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894B1 - 패턴인식기능을 활용한 비데 - Google Patents

패턴인식기능을 활용한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894B1
KR102529894B1 KR1020210155418A KR20210155418A KR102529894B1 KR 102529894 B1 KR102529894 B1 KR 102529894B1 KR 1020210155418 A KR1020210155418 A KR 1020210155418A KR 20210155418 A KR20210155418 A KR 20210155418A KR 102529894 B1 KR102529894 B1 KR 102529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et
tissue
paper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록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록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록서
Priority to KR1020210155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38Devices for taking faeces samples; Faecal examin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6Evaluating metabolis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besity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턴인식기능을 활용한 비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데사용패턴이 저장되고, 그에 따른 작동이 이루어지는 패턴인식기능을 활용한 비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는, 비데본체와, 상기 비데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개폐되는 비데커버와, 상기 비데본체와 비데커버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비데시트와, 상기 비데본체의 내주면 일측에서 비데본체 내부에 고여있는 물을 향해 휴지가 인출되는 휴지인출부 및 상기 비데커버와 비데시트 및 휴지인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턴인식기능을 활용한 비데{Bidet using pattern recognition function}
본 발명은 패턴인식기능을 활용한 비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데사용패턴이 저장되고, 그에 따른 작동이 이루어지는 패턴인식기능을 활용한 비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이 아닌 회사나 식당 등의 공간에 설치되는 화장실은 남성화장실과 여성화장실로 구분되어 각각 분리된 공간을 사용하게 되지만, 일반 가정에서는 주로 좌변기 하나가 설치되어 남성과 여성이 함께 사용하게 된다. 좌변기는 변기본체와 변기를 덮는 변기커버로 크게 구분되며, 변기본체 내부에는 물이 일정높이만큼 항상 유지되며 변기레버를 누르게 되면 변기물통에 있는 물이 공급되면서 사이펀 원리에 의해 물이 내려가게 된다. 여기서, 변기의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변기본체의 내부에는 일정높이만큼의 물이 항상 유지되어야 하는데, 남성들은 서서 소변을 보는 습관으로 인하여 좌변기에서도 변기커버를 올리고 서서 소변을 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남성들이 좌변기 앞에 서서 소변을 보게 되면, 소변이 좌변기 내에 잠겨있던 물에 튀기면서 변기 밖으로 튀거나 변기 주변에 흔적을 남기게 된다. 특히, 변기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여 앉기 위한 변기시트가 올려진 상태에서 소변을 보게되면 변기시트로 튀길 수 있으며, 심지어 변기시트를 내리고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닿는 시트부위에 소변이 튀기면서 상당히 비위생적이고 이후에 소변을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6073호에서는 좌변기용 거품을 이용한 물튀김 방지장치 고안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등록실안의 경우 물튀김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거품발생을 위한 별도의 장치나 구성을 추가해야 함에 따라 그에 대한 설치비용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휴지를 변기내부의 물 위에 덮어두고 소변을 보게 되면 물튀김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사용자가 휴지를 잘라 변기 내의 적절한 위치에 안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음성인식기능을 갖는 비데기술이 공지되어 있는데, 음성 명령을 내리면 이를 인지한 제어부가 해당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 예를 들어 세정이나 비데, 건조 등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비데의 경우 비데 자체에 탑재된 세정이나 비데 및 건조기능만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고, 최초 비데에 접근했을 때부터 변기커버나 시트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거나 휴지가 인출되는 기능에 대해서까지 전부 음성인식기능을 통해 수행하지는 않는다. 그에 따라, 비데의 최초 사용시부터 종료시까지 모든 과정을 자동화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위생적인 비데사용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비데의 물튀김 방지를 위하여 비데 내부로 휴지를 인출하기 위한 휴지인출장치 및 상기 휴지인출장치를 포함한 비데의 전체사용과정을 패턴화하여 사용자별로 원하는 비데사용패턴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패턴인식기능을 활용한 비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는, 비데본체와, 상기 비데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개폐되는 비데커버와, 상기 비데본체와 비데커버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비데시트와, 상기 비데본체의 내주면 일측에서 비데본체 내부에 고여있는 물을 향해 휴지가 인출되는 휴지인출부 및 상기 비데커버와 비데시트 및 휴지인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패턴과 상기 사용패턴에 대응되는 음성신호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음성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사용패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지인출부로부터 인출되는 휴지에 인쇄되며, 배변검사를 통해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배변 이후 상기 휴지에 인쇄된 시험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시험지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며, 분석된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지인출부는, 상기 시험지가 인쇄된 휴지가 인출되는 제1인출부와, 상기 시험지가 인쇄되지 않은 일반 휴지가 인출되는 제2인출부로 구획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지인출부에서 인출되는 휴지종류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사용패턴은, 비데커버와 비데시트의 회전기능과, 상기 휴지인출부에서 휴지의 인출기능, 비데의 세정/비데/건조기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진 사용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데본체에 설치되며, 밟거나 누르는 동작에 의해 비데물이 내려가는 플러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음성신호를 인식하면 플러싱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남성들이 좌변기에서 서서 소변을 보더라도 휴지인출부에서 인출되는 휴지로 인하여 물튀김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위생적인 환경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출되는 휴지에 배변검사용 시험지가 인쇄되어 사용자가 배출하는 배변으로부터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비데작동에 대한 사용패턴을 저장하고 제어부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인지하여 대응되는 사용패턴을 동작시킴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위생적인 비데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있어서, 휴지인출부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있어서, 휴지인출부로부터 휴지가 인출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있어서, 휴지가이드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있어서, 휴지가이드부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있어서, 휴지인출부가 구획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있어서, 휴지에 시험지가 인쇄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있어서, 제어부에서 제어하는 다양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패턴에 따른 제어부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는, 비데본체(10)와, 상기 비데본체(10)의 상부를 덮도록 개폐되는 비데커버(60)와, 상기 비데본체(10)와 비데커버(60)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비데시트(20)와, 상기 비데본체(10)의 내주면 일측에서 비데본체(10) 내부에 고여있는 물을 향하는 방향으로 휴지가 인출되는 휴지인출부(30) 및 상기 비데커버(60)와 비데시트(20) 및 휴지인출부(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비데본체(10)는 일반적인 좌변기의 형상을 가지며,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본체 내부에 물이 일정높이만큼 유지되며, 상기 물은 비데본체(10) 후방에 설치된 비데레버를 누르게 되면 비데물통에 있는 물이 공급되면서 물이 내려가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비데본체(10) 내부에 고여있는 물에 소변을 보면서 물이 튀기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발명을 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상기 비데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이루어지는 비데커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데커버(60)는 평소에는 수직하게 세워져 있다가 비데본체(10) 내부에서 발생하는 냄새나 악취를 차단하기 위해 회동시켜 비데본체(10)를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데본체(10)와 비데커버(60) 사이에 설치되며, 비데본체(10) 방향으로 회동시켜 사용자가 앉아서 볼일을 볼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비데시트(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데본체(10)의 내주면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비데시트(20)가 안착되는 비데본체(10) 지지부의 내주면 일측에 설치되며 비데본체(10) 내부에 고여있는 물을 향해 휴지가 인출되도록 이루어지는 휴지인출부(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휴지인출부(30)는 소정의 형상을 가진 휴지가 한장씩 인출되도록 이루어지며, 비데본체(10)의 내주면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인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지인출부(30)의 선단에는 휴지가 낱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만큼 나온 휴지를 커트하기 위한 절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휴지인출부(30)에서 인출되는 휴지(X)는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화장실용 휴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그렇게되면 낭비되는 휴지가 많아질 수 있으므로 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파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휴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비싼 휴지를 낭비하지 않을 수 있고, 휴지(X)가 보다 쉽게 분해됨에 따라 환경보호 측면에서도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에 녹는 휴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인출된 휴지가 일단 물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물튀김을 방지하고 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물에 녹아 분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지로 인해 비데가 막히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비데커버(60)와 비데시트(20) 및 휴지인출부(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0)는 비데에 탑재된 다양한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비데에서 사용되는 세정이나 비데 및 송풍을 통한 건조기능에 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50)에서 버튼을 눌러 동작시킬 수도 있고, 음성인식기능을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에 연동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패턴과 상기 사용패턴에 대응되는 음성신호가 저장되는 저장부(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음성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사용패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일반적인 비데사용방식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50)가 비데커버(60)나 비데시트(20)의 회전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음성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부(50)가 비데커버(60)나 비데시트(20)와 연동해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커버를 열거나 시트를 내리지 않고도 자동으로 동작됨으로써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비데시트(20)는 사용자가 서서 볼일을 볼 경우와 앉아서 볼일을 볼 경우에 따라서 내리는 동작 또는 세우는 동작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사용자가 일일이 내리는 작업 또는 올리는 작업을 하는것에 번거로움이 있어, 이를 자동화시킴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휴지인출부(30)의 작동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물튀김 방지용 휴지(X)의 인출여부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남성이 서서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물튀김 방지용 휴지가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기 설정된 음성신호를 말하게 되면 이를 인식한 제어부(50)가 휴지인출부(30)로부터 휴지(X)를 인출시키게 된다. 또는, 물튀김 방지용 휴지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별도의 음성신호 입력 없이 비데를 사용하면 된다.
상기 사용패턴은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비데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방식에 적합한 패턴을 설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를 통해 비데가 자동으로 동작하게 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비데 사용을 위해 접근한 사용자가 패턴1 이라는 명령을 외치게 되면, 상기 패턴1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사용패턴(예를 들어, 비데커버 올림 - 비데시트 올림 - 물튀김 방지용 휴지 인출 - 배변 이후 자동으로 플러싱 작동 - 비데커버 닫힘)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제어부(50)가 상기 사용패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사용패턴은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에 따라 각기 다른 패턴이 설정되어 저장부(8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외치는 음성신호에 매칭되는 사용패턴이 제어부(5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사용패턴은, 비데커버(60)와 비데시트(20)의 회전기능과, 상기 휴지인출부(30)에서 휴지의 인출기능, 비데의 세정/비데/건조기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진 사용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50)를 통해 제어되는 다양한 사용패턴에 있어, 크게 비데의 세정이나 비데기능 또는 건조기능에 대한 기능과, 휴지인출부(30)에서 휴지가 인출되는 기능, 특히 후술하는 건강상태측정을 위해 시험지(Y)가 인쇄된 휴지(X)를 인출할 것인지 아니면 일반 휴지(X)를 인출할 것인지에 대한 것, 비데커버(60)와 비데시트(20)를 어느 시점에 회전시켜 열고 닫을 것인지에 대한 기능들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지인출부(30)로부터 인출되는 휴지에 인쇄되며, 배변검사를 통해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지(Y)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사용자의 배변 이후 상기 휴지에 인쇄된 시험지(Y)를 감지하고, 감지된 시험지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며, 분석된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출력부(7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험지(Y)는 비데 사용자가 배출하는 배변으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한 구성으로, 소변검사시험지나 혈당페이퍼 등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다양한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는 종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험지(Y)는 다수의 시약을 묻혀 제작된 시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변과 반응하여 색깔이 변화함으로써 건강이상유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소변검사시험지는 단백질, 포도당, pH, 백혈구 등 다양한 신체이상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소변의 pH는 4.6 ~ 8 정도가 정상인데 시험지(Y)의 pH측정칸의 색깔이 주황색에서 녹색으로 변하면 이는 소변의 pH가 8 이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에 따라 신장질환 등의 질병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있어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신체이상여부를 확인해야 함을 사용자가 미리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물튀김 방지를 위해 인출되는 휴지를 통해 소변이 튀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휴지에 인쇄된 시험지로부터 비데 사용자의 건강상태까지 측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인정된다.
여기서, 상기 시험지(Y)가 휴지(X)가 인출된 이후 상당시간이 흐르면 물에 잠기면서 검사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하므로, 상기 시험지(Y)가 휴지(X)로부터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휴지(X)가 인출된 이후 일정시간이 흘러도 물에 완전히 잠기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시험지(Y)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격벽이 형성되어 주변의 비데물이 시험지(Y)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시험지(Y)의 또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의 대변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대변검사지(Y')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변검사지(Y') 배변 이후 색깔변화를 통해서 대장염이나 용종, 선종, 초기대장암 등을 진단할 수 있는 키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변검사 시험지(Y)와 마찬가지로 색변화를 통해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는, 사용자의 배변 이후 상기 휴지(X)에 인쇄된 시험지(Y)를 감지하고, 감지된 시험지(Y)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며, 분석된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출력부(7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우선 휴지인출부(30)로부터 시험지(Y)가 인쇄된 휴지(X)를 인출하여 비데본체(10) 내부의 물에 안착시키고, 사용자의 배변 이후 시험지(Y)를 색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험지(Y)의 색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비데에 설치된 카메라가 배변 이후 소정시간 이내에 시험지(Y)를 촬영하고 촬영된 시험지정보를 제어부(50)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시험지(Y)와 비색표를 상호 비교하여 색변화여부를 판별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건강상태 이상유무에 대한 정보를 출력부(70)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휴지(X)는 물튀김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비데내부에 안착된 휴지(X)는 항균기능과 방향기능이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비데 내부에 항균작용이 이루어지고 좋은 향을 내면서 보다 위생적인 비데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지인출부(30)는, 상기 시험지(Y)가 인쇄된 휴지(X)가 인출되는 제1인출부(31)와, 상기 시험지(Y)가 인쇄되지 않은 일반 휴지(X)가 인출되는 제2인출부(33)로 구획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휴지인출부(30)에서 인출되는 휴지종류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데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하루 여러번에 걸쳐 배변검사를 통해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시험지(Y)가 인쇄된 휴지(X)를 지속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비용소요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원할 때에만 선택적으로 시험지(Y)가 인쇄된 휴지(X)를 인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휴지인출부(30)는 상기 시험지(Y)가 인쇄된 휴지(X)가 인출되는 제1인출부(31)와, 상기 시험지(Y)가 인쇄되지 않은 일반 휴지(X)가 인출되는 제2인출부(33)로 구획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데본체(10)에 설치되며, 밟거나 누르는 동작에 의해 변기물이 내려가는 플러싱부(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는, 기 설정된 음성신호를 인식하면 플러싱부(9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데본체(10)의 하부 일측에는 사용자가 발로 밟거나 밀면 변기물이 내려가는 플러싱부(9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러싱부(90)는 사용자가 손이 아니라 발을 이용해 물을 내려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다. 여기서, 상기 플러싱부(90)는 사용자가 발을 이용해 물을 내릴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비데시트(20)에서 일어나게 되면 이를 감지한 센서가 자동으로 플러싱부를 작동시켜 물을 내릴 수도 있으며, 제어부(50)와 연동하여 '물내림' 이란 단어를 말하게 되면 해당 음성을 인식하여 제어부(50)에서 플러싱부(90)를 작동시켜 물이 내려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70)는, 상기 비데본체(10)에 인접하게 설치된 디스플레이패널 또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는, 분석된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로부터 건강이상유무를 출력부(7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데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데에 인접 설치된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50)와 연동된 휴대단말기로 건강상태정보를 전송하여 휴대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출력부(70)에서는 사용자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경우 해당 정보를 알람과 함께 출력부(70)에 출력함으로써 건강상태 이상유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로부터 필요영양소의 종류를 추천하고, 상기 추천된 필요영양소를 포함하는 헬스케어식품을 출력부(7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부(70)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특정 질병이 의심되는 분석결과가 나온 경우 해당 질병을 관리하고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소의 종류를 추천해주고 상기 필요영양소를 포함하는 헬스케이식품까지 추천해 출력부(70)로 출력해줌으로써 비데 사용자는 추천된 헬스케어식품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식품을 출력부(70)에서 바로 구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지인출부(30)에서 인출되는 휴지(X)는 파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휴지 또는 물에 녹는 휴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지(X)는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화장실용 휴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그렇게되면 낭비되는 휴지가 많아질 수 있으므로 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파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휴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비싼 휴지를 낭비하지 않을 수 있고, 휴지(X)가 보다 쉽게 분해됨에 따라 환경보호 측면에서도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에 녹는 휴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인출된 휴지가 일단 물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물튀김을 방지하고 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물에 녹아 분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지로 인해 비데가 막히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지인출부(30)의 하부에 설치되며, 휴지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상기 휴지를 가이드하는 휴지가이드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지가이드부(40)는, 휴지인출방향을 향해 확장되는 제1가이드(41)와, 상기 제1가이드(41)가 확장된 이후 동방향으로 확장되는 제2가이드(43) 및 상기 제2가이드(43)가 확장된 이후 동방향으로 확장되는 제3가이드(4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지가이드부(40)는 휴지인출부(30)에서 휴지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지인출부(30)의 하부에 설치되어 휴지(X)를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휴지(X)는 얇고 가벼운 소재로 이루어져 공기에 대한 저항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휴지인출부(30)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비데본체(10)의 물이 고여있는 부분에 정확히 떨어지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떨어지거나 휴지(X)가 접히거나 겹치면서 제대로 안착되기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그에 따라, 휴지(X)를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휴지를 일정지점까지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휴지가이드부(40)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휴지가이드부(40)는 확장봉과 같은 확장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가이드(41)가 우선적으로 확장된 후, 최대길이까지 확장된 제1가이드(41)의 선단에서 제2가이드(43)가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휴지가이드부(40)가 휴지를 가이드하면서 함께 전진하고 난 후 일정길이만큼 확장된 휴지가이드부(40)가 후퇴하면서 휴지가 하강하게 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낙하위치를 갖게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지가이드부(40)는, 상기 제1가이드(41)로부터 제3가이드(45)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지가이드부(40)는 확장가능한 확장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휴지가이드부(40)가 전방을 향할수록 보다 작은 직경의 제2가이드(43)가 전진하고, 다음으로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제3가이드(45)가 전진하여 3단확장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3가이드(45)의 직경은 제1가이드(41)에 비하여 작게 이루어져 제3가이드(45)가 확장하면서 휴지(X)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기 쉽지 않을 수 있으나, 이는 상기 제3가이드(45)의 선단에 소정의 마찰력을 갖는 소재의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용이한 가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3가이드(45)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41)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휴지인출부로부터 인출되는 휴지의 선단을 가이드하는 마찰부(4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찰부(47)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휴지(X)와 맞닿았을 때 서로 마찰을 일으켜 마찰부(47)의 이동에 따라 휴지(X)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찰부(47)는 제3가이드(45)의 선단에 설치되되, 그 직경은 제1가이드(41)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휴지가이드부(40)의 작동에 따른 휴지(X)가 인출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휴지인출부(30)와 휴지가이드부(40)가 동일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어부(50)가 상기 휴지인출부(3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면 휴지가 인출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휴지가이드부(40)가 함께 제어되면서 제1가이드(41)가 전진하면 제1가이드(41)의 최선단에 위치한 마찰부(47)에 의하여 휴지(X)를 가이드하고, 최종적으로 제3가이드(45)까지 전진하면서 휴지(X)가 일정위치까지 전진하게 되고, 이후 휴지가이드부(40)가 후퇴하면서 휴지(X)만이 하강하면서 비데본체(10)의 중앙에 떨어지게 됨으로써 남성들이 소변을 보더라도 휴지에 의하여 물튀김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비데본체
20 : 비데시트
30 : 휴지인출부
31 : 제1인출부
33 : 제2인출부
40 : 휴지가이드부
41 : 제1가이드
43 : 제2가이드
45 : 제3가이드
47 : 마찰부
50 : 제어부
60 : 비데커버
70 : 출력부
80 : 저장부
90 : 플러싱부
X : 휴지
Y : 시험지
Y' : 대변검사지

Claims (5)

  1. 비데본체;
    상기 비데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개폐되는 비데커버;
    상기 비데본체와 비데커버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비데시트;
    상기 비데본체의 내주면 일측에서 비데본체 내부에 고여있는 물을 향해 휴지가 인출되는 휴지인출부; 및
    상기 비데커버와 비데시트 및 휴지인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사용패턴과 상기 사용패턴에 대응되는 음성신호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음성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사용패턴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휴지인출부로부터 인출되는 휴지에 인쇄되며, 배변검사를 통해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배변 이후 상기 휴지에 인쇄된 시험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시험지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며, 분석된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출력부로 출력하고,
    상기 휴지인출부는, 상기 시험지가 인쇄된 휴지가 인출되는 제1인출부와, 상기 시험지가 인쇄되지 않은 일반 휴지가 인출되는 제2인출부로 구획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지인출부에서 인출되는 휴지종류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패턴은,
    비데커버와 비데시트의 회전기능과, 상기 휴지인출부에서 휴지의 인출기능, 비데의 세정/비데/건조기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가진 사용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KR1020210155418A 2021-11-12 2021-11-12 패턴인식기능을 활용한 비데 KR102529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418A KR102529894B1 (ko) 2021-11-12 2021-11-12 패턴인식기능을 활용한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418A KR102529894B1 (ko) 2021-11-12 2021-11-12 패턴인식기능을 활용한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894B1 true KR102529894B1 (ko) 2023-05-09

Family

ID=8640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418A KR102529894B1 (ko) 2021-11-12 2021-11-12 패턴인식기능을 활용한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8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200A (ko) * 1990-09-20 1992-04-28 경상현 BiCMOS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114614A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 삼홍테크 비데 커버 및 시트의 자동 개폐장치
KR20120009072A (ko) * 2010-07-22 2012-02-01 소동하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
KR102031893B1 (ko) * 2018-05-04 2019-10-15 대림통상 주식회사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비데의 작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200A (ko) * 1990-09-20 1992-04-28 경상현 BiCMOS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114614A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 삼홍테크 비데 커버 및 시트의 자동 개폐장치
KR20120009072A (ko) * 2010-07-22 2012-02-01 소동하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
KR102031893B1 (ko) * 2018-05-04 2019-10-15 대림통상 주식회사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비데의 작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1431A (en) Toilet device with health examination system
KR101080828B1 (ko) 변좌 장착식 소변 분석 시스템용 소변 채취 장치
WO2017168173A2 (en) Apparatus for capturing bodily waste matter
US20080066220A1 (en) Odor removal system and overflow safety system for toilets
JPH05501741A (ja) 女性が利用できる小便器
KR102529894B1 (ko) 패턴인식기능을 활용한 비데
CN113445594B (zh) 卫生设备
KR102493405B1 (ko)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비데
KR102495772B1 (ko)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돌봄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비데
KR101906904B1 (ko) 적응형 자동식 변기
KR100891927B1 (ko) 자동개폐시트를 갖는 양변기
KR102531511B1 (ko) 휴지인출기능을 갖는 비데
JP2008291619A (ja) 高さ調整可能な男子用トイレ
CN108571048B (zh) 多功能座便器
EP1050632A1 (en) An automatic public toilet
KR102367592B1 (ko) 휴지인출기능을 갖는 비데
JP2006200149A (ja) 便器装置
JP4857868B2 (ja) 生体情報測定便器
EP3064664A1 (en) Automatic system and method for flushing a sanitary bowl
KR20140073666A (ko) 위생지 자동 공급용 좌변기 시트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86773B1 (ko)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CN108999256A (zh) 基于大数据的可自动推拉的部分嵌入式座便器
CN115748911A (zh) 出水控制方法、小便器、电子装置和出水控制装置
JP2005336811A (ja) トイレ装置
JP5593723B2 (ja) 便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