하지만 매우 불편하지 않을 수 없다.
좌변기 내부의 물이나 용변물의 튐으로 인하여 신체 또는 옷이나 신발 등에 묻게 되면 위생상으로의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악취의 발생으로 주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그래서 등록특허공보 10-0376186호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물 튀김 방지용 매트가 개발이 되어 좌변기의 매트에 설치하여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지만 이는 용변 시 마다 좌변기 매트위에 설치를 해야 하는 불편함과, 공공장소 등과 같이 여러사람이 사용을 하는 곳에서 용변을 보려할 경우에는 휴대 소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각종 조사보고서 및 매스컴을 통해 보고된 바에 의하면, 용변 후에 변기 커버를 닫지 않고 물을 내릴 경우에는 변기 주변으로 튀는 물들이 온 집안을 세균으로 번식시키는 원인이 되며, 변기 커버를 닫지 않고 물을 내릴 경우에는 변기 커버를 닫았을 때와 비교 시 약 2배 이상의 세균이 퍼진다는 것을 시사한 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좌변기 일측부분에 휴지 제공 장치를 설치, 구비하여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좌변기 내부의 물이나 용변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용변 후 물을 내릴 때 세균의 퍼짐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는, 남 녀 구분 없이 생리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좌변기와, 좌변기 내부에 항상 고여 있는 물의 수면부분에 휴지를 제공 및 보관하는 휴지 제공장치와, 상기 휴지 제공장치에 보관되어있는 각각의 휴지를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호장치와, 용변 후 좌변기 커버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할 수 있는 동작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변기는 남 녀가 구분되어 사용하는 구조의 좌변기나, 남 녀 구분없이 모두 사용이 가능한 좌변기에도 설치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휴지 제공장치는 가정 및 직장, 공공장소 등의 좌변기에 구분없이 설치가 가능하도록 제작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휴지 제공장치는 좌변기의 일측부분에 설치가 되어지며 간단한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휴지 제공장치에서 배출되어지는 휴지는 변기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의 흡수가 잘 되어지는 재질로 선택이 되어 제작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지 제공장치의 휴지는 좌변기 내부의 물 및 용변물에 번식하고 있는 세균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항균 처리 및 항균기능을 작용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휴지 제공장치에서 배출되어지는 휴지는 좌변기 내부의 물이 닿지 않는 부분과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찢어지거나 훼손될 우려가 발생되기에 좌변기 내부에 항상 고여 있는 물의 수면위로 배출되어지도록 설치 제공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지 제공장치의 휴지 배출방법은 자동 및 수동으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지 제공장치는 좌변기의 패드에 설치 가능한 것과, 좌변기의 커버에 설치 가능한 것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지 제공장치는 좌변기의 패드 및 커버 제작 시 내장형으로 일체 제작되어지는 것과, 기존의 패드 및 커버에 별도 장착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신호장치는 휴지 제공장치에 보관되어있는 휴지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신호를 보내도록 제작이 되어지는 것과,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때 자유로이 선택하여 수동으로 휴지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도록 제작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변기의 커버는 자동으로 닫히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도록 커버의 일측 부분에 동작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에 따르면, 가정, 직장 및 공공장소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기에 생리현상으로 인한 용변 시 좌변기 내부에 고여 있는 물 또는 용변물이 좌변기 외부로 튀는 것을 우려하지 않고 사용을 할 수 있기에 위생적으로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는 좌변기 내부에 고여 있는 물 또는 용변물이 사용자의 신체 또는 옷, 신발 등에 튀었을 때 씻어야 하는 이중의 불편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에, 씻어야 하는 경우 발생하는 물 또는 휴지 등의 낭비를 없애는 것에도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는 용변 시 좌변기에 고여 있는 물 또는 용변물이 튀는 반경을 극소화하여 주기에 좌변기 내부의 지저분함을 없애주며 좌변기 내부 청소 시 보다 원활하고 깔끔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는 용변 시 좌변기 내부의 물 또는 용변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에 신체 또는 옷, 신발 등에 튀었을 때 발생하는 악취를 예방하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는 용변 후 물 내림 시 물과 용변물의 퍼짐을 방지하여 주기에 집안에 퍼질 우려가 있는 세균의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 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의 구성요소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는,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좌변기(11)와, 용변 시 좌변기 내부에 휴지를 제공 및 보관하도록 하는 휴지 제공장치(12)와, 상기 휴지 제공장치(12)에 보관 되어있는 각각의 휴지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 장치(13)와, 용변 후 자동으로 커버(13)가 닫히도록 할 수 있는 동작 감지센서(16)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는 휴지 제공장치(12)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매트(14)와 커버(15)로 이루어지고, 수동의 방식으로 휴지 제공장치(12)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버튼(도시하지않음)으로 구성되어 진다.
이하 본 발명안에 따른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의 실시예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휴지 제공장치(12)는 좌변기(11)의 매트(14)및 커버(15)의 일측부분에 설치가 이루어진다. 용변을 하지 않는 경우와 용변을 마친 경우에는 항시 좌변기(11)의 매트(14)및 커버(15)가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이는 용변을 마친 사용자가 좌변기에서 일정간격의 거리로 이동을 하면 커버(15)의 일측부분에 설치되어진 동작감지센서(16)가 이를 감지하여 동작신호를 송출하고 커버(15)는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상기 커버(15)의 닫힘이 완전히 이루어지면 매트(14)및 커버(15)에 구비되어 있는 신호장치(13)를 통하여 완전히 닫힌 것이 인식되어지고 상기 신호장치(13)는 휴지 제공장치(12)에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신호를 송출받은 휴지 제공장치(12)는 보관되어 있는 휴지를 배출하여 좌변기(11)내부에 있는 물과 용변물의 수면위로 정확히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커버(15)의 닫힘과 휴지의 제공이 완료된 후 용변을 마친 사용자는 물내림 레버나 버튼(도시되지않음)을 조작하여 물을 내리게 되고 좌변기(11)내부에 제공되어진 휴지를 통하여 물이나 용변물의 튀는 것을 방지하며 물과 용변물이 내려가게 한다.
상기 좌변기(11)의 커버(15)가 자동으로 닫히고 물내림의 진행이 완료되어진 후에는 새로운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새로운 물은 일정량에 도달하면 멈추게 된다.
이후 새로이 저장되어진 물의 수면위로 새로운 휴지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동작이 이루어지고, 제3자가 용변을 보려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좌변기(11)내부 수면 위의 휴지로 인하여 용변 시 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안에 따른 휴지 제공장치(12)의 휴지 제공의 수동방식 실시예에 따르면, 좌변기(11)의 일측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도시하지않음)을 누름을 통하여 휴지 제공장치(12)에 보관되어 있는 휴지를 배출하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을 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진다.
본 발명안의 적용으로 사용자는 보다 청결하고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용변을 볼 수 있게 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의 구성요소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좌변기 12 : 휴지 제공장치
13 : 신호장치 14 : 매트
15 : 커버 16 : 동작감지센서

Claims (5)

  1.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좌변기와,
    좌변기 내부에 고여 있는 물과 용변물의 수면에 휴지의 공급과 배출되어질 휴지를 보관하는 휴지 제공장치와,
    휴지 제공장치에서 각각의 휴지를 배출하도록 하는 신호장치와,
    좌변기의 커버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신호를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를 구비한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 제공장치는 기존의 좌변기 커버 및 패드 등에 별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제작이 이루어지는 것과,
    좌변기의 커버 및 패드에 내장형으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것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 제공장치의 휴지 배출 방식은 자동 및 수동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감지센서는 동작의 감지를 통하여 자동으로 좌변기의 커버를 동작하도록 하는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 제공장치에 보관되어 배출되어지는 휴지는 변기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균의 박멸 및 억제할 수 있는 기능을 겸비한 재질로 제작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
KR1020080109145A 2008-11-03 2008-11-03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 KR20100049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145A KR20100049464A (ko) 2008-11-03 2008-11-03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145A KR20100049464A (ko) 2008-11-03 2008-11-03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464A true KR20100049464A (ko) 2010-05-12

Family

ID=4227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145A KR20100049464A (ko) 2008-11-03 2008-11-03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946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734A1 (ko) 2013-02-19 2014-08-28 Kim Sang-Gu 위생 변기
KR20190061457A (ko) 2017-11-28 2019-06-05 김상규 변기 악취제거장치
US10640963B2 (en) 2015-07-30 2020-05-05 Su Technology Co., Ltd. Apparatus for removing bad odor from toilet
KR20230137544A (ko) 2022-03-22 2023-10-05 (주)수테크놀로지 음압 변기
KR20240061025A (ko) 2022-10-31 2024-05-08 (주)수테크놀로지 쾌변운동이 가능한 자동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734A1 (ko) 2013-02-19 2014-08-28 Kim Sang-Gu 위생 변기
US10640963B2 (en) 2015-07-30 2020-05-05 Su Technology Co., Ltd. Apparatus for removing bad odor from toilet
KR20190061457A (ko) 2017-11-28 2019-06-05 김상규 변기 악취제거장치
KR20230137544A (ko) 2022-03-22 2023-10-05 (주)수테크놀로지 음압 변기
KR20240061025A (ko) 2022-10-31 2024-05-08 (주)수테크놀로지 쾌변운동이 가능한 자동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9464A (ko)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
KR200477331Y1 (ko) 좌변기 물내림에 의한 오물튀김을 방지하고 세균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 좌변기 시트
KR100999397B1 (ko)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KR20120009072A (ko)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
KR101722098B1 (ko) 위생 변기 시트
KR101113049B1 (ko) 초음파 세척기능을 갖는 좌변기
JP5720929B2 (ja) 汚物流しユニット
SG174791A1 (en) Anti splash toilet
JP7252532B2 (ja) 手洗器
JP3214813U (ja) 男性用尿はね防止具
US6842935B2 (en) Toilet bowl brush cleaning system
KR20170002950U (ko) 위생구토기
KR20160033487A (ko) 냄새 없는 절수형 소변기
KR101821684B1 (ko) 변기커버
JP2007308913A (ja) 水洗便器
KR20130014667A (ko) 페달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소변 튐 방지 기능을 갖는 계란형 소변기
JP3205232U (ja) 汚物受け処理器具
JP3225361U (ja) 男性用導尿器
JP3225120U (ja) 男性用導尿器
CN212926346U (zh) 与身高匹配的蹲式便器
JP2010255365A (ja) 人体洗浄装置及び収納装置
KR100822893B1 (ko) 남성용 비데
KR101922483B1 (ko) 소변기
JP3115631U (ja) トイレの手洗い器
KR20100114431A (ko) 용변 튐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