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714B1 - 자동 변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변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714B1
KR101909714B1 KR1020170093337A KR20170093337A KR101909714B1 KR 101909714 B1 KR101909714 B1 KR 101909714B1 KR 1020170093337 A KR1020170093337 A KR 1020170093337A KR 20170093337 A KR20170093337 A KR 20170093337A KR 101909714 B1 KR101909714 B1 KR 101909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eat
main body
us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택종
Original Assignee
양택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택종 filed Critical 양택종
Priority to KR1020170093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자동으로 좌대, 커버 및 물공급을 제어하여 위생적으로 변기를 이용할 수 있는 자동 변기 시스템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변기 시스템은 일단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좌변기 본체 후방에 결합되는 좌대, 일단이 상기 좌대의 후방에 상기 본체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커버, 상기 커버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커버의 일단을 회전시키는 커버구동부, 상기 본체 및 상기 본체 주위의 바닥에 형성되는 센서부, 상기 커버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좌대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부 및 상기 좌대 및 커버가 상기 본체를 커버하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가 사용자를 감지하면, 상기 클러치부를 통해 상기 좌대의 일단에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상기 커버만 올리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변기 시스템{AUTOMATIC SANITARY CHAMBER SYSTEM}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자동 변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는 소변기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공공장소에서는 변기에서 소변을 보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서서 소변을 보는 사람들에게는 좌대 및 커버를 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이 불편하고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다.
그러나 기존의 좌대 및 커버는 수동으로 조작하는 구조이고,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공공화장실의 변기의 좌대 및 커버는 오염된 상태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실용신안공보 실1995-0022713호는 좌변기의 좌판 자동 개방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7646호는 비닐시트를 이용한 위생 좌변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위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좌판이 자동으로 개방되고 비닐시트를 이용한 좌변기 발명을 개시하고 있지만 커버의 자동구동 및 자동 배변 처리 기술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자동으로 좌대, 커버 및 물공급을 제어하여 위생적으로 변기를 이용할 수 있는 자동 변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 변기 시스템은 일단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좌변기 본체 후방에 결합되는 좌대, 일단이 상기 좌대의 후방에 상기 본체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커버, 상기 커버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커버의 일단을 회전시키는 커버구동부, 상기 본체 및 상기 본체 주위의 바닥에 형성되는 센서부, 상기 커버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좌대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부 및 상기 좌대 및 커버가 상기 본체를 커버하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가 사용자를 감지하면, 상기 클러치부를 통해 상기 좌대의 일단에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상기 커버만 올리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소정의 시간동안 해당 사용자의 중량을 감지하면, 상기 클러치부를 통해 상기 동력을 상기 좌대의 일단에 전달하고, 상기 좌대를 회전시켜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해당 사용자를 인식하는 광센서 및 상기 본체 주위의 바닥에 형성되어 발바닥을 감지하는 바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센서는 중량의 변화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직립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가 해당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클러치부를 구동시켜 상기 좌대의 일단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고, 상기 커버는 들어올리며, 상기 좌대는 상기 본체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가 해당 사용자의 부재를 인식하면, 상기 본체로 물을 공급하고, 물의 수압을 통해 상기 커버를 회전시켜 상기 본체 상부를 커버하는 물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 변기 구동 방법은 해당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부의 신호를 통해 제어부가 커버를 변기 본체와 이격시켜 상기 본체 상부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센서부의 바닥센서가 해당 사용자의 중량을 소정의 시간동안 감지하면 상기 본체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좌대 상기 커버를 향해 회전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부재를 인식하면, 물공급부가 상기 본체에 물을 공급하고 물의 수압으로 상기 커버의 일단이 회전하여 상기 본체를 커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변기 시스템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여 좌대, 커버 및 물공급부를 제어하여 위생적으로 변기를 제어한다.
또한, 자동 변기 시스템은 배변 후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압으로 커버가 회전하여 본체를 커버하므로,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본체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물을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 변기 시스템은 변기에서 소변을 보는 해당 사용자의 중량을 감지하여 좌대를 자동으로 올리는 구동을 하고, 이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위생적인 변기 사용이 가능하고 변기 주변의 위생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자동 변기 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클러치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정면도들.
도 5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물공급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자동 변기 시스템의 구동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기 시스템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자동 변기 시스템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변기 시스템(100)은 해당 사용자를 감지하면, 좌대(210) 및 커버(220)를 구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좌대(210) 및 커버(220)를 배치하고, 자동으로 물을 내려주는 구성을 포함한다.
자동 변기 시스템(100)은 본체(205), 좌대(210), 커버(220), 커버구동부(230), 클러치부(240), 물공급부(250), 제어부(260) 및 센서부(400)를 포함한다.
좌변기의 본체(205)는 원통형의 중공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배변이 수용되는 중공에는 물이 주입되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며, 후방에는 물을 공급하는 탱크가 형성된다.
좌대(210)는 일단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본체(205) 상부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본체(205) 상부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중앙에는 본체(205)의 중공과 연결되는 홀이 형성된다.
커버(220)는 일단이 좌대(210)의 후방에 본체(205)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타원형태로 형성되어 좌대(210) 및 본체(205)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상기 탱크의 전면에 걸쳐져 본체(205)의 중공을 개방한다.
커버구동부(230)는 커버(220)의 일단과 결합되어 커버(220)가 본체(205)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개방하도록 커버(220)의 일단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고, 물공급부(250)와 연결되어 물공급부(250)에서 발생한 동력이 커버구동부(230)를 통해 커버(220)로 전달되면 커버(220)가 본체(205)를 향해 이동하여 본체(205)의 상부를 커버한다.
센서부(400)는 본체(205) 및 본체(205) 주위의 바닥에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해당 사용자가 본체(206)를 마주하며 소변을 보는 위치에서 해당 사용자의 발바닥과 밀착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해당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클러치부(240)는 구동을 통해 커버구동부(230)의 동력을 좌대(210)에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고, 제어부(260)는 클러치부(240)의 제어를 통해 좌대(2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클러치부(240)는 해당 사용자가 화장실 내부로 입장하고 좌대(210)에 앉아서 좌대(2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압력센서가 해당 사용자의 중량을 감지하면, 제어부(260)를 통해 작동 불능 상태로 전환된다.
제어부(260)는 본체(205)의 내부에 형성되고, 센서부(400)와 연결되어, 센서부(400)의 신호를 통해 좌대(210) 및 커버(220)를 제어하여,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좌대(210) 및 커버(220)가 배치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60)는 센서부(400)가 해당 사용자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면, 클러치부(240)를 통해 좌대(210)의 일단에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커버(220)의 타단은 회전시키고 좌대(210)는 본체(205)를 커버하도록 배치하여, 해당 사용자가 좌대(210)를 직접 잡고 이동시킬 필요없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동안 본체(205) 주위 바닥에 형성된 센서부(400)에 직립한 상태로 머물면, 센서부(400)는 해당 사용자가 소변을 보기 위해 서있는 상태를 인식하는 신호를 제어부(260)에 전송하여, 제어부(260)를 통해 좌대(210)를 상기 탱크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동 변기 시스템(100)은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좌대(210) 및 커버(220)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편의성이 증가하고, 해당 사용자가 직접 좌대(210) 및 커버(220)를 접촉할 필요가 없어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센서부(400)는 바닥센서(420) 및 광센서(440)를 포함한다.
바닥센서(420)는 본체(205) 주위 바닥에 해당 사용자가 소변을 보기 위해 발바닥들이 바닥과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광센서(440)는 본체(205)의 표면에 형성되어 해당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한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클러치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정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5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물공급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구동부(230)는 구동모터(231), 구동축(232), 제1 기어(233) 및 제2 기어(234)를 포함한다.
구동모터(231)는 본체(205)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버(220)의 일단의 일측에 배치되고, 구동축(232)은 구동모터(231)와 결합된 상태로, 일단은 커버(220)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어 커버(220)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구동모터(231)를 관통하여 물공급부(250)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1 기어(233)는 커버(220)의 일단을 관통하는 구동축(232)의 일단과 결합되고, 제2 기어(234)는 제1 기어(233)와 맞물리도록 좌대(210)의 일단과 커버(220)의 일단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31)가 구동하면 구동축(232)이 회전하여 커버(220)의 일단을 회전시켜 회전 방향에 따라 커버(220)가 본체(205)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본체(205)의 상부를 개방하고, 제1 및 제2 기어(233, 234)들이 회전한다.
클러치모터(241)는 좌대(210)와 커버(220) 사이에 형성되고, 회전하는 구동축이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에는 구동기어(242)가 결합된다.
랙기어(243)는 구동기어(242)의 상부에 구동기어(242)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일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클러치(244)는 랙기어(243)의 일단과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랙기어(243)의 일단의 이동에 따라 함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3 기어(245)는 제2 기어(234)와 맞물리도록 제2 기어(234)의 전방에 형성되고, 클러치(244)의 일측에 형성되어, 클러치(244)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클러치(244)의 이동방향을 따라 함께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1 와셔(246)는 제1 와셔(246)의 가장자리에서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바 형태의 톱니들이 제1 와셔(246)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일측을 향해 형성되며, 제3 기어(245)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3 기어(245)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3 기어(245)와 함께 회전한다.
좌대(210)는 제2 와셔(211)를 포함한다.
제2 와셔(211)는 좌대(210)의 일단 타측에 형성되고, 제1 와셔(246)와 동일한 구조로 복수의 톱니들이 제1 와셔(246)를 향해 배치되도록 좌대(210)의 일단과 결합된다.
따라서, 클러치(244)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제3 기어(245) 및 제1 와셔(246)가 제2 와셔(211)를 향해 이동하여 제1 와셔(246) 및 제2 와셔(211)가 서로 맞물리면, 구동모터(231)의 회전력이 제2 와셔(211)로 전달되어 좌대(210)가 회전하여 본체(205)의 가장자리와 밀착되며 본체(205)의 가장자리를 커버한다.
또한, 제어부(260)는 센서부(400)의 바닥센서(420)가 소정의 시간동안 해당 사용자의 중량을 감지하면, 해당 사용자가 소변을 보기 위해 직립한 상태로 인식하여 클러치부(240)를 통해 구동모터(231)의 동력을 좌대(210)의 일단에 전달하고, 좌대(210)를 회전시켜 좌대(210) 및 커버(220)를 상기 탱크를 향해 이동시켜 본체(205)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다.
물공급부(250)는 케이스(251), 전달기어(252), 공급기어(253) 및 밸브(254)를 포함한다.
케이스(251)는 본체(205)의 후방 상단에서 커버(220)의 일단과 본체(205)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공간이 상기 탱크의 물이 본체(205)의 중공으로 이동하는 통로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전달기어(252)는 케이스(251)의 내부공간에 형성되고, 케이스(251)의 일측을 관통하여 케이스(251)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되는 구동축(232)과 결합되어, 구동모터(23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거나, 전달기어(252)의 회전력이 구동축(232)을 통해 제1 기어(233)로 전달된다.
공급기어(253)는 케이스(251)의 내부공간에서 전달기어(252)의 하부에 형성되고, 전달기어(252)와 맞물리며, 구동모터(231)의 회전을 통해 회전하거나, 공급기어(253) 자체의 회전이 전달기어(252)를 통해 제1 기어(2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밸브(254)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할 수 있고, 제어부(260)와 연결되어, 센서부(400)가 해당 사용자의 부재를 감지하면 밸브(254)를 작동시켜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을 파이프를 통해 본체(205)와 상기 탱크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다.
밸브(254)의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는 케이스(251)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밸브(254)가 열리고 물이 밸브(254)를 통해 케이스(251)의 내부공간을 지나 본체(205)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공급기어(253)는 수압에 의해 회전한다.
도 3 및 5들을 참조하면, 공급기어(253)의 하단부가 수압에 의해 정방향(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전달기어(252) 및 구동축(232)들은 역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기어(23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축(232)에 결합된 커버(220)의 일단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본체(205)를 향해 이동하고, 물이 본체(205)를 향해 공급되어 배변을 배수구로 보내는 동시에 커버(220)가 본체(205)의 상부를 커버한다.
따라서, 배변을 배수구로 보내기 위해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본체(205)의 중공에서 산개되어 퍼지는 물을 커버(220)가 차단하므로, 본체(205) 주위의 환경이 위생적으로 관리되고, 해당 사용자는 손으로 직접 본체(205)에 접촉할 필요가 없어 손의 청결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자동 변기 시스템의 구동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바닥센서(420) 또는 광센서(440)는 해당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제어부(260)가 커버(220)를 상기 탱크에 인접하도록 본체(205)와 이격시켜 본체(205) 상부를 개방한다(단계 S100).
바닥센서(420)가 해당 사용자의 중량을 소정의 시간동안 감지하면, 본체(205)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좌대(210)가 커버(220)를 향해 회전한다(단계 S200).
바닥센서(420)에 가해지는 중량이 감소하여 중량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광센서(440)가 해당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260)는 사용자의 부재로 인식하여 물공급부(250)가 물을 본체(205)로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이 경우 물의 수압을 통해 커버(220)가 회전하여 본체(205)의 상부를 커버한다(단계 S30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자동 변기 시스템 205: 본체
210: 좌대 220: 커버
230: 커버구동부 240: 클러치부
250: 물공급부 260: 제어부
400: 센서부 420: 바닥센서
440: 광센서

Claims (7)

  1. 일단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좌변기 본체 후방에 결합되는 좌대;
    일단이 상기 좌대의 후방에 상기 본체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커버;
    상기 커버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커버의 일단을 회전시키는 커버구동부;
    상기 본체 및 상기 본체 주위의 바닥에 형성되는 센서부;
    상기 커버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좌대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부; 및
    상기 좌대 및 커버는 상기 본체를 커버하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가 사용자를 감지하면, 상기 클러치부를 통해 상기 좌대의 일단에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하여 상기 커버만 올리는 제어부; 및
    상기 센서부가 해당 사용자의 부재를 인식하면, 상기 본체로 물을 공급하고, 물의 수압을 통해 상기 커버를 회전시켜 상기 본체 상부를 커버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구동부는,
    상기 커버의 일단의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커버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커버의 일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모터를 관통하여 상기 물공급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구동축과,
    상기 커버의 일단을 관통하는 상기 구동축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좌대의 일단과 상기 커버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본체의 후방 상단에 상기 커버의 일단과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되는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는 전달기어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전달기어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전달기어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수압에 의해 회전하는 공급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소정의 시간동안 해당 사용자의 중량을 감지하면, 상기 클러치부를 통해 상기 동력을 상기 좌대의 일단에 전달하고 상기 좌대를 회전시켜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해당 사용자를 인식하는 광센서; 및
    상기 본체 주위의 바닥에 형성되어 발바닥을 감지하는 바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센서는,
    중량의 변화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직립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가 해당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클러치부를 구동시켜 상기 좌대의 일단으로 전달되는 동력은 차단하고 상기 커버는 들어올리며, 상기 좌대는 상기 본체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기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93337A 2017-07-24 2017-07-24 자동 변기 시스템 KR101909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337A KR101909714B1 (ko) 2017-07-24 2017-07-24 자동 변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337A KR101909714B1 (ko) 2017-07-24 2017-07-24 자동 변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714B1 true KR101909714B1 (ko) 2018-10-18

Family

ID=6413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337A KR101909714B1 (ko) 2017-07-24 2017-07-24 자동 변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171A (ko) 2020-12-04 2022-06-13 (주) 아이젠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5985A (ja) * 2004-10-20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イレ装置
KR100919249B1 (ko) * 2008-12-05 2009-09-30 신동빈 소변시 자동으로 열리는 좌변기 시트
KR20100022781A (ko) * 2008-08-20 2010-03-03 노태종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5985A (ja) * 2004-10-20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イレ装置
KR20100022781A (ko) * 2008-08-20 2010-03-03 노태종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0919249B1 (ko) * 2008-12-05 2009-09-30 신동빈 소변시 자동으로 열리는 좌변기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171A (ko) 2020-12-04 2022-06-13 (주) 아이젠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32477B (zh) 护理用排泄物处理装置
CN107130671B (zh) 一种马桶智能控制系统及方法和智能马桶
US10791888B1 (en) Automatic toilet seat and lid assembly
KR101909714B1 (ko) 자동 변기 시스템
KR200483572Y1 (ko) 좌변기용 자동 개폐장치
KR101545861B1 (ko) 양변기 커버 및 시트의 자동 개폐 장치
KR20150123083A (ko) 좌변기용 자동 개폐장치
KR101954500B1 (ko) 커버 및 시트의 자동 개폐가 가능한 양변기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0946392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물을 무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KR102044973B1 (ko) 스마트 좌변기
KR20210061618A (ko) 좌변기용 스마트 변좌 커버 장치
KR101849083B1 (ko)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JP3729073B2 (ja) 洋風便器装置
KR101932477B1 (ko) 가정용 좌식 양변기 커버 및 시트 자동개폐 제어방법
KR101110354B1 (ko) 틸팅 기능을 갖는 비데
KR100919249B1 (ko) 소변시 자동으로 열리는 좌변기 시트
JP3172816B2 (ja) 筒状小便器
KR20220021508A (ko) 양변기의 커버 자동 닫힘 장치
KR20020040999A (ko) 자동 양변기
KR20140073666A (ko) 위생지 자동 공급용 좌변기 시트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20082174A (ko) 좌변식 변기
KR200265600Y1 (ko) 자동 양변기
KR200336171Y1 (ko) 다기능 환자용 침대의 슬라이딩식 좌변기 안전구조
KR102156939B1 (ko) 변기 커버에 연동하는 물내림 장치
KR101857675B1 (ko) 위생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