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416A - 좌변기 - Google Patents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416A
KR20090131416A KR1020080057270A KR20080057270A KR20090131416A KR 20090131416 A KR20090131416 A KR 20090131416A KR 1020080057270 A KR1020080057270 A KR 1020080057270A KR 20080057270 A KR20080057270 A KR 20080057270A KR 20090131416 A KR20090131416 A KR 20090131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tery
water
toilet
valve
bid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근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7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1416A/ko
Publication of KR2009013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기와 비데에 직수를 공급할 수 있는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는, 좌판이 탑재되는 도기; 상기 도기의 상측에 배치되어 인체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비데; 상기 도기와 비데에 연결되어 상기 도기와 비데에 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을 개폐시키는 밸브; 및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변기의 크기와 제조단가를 감소시키고, 고장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고, 사용자가 용변기의 물을 내리지 않고 화장실을 나가더라도 자동으로 물내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좌변기, 자동물내림, 직수

Description

좌변기{TOILET BOWL}
본 발명은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는 기기이다. 상기 좌변기에는 용변이 수용되는 도기와, 상기 도기에 한번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물이 저장되는 수조가 포함된다. 상기 좌변기에는 수조의 물을 펌핑하여 상기 도기와 세정 노즐 장치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펌프가 설치된다. 상기 세정 노즐 장치는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좌변기에는 수조와 펌프가 설치되므로, 상기 좌변기의 크기가 증가하고 제조 단가가 상승되었다. 또한, 상기 펌프의 모터는 화장실과 같은 습한 공간에 배치되므로, 상기 모터가 습기 등에 의해 고장이 자주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좌변기는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리지 않고 화장실을 나가는 경우, 좌변기가 비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좌변기의 크기와 제조단가를 감소시키고, 고장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리지 않고 화장실을 나가더라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물내림이 수행되는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는, 좌판이 탑재되는 도기; 상기 도기의 상측에 배치되어 인체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비데; 상기 도기와 비데에 연결되어 상기 도기와 비데에 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을 개폐시키는 밸브; 및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관은 분지되어 상기 도기와 비데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급수관의 분지된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도기와 비데에 선택적으로 직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인체와 착좌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감지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에 의해 인체 또는 착좌가 감지되다가 감지되지 않은 후에 상기 도기에 물내림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무감지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도기에 물내림을 수행하도록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착좌 또는 인체 감지 시간이 기 설정된 무감지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이 물내림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변기의 크기와 제조단가를 감소시키고, 고장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리지 않고 화장실을 나가더라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물내림이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변좌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기(10)의 상면 후측에는 설치 브라켓(11)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도기(10)의 후측에는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 브라켓(11)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3)에 의해 상기 도기(10)의 체결홀에 체결된다.
상기 설치 브라켓(11)에는 비데(20)가 탑재된다. 상기 비데(20)는 프레임(21), 좌판(23) 및 커버(25)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1)은 도기(10)의 상단면 후방에 안착된다. 상기 프레임(21)의 전방측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좌판(23)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좌판(23)의 후방측과 상기 프레임(21)의 전방측에 힌지 결합 된다. 상기 좌판(23)의 내부에는 히터(미도시)가 배치되어 상기 좌판(23)을 적당한 온도로 데워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커버(25)는 프레임(2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커버(25)는 프레임(21)의 상측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21)의 내부에는 노즐 어셈블리(40)가 배치된다. 상기 노즐 어셈블리(40)는 전후측으로 왕복 운동 가능한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21)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부(50)가 배치된다. 상기 조작부(50)에는 사용자가 소정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버튼이 포함된다. 이때, 사용자가 세정 버튼 버튼을 누르며, 상기 노즐은 전방측으로 전진하여 세정수를 분사함에 따라 신체의 일부를 세정한다.
도 2는 도 1의 좌변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기(10)와 비데(20)에는 급수관(60)이 연결되어 상기 도기(10)와 비데(20)에 직수를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직수는 수도관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수도관의 물이 유입되어 임시 저장되는 수조가 설치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수도관의 수압을 이용하여 상기 도기(10)와 비데(20)에 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좌변기에는 물을 펌핑시키기 위한 펌프가 설치될 필요가 없다.
상기 급수관(60)에는 유로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밸브(7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급수관(60)은 분지되어 상기 도기(10)와 비데(2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밸브(70)는 상기 급수관(60)의 분지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70)로는 상기 도기(10)와 비데(20)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3 방 밸브(70)(three way valve)가 적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밸브(70)와 도기(10) 사이의 급수관(60) 부분을 제1분지관(61), 상기 밸브(70)와 비데(20) 사이의 급수관(60) 부분을 제2분지관(63)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기 밸브(70)는 제어부(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밸브(70)를 제어함에 의해 제1분지관(61)과 제2분지관(63)에 선택적으로 직수를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80)에는 조작부(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0)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제어부(80)에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80)는 밸브(70), 비데(20) 등을 제어한다.
상기 좌변기에는 인체와 착좌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부(9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90)는 적외선에 의해 좌변기에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미도시)와, 상기 좌판에 사용자가 앉았을 때에 좌판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체 감지 또는/및 착좌 감지가 1분 30초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에서는 남성 소변 또는 여성 소변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상기 밸브(70)를 제어하여 상기 도기(10)에 물내림 양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체 감지 및 착좌 감지가 1분 30초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에서는 대변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상기 밸브(70)를 제어하여 상기 도기(10)에 물내림 양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의 제어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좌변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좌변기에 인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급수관(60)의 밸브(70)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S11). 상기 제어부(80)에서는 감지부(90)에 의해 인체 또는/및 착좌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12).
이때, 상기 인체 또는/및 착좌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밸브(70)를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인체 또는/및 착좌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인체 감지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한다(S13).
그리고,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수동 물내림이 선택되는 지를 판단한다(S14). 상기 조작부(50)를 통해 수동 물내림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밸브(70)를 개방하여 상기 제1분지관(61)을 통해 상기 도기(10)에 직수를 공급하여 상기 도기(10)에서 물내림을 실시한다(S15).
또한, 사용자가 조작부(50)의 세정 버튼을 누르면, 상기 밸브(70)는 상기 제2분지관(63)에 직수를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즐 어셈블리(40)의 노즐이 전방측으로 전진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세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동 물내림이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80)에서는 감지부(90)에 의해 상기 인체 또는/및 착좌가 감지되지 않는지(인체/착좌 무감지)를 판 단한다(S16).
상기 인체/착좌가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상기 인체 무감지 시간을 측정한다(S17).
상기 인체 무감지 시간이 제어부(80)에 기 설정된 무감지 시간에 도달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8).
이때, 상기 인체 무감지 시간이 기 설정된 무감지 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에서는 인체 감지 시간이 기 설정된 인체 감지 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9).
상기 기 설정된 인체 감지 시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는 밸브(70)를 대변 모드로 개방시킨다(S20). 일반적으로 소변에 비해 대변 보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기 설정된 인체 감지 시간 이상이면 대변 모드로 설정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대변 모드는 밸브(70)가 상대적으로 장시간 동안 개방되어 상기 도기(10)에 많은 양의 물이 물내림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인체 감지 시간이 기 설정된 인체 감지 시간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는 밸브(70)를 소변 모드로 개방시킨다(S21). 여기서, 상기 소변 모드는 밸브(70)가 상대적으로 단시간 동안 개방되어 상기 도기(10)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물이 물내림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대변 모드 및 소변 모드로 개방된 밸브(70)는 폐쇄되어 상기 도기(10)와 비데(20)에 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S22).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리지 않고 화장실을 나가더라도, 일정한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물이 내려지도록 한다. 따라서, 용변에 의해 화장실에 냄새가 나는 것을 최소화하고, 화장실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좌 또는 인체 감지 시간이 기 설정된 감지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이 물내림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착좌 또는 인체 감지 시간에 따라 용변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용변의 종류에 따라 물내림 양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좌변기의 크기와 제조단가를 감소시키고, 고장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고, 사용자가 물을 내리지 않고 화장실을 나가더라도 물내림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산업상으로 현저한 이용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좌변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변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도기 20: 비데
40: 노즐 어셈블리 50: 조작부
60: 급수관 61: 제1분지관
63: 제2분지관 70: 밸브
80: 제어부 90: 감지부

Claims (5)

  1. 좌판이 탑재되는 도기;
    상기 도기의 상측에 배치되어 인체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비데;
    상기 도기와 비데에 연결되어 상기 도기와 비데에 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을 개폐시키는 밸브; 및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좌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분지되어 상기 도기와 비데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급수관의 분지된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도기와 비데에 선택적으로 직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인체와 착좌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감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인체 또는 착좌가 감지되다가 감지되지 않은 후에 상기 도기에 물내림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무감지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도기에 물내림을 수행하도록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 또는 인체 감지 시간이 기 설정된 감지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이 물내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KR1020080057270A 2008-06-18 2008-06-18 좌변기 KR20090131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270A KR20090131416A (ko) 2008-06-18 2008-06-18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270A KR20090131416A (ko) 2008-06-18 2008-06-18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416A true KR20090131416A (ko) 2009-12-29

Family

ID=4169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270A KR20090131416A (ko) 2008-06-18 2008-06-18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14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171A (ko) * 2020-12-04 2022-06-13 (주) 아이젠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171A (ko) * 2020-12-04 2022-06-13 (주) 아이젠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321440A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5532628B2 (ja) リモコン装置及びトイレ設備
JP2016520743A (ja) 隠蔽された壁掛型折畳式小便器
JP2009002033A (ja) トイレ利用装置
KR100804307B1 (ko) 변기 커버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물 내림 시스템 및 물내림 방법
KR200423761Y1 (ko) 인체감지거리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비데
AU2005273655B2 (en) Urinal with hygienic sprinkler
KR20090131416A (ko) 좌변기
JPS59102032A (ja) 衛生洗浄装置
JP6839409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KR101327834B1 (ko) 자동 양변기
KR20150078798A (ko) 장애인 화장실의 좌변기용 등받이
JP7345133B2 (ja) 手洗い器付き便器装置
JP7443754B2 (ja) トイレシステム
KR101359284B1 (ko) 여성 전용 소변기
JP2580968Y2 (ja) 大便器自動洗浄装置
KR20100116035A (ko) 벽체매입형 자동세척 대변기용 제어시스템
JPH0718718A (ja) 小便器用洗滌システム
KR20180134187A (ko) 자동문 소변기
JP7466091B2 (ja) 便器装置および便座装置
JP2011219998A (ja) 便器洗浄装置
JP2007023767A (ja) 便器装置
KR20060086754A (ko) 자동 물내림 변기
KR20230130856A (ko) 착좌 감지를 이용한 비데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30002415U (ko) 스마트 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128

Effective date: 2016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