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578B1 - 직수식 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직수식 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578B1
KR102626578B1 KR1020210172630A KR20210172630A KR102626578B1 KR 102626578 B1 KR102626578 B1 KR 102626578B1 KR 1020210172630 A KR1020210172630 A KR 1020210172630A KR 20210172630 A KR20210172630 A KR 20210172630A KR 102626578 B1 KR102626578 B1 KR 102626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bladder
air
aspi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9487A (ko
Inventor
김상규
Original Assignee
(주)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수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220079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5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40Devices for distribution of flush water inside the bowl

Abstract

본 발명은 직수식(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수식(매립형) 변기에서 매립설치공간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와 세균을 흡입 제거할 때 사용되는 배관을, 악취제거수 교환배관과 공통으로 사용함으로써 설치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변기장치를 신규로 설치할 때는 물론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직수식(매립형) 좌변기에 추가 설치할 때 설치와 사후관리가 쉬워진다.

Description

직수식 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APPARATUS REMOVING STINK IN TOILET BOWL OF STRAIGHT BURIED WATER SUPPLY TYPE}
본 발명은 직수식(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직수식(매립형) 변기에서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와 세균을 흡입 제거할 때 사용되는 기기의 구조를 설치공간에 맞게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직수식(매립형) 변기에서 매립설치공간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와 세균을 흡입 제거할 때 사용되는 배관(흡기관,110)을, 악취제거수 교환배관(연결관,60)과 공통으로 사용함으로써 설치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변기장치를 신규로 설치할 때는 물론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직수식(매립형) 좌변기에 추가 설치할 때 설치와 사후관리가 쉬워진다.
알려진 바와 같이, 직수식(매립형) 변기란 수도관을 직접 연결하여 필요시에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직수식 변기의 일종으로 수도관 배관부가 보이지않게 칸막이로 매립되어있는 형태의 변기를 말한다.
이러한 직수식(매립형) 변기는 외부에 배관이 노출되지않아 좌변기 뒷 공간이 깨끗해 보이므로 주로 공항 화장실, 대형관공서 화장실, 대형 빌딩 화장실 등에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직수식(매립형) 변기는 도 1의 예시와 같이, 변기본체(10)의 후측에 변기본체(1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20)이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20)에는 급수밸브(30)를 매개로 수도관(40)과 직접 연결되어 용변 후 급수밸브(30)에 구비된 보턴(32)를 눌렀을 때 수도파이프에 걸려 있는 수압이 그대로 작용하면서 물이 공급되어 배설물을 배출하도록 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직수식 변기에서 악취 제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본 출원인은 하기한 [선행기술문헌]을 비롯하여 다수의 특허를 취득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이 취득한 특허 기술은 급수관(20)이 관통되도록 배관부에 설치하여 악취를 인출하고 악취를 제거하는 물을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상용화하고있다. 하지만 직수식(매립형) 좌변기의 경우 공간에 제약으로 매립된 공간에 설치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후매립공간 관리에 애로사항이 발생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023643호(2019.09.16.), 변기 악취제거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직수식(매립형) 변기에서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와 세균을 흡입 제거할 때 사용되는 기기의 구조를 설치공간에 맞게 구성한다. 다시말하면, 직수식(매립형) 변기에서 매립설치공간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와 세균을 흡입 제거할 때 사용되는 배관을, 악취제거수 교환배관과 공통으로 사용함으로써 설치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써 변기장치를 신규로 설치할 때는 물론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직수식(매립형) 좌변기에 추가 설치할 때 설치와 사후관리가 쉬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직수식(매립형) 변기의 매립공간에 설치되고, 급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일정거리 이격시켜 급수관보다 높은위치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기체를 흡입하는 아스피레이터가 설치되고 일측에는 급수를 제어하는 물부레와 수위부레가 설치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설치된 수조; 상기 급수관에 T형태로 분기되어 수조와 연결하는 연결관; 기체는 통과시키고 급수된 물을 통과하지않도록 제어하는 물부레; 일정수위 이하에서는 급수를 통과시키고 일정수위가되면 급수를 제어하는 수위부레; 평소에는 정화된공기를 내보내고 수위부레고장시 급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관; 아스피레이터에서 양압은 배출하고 음압시 차단시키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별도로 급수를 제공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직수식(매립형) 변기에서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와 세균을 흡입 제거할 때 사용되는 기기의 구조를 설치공간에 맞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직수식(매립형) 변기에서 매립설치공간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와 세균을 흡입 제거할 때 사용되는 배관(110)을, 악취제거수 교환배관(60)과 공통으로 사용함으로써 설치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변기장치를 신규로 설치할 때는 물론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직수식(매립형) 좌변기에 추가 설치할 때 설치와 사후관리가 쉬워진다.
도 1은 직수식(매립형) 변기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직수식(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예시도이다.
도 3은 직수식(매립형) 흡입모듈부 구성 예시도이다.
도 4는 직수식(매립형) 흡입모듈부 구성 일부 단면 절단 예시도이다.
도 5는 직수식(매립형) 흡입모듈부 구성 일부 단면 절단 예시도이다.
도 6은 직수식(매립형) 흡입모듈부 구성 일부단면절단 정면예시도이다.
도 7은 직수식(매립형) 수위부레부 구성 일부단면절단 정면예시도이다.
도 8은 직수식(매립형) 흡입모듈부 구성 일부단면절단 측면예시도이다
도 9은 직수식(매립형) 또 다른 예의 물공급 계통도이다
도 10은 직수식(매립형) 도 9의 다른각도 예시도이다
도 11은 종래 직수식 변기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장치가 설치된 직수식 변기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장치를 구성하는 수조를 분리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구성을 발췌하여 각각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 또는 설명에서 직수식 또는/및 매립형 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른 유형의 변기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수조를 나타내는 데 있어서, 소형수조라고 표현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예이며, 중형, 대형수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적용가능하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는 변기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변기본체(10)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구조를 그대로 가지며,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용변 후 남긴 배설물을 하수조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수조(100)를 구비한다.
상기 수조(100)는 기존 물탱크와 달리 크기가 상대적으로 현저히 작고, 직수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기존 물탱크와 차이가 있다.
때문에, 설치공간상 유연성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후방칸막이에 가려져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접하는 외관상으로는 그냥 통상의 직수식(매립형) 변기와 다를바 없다.
또한, 도 3 내지 도 8에서 예시와 같이, 상기 수조(100) 내부에는 공기를 흡입 배출하면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아스피레이터(Aspirator)(200)가 내장된다.
여기에서, 상기 아스피레이터(200)는 이미 공지된 장치와 같은 것이며, 일종의 공기를 흡입하여 액체에 배출할 수 있는 유닛의 총칭으로서, 급수관(20)에서 분기하여 연결관(60)을 통해 변기본체(10)의 내부에 발생하는 악취를 빨아들여 수조(100)에 저수되어 있는 물 속에 용해시켜 제거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아스피레이터(200)는 변기본체(10)의 일부에 설치되어 사람을 감지하는 정전유도형 센서 혹은 사람이 직접 조작하는 터치센서 혹은 사람의 체중에 눌려 작동하는 압력센서 혹은 사람의 체온을 검출하는 온도센서 혹은 사람의 접근을 검출하는 근접센서, 혹은 악취를 검출하는 센서(이를 테면 특정 냄새를 풍기는 성분이 일정 이상되면 동작하도록 검출하는 일종의 냄새센서)의 검출신호를 받아 일정시간 동안 가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100)은 급수관(20)과 연결관(60)을 매개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100) 내부에는 아스피레이터(200)와, 공기는 통과하고 물을 막아주는 물부레(300)와, 물의 양을 일정량이하로 유지해주는 수위부레(400)와, 물 공급통로 (102)와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103)과, 공기를 한 방향으로 제어하는 체크밸브(500)로 구성되어진다.
아스피레이터(200)은 배변할 때 발생하는 기체혼합물(악취 등)을 변기 내부에서 흡입하여 수조(100)에 배출하면서 용해수에 녹인 후 물과 함께 배출한다.
이때 물부레(300)은 공기가 통과할 때는 중력으로 하측에 위치해있어 공기를 아스피레이터(200)로 통과시키고, 배변 후 물을내려 물이 올라오면 "∩” 형상을 하고있어 부력으로 상승하여 아스피레이터(200)로 가는 통로를 차단하여준다.
배변 후 물을 내리게되면 물부레(300) 전단에서 분기되어 물공급통로(102)를 거쳐 수위부레 배출부로 물이나와 수조(100) 내부로 채워진다.
이때 일정수위 이상이 되면 수위부레(400)가 상승하여 물 공급통로를 차단하여 물넘침을 방지한다.
아스피레이터(200)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는 배출관(103)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아스피레이터(200)에는 체크밸브(500)가 구성되어 있어 아스피레이터에 양(+)압이 발생하면 공기를 배출하고 음(-)압이 발생하면 통로를 차단시켜 용변 후 물을 공급한 후 물공급을 멈추면 사이펀 현상으로 수조물을 배출할 수 있게한다.
기체관(201)은 배출관(103)보다 낮게 설치되며, 배변할 때 발생하는 혼합가스를 아스피레이터(200)으로 가져가는 통로역할을 하고, 악취제거장치가 멈추어있을 때 기체관(201)을 통하여 수조(100)에 채워져있는 물과 녹아있는 냄새를 연결관(60)을 거쳐 배출하므로 수조의 수위를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직수식(매립형) 변기의 매립공간에 설치되고, 급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일정거리 이격시켜 급수관보다 높은위치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기체를 흡입하는 아스피레이터가 설치되고 일측에는 급수를 제어하는 물부레와 수위부레가 설치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설치된 수조; 상기 급수관(20)에 T형태로 분기되어 수조와 연결하는 연결관(60); 기체는 통과시키고 급수된 물을 통과하지않도록 제어하는 물부레; 일정수위 이하에서는 급수를 통과시키고 일정수위가되면 급수를 제어하는 수위부레; 평소에는 정화된공기를 내보내고 수위부레고장시 급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관; 아스피레이터에서 양압은 배출하고 음압시 차단시키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별도로 급수를 제공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도 제공한다.
상기 내용을 부연한다.
수조(100);
상기 수조 내부에는 공기를 흡입 배출하면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아스피레이터(Aspirator)(200),공기는 통과하고 물을 막아주는 물부레(300)와, 물의 양을 일정량이하로 유지해주는 수위부레(400)와, 물 공급통로 (102)와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103)과,공기를 한 방향으로 제어하는 체크밸브(500)가 구비되며,
상기 물부레(300)은 공기가 통과할 때는 중력으로 하측에 위치해있어 공기를 아스피레이터(200)로 통과시키고, 배변 후 물을내려 물이 올라오면 "∩”형상을 하고있어 부력으로 상승하여 아스피레이터(200)로 가는 통로를 차단하여주며,
배변 후 물을 내리게되면 물부레(300) 전단에서 분기되어 물공급통로(102)를 거쳐 수위부레 배출부로 물이나와 수조(100) 내부로 채워지고,
이때 일정수위 이상이 되면 수위부레(400)가 상승하여 물 공급통로를 차단하여 물넘침을 방지하고,
아스피레이터(200)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는 배출관(103)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되고,
기체관(201)은 배출관(103)보다 낮게 설치되며, 배변할 때 발생하는 혼합가스를 아스피레이터(200)으로 가져가는 통로역할을 하고, 악취제거장치가 멈추어있을 때 기체관(201)을 통하여 수조(100)에 채워져있는 물과 녹아있는 냄새를 연결관(60)을 거쳐 배출하므로 수조의 수위를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악취제거장치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물공급을 물공급통로(102)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배관된 솔레노이드 밸브 입수구(106)에 수도관을 연결하여 솔레노이드 밸브(107)을 필요에 따라 개방하여 입수관(108)을 통하여 수위부레 밸브(105)에 물을 공급하여 정화수로 사용한다.
즉, 본 발명은 악취제거수를 채움에 있어 이중화 구조를 갖추어 어떠한 경우에도 물 부족이나 부패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악취 제거를 위해 흡입시에만 흡기관(110)을 개방하도록 하고, 오버플로우시에는 자동적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기액조절밸브(310)를 상기 흡기관(110)의 관로 상에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기액조절밸브(310)는 도 14 내지 도 16의 예시와 같이, 흡기관(110)의 상단부분이 이분할되고 그 사이에 끼워져 조립되는 밸브관(312)과, 상기 밸브관(312)의 내경에서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돌출가이드(314)와, 상기 돌출가이드(314)를 타고 승하강되면서 흡기관(110)을 개폐하는 밀폐구(316)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아스피레이터(200)가 동작하여 흡기하게 되면 밀폐구(316)가 빨려 올라가면서 흡기관(110)을 개방하기 때문에 급수관(20)을 타고 용변시 생긴 악취를 빨아들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악취제거수가 오버플로우될 경우에는 아스피레이터(200)가 동작하지 않는 이상 밀폐구(316)는 흡기관(110) 밀폐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때, 오버플로우된 물이 돌출가이드(314) 사이의 요입부분쪽으로 흘러들어가면서 원뿔대 형상을 갖는 밀폐구(316)의 하방으로 파고 들기 때문에 부력에 의해 밀폐구(316)가 들어 올려지게 되고 그때 오버플로우된 물이 배수된다.
때문에, 흡기관(110)은 평상시 잘 밀폐된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에서, 도면에 도시된 기액조절밸브(31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절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솔밸브(SOL)를 사용하지 않고, 도 17 내지 도 19의 예시와 같이, 부레(BRE)와 개폐실린더(CYL)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악취 제거수 충전 배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개폐실린더(CYL)는 배출관(DR)을 통해 배출되는 수압에 의해 배수구(112)를 개방하고, 스프링(SPR)에 의해 탄성복귀되면서 배수구(112)를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즉, 배수구(112)의 앞쪽에는 간격을 두고 수조(100)의 내벽면에 고정된 실린더하우징(320)이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하우징(320) 내부에는 원판피스톤(324)이 내장되며, 상기 원판피스톤(324)의 일단면에는 상기 실린더하우징(320)을 출몰하면서 상기 배수구(112)를 개폐하는 밀폐로드(322)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원판피스톤(324)의 타단면과 상기 수조(100)의 내벽면 사이에는 스프링(SPR)이 개재되며, 상기 배출관(DR)의 단부는 상기 실린더하우징(320)을 관통하여 상기 밀폐로드(322)와 원판피스톤(324) 사이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그리하여, 아스피레이터(200)가 동작하게 되면 배출관(DR)을 통해 기체가 배출되는데, 이때 배출관(DR)은 수위 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배출되는 기체는 물을 밀게 되고, 그 물은 원판피스톤(324)에 수압을 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스프링(SPR)이 압축되면서 밀리게 된다.
그러면, 배수구(112)를 막고 있던 밀폐로드(322)가 떨어지므로 배수구(112)가 열려 배수가 이루어진다.
이는 물이 최대한 차오를 경우 흡기관(110)의 상단과 동일 수위이고, 배수구(112)는 상기 흡기관(110)의 상단 보다 항상 아래에 위치하므로 원활하고 자연스러운 배수가 일어나게 된다.
그러다가, 아스피레이터(200)의 구동이 정지되면 스프링(SPR)의 복귀력에 의해 밀폐로드(322)가 배수구(112)를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물이 부족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부레(BRE)의 동작으로 다시 채우게 된다.
따라서, 변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더라도 악취제거수는 지속적으로 순환되기 때문에 부패하거나 변질되는 문제를 생기지 않으며, 효과적인 용변 냄새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내용을 부연한다.
수조(100);
일측은 격실(도 13내지 도 19에서 도면번호 300으로 나타내었으나 600으로 정정함)에 노출되고 타측 은 직수식 변기의 급수관(20)에 연결된 흡기관(110);
격실(6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하도록 수조(100) 내부에 설치된 아스피레이터(200);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관(110)의 일측 상단 둘레에는 배수구(112)가 더 형성되고;
상기 수조(100)에는 직수식 변기로 물을 공급하는 수도관(40)에서 인출 배관된 솔밸브관(SP)과 부레관(BP)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솔밸브관(SP)에는 상기 아스피레이터(200)의 동작과 연동하는 솔밸브(SOL)가 설치되고,
상기 부레관(BP)의 일측에는 수조(100)의 수위 조절용 부레(BRE)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매립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이다.
또한
수조(100);
일측은 격실(도 13내지 도 19에서 도면번호 300으로 나타내었으나 600으로 정정함)에 노출되고 타측 은 직수식 변기의 급수관(20)에 연결된 흡기관(110);
격실(6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하도록 수조(100) 내부에 설치된 아스피레이터(200);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관(110)의 일측 상단 둘레에는 배수구(112)가 더 형성되고;
상기 수조(100)에는 직수식 변기로 물을 공급하는 수도관(40)에서 인출 배관된 부레관(BP)을 더 포함하되, 상기 부레관(BP)의 일측에는 수조(100)의 수위 조절용 부레(BRE)가 더 설치되며;
상기 배수구(112)를 개폐하는 개폐실린더(CYL)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실린더(CYL)는 배수구(112)의 앞쪽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실린더하우징(320)과, 상기 실린더하우징(320)에 내장되고 아스피레이터(200)의 배출압에 따라 움직이는 원판피스톤(324)과, 상기 원판피스톤(324)의 일단면에 고정되어 원판피스톤(324)과 함께 움직이면서 배수구(112)를 개폐하는 밀폐로드(322)와, 상기 원판피스톤(324)의 타단면과 상기 수조(100)의 내벽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SPR)을 포함하는 직수식 매립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이다.
상기를 좀 더 구체적으로 부연하면, 하방이 개방된 격실(600)을 갖춘 수조(100); 일측은 격실(600)에 노출되고 타측은 직수식 변기의 급수관(20)에 연결된 흡기관(110); 격실(6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하도록 수조(100) 내부에 설치된 아스피레이터(200);를 포함하는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110)의 타측에는 기액조절밸브(310)를 더 설치하되, 상기 기액조절밸브(310)는 흡기관(110)의 타측 상단부분이 이분할되고 그 사이에 끼워져 조립되는 밸브관(312)과, 상기 밸브관(312)의 내경에서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돌출가이드(314)와, 상기 돌출가이드(314)를 타고 승하강되면서 흡기관(110)을 개폐하는 밀폐구(316)를 포함하는 직수식 매립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수식(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수식(매립형) 변기에서 매립설치공간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와 세균을 흡입 제거할 때 사용되는 배관을, 악취제거수 교환배관과 공통으로 사용함으로써 설치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변기장치를 신규로 설치할 때는 물론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직수식(매립형) 좌변기에 추가 설치할 때 설치와 사후관리가 쉬워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소형) 수조 200: 아스피레이터
600: 격실

Claims (5)

  1. 수조(100);
    일측은 격실(600)에 노출되고 타측은 직수식 변기의 급수관(20)에 연결된 흡기관(110);
    격실(6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하도록 수조(100) 내부에 설치된 아스피레이터(200);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관(110)의 일측 상단 둘레에는 배수구(112)가 더 형성되고;
    상기 수조(100)에는 직수식 변기로 물을 공급하는 수도관(40)에서 인출 배관된 솔밸브관(SP)과 부레관(BP)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레관(BP)의 일측에는 수조(100)의 수위 조절용 부레(BRE)가 더 설치되며,
    상기 수조 내부에는 공기를 흡입 배출하면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아스피레이터(Aspirator)(200),공기는 통과하고 물을 막아주는 물부레(300)와, 물의 양을 일정량이하로 유지해주는 수위부레(400)와, 물 공급통로 (102)와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103)과,공기를 한 방향으로 제어하는 체크밸브(500)가 구비되며,
    상기 물부레(300)은 공기가 통과할 때는 중력으로 하측에 위치해있어 공기를 아스피레이터(200)로 통과시키고, 배변 후 물을내려 물이 올라오면 부력으로 상승하여 아스피레이터(200)로 가는 통로를 차단하여주며,
    배변 후 물을 내리게되면 물부레(300) 전단에서 분기되어 물공급통로(102)를 거쳐 수위부레 배출부로 물이나와 수조(100) 내부로 채워지고,
    이때 일정수위 이상이 되면 수위부레(400)가 상승하여 물 공급통로를 차단하여 물넘침을 방지하고,
    아스피레이터(200)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는 배출관(103)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되고,
    기체관(201)은 배출관(103)보다 낮게 설치되며, 배변할 때 발생하는 혼합가스를 아스피레이터(200)으로 가져가는 통로역할을 하고, 악취제거장치가 멈추어있을 때 기체관(201)을 통하여 수조(100)에 채워져있는 물과 녹아있는 냄새를 연결관(60)을 거쳐 배출하므로 수조의 수위를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매립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2. 삭제
  3. 하방이 개방된 격실(600)을 갖춘 수조(100); 일측은 격실(600)에 노출되고 타측은 직수식 변기의 급수관(20)에 연결된 흡기관(110); 격실(6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하도록 수조(100) 내부에 설치된 아스피레이터(200);를 포함하는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110)의 타측에는 기액조절밸브(310)를 더 설치하되, 상기 기액조절밸브(310)는 흡기관(110)의 타측 상단부분이 이분할되고 그 사이에 끼워져 조립되는 밸브관(312)과, 상기 밸브관(312)의 내경에서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돌출가이드(314)와, 상기 돌출가이드(314)를 타고 승하강되면서 흡기관(110)을 개폐하는 밀폐구(316)를 포함하는 직수식 매립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4. 수조(100);
    상기 수조 내부에는 공기를 흡입 배출하면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아스피레이터(Aspirator)(200),공기는 통과하고 물을 막아주는 물부레(300)와, 물의 양을 일정량이하로 유지해주는 수위부레(400)와, 물 공급통로 (102)와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관(103)과,공기를 한 방향으로 제어하는 체크밸브(500)가 구비되며,
    상기 물부레(300)은 공기가 통과할 때는 중력으로 하측에 위치해있어 공기를 아스피레이터(200)로 통과시키고, 배변 후 물을내려 물이 올라오면 "∩”형상을 하고있어 부력으로 상승하여 아스피레이터(200)로 가는 통로를 차단하여주며,
    배변 후 물을 내리게되면 물부레(300) 전단에서 분기되어 물공급통로(102)를 거쳐 수위부레 배출부로 물이나와 수조(100) 내부로 채워지고,
    이때 일정수위 이상이 되면 수위부레(400)가 상승하여 물 공급통로를 차단하여 물넘침을 방지하고,
    아스피레이터(200)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는 배출관(103)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되고,
    기체관(201)은 배출관(103)보다 낮게 설치되며, 배변할 때 발생하는 혼합가스를 아스피레이터(200)으로 가져가는 통로역할을 하고, 악취제거장치가 멈추어있을 때 기체관(201)을 통하여 수조(100)에 채워져있는 물과 녹아있는 냄새를 연결관(60)을 거쳐 배출하므로 수조의 수위를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매립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5. 삭제
KR1020210172630A 2020-12-04 2021-12-06 직수식 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102626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137 2020-12-04
KR20200168137 2020-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487A KR20220079487A (ko) 2022-06-13
KR102626578B1 true KR102626578B1 (ko) 2024-01-19

Family

ID=81984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630A KR102626578B1 (ko) 2020-12-04 2021-12-06 직수식 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5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17Y1 (ko) * 2008-12-26 2011-01-07 주구환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KR102023643B1 (ko) * 2017-11-28 2019-09-23 김상규 변기 악취제거장치
KR101745857B1 (ko) * 2015-07-30 2017-06-09 김상규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487A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48556C (en) Vacuum assisted toilet
CN102625871B (zh) 空气压力激活的抽水马桶冲刷系统
US20150013056A1 (en) Water-saving toilet
US20090307831A1 (en) Odor-free toilet
US10557256B2 (en) Holding tank for portable toilet
US6219853B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CN108779633B (zh) 马桶装置
US20060041995A1 (en) Odor eliminating system for a toilet, toilet including the odor eliminating system, and toilet seat assembly
US7331069B2 (en) Water-saving flush toilet
KR102626578B1 (ko) 직수식 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US20090126089A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CA2810297A1 (en) Adaptor for ventilated toilet
JP2008240402A (ja) 洋風水洗式便器
CN108842879B (zh) 一种抽水马桶
GB2372263A (en) Odour extraction system for a toilet bowl or urinal
US2482359A (en) Sanitary plumbing
JP2003278255A (ja) 汚物圧送装置
KR101721378B1 (ko) 악취 방지와 사이펀 조기종료 기능을 구비한 변기 트랩
CN210049331U (zh) 一种高层建筑厨卫用给排水结构
US1129317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ilet ventilation
US20040205882A1 (en) Ventilated toilet system with a pressure relief valve
US20060042000A1 (en) Efficient water closet
US20230265642A1 (en) Flush valve and toilet assembly
CN219175408U (zh) 一种用于便器的气水分离装置
KR102628865B1 (ko)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