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55213A1 -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55213A1
WO2022055213A1 PCT/KR2021/012084 KR2021012084W WO2022055213A1 WO 2022055213 A1 WO2022055213 A1 WO 2022055213A1 KR 2021012084 W KR2021012084 W KR 2021012084W WO 2022055213 A1 WO2022055213 A1 WO 202205521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direct
toil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208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유성
Original Assignee
김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성 filed Critical 김유성
Publication of WO202205521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552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02Self-closing flushing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는, 양변기의 후방 상면에 구비된 체결관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에 결합되는 밸브체 및, 상기 급수관에 밸브체를 매개로 연결되는 수도관인 직수관으로 구성되는 직수관 모듈에 설치되는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로서, 수직 격벽에 의해 동력 발생실과 공기 정화실로 구분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동력 발생실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상기 직수관 모듈의 직수관에 연결되는 물분사관; 상기 본체의 동력 발생실에 설치되어 상기 물분사관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의해 회전하는 수차; 상기 본체의 공기 정화실에 설치되어 상기 수차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 및 상기 본체의 공기 정화실 측 바닥면에 형성된 연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직수관 모듈의 급수관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수차를 구동하고 낙하하는 물을 상기 급수관으로 배출하면서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악취를 흡입하는 연통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본 발명은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가 없는 직수식 양변기에서 용변을 보는 동안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악취인 용변 냄새를 배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화장실 천정이나 벽에 환기용 팬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환기용 팬은 화장실의 실내 전체에 용변 냄새가 퍼지는 것을 막을 수는 없어 사용자에게 여전히 불쾌감을 준다.
근래에는, 용변시 양변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양변기의 급수로를 통해 양변기의 수조로 바로 배출하여 제거함으로써 화장실의 실내로 용변 냄새가 퍼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식의 악취 제거 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나(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악취 제거 장치는 수조가 없는 직수식 양변기에는 설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0385호(2019.11.2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가 없는 직수식 양변기에서 용변을 보는 동안 발생되는 악취가 양변기 밖으로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되, 기존 사용중인 양변기를 교체하거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설치될 수 있는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는, 양변기의 후방 상면에 구비된 체결관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에 결합되는 밸브체 및, 상기 급수관에 밸브체를 매개로 연결되는 수도관인 직수관으로 구성되는 직수관 모듈에 설치되는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로서, 수직 격벽에 의해 동력 발생실과 공기 정화실로 구분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동력 발생실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상기 직수관 모듈의 직수관에 연결되는 물분사관; 상기 본체의 동력 발생실에 설치되어 상기 물분사관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의해 회전하는 수차; 상기 본체의 공기 정화실에 설치되어 상기 수차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 및 상기 본체의 공기 정화실 측 바닥면에 형성된 연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직수관 모듈의 급수관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수차를 구동하고 낙하하는 물을 상기 급수관으로 배출하면서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악취를 흡입하는 연통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라, 상기 수차를 구동하고 낙하하는 물이 상기 본체의 공기 정화실 측 바닥면에위치한 상기 연통관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수직 격벽과 상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물배출 통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공기 정화실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프로펠러에 의해 상기 연통관으로부터 흡입된 악취를 제거하는 공기 정화 필터통; 및 상기 공기 정화 필터통에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공기 정화실 측 상측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연통관은 그 단부가 상기 본체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연통공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수차를 구동하고 낙하하는 물을 상기 연통관으로 배출하기 전에 일시 저장하는 공간인 물저장실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공기 정화실 측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유입공; 상기 물저장실 측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배출공; 및 상기 유입공과 배출공을 연결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상기 프로펠러에 의해 상기 공기 정화실로 유입된 악취를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물저장실에 저장된 물 속으로 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는 용변을 보는 동안 발생되는 악취가 양변기 밖으로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화장실 실내 공기가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는 기존 직수식 양변기의 직수관 모듈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고 범용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가 설치된 직수식 양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변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양변기 2: 변기 커버
3: 체결관 4: 급수관
5: 작동 레버 6: 밸브체
7: 직수관 8: 급수로
9: 급수공 10: 직수관 모듈
11: 좌대 12: 잔수면
13: 하수관 20: 솔레노이드 밸브
30: 동력 발생실 40: 공기 정화실
100: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110: 본체
111: 수직 격벽 112: 바닥면
113: 물배출 통로 114: 공기 배출홀
120: 물분사관 130: 연통관
131: 연통공 140: 제1 회전축
141: 베어링 142: 제1 평기어
143: 수차 150: 제2 회전축
151: 베어링 152: 제2 평기어
153: 제1 베벨기어 160: 제3 회전축
161: 베어링 162: 프로펠러
163: 제2 베벨기어 170: 공기 정화 필터통
180: 물저장실 190: 배출관
191: 유입공 192: 배출공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가 설치된 직수식 양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변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2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가 설치된 직수식 양변기는 종래 통상의 직수식 양변기와 동일하게 좌대(11)가 설치된 양변기(1)의 후방에 직수관 모듈(10)이 위치한다.
직수관 모듈(10)은 양변기(1)의 후방 상면에 구비된 체결관(3)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급수관(4), 상기 급수관(4)에 결합되는 밸브체(6), 상기 급수관(4)에 밸브체(6)를 매개로 연결되는 수도관인 직수관(7)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용변 후 밸브체(6)에 구비된 작동 레버(5)를 누름으로써 수도관에 걸려 있는 수압이 그대로 작용하면서 양변기(1)로 물이 공급되어 하수관(13)으로 용변을 배출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직수관 모듈(10)의 급수관(4)은 양변기(1)의 체결관(3)을 통해 양변기(1)의 급수로(8)에 연결되어 있고, 주지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5)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직수관 모듈(10)의 급수관(4)에는 물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직수관 모듈(10)의 급수관(4)과 양변기(1)의 급수로(8)는 서로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연통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직수관 모듈(10)의 급수관(4)과 양변기(1)의 급수로(8) 간의 통기 구조를 이용하여, 양변기(1)의 구조 변경없이 간편하게 직수관 모듈(10)만을 변경함으로써 양변기(1)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정화하여 제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100)는 물분사관(120)이 솔레노이드 밸브(20)를 통해 직수관 모듈(10)의 직수관(7)에 연결되고 연통관(130)이 직수관 모듈(10)의 급수관(4)에 연결됨으로써, 직수관 모듈(10)에 설치된다.
직수관 모듈(10)의 직수관(7)은 통상적으로 일측에 연결구(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직수관(7)과의 연결은 상기 연결구를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100)는 직수관 모듈(10)의 급수관(4)만 연통관(130)이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 교체하기만 하면 기존의 직수식 양변기에 바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100)는 수직 격벽(111)에 의해 동력 발생실(30)과 공기 정화실(40)로 구분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110), 본체(110)의 동력 발생실(30) 일측벽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 밸브(20)를 통해 직수관 모듈(10)의 직수관(7)에 연결되는 물분사관(120), 및 본체(110)의 바닥면(112)에 설치되어 직수관 모듈(10)의 급수관(4)에 연결되는 연통관(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서와 같이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체(110)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110)의 동력 발생실(30)에는 물분사관(120)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의해 제1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수차(143)가 설치되어 있다.
물분사관(120)은 그 단부가 노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분사되는 물의 유속을 보다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전축(140)은 본체(110)의 측벽과 수직 격벽(111) 사이에서 베어링(14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에 제1 평기어(142)가 구비되어 있다.
제1 회전축(140)의 상부에는 본체(110)의 측벽과 수직 격벽(111) 사이에서 베어링(15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축(150)이 구비되며, 제2 회전축(150) 상에는 제1 평기어(142)와 맞물리는 제2 평기어(152)가 구비되고, 제2 회전축(150)의 일측은 수직 격벽(111)을 통과하여 공기 정화실(40)로 연장되어 있고, 공기 정화실(40)에 위치한 제2 회전축(150)의 일단에는 제1 베벨기어(153)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110)의 공기 정화실(40)에는 상기 제1 베벨기어(153)와 맞물리는 제2 베벨기어(163)가 일단에 구비되는 제3 회전축(160)이 베어링(161)에 의해 본체(110)의 바닥면(1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3 회전축(160) 상에는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162)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110)의 공기 정화실(40) 상부에는 공기 정화 필터통(170)이 마련되어 있고, 본체(110)의 공기 정화실(40) 측 상측면에는 공기 배출홀(114)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정화 필터통(170)은 내부에 공기 정화 필터가 구비되어 있어 악취를 정화하여 제거한다. 공기 정화 필터는 공지의 구성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110)의 바닥면(112)에는 연통관(130)이 결합되는 연통공(131)이 형성되며, 연통관(130)은 동력 발생실(30)에서 수차(143)를 구동하고 낙하하는 물을 급수관(4)으로 배출하는 기능과 함께 급수관(4)으로부터 악취를 흡입하는 기능을 동시에 가지므로, 연통공(131)은 공기 정화실(40) 측의 바닥면(11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직 격벽(111)은 그 하단이 본체(110)의 바닥면(11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수직 격벽(111)과 본체(110)의 바닥면(112) 사이에는 물배출 통로(113)가 형성됨으로써, 동력 발생실(30)에서 수차(143)를 구동하고 낙하하는 물을 공기 정화실(40) 측의 바닥면(112)에 형성된 연통공(131)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수직 격벽(111)의 하단과 본체(110)의 바닥면(112) 사이의 이격 거리는 동력 발생실(30)에서 수차(143)를 구동하고 낙하하는 물이 동력 발생실(30)에 고여 수차(143)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이면 충분하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100)는 양변기(1) 내부의 악취가 공기 정화실(40)로 유입되기 전 연통관(130) 내부에서 수차(143)를 구동하고 연통관(130)으로 배출되는 물과 접촉하면서 1차적으로 정화되고, 공기 정화실(40)로 유입된 나머지 악취는 공기 정화 필터통(170)을 거쳐 2차적으로 정화됨으로써, 용변시 양변기(1)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 밸브(20)는 용변시에만 열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스위치(미도시)를 변기 커버(2)의 개폐와 연동되도록 구비하고 변기 커버(2)가 열려 있는 동안에만 솔레노이드 밸브(20)가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기계식 스위치로서 변기 커버(2)의 회동 부위에 설치되어 변기 커버(2)의 회동에 의해 눌려 온오프 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근접 센서 스위치로서 직수관 모듈(10)이나 화장실 벽면에 설치되어 변기 커버(2)의 열림이나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 밸브(20)가 열리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1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양변기(1)의 변기 커버(2)를 열면 스위치가 온되어 솔레노이드 밸브(20)가 열리고, 수도관에 걸려 있는 수압으로 직수관(7)으로부터 물이 물분사관(120)을 통해 동력 발생실(30) 내의 수차(143)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수차(143)가 회전하면서 제1 회전축(140)이 회전하게 되고, 제1 회전축(140)과 함께 제1 평기어(142)와, 제1 평기어(142)에 맞물린 제2 평기어(152)가 순차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 평기어(142)와 제2 평기어(152)는 예를 들어 1:3의 속도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2 회전축(150)이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제2 회전축(150)의 회전에 의해 제1 베벨기어(153)가 회전하게 되고, 제1 베벨기어(153)에 의해 제2 베벨기어(163)가 회전하면서 제3 회전축(160)을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제3 회전축(160)이 회전하면 제3 회전축(160) 상에 구비된 프로펠러(162)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양변기(1) 내부의 악취가 양변기(1)의 급수공(9)을 통해 흡입되어, 급수로(8), 체결관(3), 급수관(4), 연통관(130)을 차례로 거쳐 공기 정화실(40)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양변기(1) 내부의 악취가 공기 정화실(40)로 유입되기 전 연통관(130) 내부에서 수차(143)를 구동하고 연통관(130)으로 배출되는 물과 접촉하면서 1차적으로 정화된다.
이후, 공기 정화실(40)로 유입된 악취는 프로펠러(162)에 의해 송풍되어 공기 정화 필터통(170)을 거쳐 2차 정화되고, 악취가 제거된 공기가 본체(110)의 공기 배출홀(114)을 통해 화장실 실내로 배출된다.
한편, 동력 발생실(30)에서 수차(143)를 구동하고 낙하하는 물은 물배출 통로(113)를 통해 공기 정화실(40) 측의 바닥면(112)에 형성된 연통공(131)으로 안내되어, 연통관(130), 급수관(4)을 거쳐 양변기(1)로 유입되어 잔수면(12)을 형성하게 된다.
동력 발생실(30)에서 수차(143)를 구동하고 낙하하는 물의 양은 수차(143)를 통해 프로펠러(162)를 고속으로 구동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연통관(130), 급수관(4)을 거쳐 양변기(1)로 유입되는 물의 양은 매우 적어 용변시 잔수면(12)의 변화는 거의 없다.
이후, 사용자가 변기 커버(2)를 닫으면 스위치가 오프되어 솔레노이드 밸브(20)가 닫히고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100)는 작동을 멈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100')는 공기 정화 필터통(170)을 구비하지 않는 대신 본체(110)의 하부에 물저장실(180)을 구비한다.
물저장실(180)은 수차(143)를 구동하고 낙하하는 물을 연통관(130)으로 배출하기 전에 일시 저장하는 공간으로서, 물저장실(180)에 일정한 양의 물을 저장하기 위해 연통관(130)은 그 단부(132)가 본체(110)의 바닥면(112)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연통공(13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물저장실(180)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는 연통관(130)의 단부(132)보다 낮게 형성되며, 수차(143)를 구동하고 낙하하는 물에 의해 수위가 연통관(130)의 단부(132)보다 높아지게 되면 연통관(130)으로 넘쳐 흘러 물이 배출되게 된다.
한편, 공기 정화실(40) 측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유입공(191)이 형성되고, 물저장실(180) 측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배출공(192)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과 배출공을 연결하는 배출관(190)이 구비되어, 공기 정화실(40)로 유입된 악취를 물저장실(180)에 저장된 물 속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물 속으로 배출된 악취는 물에 용해되어 물 속에 갇히게 되고, 악취가 용해되어 있는 물은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100')의 작동시 연통관(130)을 통해 양변기(1)로 유입된 후, 사용자가 용변을 끝내고 작동 레버(5)를 작동시켜 물을 내리게 되면, 물과 함께 하수관(13)으로 배출되어 완전히 제거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악취를 물에 용해한 후 물과 함께 하수관(13)으로 배출하게 되므로, 악취가 양변기(1) 밖으로 퍼지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는 용변을 보는 동안 발생되는 악취가 양변기 밖으로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화장실 실내 공기가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는 기존 직수식 양변기의 직수관 모듈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고 범용성이 높다.
본 명세서와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일 뿐,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4)

  1. 양변기의 후방 상면에 구비된 체결관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에 결합되는 밸브체 및, 상기 급수관에 밸브체를 매개로 연결되는 수도관인 직수관으로 구성되는 직수관 모듈에 설치되는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로서,
    수직 격벽에 의해 동력 발생실과 공기 정화실로 구분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동력 발생실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상기 직수관 모듈의 직수관에 연결되는 물분사관;
    상기 본체의 동력 발생실에 설치되어 상기 물분사관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의해 회전하는 수차;
    상기 본체의 공기 정화실에 설치되어 상기 수차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
    상기 본체의 공기 정화실 측 바닥면에 형성된 연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직수관 모듈의 급수관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수차를 구동하고 낙하하는 물을 상기 급수관으로 배출하면서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악취를 흡입하는 연통관; 및
    상기 수차를 구동하고 낙하하는 물이 상기 본체의 공기 정화실 측 바닥면에위치한 상기 연통관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수직 격벽과 상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물배출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공기 정화실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프로펠러에 의해 상기 연통관으로부터 흡입된 악취를 제거하는 공기 정화 필터통; 및
    상기 공기 정화 필터통에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공기 정화실 측 상측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3. 양변기의 후방 상면에 구비된 체결관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에 결합되는 밸브체 및, 상기 급수관에 밸브체를 매개로 연결되는 수도관인 직수관으로 구성되는 직수관 모듈에 설치되는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로서,
    수직 격벽에 의해 동력 발생실과 공기 정화실로 구분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동력 발생실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상기 직수관 모듈의 직수관에 연결되는 물분사관;
    상기 본체의 동력 발생실에 설치되어 상기 물분사관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의해 회전하는 수차;
    상기 본체의 공기 정화실에 설치되어 상기 수차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 및
    상기 본체의 공기 정화실 측 바닥면에 형성된 연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직수관 모듈의 급수관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수차를 구동하고 낙하하는 물을 상기 급수관으로 배출하면서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악취를 흡입하는 연통관;을 포함하며,
    상기 연통관은 그 단부가 상기 본체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연통공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수차를 구동하고 낙하하는 물을 상기 연통관으로 배출하기 전에 일시 저장하는 공간인 물저장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실 측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유입공;
    상기 물저장실 측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배출공; 및
    상기 유입공과 배출공을 연결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상기 프로펠러에 의해 상기 공기 정화실로 유입된 악취를 상기 배출관을 통해 상기 물저장실에 저장된 물 속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PCT/KR2021/012084 2020-09-08 2021-09-07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WO202205521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555A KR102251979B1 (ko) 2020-09-08 2020-09-08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KR10-2020-0114555 2020-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5213A1 true WO2022055213A1 (ko) 2022-03-17

Family

ID=7591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2084 WO2022055213A1 (ko) 2020-09-08 2021-09-07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1979B1 (ko)
WO (1) WO20220552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979B1 (ko) * 2020-09-08 2021-05-13 김유성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101A (ja) * 1999-04-06 2000-10-17 Toto Ltd 衛生洗浄装置
KR101745857B1 (ko) * 2015-07-30 2017-06-09 김상규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200489470Y1 (ko) * 2016-10-19 2019-06-24 박동식 양변기 냄새배출장치
KR102023643B1 (ko) * 2017-11-28 2019-09-23 김상규 변기 악취제거장치
KR102251979B1 (ko) * 2020-09-08 2021-05-13 김유성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816U (ja) * 1993-12-28 1995-08-11 有限会社アクアグリーン 芳香拡散装置
KR200196888Y1 (ko) * 2000-05-02 2000-09-15 양동훈 좌변기용 절수장치
WO2009040788A2 (en) * 2007-09-25 2009-04-02 Sherman, Ilan Air-freshener apparatus for toilets
KR102130169B1 (ko) 2018-05-14 2020-07-03 양병철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101A (ja) * 1999-04-06 2000-10-17 Toto Ltd 衛生洗浄装置
KR101745857B1 (ko) * 2015-07-30 2017-06-09 김상규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200489470Y1 (ko) * 2016-10-19 2019-06-24 박동식 양변기 냄새배출장치
KR102023643B1 (ko) * 2017-11-28 2019-09-23 김상규 변기 악취제거장치
KR102251979B1 (ko) * 2020-09-08 2021-05-13 김유성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979B1 (ko)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9076A1 (ko)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WO2022055213A1 (ko)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WO2013147447A1 (ko) 절수형 양변기
CN104652565B (zh) 一种抽风除臭便器及其抽风除臭装置
WO2016117901A1 (ko)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WO2015111789A1 (en) Flush toilet with deodorizing function
WO2010126222A2 (ko) 진공청소기의 습식분리형 집진장치
US6804837B1 (en) Odor transporter system for a toilet bowl
WO2019107697A1 (ko) 대소변 분리형 변기 및 이를 이용한 분뇨 처리 시스템
WO2022055214A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 악취 제거 장치
SE418516B (sv) Ventilationsanordning vid vattenklosett
WO2011065667A2 (ko) 악취배출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WO2011062331A1 (ko) 수위 조절 유닛을 구비한 물 필터 장치
WO2019009614A1 (ko) 누수 방지가 가능한 공기청정기용 무전원 가습 모듈
WO2022055211A1 (ko)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GB2268520A (en) Vented toilet seat
JP3227274U (ja) 水槽分離吸取水洗浄型美容機器
CN2853938Y (zh) 高压气雾冲洗的排便器
CN219364822U (zh) 一种环保厕所
CN204456362U (zh) 一种抽风除臭便器及其抽风除臭装置
WO2024076001A1 (ko) 캡슐형 비데용 필터
CN215247246U (zh) 防止异味外泄的厕位垃圾桶
CN212689115U (zh) 排便系统和排便设备
CN219722297U (zh) 一种锅炉烟气过滤系统
CN218521899U (zh) 一种卫生间除味抽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670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670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