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772B1 -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돌봄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비데 - Google Patents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돌봄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772B1
KR102495772B1 KR1020210049032A KR20210049032A KR102495772B1 KR 102495772 B1 KR102495772 B1 KR 102495772B1 KR 1020210049032 A KR1020210049032 A KR 1020210049032A KR 20210049032 A KR20210049032 A KR 20210049032A KR 102495772 B1 KR102495772 B1 KR 102495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et
tissue
user
pa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2688A (ko
Inventor
서현우
Original Assignee
서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현우 filed Critical 서현우
Priority to KR1020210049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772B1/ko
Priority to PCT/KR2021/016712 priority patent/WO2022220358A1/ko
Publication of KR2022014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38Devices for taking faeces samples; Faecal examination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돌봄케어 서비스가 구비된 비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사람들뿐만 아니라 신체 거동이 어려운 사람들의 비데 사용을 통해 건강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돌봄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는, 비데본체와, 상기 비데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개폐되는 비데커버와, 상기 비데본체와 비데커버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비데시트와, 상기 비데본체의 내주면 일측에서 비데본체 내부에 고여있는 물을 향해 휴지가 인출되는 휴지인출부와, 상기 휴지인출부로부터 인출되는 휴지에 인쇄되며, 배변검사를 통해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지 및 상기 비데본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비데사용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돌봄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비데{Smart bidet that provides health condition monitoring and care service}
본 발명은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돌봄케어 서비스가 구비된 비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사람들뿐만 아니라 신체 거동이 어려운 사람들의 비데 사용을 통해 건강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돌봄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이 아닌 회사나 식당 등의 공간에 설치되는 화장실은 남성화장실과 여성화장실로 구분되어 각각 분리된 공간을 사용하게 되지만, 일반 가정에서는 주로 좌변기 하나가 설치되어 남성과 여성이 함께 사용하게 된다. 좌변기는 변기본체와 변기를 덮는 변기커버로 크게 구분되며, 변기본체 내부에는 물이 일정높이만큼 항상 유지되며 변기레버를 누르게 되면 변기물통에 있는 물이 공급되면서 사이펀 원리에 의해 물이 내려가게 된다. 여기서, 변기의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변기본체의 내부에는 일정높이만큼의 물이 항상 유지되어야 하는데, 남성들은 서서 소변을 보는 습관으로 인하여 좌변기에서도 변기커버를 올리고 서서 소변을 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남성들이 좌변기 앞에 서서 소변을 보게 되면, 소변이 좌변기 내에 잠겨있던 물에 튀기면서 변기 밖으로 튀거나 변기 주변에 흔적을 남기게 된다. 특히, 변기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여 앉기 위한 변기시트가 올려진 상태에서 소변을 보게되면 변기시트로 튀길 수 있으며, 심지어 변기시트를 내리고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닿는 시트부위에 소변이 튀기면서 상당히 비위생적이고 이후에 소변을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6073호에서는 좌변기용 거품을 이용한 물튀김 방지장치 고안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등록실안의 경우 물튀김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거품발생을 위한 별도의 장치나 구성을 추가해야 함에 따라 그에 대한 설치비용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휴지를 변기내부의 물 위에 덮어두고 소변을 보게 되면 물튀김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사용자가 휴지를 잘라 변기 내의 적절한 위치에 안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 비데의 경우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된 변기 정도의 인식이 크지만 최근에는 비데 내부에 다양한 기능이 설치되어 시트에 앉게 되면 감지센서가 사용자를 확인 및 식별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의 배변상태나 횟수, 색깔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비데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에 대한 일 실시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73919호에서는 비데의 배변분석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착좌 여부를 감지하는 착좌 센서, 상기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면 상기 사용자의 배변 정보인 배변속도, 변의 길이, 배변량 및 변의 색상을 측정하는 배변 센서 및 상기 측정된 배변 정보를 이용하여 장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의 경우 배변의 속도나 길이, 양을 분석하기 위하여 적외선센서와 거리센서, CCD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구비해야 하므로 다양한 센서가 설치됨에 따른 비용증가 부담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센서들은 배변이 이루어지는 곳을 향해 원거리에서 측정하게 되는데, 배변시 물이 튀기면서 센서의 시야를 가려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비데의 물튀김 방지를 위하여 휴지인출장치로부터 인출되는 휴지에 인쇄된 건강상태 측정용 시험지를 통해 비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비데 사용주기를 확인하여 돌봄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는, 비데본체와, 상기 비데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개폐되는 비데커버와, 상기 비데본체와 비데커버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비데시트와, 상기 비데본체의 내주면 일측에서 비데본체 내부에 고여있는 물을 향해 휴지가 인출되는 휴지인출부와, 상기 휴지인출부로부터 인출되는 휴지에 인쇄되며, 배변검사를 통해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지 및 상기 비데본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비데사용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지인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배변 이후 상기 휴지에 인쇄된 시험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시험지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며, 분석된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적외선센서, 상기 비데시트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닿으면 신체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 사용자가 상기 비데시트에 앉으면서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착좌센서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비데 사용횟수를 감지하고, 기 설정된 사용횟수 이하로 사용한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비데사용 관련데이터를 저장하고, 비데 사용횟수, 사용시간, 사용패턴, 사용주기를 학습하여 평소 사용습관에 매칭되지 않는 사용데이터 감지 시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지인출부는, 상기 시험지가 인쇄된 휴지가 인출되는 제1인출부와, 상기 시험지가 인쇄되지 않은 일반 휴지가 인출되는 제2인출부로 구획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지인출부에서 인출되는 휴지종류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비데본체에 인접하게 설치된 디스플레이패널 또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분석된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로부터 건강이상유무를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남성들이 좌변기에서 서서 소변을 보더라도 휴지인출부에서 인출되는 휴지로 인하여 물튀김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위생적인 환경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출되는 휴지에 배변검사용 시험지가 인쇄되어 사용자가 배출하는 배변으로부터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독거노인이나 장애인 등과 같이 혼자 힘으로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운 사람들의 비데사용주기를 확인하고, 자주 사용되지 않거나 사용횟수가 감소한 경우 관공서로 알람신호를 보내 돌봄 및 출동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주기적인 모니터링 및 응급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있어서, 휴지인출부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있어서, 휴지인출부로부터 휴지가 인출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있어서, 휴지가이드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있어서, 휴지가이드부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있어서, 휴지인출부가 구획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있어서, 휴지에 시험지가 인쇄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있어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에 있어서, 사용자의 비데사용패턴을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는, 비데본체(10)와, 상기 비데본체(10)의 상부를 덮도록 개폐되는 비데커버(60)와, 상기 비데본체(10)와 비데커버(60)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비데시트(20)와, 상기 비데본체(10)의 내주면 일측에서 비데본체(10) 내부에 고여있는 물을 향하는 방향으로 휴지가 인출되는 휴지인출부(30) 및 상기 휴지인출부(30)로부터 인출되는 휴지(X)에 인쇄되며, 배변검사를 통해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지(Y) 및 상기 비데본체(10)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비데사용을 감지하는 센서부(80)를 포함한다.
상기 비데본체(10)는 일반적인 좌변기의 형상을 가지며,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본체 내부에 물이 일정높이만큼 유지되며, 상기 물은 비데본체(10) 후방에 설치된 비데레버를 누르게 되면 비데물통에 있는 물이 공급되면서 물이 내려가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비데본체(10) 내부에 고여있는 물에 소변을 보면서 물이 튀기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발명을 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상기 비데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이루어지는 비데커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데커버(60)는 평소에는 수직하게 세워져 있다가 비데본체(10) 내부에서 발생하는 냄새나 악취를 차단하기 위해 회동시켜 비데본체(10)를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데본체(10)와 비데커버(60) 사이에 설치되며, 비데본체(10) 방향으로 회동시켜 사용자가 앉아서 볼일을 볼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비데시트(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데본체(10)의 내주면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비데시트(20)가 안착되는 비데본체(10) 지지부의 내주면 일측에 설치되며 비데본체(10) 내부에 고여있는 물을 향해 휴지가 인출되도록 이루어지는 휴지인출부(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휴지인출부(30)는 소정의 형상을 가진 휴지가 한장씩 인출되도록 이루어지며, 비데본체(10)의 내주면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인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지인출부(30)의 선단에는 휴지가 낱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만큼 나온 휴지를 커트하기 위한 절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지인출부(30)에서 인출되는 휴지(X)에 인쇄되며, 배변검사를 통해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지(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험지(Y)는 비데 사용자가 배출하는 배변으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한 구성으로, 소변검사시험지나 혈당페이퍼 등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다양한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는 종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험지(Y)는 다수의 시약을 묻혀 제작된 시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변과 반응하여 색깔이 변화함으로써 건강이상유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소변검사시험지는 단백질, 포도당, pH, 백혈구 등 다양한 신체이상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소변의 pH는 4.6 ~ 8 정도가 정상인데 시험지(Y)의 pH측정칸의 색깔이 주황색에서 녹색으로 변하면 이는 소변의 pH가 8 이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에 따라 신장질환 등의 질병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있어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신체이상여부를 확인해야 함을 사용자가 미리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물튀김 방지를 위해 인출되는 휴지를 통해 소변이 튀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휴지에 인쇄된 시험지로부터 비데 사용자의 건강상태까지 측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인정된다.
여기서, 상기 시험지(Y)가 휴지(X)가 인출된 이후 상당시간이 흐르면 물에 잠기면서 검사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하므로, 상기 시험지(Y)가 휴지(X)로부터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휴지(X)가 인출된 이후 일정시간이 흘러도 물에 완전히 잠기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시험지(Y)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격벽이 형성되어 주변의 비데물이 시험지(Y)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시험지(Y)의 또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의 대변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대변검사지(Y')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변검사지(Y') 배변 이후 색깔변화를 통해서 대장염이나 용종, 선종, 초기대장암 등을 진단할 수 있는 키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변검사 시험지(Y)와 마찬가지로 색변화를 통해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지인출부(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거나, 상기 비데시트(20)에 사용자가 앉는 것을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하거나, 기 설정된 단어를 인식하게 되면 상기 휴지인출부(30)에서 휴지가 인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휴지인출부(30)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비데 사용자가 제어부(50)에 위치한 작동버튼을 누르거나, 비데본체(10)에 설치되는 감지센서 또는 비데시트(20) 상에 설치되는 체온감지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가 비데를 사용한다는 것을 감지하거나, 사용자가 비데 사용 전에 제어부(50)에 기 입력된 특정 단어(예를 들어, 휴지 1장 또는 휴지 2장 등)를 말하게 되면, 상기 단어를 인식한 제어부(50)에서 휴지인출부(30)에 휴지인출명령을 송부하게 되고, 특정 단어에 매칭되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비데본체(10)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비데사용을 감지하는 센서부(8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80)는 사용자가 비데를 사용하기 위해 화장실에 들어와 비데에 근접하거나 앉는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써, 광센서나 압력센서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80)에서 비데사용을 감지하면 후술하는 제어부(50)에서 상기 비데사용과 관련된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뿐만 아니라 알람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80)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적외선센서, 상기 비데시트(2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닿으면 신체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 사용자가 상기 비데시트(20)에 앉으면서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착좌센서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80)를 통해 사용자가 비데를 사용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의 등이 닿는 위치에 자외선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비데시트(20) 위에 앉아 광이 차단되면서 사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방식이 존재할 수 있으며, 비데시트(20)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가 닿으면서 신체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인식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또한, 비데에 앉으면서 가해지는 하중을 이용하여 스위치를 가동시킴으로써 비데사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착좌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비데시트(20) 상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닿아 정전용량을 감지해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정전용량센서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센서부(80)를 통해 사용자의 비데 사용횟수를 감지하고, 기 설정된 사용횟수 이하로 사용한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80)를 통해서 사용자의 비데사용을 감지하게 되면 해당 데이터를 제어부(50)에서 감지하여 얼마나 자주 비데를 사용하였는지에 대한 사용횟수를 알 수 있고 그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이상유무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사는 장애인이나 독거노인 등과 같이 한 가정에 설치된 비데사용자가 한명인 경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성인이 하루 평균 화장실 변기를 사용하는 횟수는 5~6회 정도이므로 상기 횟수를 기 설정하여 제어부(50)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50)에서는 센서부(80)를 통해 하루동안 비데의 사용횟수를 감지하고, 만약 기 설정된 사용횟수보다 적은 경우 관공서등으로 알람신호를 보내 장애인이나 독거노인을 돌보고 관리하는 담당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람의 기초생활패턴 중의 하나인 배변활동으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이상유무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하루 사용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바로 알람신호를 보내 담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응급상황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센서부(8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비데사용 관련데이터를 저장하고, 비데 사용횟수, 사용시간, 사용패턴, 사용주기를 학습하여 평소 사용습관에 매칭되지 않는 사용데이터 감지 시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비데사용횟수를 미리 설정하여 제어부(50)에 저장시키고 이를 기준으로 실제사용횟수와 비교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실제 사용자의 건강상태나 주변환경에 따라 사용습관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비데를 사용하면서 상기 센서부(80)를 통해 감지된 비데사용 관련데이터를 제어부(50)에 저장하고, 사용횟수나 사용시간, 사용패턴, 사용주기 등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학습하여 해당 사용자가 어떤 비데사용습관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그에 따라, 특정 날짜부터 평소의 비데사용습관과 달리 사용시간이 급격히 늘어났다거나 사용횟수가 상당히 줄었다거나 하는 등의 사용패턴을 보이게 되면 알람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건강이상유무를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비데시트(20)와 비데커버(60)의 상하구동을 제어하되,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거나 기 설정된 단어를 인식하게 되면 상기 비데시트(20)와 비데커버(60)가 상하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50)는 휴지인출부(30)의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비데시트(20)와 비데커버(60)의 구동까지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비데시트(20)는 사용자가 서서 볼일을 볼 경우와 앉아서 볼일을 볼 경우에 따라서 내리는 동작 또는 세우는 동작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사용자가 일일이 내리는 작업 또는 올리는 작업을 하는것에 번거로움이 있어, 제어부(50)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하구동되는 구성을 통해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앉아서 볼일을 볼 경우에, 비데시트(20)의 내림버튼을 누르거나 '시트내림' 이라는 특정 단어를 말하게 되면 이를 인식한 제어부(50)가 비데시트(20)를 내릴 수 있으며, 악취를 차단하기 위하여 비데커버(60)를 닫기 위해서 비데커버(60)의 내림버튼을 눌러 보다 쉽게 작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는, 사용자의 배변 이후 상기 휴지(X)에 인쇄된 시험지(Y)를 감지하고, 감지된 시험지(Y)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며, 분석된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출력부(7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우선 휴지인출부(30)로부터 시험지(Y)가 인쇄된 휴지(X)를 인출하여 비데본체(10) 내부의 물에 안착시키고, 사용자의 배변 이후 시험지(Y)를 색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험지(Y)의 색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비데에 설치된 카메라가 배변 이후 소정시간 이내에 시험지(Y)를 촬영하고 촬영된 시험지정보를 제어부(50)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시험지(Y)와 비색표를 상호 비교하여 색변화여부를 판별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건강상태 이상유무에 대한 정보를 출력부(70)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휴지(X)는 물튀김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비데내부에 안착된 휴지(X)는 항균기능과 방향기능이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비데 내부에 항균작용이 이루어지고 좋은 향을 내면서 보다 위생적인 비데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지인출부(30)는, 상기 시험지(Y)가 인쇄된 휴지(X)가 인출되는 제1인출부(31)와, 상기 시험지(Y)가 인쇄되지 않은 일반 휴지(X)가 인출되는 제2인출부(33)로 구획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휴지인출부(30)에서 인출되는 휴지종류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데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하루 여러번에 걸쳐 배변검사를 통해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시험지(Y)가 인쇄된 휴지(X)를 지속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비용소요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원할 때에만 선택적으로 시험지(Y)가 인쇄된 휴지(X)를 인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휴지인출부(30)는 상기 시험지(Y)가 인쇄된 휴지(X)가 인출되는 제1인출부(31)와, 상기 시험지(Y)가 인쇄되지 않은 일반 휴지(X)가 인출되는 제2인출부(33)로 구획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70)는, 상기 비데본체(10)에 인접하게 설치된 디스플레이패널 또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는, 분석된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로부터 건강이상유무를 출력부(7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데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데에 인접 설치된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50)와 연동된 휴대단말기로 건강상태정보를 전송하여 휴대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출력부(70)에서는 사용자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경우 해당 정보를 알람과 함께 출력부(70)에 출력함으로써 건강상태 이상유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로부터 필요영양소의 종류를 추천하고, 상기 추천된 필요영양소를 포함하는 헬스케어식품을 출력부(7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부(70)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특정 질병이 의심되는 분석결과가 나온 경우 해당 질병을 관리하고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소의 종류를 추천해주고 상기 필요영양소를 포함하는 헬스케이식품까지 추천해 출력부(70)로 출력해줌으로써 비데 사용자는 추천된 헬스케어식품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식품을 출력부(70)에서 바로 구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지인출부(30)에서 인출되는 휴지(X)는 파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휴지 또는 물에 녹는 휴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지(X)는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화장실용 휴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그렇게되면 낭비되는 휴지가 많아질 수 있으므로 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파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휴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비싼 휴지를 낭비하지 않을 수 있고, 휴지(X)가 보다 쉽게 분해됨에 따라 환경보호 측면에서도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에 녹는 휴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인출된 휴지가 일단 물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물튀김을 방지하고 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물에 녹아 분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지로 인해 비데가 막히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지인출부(30)의 하부에 설치되며, 휴지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상기 휴지를 가이드하는 휴지가이드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지가이드부(40)는, 휴지인출방향을 향해 확장되는 제1가이드(41)와, 상기 제1가이드(41)가 확장된 이후 동방향으로 확장되는 제2가이드(43) 및 상기 제2가이드(43)가 확장된 이후 동방향으로 확장되는 제3가이드(4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지가이드부(40)는 휴지인출부(30)에서 휴지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지인출부(30)의 하부에 설치되어 휴지(X)를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휴지(X)는 얇고 가벼운 소재로 이루어져 공기에 대한 저항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휴지인출부(30)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비데본체(10)의 물이 고여있는 부분에 정확히 떨어지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떨어지거나 휴지(X)가 접히거나 겹치면서 제대로 안착되기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그에 따라, 휴지(X)를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휴지를 일정지점까지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휴지가이드부(40)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휴지가이드부(40)는 확장봉과 같은 확장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가이드(41)가 우선적으로 확장된 후, 최대길이까지 확장된 제1가이드(41)의 선단에서 제2가이드(43)가 확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휴지가이드부(40)가 휴지를 가이드하면서 함께 전진하고 난 후 일정길이만큼 확장된 휴지가이드부(40)가 후퇴하면서 휴지가 하강하게 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낙하위치를 갖게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휴지가이드부(40)는, 상기 제1가이드(41)로부터 제3가이드(45)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지가이드부(40)는 확장가능한 확장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휴지가이드부(40)가 전방을 향할수록 보다 작은 직경의 제2가이드(43)가 전진하고, 다음으로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제3가이드(45)가 전진하여 3단확장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3가이드(45)의 직경은 제1가이드(41)에 비하여 작게 이루어져 제3가이드(45)가 확장하면서 휴지(X)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기 쉽지 않을 수 있으나, 이는 상기 제3가이드(45)의 선단에 소정의 마찰력을 갖는 소재의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용이한 가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3가이드(45)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41)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휴지인출부로부터 인출되는 휴지의 선단을 가이드하는 마찰부(4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찰부(47)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휴지(X)와 맞닿았을 때 서로 마찰을 일으켜 마찰부(47)의 이동에 따라 휴지(X)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찰부(47)는 제3가이드(45)의 선단에 설치되되, 그 직경은 제1가이드(41)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휴지가이드부(40)의 작동에 따른 휴지(X)가 인출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휴지인출부(30)와 휴지가이드부(40)가 동일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어부(50)가 상기 휴지인출부(3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면 휴지가 인출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휴지가이드부(40)가 함께 제어되면서 제1가이드(41)가 전진하면 제1가이드(41)의 최선단에 위치한 마찰부(47)에 의하여 휴지(X)를 가이드하고, 최종적으로 제3가이드(45)까지 전진하면서 휴지(X)가 일정위치까지 전진하게 되고, 이후 휴지가이드부(40)가 후퇴하면서 휴지(X)만이 하강하면서 비데본체(10)의 중앙에 떨어지게 됨으로써 남성들이 소변을 보더라도 휴지에 의하여 물튀김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데본체(10)의 하부 일측에는 사용자가 발로 밟거나 밀면 변기물이 내려가는 플러싱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러싱부는 사용자가 손이 아니라 발을 이용해 물을 내려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다. 여기서, 상기 플러싱부는 사용자가 발을 이용해 물을 내릴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비데시트(20)에서 일어나게 되면 이를 감지한 센서가 자동으로 플러싱부를 작동시켜 물을 내릴 수도 있으며, 제어부(50)와 연동하여 '물내림' 이란 단어를 말하게 되면 해당 음성을 인식하여 제어부(50)에서 플러싱부를 작동시켜 물이 내려갈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비데본체
20 : 비데시트
30 : 휴지인출부
31 : 제1인출부
33 : 제2인출부
40 : 휴지가이드부
41 : 제1가이드
43 : 제2가이드
45 : 제3가이드
47 : 마찰부
50 : 제어부
60 : 비데커버
70 : 출력부
80 : 센서부
X : 휴지
Y : 시험지

Claims (8)

  1. 비데본체;
    상기 비데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개폐되는 비데커버;
    상기 비데본체와 비데커버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비데시트;
    상기 비데본체의 내주면 일측에서 비데본체 내부에 고여있는 물을 향해 휴지가 인출되는 휴지인출부;
    상기 휴지인출부로부터 인출되는 휴지에 인쇄되며, 배변검사를 통해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지; 및
    상기 비데본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비데사용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휴지인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비데 사용횟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사용횟수, 사용시간, 사용패턴, 사용주기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사용횟수 이하로 사용한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며,
    사용자의 배변 이후 비데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물위에 안착된 휴지의 시험지를 촬영하여, 상기 휴지에 인쇄된 시험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시험지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며, 분석된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출력부로 출력하고,
    상기 휴지인출부에서 인출되는 휴지는 물에 녹는 휴지로 이루어지되,
    상기 휴지인출부로부터 인출된 휴지가 물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물튀김을 방지하고, 상기 비데에 설치된 카메라가 배변 이후 소정시간 이내에 물위에 안착된 휴지의 시험지를 촬영한 후 물에 녹아 분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지로 인해 비데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적외선센서,
    상기 비데시트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닿으면 신체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
    사용자가 상기 비데시트에 앉으면서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착좌센서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인출부는, 상기 시험지가 인쇄된 휴지가 인출되는 제1인출부와, 상기 시험지가 인쇄되지 않은 일반 휴지가 인출되는 제2인출부로 구획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지인출부에서 인출되는 휴지종류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비데본체에 인접하게 설치된 디스플레이패널 또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분석된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로부터 건강이상유무를 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KR1020210049032A 2021-04-15 2021-04-15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돌봄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비데 KR102495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032A KR102495772B1 (ko) 2021-04-15 2021-04-15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돌봄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비데
PCT/KR2021/016712 WO2022220358A1 (ko) 2021-04-15 2021-11-16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돌봄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032A KR102495772B1 (ko) 2021-04-15 2021-04-15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돌봄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비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688A KR20220142688A (ko) 2022-10-24
KR102495772B1 true KR102495772B1 (ko) 2023-02-06

Family

ID=8364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032A KR102495772B1 (ko) 2021-04-15 2021-04-15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돌봄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비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5772B1 (ko)
WO (1) WO202222035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9444A (ja) * 2016-04-14 2017-10-19 Toto株式会社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425B1 (ko) * 1990-09-20 1997-01-09 이해욱 BiCMOS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57035B1 (ko) * 2010-07-22 2012-06-21 소동하 양변기의 물 튀김 방지장치
KR20190034435A (ko) * 2017-09-23 2019-04-02 이환승 건강관리 두루마리 휴지
KR102576404B1 (ko) * 2018-08-30 2023-09-0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센서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센서 및 장치
KR102174913B1 (ko) * 2018-12-26 2020-11-05 주식회사 교원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9444A (ja) * 2016-04-14 2017-10-19 Toto株式会社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0358A1 (ko) 2022-10-20
KR20220142688A (ko) 202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369B1 (ko)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
CN113445594B (zh) 卫生设备
KR102495772B1 (ko) 건강상태 모니터링 및 돌봄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비데
JP4329123B2 (ja) 尿分析方法
KR20030023621A (ko) 남성용 변기
KR20210000298U (ko) 양변기의 페달형 물내림 장치
KR102493405B1 (ko)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비데
CN102041844A (zh) 智能检测座便器的集尿结构
KR102529894B1 (ko) 패턴인식기능을 활용한 비데
KR101906904B1 (ko) 적응형 자동식 변기
KR100891927B1 (ko) 자동개폐시트를 갖는 양변기
CN110005033B (zh) 一种小便斗冲水控制方法及小便斗
KR102531511B1 (ko) 휴지인출기능을 갖는 비데
WO2019087720A1 (ja) トイレ装置
CN108571048B (zh) 多功能座便器
JP4857868B2 (ja) 生体情報測定便器
US6892402B2 (en) Men's toilet
KR20160069103A (ko) 사람을 감지하고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절수 소변기
CN108999255A (zh) 基于网络共享的智能可推拉部分嵌入式座便器
KR20140073666A (ko) 위생지 자동 공급용 좌변기 시트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2169074A1 (ko) 휴지인출기능을 갖는 비데
CN215812804U (zh) 一种设有便液检测装置的坐便器
CN108589874B (zh) 具有健康监测功能的智能座便器
KR102486773B1 (ko) 반자동 양변기 시스템
CN108999256B (zh) 基于大数据的可自动推拉的部分嵌入式座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