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012Y1 - 변좌용 위생장치 - Google Patents

변좌용 위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012Y1
KR200471012Y1 KR2020120010020U KR20120010020U KR200471012Y1 KR 200471012 Y1 KR200471012 Y1 KR 200471012Y1 KR 2020120010020 U KR2020120010020 U KR 2020120010020U KR 20120010020 U KR20120010020 U KR 20120010020U KR 200471012 Y1 KR200471012 Y1 KR 2004710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toilet
sanitary
sanitary sheet
wind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재
박기수
손상민
신희범
장세영
차시호
Original Assignee
김민재
박기수
장세영
신희범
손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재, 박기수, 장세영, 신희범, 손상민 filed Critical 김민재
Priority to KR2020120010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0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0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0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47K13/18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of paper or plastic webs
    • A47K13/22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of paper or plastic webs rolled-up;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변좌용 위생장치는, 변좌가 구비되는 변기의 측면 또는 상기 변기의 측면과 이격된 구조물에 정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 롤 및, 상기 권취 롤에 일정 길이로 권취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로 인출 및 절단되어 상기 변좌의 하단과 상기 변기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며, 종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오물 통과홀이 일직선으로 절개형성되어 대변은 통과시키고 물 튀김은 차단하는 위생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변좌용 위생장치{HYGIENE DEVICE FOR TOILET SEAT}
본 고안은 변좌용 위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생시트를 권취 롤로부터 원하는 길이로 인출하여 변좌와 변기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 위생시트에 형성된 오물 통과홀을 통해 사용자의 대변이 통과되도록 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대변이 수조로 낙하할 때 발생하는 물 튀김을 차단할 수 있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변좌용 위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의 변좌는 다수의 사람들이 공유하기 때문에 위생적인 사용을 위해 변좌용 시트가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변좌용 시트는 대부분 변좌와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어 변좌의 상단에 부착되는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의 대변 및 소변이 수조로 낙하할 수 있도록 일정한 형상의 홀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변좌용 시트는 사용자의 대변이 수조로 낙하할 때 물 튀김이 발생하여, 수조 내의 물이 사용자의 인체에 묻는 경우가 있어 위생적이지 목하였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6383호(2005년 07월 2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좌변기의 리필용 위생시트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위생시트를 권취 롤로부터 원하는 길이로 인출하여 변좌와 변기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 위생시트에 형성된 오물 통과홀을 통해 사용자의 대변이 통과되도록 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대변이 수조로 낙하할 때 발생하는 물 튀김을 차단할 수 있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변좌용 위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변좌용 위생장치는, 변좌가 구비되는 변기의 측면 또는 상기 변기의 측면과 이격된 구조물에 정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 롤 및, 상기 권취 롤에 일정 길이로 권취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로 인출 및 절단되어 상기 변좌의 하단과 상기 변기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며, 종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오물 통과홀이 일직선으로 절개형성되어 대변은 통과시키고 물 튀김은 차단하는 위생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오물 통과홀들은 상기 위생시트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소변과 대변을 개별적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생시트의 종 방향에는 횡 방향을 가로지르는 다수의 절단선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선은 상기 오물 통과홀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권취 롤의 전단에는 상기 위생시트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커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커터는 상단 또는 하단을 따라 절단 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좌의 하단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변기의 상단에 안착된 상기 위생시트를 하방으로 가압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합성수지 패킹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위생시트를 권취 롤로부터 원하는 길이로 인출하여 변좌와 변기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 위생시트에 형성된 오물 통과홀을 통해 사용자의 대변이 통과되도록 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대변이 수조로 낙하할 때 발생하는 물 튀김을 차단할 수 있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외부 온도에 의해 차가워진 변좌의 상면과 사용자의 인체가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겨울철에 사용시 불쾌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변좌용 위생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좌용 위생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좌용 위생장치의 변기 덮개와 변좌에 삽입돌기 및 삽입홈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변좌용 위생장치는 권취 롤(200) 및, 위생시트(300)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좌용 위생장치에는 본체(1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덮개(12) 및 변좌(11)가 구비되는 변기(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하 설명될 권취 롤(200)을 회전가능하게 거치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0)는 브라켓(110) 및 한 쌍의 지지대(12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0)은, 화장실의 벽면과, 바닥면 또는 변기(10)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대(120)는, 브라켓(110)의 전면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권취 롤(200)의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권취 롤(200)은, 변기의 측면 또는 변기의 측면과 이격된 구조물(화장실 벽면 등)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 롤(200)은 전술한 지지대(120)들에 의해 브라켓(110)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권취 롤(200)의 중심에는 회전축(21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210)의 축 방향 양단이 지지대(120)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위생시트(300)는, 권취 롤(200)에 일정 길이로 권취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로 인출 및 절단되어 변좌(11)와 변기(10)의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위생시트(300)는 변기(10)의 상단을 덮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위생시트(300)는 종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오물 통과홀(310)이 일직선으로 절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물 통과홀(310)은 변좌(11)의 측방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위생시트(300)에 하나 또는 전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오물 통과홀(310)이 하나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대변이 하방으로 통과되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오물 통과홀(310)이 위생시트(300)의 전후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 후방의 오물 통과홀(310)을 통해 대변을 낙하시킬 수 있고, 전방의 오물 통과홀(310)을 통해 소변을 낙하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물 통과홀(310)을 통해 사용자의 대변이 변기(10)의 수조로 낙하하는 경우, 변기(10)의 낙하 충격에 의해 상방으로 튀는 물은 위생시트(300)의 하단에 묻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위생시트(300)는, 양단이 변좌(11)와 변기(10)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오물 통과홀이 형성된 부위만을 하방으로 늘어트린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위생시트(300)가 사용자의 대변 또는 소변은 하방으로 통과시키고, 대변이나 소변 낙하시 상방으로 튀는 물을 차단해줄 수 있어, 오물이 사용자의 인체에 묻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생시트(300)의 종 방향에는 횡 방향을 가로지르는 다수의 절단선(3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선(320)은 오물 통과홀(310)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위생시트(300)를 일정 길이로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선(320)은 절개할 부위를 표시하는 형태나, 점선으로 미리 절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점선으로 미리 절개된 형태를 가지는 경우, 일정 힘을 이용해 커터(400) 없이도 위생시트(300)를 일정 길이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브라켓(110)의 전단에는 위생시트(300)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커터(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터(400)는, 상단 또는 하단을 따라 위생시트(300)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 날이 형성된다.
즉, 권취 롤로부터 위생시트(300)를 일정 길이로 인출한 후, 커터(400)의 절단 날을 이용해 위생티슈의 전단선 부위를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좌(11)의 하단 테두리 부위에는 변기(10)의 상단에 안착된 상기 위생시트(300)를 하방으로 가압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합성수지 패킹(5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합성수지 패킹(500)은, 변좌(11)의 하중과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하부에 위채된 위생시트(30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위생시트(300)를 권취 롤(200)로부터 원하는 길이로 인출하여 변좌(11)와 변기(10)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 위생시트(300)에 형성된 오물 통과홀(310)을 통해 사용자의 대변이 통과되도록 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대변이 수조로 낙하할 때 발생하는 물 튀김을 차단할 수 있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 온도에 의해 차가워진 변좌의 상면과 사용자의 인체가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겨울철에 사용시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변좌용 위생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변기 11: 변좌
12: 덮개 100: 본체
110: 브라켓 120: 지지대
200: 권취 롤 210: 회전축
300: 위생시트 310: 오물 통과홀
320: 절단선 400: 커터
500: 합성수지 패킹

Claims (5)

  1. 변좌가 구비되는 변기의 측면 또는 상기 변기의 측면과 이격된 구조물에 정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 롤; 및
    상기 권취 롤에 일정 길이로 권취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로 인출 및 절단되어 상기 변좌의 하단과 상기 변기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며, 종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오물 통과홀이 일직선으로 절개형성되어 대변은 통과시키고 물 튀김은 차단하는 위생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용 위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통과홀들은,
    상기 위생시트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소변과 대변을 개별적으로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용 위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시트의 종 방향에는,
    횡 방향을 가로지르는 다수의 절단선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선은,
    상기 오물 통과홀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용 위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롤의 전단에는,
    상기 위생시트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커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커터는,
    상단 또는 하단을 따라 절단 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용 위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좌의 하단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변기의 상단에 안착된 상기 위생시트를 하방으로 가압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합성수지 패킹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용 위생장치.
KR2020120010020U 2012-11-02 2012-11-02 변좌용 위생장치 KR2004710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20U KR200471012Y1 (ko) 2012-11-02 2012-11-02 변좌용 위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20U KR200471012Y1 (ko) 2012-11-02 2012-11-02 변좌용 위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012Y1 true KR200471012Y1 (ko) 2014-02-04

Family

ID=5141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020U KR200471012Y1 (ko) 2012-11-02 2012-11-02 변좌용 위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0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485A (ko) * 2017-01-23 2018-08-0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변기시트
CN114919240A (zh) * 2022-06-01 2022-08-19 瑞安市新科机械有限公司 一次性马桶垫加工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5904A (ko) * 1986-11-25 1988-07-21 사도시 마에가와 변좌장치
KR900007733B1 (ko) * 1987-03-12 1990-10-19 유병일 양변기의 두루마리위생커버 회전장치
JPH0572297U (ja) * 1992-03-09 1993-10-05 義忠 田原 便 器
JPH0615594Y2 (ja) * 1989-09-20 1994-04-27 日本イスエード株式会社 便器の便座用敷紙供給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5904A (ko) * 1986-11-25 1988-07-21 사도시 마에가와 변좌장치
KR900007733B1 (ko) * 1987-03-12 1990-10-19 유병일 양변기의 두루마리위생커버 회전장치
JPH0615594Y2 (ja) * 1989-09-20 1994-04-27 日本イスエード株式会社 便器の便座用敷紙供給ホルダー
JPH0572297U (ja) * 1992-03-09 1993-10-05 義忠 田原 便 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485A (ko) * 2017-01-23 2018-08-0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변기시트
KR101886559B1 (ko) * 2017-01-23 2018-09-0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변기시트
CN114919240A (zh) * 2022-06-01 2022-08-19 瑞安市新科机械有限公司 一次性马桶垫加工设备
CN114919240B (zh) * 2022-06-01 2024-05-03 瑞安市新科机械有限公司 一次性马桶垫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44221A1 (en) Split pee ( splashless urinal insert)
US20140352050A1 (en) Chair with Urinal Device
JP6777234B2 (ja) 航空機用化粧室ユニットの床構造
KR200471012Y1 (ko) 변좌용 위생장치
KR101157035B1 (ko)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
JPH0476695B2 (ko)
US20140101835A1 (en) Urine deflector for a toilet seat
US5388279A (en) Toddler urinal
US5987657A (en) Toilet attachment and aid
GB2478551A (en) Urination fixture accessory
US20160000280A1 (en) Toilet Seat Cover
US2055629A (en) Bath rug
US6681419B1 (en) Forehead support apparatus
JP3123972U (ja) 洋式の腰掛便器の踏み台
JP3158089U (ja) キャッチシート
CN203878699U (zh) 带沙发式固定椅的防溅水的坐便器
KR101896586B1 (ko) 튐 방지와 외부 차단성이 확보되는 비개방형 위생 양변기
JP3149845U (ja) 浴槽用敷設具
KR101532432B1 (ko) 두루마리 휴지를 접어 사용하는 위생 좌대 날개 걸이구
KR20100010371U (ko) 위생시트 케이스가 구비된 양변기용 뚜껑
JP2008194296A (ja) タオル載置具
KR20120004301U (ko) 다목적용 소변기 장착기
WO2013001264A1 (en) A portable bath
JP3191804U (ja) 椅子体に用いる排尿装置
KR100543377B1 (ko) 일회용 위생 커버 및 이 위생 커버의 장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