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072A -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072A
KR20120009072A KR1020100070800A KR20100070800A KR20120009072A KR 20120009072 A KR20120009072 A KR 20120009072A KR 1020100070800 A KR1020100070800 A KR 1020100070800A KR 20100070800 A KR20100070800 A KR 20100070800A KR 20120009072 A KR20120009072 A KR 20120009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guide rail
toilet bowl
spr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035B1 (ko
Inventor
소동하
Original Assignee
소동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동하 filed Critical 소동하
Priority to KR1020100070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03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for prehension of the next sheet to be disp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06The cutting devices being motor drive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4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sol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받이통의 상부에 위치하는 휴지말이통과, 상기 휴지말이통에 감긴 휴지를 안내하기 위해 양변기 덮개의 상측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양변기 덮개의 내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홈의 상부에 위치하되 태엽스프링이 내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 돌출된 태엽스프링의 끝단에 구비되는 누름구와, 상기 누름구와 연동하되 상기 수직 안내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받침구와, 상기 수직 안내레일의 상단부에 교차하도록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안내레일과, 상기 수평 안내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 휴지를 절단하는 칼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물받이통의 상부에 휴지말이통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양변기 덮개의 내측에 휴지를 안내하여 물이 고여있는 변기 내부에 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생리현상으로 인한 용변시 양변기 내부에 고여있는 물이나 용변물이 튀어 올라 신체 일부에 닿거나 양변기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Splash of Flushing Water}
본 발명은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리현상으로 인한 용변시 양변기 내부에 고여있는 물이나 용변물이 튀어 올라 신체 일부에 닿거나 양변기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변기의 착석위치에 사용자가 착석하여 편리한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양변기는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변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변기 내부에 저장되는 물로 인해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상기 용변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차단되고 위생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변기 내부에 고여있는 물로 인해 용변시, 특히 대변을 볼 때에는 대변이 물에 떨어지면서 물방울이 튀어 사용자의 신체에 오물이 묻을 수 있기 때문에 불쾌감을 유발하며, 변기 내부의 측면에 오물이 묻어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위생상의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일환으로, 사용자는 양변기 내의 물 위에 일정량의 화장지를 띄워 놓고 용변을 보기도 하지만 매우 불편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생리현상으로 인한 용변시 양변기 내부에 고여있는 물이나 용변물이 튀어 올라 신체 일부에 닿거나 양변기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는, 물받이통의 상부에 위치하는 휴지말이통과, 상기 휴지말이통에 감긴 휴지를 안내하기 위해 양변기 덮개의 상측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양변기 덮개의 내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홈의 상부에 위치하되 태엽스프링이 내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 돌출된 태엽스프링의 끝단에 구비되는 누름구와, 상기 누름구와 연동하되 상기 수직 안내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받침구와, 상기 수직 안내레일의 상단부에 교차하도록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안내레일과, 상기 수평 안내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 휴지를 절단하는 칼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안내레일의 하부에는 세로방향으로 기다란 밴드형상의 유도판이 내장되고, 상기 유도판의 상단은 양변기 덮개의 내측에 고정된 탄성스프링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양변기 덮개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유도판이 안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물받이통의 상부에 휴지말이통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양변기 덮개의 내측에 휴지를 안내하여 물이 고여있는 변기 내부에 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생리현상으로 인한 용변시 양변기 내부에 고여있는 물이나 용변물이 튀어 올라 신체 일부에 닿거나 양변기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구조도.
도 2 - 도 1의 정면을 도시한 구조도.
도 3 -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100)는, 물받이통(101)의 상부에 위치하는 휴지말이통(110)과, 상기 휴지말이통(110)에 감긴 휴지(A)를 안내하기 위해 양변기 덮개(102)의 상측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홈(120)과, 상기 안내홈(120)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양변기 덮개(102)의 내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안내레일(130)과, 상기 안내홈(120)의 상부에 위치하되 태엽스프링(141)이 내장되는 케이스(140)와, 상기 케이스(140)의 하부로 돌출된 태엽스프링(141)의 끝단에 구비되는 누름구(142)와, 상기 누름구(142)와 연동하되 상기 수직 안내레일(13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받침구(143)와, 상기 수직 안내레일(130)의 상단부에 교차하도록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안내레일(150)과, 상기 수평 안내레일(150)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 휴지(A)를 절단하는 칼날(151)로 구성된다.
상기 휴지말이통(110)은 물받이통(101)의 상부에 위치하여 휴지(A)를 말아두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휴지말이통(110)의 중심에는 통상의 회전축(11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11)에는 휴지(A)가 말아진다.
이때 상기 휴지말이통(110)에 말아진 휴지(A)는 양변기 덮개(102)의 내측으로 안내되는데, 상기 휴지(A)의 안내를 위해 상기 양변기 덮개(102)의 상측에는 가로방향으로 안내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120)의 상하부에는 태엽스프링(141)이 내장된 케이스(140)와 받침구(143)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케이스(140)의 하부로 돌출된 태엽스프링(141)의 끝단에는 누름구(142)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구(142)와 연동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구(143)의 양측은 누름구(142)의 양측에 줄(144)로 연결된다. 물론 상기 누름구(142)와 받침구(143)의 양측을 줄(144)로 연결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가지도록 연결되어 휴지(A)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구(143)는 상기 안내홈(120)의 하부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안내레일(130)에 장착되는데, 이는 상기 받침구(143)를 상기 수직 안내레일(130)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구(143)의 상면에 휴지(A)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태엽스프링(141)의 끝단에 구비된 누름구(142)를 손으로 누르면 상기 누름구(142)의 저면은 상기 받침구(143)의 상면에 밀착된 후 상기 받침구(143)는 수직 안내레일(130)을 따라 아래로 안내됨과 동시에 상기 누름구(142)와 받침구(143)의 사이에 위치한 휴지(A) 또한 아래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안내레일(130)을 따라 안내된 휴지(A)는 상기 수직 안내레일(130)의 상단부에 교차하도록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수평 안내레일(150) 및 상기 수평 안내레일(150)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칼날(151)에 의해 상기 휴지(A)를 절단하게 된다. 물론 상기 칼날(151)의 일단에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어 휴지(A)를 절단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칼날(151)에 의해 휴지(A)를 가로방향으로 절단한 후 사용자가 누름구(142)를 놓게 되면 케이스(140)에 내장된 태엽스프링(141)의 탄성에 의해 상기 누름구(142) 및 상기 누름구(142)에 줄(144)로 연결된 받침구(143)는 수직 안내레일(130)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어 진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안내레일(130)의 하부에는 세로방향으로 기다란 밴드형상의 유도판(160)이 내장되고, 상기 유도판(160)의 상단은 양변기 덮개(102)의 내측에 고정된 탄성스프링(161)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양변기 덮개(102)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통공(162)을 통해 상기 유도판(160)이 안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누름구(142)를 눌러 휴지(A)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경우, 수직 안내레일(130)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는 받침구(143)의 저면은 상기 수직 안내레일(130)의 중간 지점에서 유도판(160)의 상단에 밀착되며,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유도판(160)은 양변기 덮개(102)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통공(162)을 통해 돌출?안내된다. 이때 상기 통공(163)을 통해 돌출?안내된 유도판(160)은 하부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경사진 유도판(160)에 의해 칼날(151)에 절단된 휴지(A)는 양변기 내부로 유도되어 진다. 물론 상기 유도판(160)은 상기 통공(163)을 통한 돌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탄성이 구비됨은 당연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
101: 물받이통 102: 양변기 덮개
110: 휴지말이통 120: 안내홈
130: 수직 안내레일 140: 케이스
141: 태엽스프링 142: 누름구
143: 받침구 144: 줄
150: 수평 안내레일 151: 칼날
160: 유도판 161: 탄성스프링
162: 통공 A: 휴지

Claims (2)

  1. 물받이통(101)의 상부에 위치하는 휴지말이통(110)과, 상기 휴지말이통(110)에 감긴 휴지(A)를 안내하기 위해 양변기 덮개(102)의 상측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홈(120)과, 상기 안내홈(120)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양변기 덮개(102)의 내측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안내레일(130)과, 상기 안내홈(120)의 상부에 위치하되 태엽스프링(141)이 내장되는 케이스(140)와, 상기 케이스(140)의 하부로 돌출된 태엽스프링(141)의 끝단에 구비되는 누름구(142)와, 상기 누름구(142)와 연동하되 상기 수직 안내레일(13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받침구(143)와, 상기 수직 안내레일(130)의 상단부에 교차하도록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안내레일(150)과, 상기 수평 안내레일(150)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 휴지(A)를 절단하는 칼날(15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안내레일(130)의 하부에는 세로방향으로 기다란 밴드형상의 유도판(160)이 내장되고, 상기 유도판(160)의 상단은 양변기 덮개(102)의 내측에 고정된 탄성스프링(161)의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양변기 덮개(102)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통공(162)을 통해 상기 유도판(160)이 안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
KR1020100070800A 2010-07-22 2010-07-22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 KR101157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800A KR101157035B1 (ko) 2010-07-22 2010-07-22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800A KR101157035B1 (ko) 2010-07-22 2010-07-22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072A true KR20120009072A (ko) 2012-02-01
KR101157035B1 KR101157035B1 (ko) 2012-06-21

Family

ID=4583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800A KR101157035B1 (ko) 2010-07-22 2010-07-22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03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5057A (zh) * 2018-07-18 2018-11-30 汪洋 一种新型坐便器
CN111997156A (zh) * 2020-09-07 2020-11-27 宋彦震 智能防飞溅马桶装置
KR102367592B1 (ko) * 2021-02-08 2022-02-28 서현우 휴지인출기능을 갖는 비데
KR20220142688A (ko) * 2021-04-15 2022-10-24 서현우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돌봄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비데
KR20220142687A (ko) * 2021-04-15 2022-10-24 서현우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비데
KR102529894B1 (ko) * 2021-11-12 2023-05-09 주식회사 록서 패턴인식기능을 활용한 비데
KR102531511B1 (ko) * 2021-11-12 2023-05-11 주식회사 록서 휴지인출기능을 갖는 비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359Y1 (ko) * 1984-11-17 1987-02-13 오치돈 일회용 변좌 커버
US4926505A (en) * 1987-11-20 1990-05-22 Toto Ltd. Toilet seat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feeding seat covering paper on toilet seat
JPH0456097U (ko) * 1990-09-18 1992-05-13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5057A (zh) * 2018-07-18 2018-11-30 汪洋 一种新型坐便器
CN108915057B (zh) * 2018-07-18 2020-11-13 浙江义乌舒美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坐便器
CN111997156A (zh) * 2020-09-07 2020-11-27 宋彦震 智能防飞溅马桶装置
KR102367592B1 (ko) * 2021-02-08 2022-02-28 서현우 휴지인출기능을 갖는 비데
WO2022169074A1 (ko) * 2021-02-08 2022-08-11 서현우 휴지인출기능을 갖는 비데
KR20220142688A (ko) * 2021-04-15 2022-10-24 서현우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돌봄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비데
KR20220142687A (ko) * 2021-04-15 2022-10-24 서현우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비데
KR102529894B1 (ko) * 2021-11-12 2023-05-09 주식회사 록서 패턴인식기능을 활용한 비데
KR102531511B1 (ko) * 2021-11-12 2023-05-11 주식회사 록서 휴지인출기능을 갖는 비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035B1 (ko)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035B1 (ko)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
JP6173052B2 (ja) 動物用トイレ
WO2019230828A1 (ja) 航空機用化粧室ユニットの床構造
JP6279847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US5388279A (en) Toddler urinal
KR20100049464A (ko) 용변물 튀김 방지장치
JP6198489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CN205369459U (zh) 一种防溅水马桶
JP2020076237A (ja) 便器シート
KR101722727B1 (ko) 한무릎받침대가 있는 양변기
KR200471012Y1 (ko) 변좌용 위생장치
KR101067127B1 (ko) 양변기 좌대
KR101186534B1 (ko) 자동승강식 변기시트와 착탈식 오물차단막이 구비된 좌변기
JP2009279121A (ja) 小便用トイレ装置および踏段
JP2019056302A (ja) 水洗大便器
CN220747140U (zh) 一种具有辅助排便功能的一体式智能马桶
JP2017212978A (ja) 猫用トイレ
JP6607283B1 (ja) 航空機用化粧室ユニットの床構造
KR20110007731U (ko) 양변기
CN106551602A (zh) 厕所地面清洁清香垫
JP4585555B2 (ja) 着座式便器
CN102949139A (zh) 带柔性舌的婴幼儿座便器
JP3191221U (ja) トイレマット
JP2017048544A (ja) 水洗大便器
CN204636191U (zh) 一种防溅马桶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