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773B1 -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773B1
KR102486773B1 KR1020200168663A KR20200168663A KR102486773B1 KR 102486773 B1 KR102486773 B1 KR 102486773B1 KR 1020200168663 A KR1020200168663 A KR 1020200168663A KR 20200168663 A KR20200168663 A KR 20200168663A KR 102486773 B1 KR102486773 B1 KR 102486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over
user
counting
detec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9171A (ko
Inventor
조정한
Original Assignee
(주) 아이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젠 filed Critical (주) 아이젠
Priority to KR1020200168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773B1/ko
Priority to US17/123,023 priority patent/US20220178125A1/en
Publication of KR2022007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Toilet Suppl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양변기 커버를 직접 개방 후 용변을 마치면 이를 감지하여 양변기 커버가 자동으로 닫혀 물내림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변이 급한 사용자가 직접 양변기 커버를 열고, 용변을 마친 후에는 양변기 커버가 자동으로 회동되어 닫힌 뒤 자동 물내림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용변 및 양변기 용수가 비산되어 외부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반자동으로 구동되어 양변기 사용시에만 커버를 개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양변기 개방에 사용되는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SEMI-AUTOMATIC TOILET BOWL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양변기 커버를 직접 개방 후 용변을 마치면 이를 감지하여 양변기 커버가 자동으로 닫혀 물내림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변이 급한 사용자가 직접 양변기 커버를 열고, 용변을 마친 후에는 양변기 커버가 자동으로 회동되어 닫힌 뒤 자동 물내림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용변 및 양변기 용수가 비산되어 외부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반자동으로 구동되어 양변기 사용시에만 커버를 개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양변기 개방에 사용되는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용변을 보는데 사용되는 양변기는 사용자가 양변기의 커버를 개방하고 변좌에 앉아 용변을 본 뒤, 수조에 구비된 물내림 장치를 사용하여 용변을 하수도로 흘려보내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최근 감지 센서의 개발과 함께 물내림 과정을 깜빡하고 나가는 사용자로 인해 화장실이 위생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975273호에는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이하, 선행기술 1)"와 같은 선행기술 1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감지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부재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작동레버를 작동시켜 물내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양변기를 구비된 칸막이 내에 위치하여도 자동으로 물내림 동작이 수행되기 때문에 용변을 포함한 양변기 보울 내 물이 밖으로 튀어 사용자에게 뭍거나 불쾌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비산 형태로 공기중에 부유할 수 있기 때문에 양변기의 위생적인 사용이 어렵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 2로 등록특허 제10-1909714호에는 "자동 변기 시스템(이하, 선행기술 2)"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센서부가 사용자를 감지하면 커버를 올리게 되고, 센서부가 해당 사용자의 부재를 인식하면 본체를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물의 수압을 통해 커버를 회전시켜 본체 상부를 커버하여 커버가 닫힌 상태로 물내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 2는 물내림 과정과 동시에 변화되는 수압에 의하여 커버가 본체 상부를 커버하기 때문에 과도한 물튀김은 방지할 수 있어도 여전히 양변기가 일부 개방된 상태로 물내림 동작이 수행되기 때문에 비산 확산의 문제를 완벽히 해결하기 어려우며, 사용자를 완벽히 감지하여야 커버가 회동을 통해 자동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한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상 사용자가 칸막이 내부로 진입하여도 양변기 커버가 들어올려지지 않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커버를 회동시키는데 동력이 소모되는 반면 사용자가 급한 용무로 인해 양변기의 빠른 사용을 원할 경우 대부분 사용자가 직접 커버를 개방시키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커버 개방시간동안 기다리기 어려우며, 전력소모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5273호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9714호 "자동 변기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변이 급한 사용자가 직접 양변기 커버를 열고, 용변을 마친 후에는 양변기 커버가 자동으로 회동되어 닫힌 뒤 자동 물내림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용변 및 양변기 용수가 비산되어 외부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반자동으로 구동되어 양변기 사용시에만 커버를 개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양변기 개방에 사용되는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부재시간을 카운팅한 뒤 커버를 회동시켜 양변기를 개방하고, 커버가 닫힌 시간을 카운팅하여 물내림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비산 형태로도 외부로 확산될 수 있는 용변 및 양변기 물을 사용자가 섭취하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청소나 남성의 소변배출 등의 이유로 시트커버를 회동시키는 경우에 자동으로 커버가 회동되거나 물내림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청소 및 소변배출을 수행할 수 있는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커버가 닫힌 양변기 사용을 꺼리는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 상태를 안내하여 용이하게 양변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장기간 사용으로 양변기 보울 내 잔존하는 악취를 탈취할 수 있어 사용자가 쾌적하게 양변기 이용이 가능한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용변을 처리하는 양변기; 양변기의 커버 개방 및 사용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사용자의 상기 양변기 사용을 감지하면 기입력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트부; 및 상기 카운트부가 기입력된 시간을 카운트 완료하면 상기 양변기의 커버를 닫히게 하거나 상기 양변기가 물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운트부는 상기 감지부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양변기를 이탈함을 감지하면 기입력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1차 카운트 모듈; 및 상기 양변기의 커버가 닫히면 기입력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2차 카운트 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카운팅을 마친 상기 1차 카운트 모듈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양변기의 커버를 닫힘 상태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2차 카운트 모듈을 구동시키고, 카운팅을 마친 상기 2차 카운트 모듈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양변기가 물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는 상기 양변기의 커버의 닫힘 또는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커버개폐감지모듈; 사용자가 상기 양변기 사용 및 이탈여부를 감지하는 사용감지모듈; 및 상기 양변기의 시트커버의 회동여부를 감지하는 시트커버감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커버감지모듈은 상기 양변기의 시트커버가 들어올려지면 상기 사용감지모듈이 구동되어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상기 시트커버감지모듈이 상기 양변기의 시트커버가 들어올려짐을 감지하였으나 상기 사용감지모듈이 사용자의 부재를 감지하면 상기 시트커버가 자동으로 회동되어 상기 양변기의 보울 상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양변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양변기 제어모듈;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감지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감지부 제어모듈; 상기 카운트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카운트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카운트부 제어모듈; 및 상기 카운트부에 기입력된 시간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양변기는 사용자에게 양변기 사용 가능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양변기가 구비된 화장실 칸막이 내부로 사용자가 입장함을 감지하는 입장감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입장감지모듈이 상기 화장실 칸막이 내부로 사용자가 입장함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를 구동시켜 사용자에게 상기 양변기 사용 가능 안내 음성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용변이 급한 사용자가 직접 양변기 커버를 열고, 용변을 마친 후에는 양변기 커버가 자동으로 회동되어 닫힌 뒤 자동 물내림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용변 및 양변기 용수가 비산되어 외부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반자동으로 구동되어 양변기 사용시에만 커버를 개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양변기 개방에 사용되는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사용자의 부재시간을 카운팅한 뒤 커버를 회동시켜 양변기를 개방하고, 커버가 닫힌 시간을 카운팅하여 물내림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비산 형태로도 외부로 확산될 수 있는 용변 및 양변기 물을 사용자가 섭취하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청소나 남성의 소변배출 등의 이유로 시트커버를 회동시키는 경우에 자동으로 커버가 회동되거나 물내림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청소 및 소변배출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커버가 닫힌 양변기 사용을 꺼리는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 상태를 안내하여 용이하게 양변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장기간 사용으로 양변기 보울 내 잔존하는 악취를 탈취할 수 있어 사용자가 쾌적하게 양변기 이용이 가능한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제어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의 실시예를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들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제어모듈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의 실시예를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들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양변기(100)의 커버(102)를 직접 개방 후 용변을 마치면 이를 감지하여 양변기(100)의 커버(102)가 자동으로 닫혀 물내림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1)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1)은 양변기(100), 감지부(200), 카운트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양변기(100)는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것으로, 양변기(100)의 전면에 감지부(200), 카운트부(300) 및 제어부(400)를 내장하는 메인프레임(101)과, 상기 메인프레임(101)과 연결되어 회동되는 커버(102)와 시트커버(103)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용변을 수용하여 하수도로 흘려내려보내는 양변기 보울(104)로 구성된다.
메인프레임(101)은 양측단이 커버(102) 및 시트커버(103)의 일측 말단과 결합되어 커버(102) 및 시트커버(103)가 메인프레임(10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01)에 내부에는 메인프레임(101)을 관통하여 커버(102) 일단 양측에 각각 관통결합되는 커버기어(102a)와, 메인프레임(101)을 관통하여 시트커버(103) 일단 양측에 각각 관통결합되는 시트커버기어(103a)가 내장된다.
상술된 커버기어(102a) 및 시트커버기어(103a)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톱니가 형성되고, 커버(102) 및 시트커버(103)의 일단 양측에는 각각 상기 커버기어(102a) 및 시트커버기어(103a)의 양측 말단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결합홈(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고, 커버기어(102a) 및 시트커버기어(103a)는 메인프레임(101)에 내장된 모터(도면에 미도시)와 연결되고, 제어부(400)를 통해 모터(도면에 미도시)가 각각 연결된 커버기어(102a) 및 시트커버기어(103a)를 회동시켜 커버(102) 및 시트커버(103)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커버기어(102a) 및 시트커버기어(103a)는 유압식으로 작동되어 빠르게 회동되어 닫히는 것이 아닌 천천히 회동되어 시트커버(103)와 커버(102) 하부, 양변기(100)와 시트커버(103) 하부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소음이 발생되지 않아 사용자가 양변기(100)와 동일 칸막이 내에 아직 위치하더라도 갑작스럽게 닫히는 커버(102) 및 시트커버(103)로 인해 놀랄 수 있는 문제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커버(102)는 양변기 보울(104) 상면에 구비된 시트커버(103) 위에 구비되어 닫힘 상태를 유지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커버(102)를 후면측으로 회동시켜 양변기 보울(104)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으로, 사용자가 시트커버(103)에 앉아 용변을 본 뒤 제어부(400)에 의해 자동으로 물내림이 수행되면 용변을 포함한 용수가 외부로 튀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용변 처리 과정에서 용변 및 용수가 비산형태로 외부 공기로 부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102)를 회동시켜 닫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02)는 상술된 바와 같이 양측단이 메인프레임(101)의 양측단과 각각 결합되어 커버기어(102a)의 회동에 따라 열림 또는 닫힘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하여 닫힘 상태의 커버(102)를 직접 들어올려 양변기 보울(104)이 개방된 상태(도 3 참조)로 만든 후 용변을 보게 되고, 사용자의 부재, 용변 마침 등을 감지한 감지부(200)를 통해 커버(102)가 닫힘상태를 유지하도록 커버기어(102a)를 구동시켜 회동하여 커버(102)가 닫히게 된다(도 3a 참조).
시트커버(103)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변기시트로, 양변기의 변좌에 해당되어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시트커버(103)위에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다.
한편, 시트커버(103)는 남성이 소변을 볼 때 후면측으로 회동시켜 용변을 보게 되거나 청소 등을 위해 시트커버(103)를 들어올릴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와 양변기(100)와의 거리가 다소 멀어져 청소나 소변을 보는 도중 자동으로 물내림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도 3b와 같이 시트커버(103)가 들어올려지는 경우 메인프레임(101)의 전면, 즉 사용자(청소를 수행하는 관리자, 소변보는 남성 등)를 감지할 수 있는 사용감지모듈(220)이 구비되어 자동으로 커버(102)의 회동 및 물내림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부(400)가 제어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양변기(100) 내 용변처리용수가 담긴 수조와 연결되어 물내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스위치(도면에 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감지부(200)는 양변기(100)와 상기 양변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커버개폐감지모듈(210), 사용감지모듈(220) 및 시트커버감지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개폐감지모듈(210)은 사용자가 양변기(100) 사용을 위해 커버(102)를 개방하거나 커버(102)가 현재 닫혀있는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메인프레임(101)에 내장되어 커버기어(102a)의 회동동작 및 회동정도를 파악하여 현재 커버(102)가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개폐감지모듈(210)은 사용자가 양변기(100) 사용시 커버(102)를 직접 들어올리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00) 중 양변기 제어모듈(410)로 전달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양변기(100) 사용 준비 중임을 확인한 양변기 제어모듈(410)은 사용감지모듈(22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버개폐감지모듈(210)은 유압센서, 커버기어(102a)의 회동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접촉스위치, 무게센서, 압력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자동 양변기 시스템 관련 선행기술의 경우 인체 감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인체감지센서를 구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센서의 전력소모,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수명감소 등의 문제가 존재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커버(102)가 인력에 의해 개방되기 때문에 커버(102) 개방과 동시에 사용자를 감지하는 사용감지모듈(220)을 구동시킴으로써 전력소모 및 사용감지모듈(220)의 사용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사용감지모듈(220)은 커버(102) 개방 후 양변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것으로, 메인프레임(101)에 내장되어 시트커버기어(103a)와 연결됨으로써 시트커버기어(103a)가 사용자의 신체로 인해 가압되는 경우 시트커버(103)의 하강하는 미세한 움직임을 시트커버기어(103a)를 통해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양변기(100) 사용중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1)의 전면에 추가로 구비되어 시트커버(103)를 가압하는 형태가 아닌 3b와 같이 시트커버(103)를 들어올려 용변을 보거나 청소를 하는 경우 양변기(100)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감지모듈(220)은 메인프레임(101)에 내장되어 시트커버(103)의 가압을 감지할 수 있도록 시트커버기어(103a)의 무게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무게센서, 동작감지센서, 압력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101)의 전면에 위치하는 사용감지모듈(220)의 경우 사용자 신체를 감지할 수 있는 원적외선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감지모듈(220)은 센서값의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시트커버(103)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사용감지모듈(220)에서 감지된 센서값이 사용감지모듈(220)에 기설정된 설정값 이상인 경우 용변중으로 판단하며, 설정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가 시트커버(103)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시트커버감지모듈(230)은 시트커버(103)의 상태, 즉 도 3과 같이 양변기 보울(104) 상단에 구비되는지 도 3b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들어올려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시트커버(103)를 들어올려 용변을 본 뒤 시트커버(103)를 내리지 않고 화장실을 떠나는 경우 사용감지모듈(220)이 사용자의 부재를 감지하고, 이후 시트커버(103)를 회동시켜 양변기 보울(104) 상단으로 위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시트커버감지모듈(230)은 상술된 커버개폐감지모듈(210)과 같이 시트커버기어(103a)의 회동동작 및 회동정도를 감지하여 시트커버(103)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시트커버(103)가 들어올려진 것을 감지하는 경우 양변기 제어모듈(410)로 전달하여 상기 양변기 제어모듈(410)이 사용감지모듈(220)을 구동시켜 사용자 신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트커버감지모듈(230)은 시트커버기어(103a)의 회동동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접촉스위치, 유압센서, 압력센서, 무게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시트커버감지모듈(230)을 통해 서서 용변을 보거나 시트커버(103)를 들어올린 후 양변기 보울(104)을 청소하는 관리자가 화장실 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시트커버(103) 및 커버(102)가 회동되어 닫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물내림 동작이 일어나는 것 또한 방지하여 청소에 불편함을 주거나 용변을 보는 중 물내림 동작이 수행되어 소변 및 용수가 양변기(100)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입장감지모듈(240)은 양변기(100)가 설치된 화장실 칸 내부로 사용자가 입장함을 감지하는 것으로, 적외선 센서나 화장실 칸막이 문을 여닫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는 음성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입장감지모듈(240)은 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장실 칸 내부로 입장하면 닫힌 커버(101)로 인해 양변기(100) 사용을 주저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 상태임을 안내할 수 있도록 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종래의 선행기술의 경우 사용자의 부재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물내림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조금만 멀어지거나 특히 시트커버(103)에 가압센서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잠시 일어서기만 해도 사용자가 부재한다고 판단하여 빠르게 물내림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양변기 보울(104) 내 용변을 포함한 용수가 밖으로 튀거나 비산 형태로 퍼질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하고, 특히 사용자의 신체에 묻어날 수 있어 비위생적이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사용자의 부재를 감지한 후 바로 커버(102) 닫힘 동작 및 물내림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일정시간 카운트하여 사용자가 충분히 용변을 마친 뒤 커버(102)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양변기(100)가 구비된 화장실 내부를 떠난 후 물내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카운트부(300)가 포함된다.
카운트부(300)는 사용감지모듈(220)을 통해 사용자의 부재를 감지하면 일정 시간 카운팅 한 후 제어부(400)를 통해 커버(102)를 회동시켜 커버(102) 닫힘 동작을 수행시키는 1차 카운트 모듈(310)과, 커버(102)가 닫혀 양변기 보울(104)이 폐쇄된 상태를 커버개폐감지모듈(210)이 감지하면 일정시간 카운팅 한 후 제어부(400)를 통해 물내림 동작을 수행시키는 2차 카운트 모듈(320)로 구성된다.
1차 카운트 모듈(310)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도중 잠시 일어나거나 뒷처리를 하는 도중 커버(102)가 바로 회동되는 경우 사용자의 엉덩이 등 신체와 부딪히거나 심한 경우 사용자가 미처 닦아내지 못한 용변이 커버(102) 전면에 묻어날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와 커버(102)가 부딪혀 사용자에게 불편함 및 불쾌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카운트 모듈(310)은 사용감지모듈(220)이 사용자의 부재를 감지하면 사용자가 뒷처리를 수행하고, 양변기(100)로부터 충분히 떨어질 수 있는 임의의 시간을 카운팅한 후 제어부(400)의 양변기 제어모듈(410)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양변기 제어모듈(410)이 커버기어(102a)를 회동시켜 커버(102)가 양변기 보울(104)을 폐쇄시키도록 한다.
즉, 사용감지모듈(220)은 사용자가 시트커버기어(103a)가 사용자가 변좌를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거나 또는 추가적으로 시트커버(103)에 구비될 수 있는 사용감지센서(원적외선 센서 포함) 등을 통해 사용자가 시트커버(103)를 이탈하면 용변을 마친 것으로 판단하여 1차 카운트 모듈(310)이 카운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1차 카운트 모듈(310)이 카운팅 되는 시간은 제작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3초(사용자가 시트커버(103)를 일어나거나 잠시 이탈하는 시간)에서 5초(화장지로 뒷처리를 하기위한 동작, 휴지를 양변기나 휴지통에 넣는 시간) 정도를 카운트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1차 카운트 모듈(310)이 카운팅을 수행하는 도중 다시 사용자가 시트커버(103), 즉 변좌에 앉는 경우 1차 카운트 모듈(310)은 카운팅을 멈추고 다시 사용자가 변좌를 떠난 것을 감지한 후 처음부터 카운팅을 해야하는 것은 물론이다.
2차 카운트 모듈(320)은 1차 카운트 모듈(310)을 통해 기설정된 일정시간 카운팅된 후 양변기 제어모듈(410)에 의해 커버(102)가 폐쇄되면 커버개폐감지모듈(210)을 통해 커버(102)가 닫힘을 확인하고, 이후 기설정된 일정시간을 카운팅한 후 양변기 제어모듈(410)로 신호를 전동하여 물내림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2차 카운트 모듈(320)은 1차 카운트 모듈(310)을 통해 카운팅되는 동안 뒷처리를 마친 사용자가 옷매무새를 다듬고 화장실을 나가는 시간을 카운트 하는 것으로 커버(102)가 닫힌 시간으로부터 2초 후부터 통상적으로 5초 내외의 시간을 카운팅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장실 칸막이를 나가면 물내림 동작이 수행됨으로써 커버(102)가 닫힘에도 외부로 퍼질 수 있는 비산 형태의 용변, 용수가 사용자에게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한다.
상술된 카운트부(300)를 통해 사용자의 부재를 감지함과 동시에 커버(102)의 닫힘 및 물내림 동작 수행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사용자가 비산 형태의 용변, 용수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1차 카운트 모듈(310) 및 2차 카운트 모듈(320)은 사용자가 기입력된 일정시간 이후 커버(102)가 닫히거나 물내림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안내 메세지를 소리로 출력하거나 카운팅되는 시간에 가까워질수록 신호음이 점차 커지거나 신호음 출력 간격이 짧아지는 등의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양변기(100)에 포함되는 구성들을 제어하는 양변기 제어모듈(410), 감지부(200)로부터 받은 센서값을 판단하고, 감지부(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감지부 제어모듈(420), 카운트부(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카운트부 제어모듈(430) 및 메모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양변기 제어모듈(410)은 도 4와 같이 커버기어(102a) 및 시트커버기어(103a)를 회동시킬 수 있는 기어 제어유닛(411), 물내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양변기(100) 내 수조를 제어하는 수조 제어유닛(412), 사용자에게 안내메세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01)에 내장된 스피커(도면에 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는 스피커 제어유닛(413), 후술된 탈취제 저장탱크(150) 및 탈취제 분사노즐(151)을 제어하는 탈취제 제어유닛(414)을 포함한다.
기어 제어유닛(411)은 커버기어(102a)를 자동으로 회동시켜 닫힌 상태로 물내림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시트커버기어(103a) 또한 커버(102)가 닫히기 전 시트커버기어(103a)를 회동시켜 양변기 보울(104) 상단에 시트커버(103)가 구비될 수 있도록 시트커버기어(103a)를 회동시키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수조 제어유닛(412)은 커버개폐감지모듈(210)을 통해 커버(102)가 닫힘을 감지하면 2차 카운트 모듈(320)에서 기설정된 시간을 카운팅 한 뒤 수조 제어유닛(412)으로 신호를 보내게 되면 이를 수신받은 수조 제어유닛(412)이 용변 처리 용수가 담긴 수조를 작동시켜 자동으로 물내림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수조 제어유닛(412)은 수조를 구동시키는 스위치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별도의 물내림 레버를 조작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양변기(100)가 물내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미처 물을 내리지 않고 가더라도 자동으로 물내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불특정 다수가 만지게 되는 물내림 레버를 사용자가 만질 필요가 없어 양변기(100)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스피커 제어유닛(413)은 카운트부(300)의 카운팅되는 사운드나 입장감지모듈(240)을 통해 화장실 칸막이 내로 사용자가 입장하는 경우 양변기(100)의 사용가능상태를 안내할 수 있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제어한다.
탈취제 제어유닛(414)은 후술된 탈취제 저장탱크(150) 및 탈취제 분사노즐(151)을 제어하여 커버(102)가 닫힌 양변기 보울(104) 내로 탈취제를 분사하여 양변기 보울(104) 내 악취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에게는 쾌적한 양변기(100) 사용을 제공할 수 있다.
감지부 제어모듈(420)은 감지부(2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양변기 제어모듈(410)을 통해 양변기(100) 내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커버개폐감지모듈(210)이 커버(102)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면 이를 감지부 제어모듈(420)로 연관 신호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받은 감지부 제어모듈(420)은 카운트부 제어모듈(430)을 통해 1차 카운트 모듈(310)이 기입력된 시간을 카운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카운트부 제어모듈(430)은 감지부 제어모듈(42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통해 1차 및 2차 카운트 모듈(310,320)의 동작(기입력된 시간 카운팅)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모리(440)는 카운트부(300)가 카운팅하는 시간, 후술된 예상 사용시간(t₂) 등이 저장되는 곳으로, 메모리(440)에 저장된 기입력된 시간에 따라 제어부(400)가 양변기(100) 및 카운트부(3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구성을 포함하는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1)을 통해 자동으로 커버(102) 닫힘 및 물내림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 5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가 양변기(100)가 구비된 화장실 칸막이로 입장하여 용변을 보기위해 커버(102)를 개방하면 커버개폐감지모듈(210)을 통해 커버(102)의 개방을 감지하는 커버 개방 감지단계(S10)를 수행한다. 이후 사용자가 시트커버(103)에 앉거나 커버(102) 및 시트커버(103)를 드는 등의 행동으로 시트커버감지모듈(230)이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단계(S20)를 거쳐 용변을 보면 사용감지모듈(220)을 통해 양변기(100)의 사용을 감지하는 사용 감지단계(S30)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메모리(440)에 기입력된 예상 사용시간(t₂)과 사용감지모듈(220)을 통해 실제 사용자가 양변기(100)를 사용하는 실제 사용시간(t₁)을 비교하는 단계(S31)를 수행하여 기입력된 예상 사용시간(t₂)보다 실제 사용시간이 길 경우 지속해서 사용자의 양변기(100) 사용을 감지하는 사용 감지단계(S30)를 수행하도록 하고, 실제 사용시간(t₁)이 예상 사용시간(t₂)보다 짧게 판단되면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것으로 판단하여 1차 카운트 모듈(310)이 기입력된 시간을 카운팅하는 1차 카운팅 단계(S40)를 수행하게 된다.
1차 카운팅 단계(S40)를 마치면 커버(102)는 자동으로 회동되어 커버(102)가 닫히는 커버 폐쇄단계(S50)를 수행하고, 이후 물내림 단계(S70)를 수행하기 전 물내림 동작을 시작하기 전 2차 카운트 모듈(320)이 기입력된 시간을 카운팅 하는 2차 카운팅 단계(S60)를 거쳐 자동으로 물내림 동작을 수행하는 물내림 단계(S70)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동작)들을 거쳐 커버(102)가 닫힌 상태로 물내림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물내림 동작으로 발생될 수 있는 물튀김이나 비산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다음 사용자가 위생적인 상태로 구비된 양변기(100)를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불특정다수가 물내림 동작을 수행하는 레버를 만지지 않아도 자동으로 물내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자동으로 커버(102)가 폐쇄되어 물내림 단계(S70)를 수행하기 때문에 이후 커버(102)는 양변기 보울(104)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직접 커버(102)를 올려 양변기(100)를 개방시킨 상태로 용변을 보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1)을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커버(102)가 닫혀있단 이유로 양변기(100) 내 용변이 잔존하거나 양변기(100)가 막혀있다는 등의 문제를 상상하여 양변기(100) 사용을 꺼릴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심하고 커버(102) 개방 및 양변기(100) 사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양변기(100)에 구비된 메인프레임(101)을 통해 사용자에게 양변기(100) 사용 가능상태를 안내할 필요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6의 (A)와 같이 커버 개방 감지단계(S10) 전 사용자가 화장실을 입장함을 감지할 수 있는 화장실 입장 감지단계(S01)와, 화장실 내부로 들어온 사용자에게 양변기(100) 사용이 가능함을 안내할 수 있는 음성 안내 단계(S02)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화장실 입장 감지단계(S01)는 칸막이로 형성된 화장실 칸 내부로 사용자가 입장함을 감지하는 단계로 감지부(200) 내 입장감지모듈(240)를 추가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양변기(100)가 구비된 칸막이 내부로 입장함을 감지 및 확인할 수 있다.
입장감지모듈(240)의 형태로는 메인프레임(101) 상면에 별도의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여 직접 사용자의 출입, 동작 등을 감지하거나 소리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칸막이 문을 여는 소리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 및 확인하도록 한다.
음성 안내 단계(S02)는 양변기(100)에 음성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되고, 양변기 제어모듈(410) 내 스피커 제어유닛(413)을 통해 도 7과 같이 양변기(100)가 사용 가능한 상태임을 화장실 칸 내부로 입장한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사용자가 안심하고 커버(102)를 들어올려 양변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커버(102)가 자동으로 폐쇄되어 물내림 단계(S70)를 수행하기 때문에 양변기 보울(104) 내 악취 등이 잔존한 상태로 다음 사용자가 커버(102)를 개방하게 되면 악취를 맡아 불쾌감을 느낄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사용자가 장기간 용변기를 이용하는 경우 용변이 양변기 보울(104) 내에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져 악취가 심해지기 때문에 다음 사용자가 커버(102) 개방시 악취를 그대로 맡게될 수 있다는 우려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양변기(100)에 탈취제 저장탱크(150) 및 탈취제 분사노즐(151)을 함께 구비하고, 도 6의 (B)와 같이 커버(102)가 폐쇄된 후 2차 카운팅 단계(S60)를 수행한 후에는 사용 감지단계(S30)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양변기(100)의 실제 사용시간(t₁)이 기입력된 예상 사용시간(t₂)보다 길어진 경우를 판단하는 사용시간 판단단계(S61)와, 물내림 단계(S70) 이후 탈취제 저장탱크(150)에 저장된 탈취제가 양변기 보울(104) 내측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탈취제 분사노즐(151)을 구동시키는 탈취제 분사 단계(S80)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사용시간 판단단계(S61)는 사용 감지단계(S30)에서 감지부(200)가 획득한 사용자 실제 사용시간(t₁)과 제어부(400)에 기입력된 사용자의 예상 사용시간(t₂)을 비교하여 실제 사용시간과 예상 사용시간(t₂)과의 차이를 판단하고, 제어부(400)의 양변기 제어모듈(410)이 탈취제 저장탱크(150) 및 탈취제 분사노즐(15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실제 사용시간(t₁)과 예상 사용시간(t₂)과의 차이가 클수록 양변기 보울(104) 내 잔존하는 악취의 오염도가 심할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에 양변기 제어모듈(410)은 실제 사용시간(t₁)과 예상 사용시간(t₂)과의 오차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탈취제 분사량 또는 분사횟수를 정하여 탈취제 저장탱크(150) 및 탈취제 분사노즐(151)을 구동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제 사용시간(t₁)과 예상 사용시간(t₂)과의 오차가 적은 경우와 큰 경우에는 탈취제 분사량 또는 분사횟수에 차이가 발생하며, 실제 사용시간(t₁)과 예상 사용시간(t₂)과의 오차가 큰 경우가 더 많은 탈취제 분사량 또는 분사횟수를 가져 커버(102)가 폐쇄되더라도 양변기 보울(104) 내 잔존하는 악취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상술된 탈취제는 방향제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탈취제 분사 단계(S80) 외에도 사용자가 일정시간 이상으로 양변기(100)를 사용하는 경우 용변의 양이 많거나 용변이 양변기(100) 내 잔존시간이 길어져 양변기 보울(104) 내측면에 묻어날 우려가 존재하므로 물내림의 강도나 수행시간을 기존의 강도 또는 수행시간보다 길게 설정하여 기설정된 사용시간보다 길게 양변기(100)를 사용하는 경우 탈취제 분사와 함께 물내림의 강도 또는 수행시간을 높여 양변기 보울(104) 내 용변이 잔존하거나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1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메모리(4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440)에는 프로세서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4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모리(440)는, 1차 카운트 모듈(310), 2차 카운트 모듈(320), 양변기 제어모듈(410), 감지부 제어모듈(420) 및 카운트부 제어 모듈(430)을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메모리(440)에 저장된 상기 다양한 모듈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100. 양변기
200. 감지부
300. 카운트부
400. 제어부

Claims (5)

  1. 사용자의 용변을 처리하는 양변기;
    양변기의 커버 개방 및 사용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사용자의 상기 양변기 사용을 감지하면 기입력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트부; 및
    상기 카운트부가 기입력된 시간을 카운트 완료하면 상기 양변기의 커버를 닫히게 하거나 상기 양변기가 물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운트부는,
    상기 감지부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양변기를 이탈함을 감지하면 기입력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1차 카운트 모듈; 및
    상기 양변기의 커버가 닫히면 기입력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2차 카운트 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카운팅을 마친 상기 1차 카운트 모듈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양변기의 커버를 닫힘 상태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2차 카운트 모듈을 구동시키고, 카운팅을 마친 상기 2차 카운트 모듈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양변기가 물내림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양변기의 커버의 닫힘 또는 열림상태를 감지하는 커버개폐감지모듈;
    사용자의 상기 양변기에 대한 사용 및 이탈여부를 감지하는 사용감지모듈; 및
    상기 양변기의 시트커버의 회동여부를 감지하는 시트커버감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감지모듈은,
    상기 시트커버에 대한 가압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양변기의 메인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원적외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커버감지모듈을 통해 상기 양변기의 시트커버가 들어올려진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사용감지모듈을 구동시켜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카운트 모듈이 카운팅을 수행하는 중에 상기 사용감지모듈을 통해 상기 양변기에 근접한 사용자가 감지되면, 카운팅을 중단하고,
    상기 카운팅이 중단된 이후 상기 사용감지모듈을 통해 상기 양변기에 대한 사용자의 이탈이 감지되면, 처음부터 다시 카운팅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감지모듈을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실제 사용 시간을 기입력된 예상 사용 시간과 비교하고,
    상기 실제 사용 시간과 상기 예상 사용 시간 간의 차이를 바탕으로 탈취제의 분사량 또는 분사 횟수를 설정하는,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커버감지모듈이 상기 양변기의 시트커버가 들어올려짐을 감지하였으나 상기 사용감지모듈이 사용자의 부재를 감지하면 상기 시트커버가 자동으로 회동되어 상기 양변기의 보울 상단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변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양변기 제어모듈;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감지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감지부 제어모듈;
    상기 카운트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카운트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카운트부 제어모듈; 및
    상기 카운트부에 기입력된 시간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는 사용자에게 양변기 사용 가능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양변기가 구비된 화장실 칸막이 내부로 사용자가 입장함을 감지하는 입장감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입장감지모듈이 상기 화장실 칸막이 내부로 사용자가 입장함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를 구동시켜 사용자에게 상기 양변기 사용 가능 안내 음성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KR1020200168663A 2020-12-04 2020-12-04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KR102486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663A KR102486773B1 (ko) 2020-12-04 2020-12-04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US17/123,023 US20220178125A1 (en) 2020-12-04 2020-12-15 Semi-automatic toilet bow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663A KR102486773B1 (ko) 2020-12-04 2020-12-04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171A KR20220079171A (ko) 2022-06-13
KR102486773B1 true KR102486773B1 (ko) 2023-01-10

Family

ID=8184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663A KR102486773B1 (ko) 2020-12-04 2020-12-04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178125A1 (ko)
KR (1) KR1024867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430A (ja) * 2001-05-15 2002-11-27 Inax Corp 便器洗浄装置
JP2020130861A (ja) * 2019-02-25 2020-08-31 Toto株式会社 トイレ用音声案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1416A (ko) * 2008-06-18 2009-12-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좌변기
KR200483572Y1 (ko) * 2016-04-25 2017-05-30 리우인더스 주식회사 좌변기용 자동 개폐장치
KR101909714B1 (ko) 2017-07-24 2018-10-18 양택종 자동 변기 시스템
KR101975273B1 (ko) 2018-11-23 2019-05-07 김흥준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430A (ja) * 2001-05-15 2002-11-27 Inax Corp 便器洗浄装置
JP2020130861A (ja) * 2019-02-25 2020-08-31 Toto株式会社 トイレ用音声案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171A (ko) 2022-06-13
US20220178125A1 (en)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84568B (zh) 控制马桶冲水的方法及系统
CN109577447A (zh) 一种坐便器控制方法、装置、坐便器及存储介质
KR102486773B1 (ko)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CN106677309A (zh) 一种节水马桶
CN113445594A (zh) 卫生设备
JP6872161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JP5831848B2 (ja) 手洗い器付き小便器
JP2022011026A (ja) 洋風便器装置および便座装置
JP2006200149A (ja) 便器装置
JP2020130860A (ja) トイレ用音声案内装置
JPH0756151B2 (ja) 便 所
JP7069525B2 (ja) トイレ用音声案内装置
TWI774243B (zh) 西式馬桶裝置及馬桶座裝置
KR101857675B1 (ko) 위생변기
KR20010047700A (ko) 좌변기의 자동배수장치 및 그 방법
JP2005336811A (ja) トイレ装置
JP7454788B2 (ja) 便器装置および便座装置
CN115748911A (zh) 出水控制方法、小便器、电子装置和出水控制装置
KR102507842B1 (ko) 소변 튐 방지 기능을 갖는 양변기
TW202237018A (zh) 西式馬桶裝置及馬桶座裝置
JP5128884B2 (ja) 小便器洗浄システム
JP3729180B2 (ja) 圧送部付き便器
JP7068627B2 (ja) トイレ用音声案内装置
JP7449725B2 (ja) 便器装置
KR20230130857A (ko) 비데의 물내림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