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865B1 -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 - Google Patents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8865B1 KR102628865B1 KR1020230060439A KR20230060439A KR102628865B1 KR 102628865 B1 KR102628865 B1 KR 102628865B1 KR 1020230060439 A KR1020230060439 A KR 1020230060439A KR 20230060439 A KR20230060439 A KR 20230060439A KR 102628865 B1 KR102628865 B1 KR 1026288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odor
- sensor
- water tank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13872 defec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005—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electrical means and not provided for in G01L1/06 - G01L1/22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의 제반 구조 개선과 송풍기 및 센서 채용에 기인하여 용변 시 발생하는 악취가 즉시 배출되어 주변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고,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향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용변 시 긴장감 및 배변 소리로 인한 수치심을 해소시켜 원활한 배변을 유도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배설물을 수용하는 바디(10)와, 바디 상단에 적층되어 사용자의 착석을 허용하는 시트부(20)와, 시트부에 포개어져 바디를 차폐하는 커버체(30)와, 저수된 물을 바디로 공급하는 물탱크(40)와, 사이폰 원리에 기인하여 수용된 오물을 배수하는 배출부(50)로 이루어지는 양변기를 기반으로 하며, 팬(fan)과 모터가 내장되고 바디와 배출부에 관체로 각 연결되며, 팬의 선택적 구동으로 바디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여 배출부로 전달 및 배출되게 하는 정화유닛(6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세식 양변기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제반 구조 개선과 송풍기 및 센서 채용에 기인하여 용변 시 발생하는 악취가 즉시 배출되어 주변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고, 더불어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향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용변 시 긴장감 및 배변 소리로 인한 수치심을 해소시켜 원활한 배변을 유도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 내부에는 화장실이 구비되어 있고, 대부분의 화장실은 주거 공간의 확보를 위해 샤워시설과 배변시설을 동시에 갖추고 있다. 이러한 화장실은 상시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고, 그 하나의 방편으로 천장형 환풍기의 설치를 권장하고 있다.
상기 천장형 환풍기는 화장실에서 발생한 각종 악취를 흡입하여 외부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주로 배변 시 발생하는 악취를 없애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긴 하지만, 천장형 환풍기는 이미 화장실 내부에 퍼진 악취를 제거하기 때문에 온전한 해결책으로 볼 수 없다.
예컨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5303호 "악취제거양변기"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일정량의 세척수가 저수된 상태에서 용변하는 동안 배설물을 임시 수용하는 몸체;와, 몸체의 상측에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착석을 허용하는 좌판;과, 배설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보관되는 물탱크;로 이루어진 것을 기반으로 하며, 몸체의 후측에 설치되어 악취를 배출하는 가스배출수단;과, 가스배출수단이 효과적으로 'ON' 'OFF' 작동 할 수 있도록 좌판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된다.
상기 기술은 가스배출수단을 통해 양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악취에 의한 불쾌감을 해소하고, 화장실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은 변기의 몸체 내에서 발생한 악취를 즉시 흡입하는 구조인 점에서 큰 장점이 있으나, 흡입한 악취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수단이 건물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 보수 시 많은 제약이 따른다.
다른 일례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실0114945호 "양변기의 악취제거 장치"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양변기의 좌판 저면 내향으로 다수의 흡기소공을 천공한 흡기통로를 구성하고, 좌판 후단에 흡기통로와 내통되는 흡출만곡내관을 덥개를 관통한 흡출만곡외관과 절첩내통되게 유삽하며, 흡출만곡외관 후단은 신축관을 연결한 다음 전자석과 차단판을 형성한 환풍기의 흡기관과 접속시켜 출입문에 스위치 작동으로 환풍기와 전자석 작동으로 실내와 양변기내의 악취를 흡기통로의 다수의 흡기소공으로 흡기하여 환풍기로 배출되게 한 기술이다.
상기 기술은 일반 양변기를 개조하여 설치할 수 있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5303호 "악취제거양변기"와 동일하게 변기의 몸체 내에서 발생한 악취를 즉시 흡입하는 구조인 점에서 큰 장점이 있으나, 변기 커버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없고 구조가 극히 번거로우며 별도의 환풍기를 벽체에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여러 단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양변기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조가 극히 간단하고, 나아가 건물을 훼손하지 않고서도 설치 가능하며, 무엇보다 배변 시 악취를 즉시 흡입하여 주변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양변기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양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즉시 흡입 및 외부 배출되게 함으로써 화장실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 조성할 수 있는 기술 제공을 주된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양변기에도 충분히 설치 가능하도록 단조로운 구조로 구현될 뿐 아니라 센서를 활용한 자동 작동시스템에 기인하여 사용성을 극대화 유도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악취를 제거하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뿐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원활한 배변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 제공을 또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배설물을 수용하는 바디(10)와, 바디 상단에 적층되어 사용자의 착석을 허용하는 시트부(20)와, 시트부에 포개어져 바디를 차폐하는 커버체(30)와, 저수된 물을 바디로 공급하는 물탱크(40)와, 사이폰 원리에 기인하여 수용된 오물을 배수하는 배출부(50)로 이루어지는 양변기를 기반으로 하며, 팬(fan)과 모터가 내장되고 바디와 배출부에 관체로 각 연결되며, 팬의 선택적 구동으로 바디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여 배출부로 전달 및 배출되게 하는 정화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화유닛(60)은 내부가 빈 설정 형상의 케이스(61);와, 팬(fan)과 모터로 이루어져 케이스에 내장 설치되는 송풍기(62);와, 케이스에서 연장되어 바디(10) 상단부에 직결되며, 송풍기의 구동 여부에 따라 바디 상단의 출수구(11)를 통해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관체(63);와, 케이스에서 연장되어 배출부(50)에 직결되며, 흡입관체로부터 악취를 인계받아 배출부의 사이폰에 배출하는 배출관체(6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화유닛(60)은 센서(70)에 의해 자동 작동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70)는 시트부(20) 또는 물탱크(40)에 설치되어 접지 내지 감지 여부에 따라 정화유닛의 작동을 요청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70)는 시트부(20)의 저면에 단일 또는 복수 설치된 상태에서 정화유닛(60)과 연결되고, 시트부(20)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바디(10) 상부에 접촉 및 가압되어 접지 여부가 결정되며, 접지 시 모터와 팬(fan)을 구동시켜 악취의 흡입을 유도하고, 미접지 시 모터를 정지시켜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의 침투를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70)는 물탱크(40) 내 설정 높이에 배치되는 도그(71);와, 부구에 설치되어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승강 내지 하강하면서 도그와 접지되는 센싱부(7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70)는 넘침관의 상단 측면에 설치되는 도그(71);와,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선회하여 급수관의 개폐를 허용하는 부구에 설치되며, 부구의 선회 위치에 따라 도그와의 접지 여부가 결정되는 센싱부(7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70)는 물탱크(40) 내 설정 높이에 배치되는 도그(71);와,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선회하여 급수관의 개폐를 허용하는 부구에 설치되며, 부구의 선회 위치에 따라 도그와의 접지 여부가 결정되는 센싱부(7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70)는 물탱크(40) 내 설정 높이에 배치되는 도그(71);와, 도그의 하부에 수직 배치되며, 물탱크의 세척수가 동반 유입되는 하우징(73);과,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하우징 내에서 승강 내지 하강하면서 도그와 접지되는 센싱부(7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70)는 물탱크(40)의 저장된 세척수를 바디(10)로 배수하는 배출공(44)의 상면에 설치되는 도그(71);와, 변기레버와 사슬로 연결된 버큠(45) 저면에 설치되며, 변기레버의 조작에 기인한 배출공과 버큠의 개방 또는 차폐에 의해 도그와의 접지 여부가 결정되는 센싱부(7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화유닛(60)은 스피커(65)가 내장되어 선택적으로 음향 기능이 제공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65)는 시트부(20)에 설치된 센서(70)와 연결되어 센서의 접지 여부에 따라 자동 작동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65)는 블루투스 연결에 의해 사용자가 등록한 스마트폰이나 음성 인식으로 무선 제어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배출관체(64)는 배출부(50)에 형성된 사이폰(S)의 끝단에 설치되어 해당 영역으로 포집된 악취를 주입함에 따라 사이폰으로 주입된 악취가 사이폰에 임시 저수된 세척수에 의해 다시 바디(10)로 역류하지 못하고 외부 배출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한편, 상기 배출관체(64)는 사이폰(S)의 영역 중 세척수가 존재하지 않는 설정 구간에서 사용자 선택에 의해 임의 배치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관체를 이용한 변기와 정화유닛의 연결만으로 설치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양변기를 교체 내지 폐기하지 않고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유닛의 송풍기를 통해 변기의 악취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동반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음악으로 배변 소리를 상쇄시켜 사용자의 심신 안정에 기여함에 따라 보다 원활한 배변 활동을 유도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의 다양한 설치 방식을 제안하여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 제약없이 환풍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센서를 통해 환풍시스템과 음향 서비스가 자동 작동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또 다른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양변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정화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양변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센서의 적용 예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가압방식의 센서 적용 예시도.
도 7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센서의 다양한 적용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정화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양변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센서의 적용 예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가압방식의 센서 적용 예시도.
도 7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센서의 다양한 적용 예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수세식 양변기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양변기의 제반 구조 개선과 송풍기 및 센서의 채용에 기인하여 용변 시 발생하는 악취가 즉시 배출되어 주변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고, 더불어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향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용변 시 소리로 인한 수치심 및 긴장감을 해소시켜 원활한 배변을 유도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양변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정화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양변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양변기는 환기 기능을 보유한 상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이미 설치된 양변기에 환기 기능이 발휘되도록 소정 개조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양변기는 배설물을 수용하는 바디(10)와, 바디 상단에 적층되어 사용자의 착석을 허용하는 시트부(20)와, 시트부에 포개어져 바디를 차폐하는 커버체(30)와, 저수된 물을 바디로 공급하는 물탱크(40)와, 사이폰 원리에 기인하여 수용된 오물을 배수하는 배출부(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통상의 양변기에 정화유닛(60)을 설치함으로써 양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뿐 아니라 소정의 음향 기능이 더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의 심신 안정과 쾌적한 환경의 화장실을 조성 유도한다.
상기 정화유닛(60)은 팬(fan)과 모터가 내장된 구성이고, 바디(10)와 배출부(50)에 각각 관체로 연결되며, 팬의 선택적 구동으로 바디 내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여 배출부로 전달 및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정화유닛(60)은 내부가 빈 설정 형상의 케이스(61);와, 팬(fan)과 모터로 이루어져 케이스에 내장 설치되는 송풍기(62);와, 케이스에서 연장되어 바디(10) 상단부에 직결되며, 송풍기의 구동 여부에 따라 바디 상단의 출수구(11)를 통해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관체(63);와, 케이스에서 연장되어 배출부(50)에 직결되며, 흡입관체로부터 악취를 인계받아 배출부의 사이폰에 배출하는 배출관체(64);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61)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되, 송풍의 역할을 명확하게 하면서 화장실의 공간을 침해하지 않도록 소형의 사이즈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케이스(61)는 흡기를 위한 최소한의 장치, 즉 모터와 팬이 내장될 수 있는 수준이면 충분하고, 물탱크(40) 하부에 고정 설치되거나 화장실의 선반 등에 얹어 놓는 형태로 설치되거나 화장실의 벽면에 부착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외부와 단절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기(62)는 복수 개의 날개로 이루어져 주변에 공기 흐름을 유발시키는 팬(fan)과, 축에 팬이 결합되며 전력을 통해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moto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관체(63)는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의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측은 케이스(61)와 연결되고, 타측은 바디(10)의 상단에 구비된 출수구(11)와 연결된다. 상기 출수구(11)는 바디(10)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설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통공으로, 물탱크(40)에 저수된 물이 바디의 저수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출수구(11)에 흡입관체(63)를 설치함으로써, 바디(10)의 저수공간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출수구로 포집된다. 물론, 물탱크(40)에서 출수구(11)로 세척수가 공급될 때에는 송풍기(62)가 정지한 상태이고, 흡입관체의 높이와 관체 내부에 기압이 형성되어 있어 세척수가 송풍기로 유입될 수 없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체(64)는 흡입관체(63)와 마찬가지로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의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측은 케이스(61)와 연결되고, 타측은 배출부(50)에 구비된 사이폰(siphon, S)과 연결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이폰(S)의 최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변기에 착석하게 되면 송풍기(62)가 작동하여 흡입 기능이 발휘되고, 이 흡입력이 바디(10)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끌어들여 출수구(11)와 흡입관체(63), 케이스(61)를 순차 거친 후 배출관체(64)로 전달되면서 결국 사이폰 공간으로 주입된다.
여기서 사이폰(S)은 U자 형태의 관체로, 밴딩 구간에 소량의 세척수가 저수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관체(64)는 세척수가 저수된 밴딩 구간보다 더 아래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폰으로 악취가 주입되더라도 사이폰의 밴딩된 구간에 세척수가 저수되어 있으므로 악취가 다시 변기로 역류하지 못하고 외부로 완벽하게 방출된다. 즉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배출관체(64)는 사이폰(S)의 영역 중 세척수가 존재하지 않는 설정 구간에서 사용자 선택에 의해 임의 배치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화유닛(60)은 송풍 기능뿐만 아니라 스피커(65)가 내장되어 다양한 음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65)는 블루투스 기능이 제공되어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동됨에 따라 다양한 음향 서비스가 제공되며, 단말기 또는 음성인식으로 조작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센서의 적용 예시도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가압방식의 센서 적용 예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센서의 다양한 적용 예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의 정화유닛(60)은 센서(70)에 의해 자동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70)는 시트부(20)나 물탱크(40) 등에 설치되어 접지 내지 감지 여부에 따라 정화유닛의 작동을 요청한다.
아래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정화유닛(60)과 센서(70)의 구성을 실시예 별로 나열한 것이다.
- 가압식 작동 구조
센서(70)가 시트부(20) 저면에 부착 설치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바디(10)에 시트부(20)를 내린 후 시트부에 착석 시 사용자의 착석 하중에 의해 시트부와 바디 사이에 배치된 센서가 소정 가압되면서 접지가 이루어지고, 접지가 인지되면 즉시 정화유닛(60)이 가동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시트부(20)에서 기립하게 되면 사용자의 하중이 제거되면서 가압되었던 센서가 원상복귀되어 센서의 접지면이 이격된다. 따라서 접지가 해제되기 때문에 정화유닛(60)의 작동이 즉시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가압식 작동 구조 방식은 시트부(20)의 저면에 센서(7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정화유닛(60)과 연결되어 시트부(20)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접지 여부가 결정되며, 접지 시 모터와 팬(fan)을 구동시켜 악취의 흡입을 유도하고, 미접지 시 모터를 정지시켜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의 침투를 차단한다.
- 부력식 작동 구조
센서(70)는 도그(71)와 센싱부(72)로 구분 구성되며, 상기 도그는 물탱크(40)의 내부공간에서 설정 높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센싱부(72)는 부구(浮球)에 설치된다.
상기 부구는 부력으로 인해 물탱크에 저수된 세척수에 떠오르기 때문에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 내지 하강한다. 따라서 세척수의 수위가 높을 경우 부구에 설치된 센싱부(72)가 도그(71)와 접촉하여 접지가 이루어짐에 따라 즉시 정화유닛(60)이 가동되고, 세척수의 수위가 낮을 경우 센싱부가 도그로부터 서서히 이격되어 접지가 해제됨에 따라 정화유닛의 가동이 즉시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부력식 작동 구조 방식은 물탱크(40)에 세척수가 가득할 시 부구의 센싱부(72)가 도그(71)에 접촉되어 정화유닛(60)의 가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앉은 상태에서 양변기의 레버를 조작할 경우에 필요로 된다. 즉 레버의 조작으로 물탱크의 세척수가 바디(10)로 공급되어 수위가 점차 낮아지게 되면 부구의 센싱부가 도그로부터 점차 이격되어 접지가 해제됨에 따라 정화유닛의 작동이 정지되면서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정화유닛(60)으로 침투되는 것을 즉각적으로 차단한다.
- 선회식 작동 제1구조
센서(70)는 도그(71)와 센싱부(72)로 구성된다. 상기 도그(71)는 물탱크(40)의 넘침관(41) 상단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센싱부(72)는 부구(浮球, 43)에 설치된다. 상기 부구는 물탱크(40)의 수위에 따라 선회하여 급수관(42)의 개폐를 허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센싱부(72)는 넘침관(41)의 상단 측면에서 축 결합되는 회전부(72-1)와, 회전부에서 수직 연장되어 회전부의 방향에 따라 도그(71)와 접지되거나 이격되는 제1연장면(72-2)과, 제1연장면에서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며 단부에 부구가 설치되는 제2연장면(72-3)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물탱크(40)의 수위가 높을 경우 부구가 높게 떠올라 제1연장면(72-2)이 도그(71)에 접지되기 때문에 정화유닛(60)이 작동하여 바디(10) 내의 악취를 흡입하고, 사용자가 물탱크의 레버를 조작하여 세척수를 출수하면 부구가 하강하여 회전부(72-1)를 기준으로 제2연장면(72-3)과 제1연장면(72-2)이 역시계 방향으로 선회하기 때문에 접지면과 도그가 이격되어 정화유닛의 작동이 중단된다.
- 선회식 작동 제2구조
센서(70)는 도그(71)와 센싱부(72)로 구성된다. 상기 도그(71)는 물탱크(40)의 넘침관(41) 상단 측면에 설치된 브라켓에 의해 설정 높이에서 하측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센싱부(72)는 부구(浮球)에 설치된다. 상기 부구는 물탱크(40)의 수위에 따라 선회하여 급수관(42)의 개폐를 허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센싱부(72)는 넘침관(41)의 상단 측면에서 축 결합되는 회전부(72-1)와, 회전부에서 수직 연장되는 제1연장면(72-2)과, 제1연장면에서 직각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2연장면(72-3)으로 이루어지고, 제2연장면의 단부에 부구가 설치되며, 부구의 일측에 접지센서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물탱크(40)의 수위가 높을 경우 부구가 높게 떠올라 부구에 마련된 접지센서가 도그(71)에 접지되어 정화유닛(60)이 작동하고, 물탱크의 수위가 낮을 경우 회전부(72-1)를 기준으로 제2연장면(72-3)과 제1연장면(72-2)이 역시계 방향으로 선회하여 접지센서와 도그가 이격되어 정화유닛의 작동이 중단된다.
- 정밀 부력식 작동 구조
센서(70)는 도그(71)와 센싱부(72) 및 하우징(73)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그(71)는 물탱크(40)의 넘침관(41) 상단 측면에 설치된 브라켓에 의해 설정 높이에서 하측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73)은 넘침관(41)의 일측에 평행 설치된다. 상기 센싱부(72)는 부구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센싱부가 설치된 부구는 하우징(73) 내부에 개입된다.
상기와 같이 물탱크(40)에 수위가 높을 경우 세척수가 하우징(73)의 내부에 유입되어 부구가 떠오르게 되고, 떠오른 부구에 의해 센싱부(72)가 도그(71)에 접지되어 정화유닛(60)이 작동하게 된다. 반대로 물탱크(40)의 수위가 낮을 경우 하우징(73)의 내부에 세척수가 출수되어 부구가 서서히 하강하게 되고, 하강한 부구에 의해 센싱부(72)가 도그(71)로부터 이격되어 정화유닛(60)이 정지하게 된다.
- 버큠 접지식 작동 구조
센서(70)는 도그(71)와 센싱부(72)로 구성된다. 상기 도그(71)는 물탱크(40)에 형성된 배출공(44)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센싱부(72)는 물탱크에 구비된 버큠(45)에 설치된다.
상기 배출공(44)은 물탱크(40)의 저부를 수직으로 관통한 홀(Hole)을 말하며, 상기 홀은 관체를 통해 바디(10)와 연결된다. 따라서, 물탱크(40)에 변기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물탱크에 임시 저장되었던 세척수가 배출공(44)과 관체를 통해 바디(10)로 공급된다.
상기 버큠(45)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원형 패드이며, 배출공(44)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어 배출공을 차폐한다. 상기 버큠(45)은 일측에 넘침관(41)과 축 결합되어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 변기레버와 사슬로 연결되어 변기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향 틸팅 또는 하향 틸팅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배출공(44)의 상부에서 변기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 틸팅하는 버큠(45) 저면에 센싱부(72)가 설치되며, 틸팅된 위치에 따라 배출공(44)에 설치된 도그(71)와의 접지 여부가 결정되며, 이로부터 모터와 팬(fan)을 구동시켜 악취의 흡입을 유도하고, 미접지 시 모터를 정지시켜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의 침투를 차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관체를 이용한 변기와 정화유닛의 연결만으로 설치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양변기를 교체 내지 폐기하지 않고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정화유닛의 송풍기를 통해 변기의 악취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동반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음악을 송출하여 사용자의 심신 안정에 기여함에 따라 보다 원활한 배변 활동을 유도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센서의 다양한 설치 방식을 제안하여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 제약없이 환풍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센서를 통해 환풍시스템과 음향 서비스가 자동 작동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또 다른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바디 20. 시트부
30. 커버체 40. 물탱크
50. 배출부 60. 정화유닛
70. 센서
30. 커버체 40. 물탱크
50. 배출부 60. 정화유닛
70. 센서
Claims (12)
- 배설물을 수용하는 바디(10);와, 바디 상단에 적층되어 사용자의 착석을 허용하는 시트부(20);와, 시트부에 포개어져 바디를 차폐하는 커버체(30);와, 저수된 물을 바디로 공급하는 물탱크(40);와, 사이폰 원리에 기인하여 수용된 오물을 배수하는 배출부(50);와, 팬(fan)과 모터가 내장되고 바디와 배출부에 관체로 각 연결되며, 팬의 선택적 구동으로 바디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여 배출부로 전달 및 배출되게 하는 정화유닛(60);을 포함하고,
상기 정화유닛(60)은 센서(70)에 의해 자동 작동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70)는 시트부(20) 또는 물탱크(40)에 설치되어 접지 내지 감지 여부에 따라 정화유닛의 작동을 요청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70)는 물탱크(40) 내 설정 높이에 배치되는 도그(71);와,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선회하여 급수관(42)의 개폐를 허용하는 부구에 설치되며, 부구의 선회 위치에 따라 도그와의 접지 여부가 결정되는 센싱부(72);를 포함하는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유닛(60)은,
내부가 빈 설정 형상의 케이스(61);
팬(fan)과 모터로 이루어져 케이스에 내장 설치되는 송풍기(62);
케이스에서 연장되어 바디(10) 상단부에 직결되며, 송풍기의 구동 여부에 따라 바디 상단의 출수구(11)를 통해 악취를 흡입하는 흡입관체(63);
케이스에서 연장되어 배출부(50)에 직결되며, 흡입관체로부터 악취를 인계받아 배출부의 사이폰에 배출하는 배출관체(64);
를 포함하는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70)는 시트부(20)의 저면에 단일 또는 복수 설치된 상태에서 정화유닛(60)과 연결되고, 시트부(20)에 착석한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바디(10) 상부에 접촉 및 가압되어 접지 여부가 결정되며, 접지 시 모터와 팬(fan)을 구동시켜 악취의 흡입을 유도하고, 미접지 시 모터를 정지시켜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세척수의 침투를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유닛(60)은 스피커(65)가 내장되어 선택적으로 음향 기능이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65)는 시트부(20)에 설치된 센서(70)와 연결되어 센서의 접지 여부에 따라 자동 작동되는 것을 포함하는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65)는 블루투스 연결에 의해 사용자가 등록한 스마트폰이나 음성 인식으로 무선 제어되는 것을 포함하는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0439A KR102628865B1 (ko) | 2023-05-10 | 2023-05-10 |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0439A KR102628865B1 (ko) | 2023-05-10 | 2023-05-10 |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28865B1 true KR102628865B1 (ko) | 2024-01-24 |
Family
ID=8971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0439A KR102628865B1 (ko) | 2023-05-10 | 2023-05-10 |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8865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14945Y1 (ko) | 1995-05-25 | 1998-04-17 | 김순언 | 양변기의 악취제거 장치 |
KR200175303Y1 (ko) | 1999-10-18 | 2000-03-15 | 서정원 | 악취제거양변기 |
KR200290878Y1 (ko) * | 2002-06-07 | 2002-10-04 | 채병태 | 음향/발향기능을 갖춘 비데장치 |
KR200306436Y1 (ko) * | 2002-10-28 | 2003-03-11 | 이복식 |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
KR20100072758A (ko) * | 2008-12-22 | 2010-07-01 | 문성호 | 악취 제거용 양변기 |
KR20190069037A (ko) * | 2017-12-11 | 2019-06-19 | 강현모 | 양변기용 물탱크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 |
-
2023
- 2023-05-10 KR KR1020230060439A patent/KR1026288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14945Y1 (ko) | 1995-05-25 | 1998-04-17 | 김순언 | 양변기의 악취제거 장치 |
KR200175303Y1 (ko) | 1999-10-18 | 2000-03-15 | 서정원 | 악취제거양변기 |
KR200290878Y1 (ko) * | 2002-06-07 | 2002-10-04 | 채병태 | 음향/발향기능을 갖춘 비데장치 |
KR200306436Y1 (ko) * | 2002-10-28 | 2003-03-11 | 이복식 |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
KR20100072758A (ko) * | 2008-12-22 | 2010-07-01 | 문성호 | 악취 제거용 양변기 |
KR20190069037A (ko) * | 2017-12-11 | 2019-06-19 | 강현모 | 양변기용 물탱크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307831A1 (en) | Odor-free toilet | |
WO1998046837A1 (en) | Urinal attachment for a toilet | |
US7103925B2 (en) | Odor eliminating system for a toilet, toilet including the odor eliminating system, and toilet seat assembly | |
US8037553B2 (en) | Tankless ventilated toilet with bidet | |
JP3129164U (ja) | 便器の脱臭装置 | |
JP3178372U (ja) | 吸引排出水洗トイレ | |
US20130086736A1 (en) | Toilet ventilation device | |
EP2239380A2 (en) | Ventilated toilet | |
KR102628865B1 (ko) |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 | |
KR20110054379A (ko) |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 | |
CN115461514A (zh) | 马桶动态冲水法及动态冲水式防臭防溅水无水箱马桶 | |
KR102679445B1 (ko) | 센서 기반의 자동 환기구조를 갖는 흡입식 악취처리형 양변기 | |
KR200442285Y1 (ko) |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 |
KR102700101B1 (ko) | 가압식 센서 기반의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제거형 양변기 | |
CA2347273C (en) | System for directly venting odour air from toilet bowl | |
US7854027B1 (en) | Toilet flapper ventilation system | |
US20060085897A1 (en) | Toilet ventilation system | |
GB2589304A (en) | Toilet system | |
CN212641655U (zh) | 一种马桶除臭装置 | |
KR200220437Y1 (ko) | 수세식 좌변기의 냄새배출장치 | |
US20210395990A1 (en) | Vented Toilet System | |
EP1369537A1 (en) | Bad odor elimination device for toilet bowl | |
KR20040020232A (ko) | 좌변기의 냄새 소멸장치 | |
KR200271567Y1 (ko) | 좌변기 악취제거장치 | |
KR200405776Y1 (ko) | 배기팬이 부착된 양변기 악취배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