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55211A1 -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55211A1
WO2022055211A1 PCT/KR2021/012081 KR2021012081W WO2022055211A1 WO 2022055211 A1 WO2022055211 A1 WO 2022055211A1 KR 2021012081 W KR2021012081 W KR 2021012081W WO 2022055211 A1 WO2022055211 A1 WO 202205521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pipe
suctio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208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유성
Original Assignee
김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성 filed Critical 김유성
Publication of WO202205521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552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odor from a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odor generated while using a toilet in a toilet.
  • a ventilation fan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r wall of the bathroom and used to exhaust the odor of feces, which is a bad odor generated in the bathroom.
  • the ventilation fan cannot prevent the smell of feces from spreading throughout the interior of the bathroom, which still gives users discomfort.
  • an odor removal device that can fundamentally block the spread of the odor inside the toilet by removing the odor generated inside the toilet during the toilet by discharging it directly into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through the water supply channel of the toilet.
  • a separate odor suction path must be drilled in the toilet, and an equipment installation room and a recessed wall must be provided in the water tank. Since it has no structure, there is a disadvantage of having to purchase a new toilet equipped with the odor removal device of the above method.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30385 (2019.11.22.)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pletely block the odor from spreading out of the toilet by locking in the water of the water tank and then discharging it with the water after using the toile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odor removal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as it is without replacing the toilet in use or changing its structure.
  •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in the upper space that does not contain water inside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and has a vertically lo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and has a suction pipe on the bottom surface
  • the body case is formed and the upper one side is formed with a discharge pipe; and a suction fan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case, wherein the suction fan includes a cuboid-shaped fan case and a circular fan, and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uction pipe and the discharge pipe inside the body case, and the The fan case outer surface of the suction fan is close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se is divided into a suction area and a discharge area with the suction fa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discharge pipe is 'L' shaped It is formed in a shape, the upper end is loca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area of the main body case, the lower end is located so as to be submerg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ub
  • the length of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submerged in water is formed within 10 cm from the water surface.
  • the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to increase in size toward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 a switch for operating the suction fan is provided to turn on/off in conjunction with opening and closing of the toilet cover, so that the suction fan operates only while the toilet cover is open.
  •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traps odors generated during toileting in the water of the water tank and discharges them together with the water after using the toilet to completely block the odor from spreading out of the toilet so that the indoor air in the toilet can always be maintained in a comfortable state. .
  •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tached and installed on the top of the overflow pipe inside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and it can be installed without replacing the existing toilet or changing the structure, so it is very practical and High versatilit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oilet in which a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ilet shown in FIG. 1 .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n overflow pipe.
  • FIG. 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water tank in which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suction pipe 32 exhaust pip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ilet in which a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hereof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n overflow pipe.
  • the toilet equipped with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toilet, the water tank 3 containing water inside the toilet 2 installed with the seat 1 installed. is located
  • an overflow pipe 6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3 , and the overflow pipe 6 has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toilet 2 through the fastening pipe 7 ( 8) is connected.
  • a discharge hole 1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pipe 7 to supply water to the toilet 2 while being opened and closed by the outlet stopper 12 connected by the operating lever 5 and the chain 11 or store water in the water tank (3).
  • the overflow pipe 6 basically has a function as a make-up water supply pipe for maintaining the residual water level 16 of the toilet 2, and for this purpose, the fastening pipe 7 has the discharge hole 10 regardless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charge hole 10.
  • a communication hole 13 for always communicating the overflow pipe 6 with the water supply passage 8 of the toilet 2 is formed.
  • the odor generated from the toilet 2 is simply discharged into the water tank 3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toilet. characterized by doing so.
  • FIG. 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water tank in which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3 maintains the water level adjusted by the float 14 , and the upper space 15 inside the water tank 3 with respect to the float 14 is filled with water. It forms an empty space that is not contained.
  • the upper end of the overflow pipe 6 is located in the upper space 15 inside the water tank 3 that does not contain water. ) and installed to be located in the upper empty space inside the water tank (3) that does not contain water.
  • the suction pipe 31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overflow pipe 6, the suction pipe 31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the discharge pipe ( 32) is formed including a main body case 33, and a suction fan 34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case 33.
  • the suction pipe 31 is airtight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overflow pipe 6 and the odor inside the toilet 2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supply water 8 of the toilet 2 is efficiently sucked by the suction fan 34 . It is preferable to do so.
  • the suction pipe 31 is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like the overflow pipe 6 in its cross section, and a sealing member such as an O-ring (not shown) between the suction pipe 31 and the overflow pipe 6 . can be installed.
  • the suction pipe 31 may be detachably fitted or screw-coupled to the overflow pipe 6 .
  • the discharge pipe 32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is formed in a 'L' shape so that the lower end is immers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3 .
  •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5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2 submerged in water so that the odor discharged into the water can be dissolved in the water.
  • the length of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2 submerged in the water is preferably formed within 10 cm from the water surface. not.
  • the discharge pipe 32 is formed in a completely perforated form without blocking the lower end, so that the odor that cannot escape through the discharge hole 35 can be easily discharged into the water, thereby preventing the suction fan 34 from being overloaded.
  • the discharge hole 35 is formed to increase in size toward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32, thereby alleviating the problem that the odor is difficult to enter into the water due to water pressure as the water depth increases. can do.
  • the main body case 33 has a vertically lo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and the suction fan 34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uction pipe 31 and the discharge pipe 32 inside the body case 33 and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an. It consists of a case and a circular fan (refer to FIG. 5).
  • the outer surface of the fan case of the suction fan 34 is the main body case 33 so tha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se 33 is divided into the suction area 36 and the discharge area 37 with the suction fan 34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preferable to maximize the suction performance of the suction fan 34 by being close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 a switch for operating the suction fan 34 is provided to be turned on and off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oilet cover 4,
  • the suction fan 34 can be operated only while the toilet cover 4 is open.
  • a switch as a mechanical switch may be installed on the rotating portion of the toilet cover 4 to be turned on and off by being pressed by the rotation of the toilet cover 4, and as a proximity sensor switch, it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tub 3 to cover the toilet cover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suction fan 34 by detecting the opening of (4) or the presence of a user.
  • the odo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ipe 31 is blown by the suction fan 34 and discharged to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3 through the discharge hole 35 of the discharge pipe 32 .
  • the odor discharged into the water is dissolved in water and trapped in the water, 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lever 5 to flush the water after going to the toilet, it is discharged into the sewer pipe 17 together with the water and is completely removed.
  •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3 is filled with fresh water, and when the user closes the toilet cover 4 , the switch is turned off and the suction fan 34 stops driving.
  •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s described above completely blocks the odor from spreading out of the toilet by trapping the odor generated during toilet in the water of the water tank and then discharging it together with the water, so that the indoor air in the toilet is always in a comfortable state. make it possible to keep
  •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tached and installed on the top of the overflow pipe inside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and it can be installed without replacing the existing toilet or changing the structure, so it is very practical and High versat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는,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서 물이 담겨 있지 않는 상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상하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하단면에 흡입관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에는 배출관이 형성된 본체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흡입팬;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팬은 직육면체 형상의 팬 케이스와 원형팬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관과 상기 배출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흡입팬의 팬 케이스 외측면이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상기 흡입팬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가 흡입 영역과 배출 영역으로 상하 양분되고, 상기 배출관은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단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배출 영역에 연통되게 위치하고 하단부가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 담겨 있는 물 속에 잠기도록 위치하며, 물 속에 잠긴 상기 배출관의 하단부 측면에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은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서 물이 담겨 있지 않는 상부 공간에 위치한 오버플로우관의 상단에 기밀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흡입팬이 구동되면, 양변기 내부의 악취가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상기 흡입관으로 유입되고 상기 배출관의 배출공을 통해 수조 내부의 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본 발명은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변기에서 용변을 보는 동안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악취인 용변 냄새를 배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화장실 천정이나 벽에 환기용 팬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환기용 팬은 화장실의 실내 전체에 용변 냄새가 퍼지는 것을 막을 수는 없어 사용자에게 여전히 불쾌감을 준다.
근래에는, 용변시 양변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양변기의 급수로를 통해 양변기의 수조로 바로 배출하여 제거함으로써 화장실의 실내로 용변 냄새가 퍼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식의 악취 제거 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나(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악취 제거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양변기에 별도의 냄새흡입로를 뚫어줘야 하고 수조에 장비설치실 및 함몰벽이 구비되어야 하는 등 기존의 양변기에는 그대로 설치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위와 같은 방식의 악취 제거 장치가 설치된 양변기를 새로 구입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0385호(2019.11.2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수조의 물속에 가두어 놓았다가 용변후 물과 함께 배출함으로써 악취가 양변기 밖으로 퍼지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되, 기존 사용중인 양변기를 교체하거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설치될 수 있는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는,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서 물이 담겨 있지 않는 상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상하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하단면에 흡입관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면에는 배출관이 형성된 본체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흡입팬;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팬은 직육면체 형상의 팬 케이스와 원형팬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관과 상기 배출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흡입팬의 팬 케이스 외측면이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상기 흡입팬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가 흡입 영역과 배출 영역으로 상하 양분되고, 상기 배출관은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단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배출 영역에 연통되게 위치하고 하단부가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 담겨 있는 물 속에 잠기도록 위치하며, 물 속에 잠긴 상기 배출관의 하단부 측면에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은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서 물이 담겨 있지 않는 상부 공간에 위치한 오버플로우관의 상단에 기밀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흡입팬이 구동되면, 양변기 내부의 악취가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상기 흡입관으로 유입되고 상기 배출관의 배출공을 통해 수조 내부의 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물 속에 잠기는 상기 배출관의 하단부 길이는 수면에서 10cm 이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의 하단은 전체적으로 뚫려 있다.
또한, 상기 배출공은 배출관의 하단으로 갈 수록 그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팬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변기 커버의 개폐와 연동되어 온오프 되도록 구비되어, 변기 커버가 열려 있는 동안에만 상기 흡입팬이 작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는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수조의 물속에 가두어 놓았다가 용변후 물과 함께 배출함으로써 악취가 양변기 밖으로 퍼지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여 화장실 실내 공기가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는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서 오버플로우관의 상단에 간편하게 탈착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기존 사용중인 양변기를 교체하거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설치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고 범용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가 설치된 양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변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오버플로우관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가 설치된 수조의 주요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좌대 2: 양변기
3: 수조 4: 변기 커버
5: 작동 레버 6: 오버플로우관
7: 체결관 8: 급수로
9: 급수공 10: 배출공
11: 체인 12: 배출구 마개
13: 연통공 14: 부구
15: 상부 공간 16: 잔수면
17: 하수관 30: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31: 흡입관 32: 배출관
33: 본체 케이스 34: 흡입팬
35: 배출공 36: 흡입 영역
37: 배출 영역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가 설치된 양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단면도이며, 도 3은 오버플로우관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가 설치된 양변기는 종래 통상의 양변기와 동일하게 좌대(1)가 설치된 양변기(2)의 후방에 내부에 물을 담아놓은 수조(3)가 위치한다.
또한, 도 2, 3을 참조하면, 수조(3) 내부에는 오버플로우관(6)이 구비되는데, 오버플로우관(6)은 하단이 체결관(7)을 통해 양변기(2)의 급수로(8)에 연결되어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체결관(7)의 상부에는 배출공(10)이 형성되어 작동 레버(5)와 체인(11)으로 연결된 배출구 마개(12)에 의해 개폐되면서 양변기(2)에 물을 공급하거나 수조(3)에 물을 저장한다.
오버플로우관(6)은 기본적으로 양변기(2)의 잔수면(16)을 유지하기 위한 보충수 공급관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이를 위해 체결관(7)에는 배출공(10)의 개폐와 무관하게 항상 오버플로우관(6)을 양변기(2)의 급수로(8)와 연통하는 연통공(13)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오버플로우관(6)과 양변기(2)의 급수로(8) 간의 연통 구조를 이용하여, 양변기의 구조 변경없이 간편하게 양변기(2)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수조(3) 내부로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가 설치된 수조의 주요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조(3) 내부에 담겨 있는 물은 부구(14)에 의해 조절된 수위를 유지하며, 부구(14)를 기준으로 수조(3) 내부의 상부 공간(15)은 물이 담겨 있지 않는 빈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오버플로우관(6)의 상단은 물이 담겨 있지 않는 수조(3) 내부의 상부 공간(15)에 위치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30)는 이러한 오버플로우관(6)의 상단에 결합되어 물이 담겨 있지 않는 수조(3) 내부의 상부 빈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30)는 오버플로우관(6)의 상단에 결합되는 흡입관(31), 하단면에 흡입관(31)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면에 배출관(32)이 형성된 본체 케이스(33), 및 본체 케이스(33)의 내부에 위치한 흡입팬(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흡입관(31)은 오버플로우관(6)의 상단에 기밀하게 결합되어 양변기(2)의 급수로(8)를 통해 배출되는 양변기(2) 내부의 악취가 흡입팬(34)에 의해 효율적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흡입관(31)은 그 단면이 오버플로우관(6)과 같은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흡입관(31)과 오버플로우관(6)의 사이에는 오링(미도시)과 같은 밀폐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흡입관(31)은 오버플로우관(6)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배출관(32)은 직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수조(3) 내부에 담겨 있는 물 속에 잠기도록 위치한다. 물 속에 잠긴 배출관(32)의 하단부 측면에는 다수의 배출공(35)이 형성되어 물 속으로 배출되는 악취가 물에 잘 용해될 수 있도록 한다. 물 속에 잠기는 배출관(32)의 하단부 길이는 수면에서 10cm 이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cm 이상 잠기게 할 경우 수압으로 인해 악취가 물 속으로 투입되기 어렵고 흡입팬(34)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배출관(32)은 그 하단을 막지 않고 전체적으로 뚫린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배출공(35)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한 악취가 쉽게 물 속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흡입팬(34)의 과부화를 방지한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공(35)은 배출관(32)의 하단으로 갈 수록 그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수심이 깊어질 수록 수압으로 인해 악취가 물 속으로 투입되기 어려운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본체 케이스(33)는 전체적으로 상하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흡입팬(34)은 본체 케이스(33)의 내부에서 흡입관(31)과 배출관(3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팬 케이스와 원형팬으로 이루어진다(도 5 참조).
이때, 흡입팬(34)을 사이에 두고 본체 케이스(33)의 내부가 흡입 영역(36)과 배출 영역(37)으로 상하 양분되도록 흡입팬(34)의 팬 케이스 외측면이 본체 케이스(33)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흡입팬(34)의 흡입 성능을 최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흡입팬(34)은 용변시에만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흡입팬(34)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미도시)를 변기 커버(4)의 개폐와 연동되어 온오프 되도록 구비하고 변기 커버(4)가 열려 있는 동안에만 흡입팬(34)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기계식 스위치로서 변기 커버(4)의 회동 부위에 설치되어 변기 커버(4)의 회동에 의해 눌려 온오프 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근접 센서 스위치로서 수조(3)의 전면에 설치되어 변기 커버(4)의 열림이나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여 흡입팬(34)이 작동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3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양변기(2)의 변기 커버(4)를 열면 스위치가 온되어 흡입팬(34)이 구동된다.
흡입팬(34)이 구동되면, 양변기(2) 내부의 악취가 양변기(2)의 급수공(9)을 통해 흡입되어, 급수로(8), 체결관(7), 오버플로우관(6)을 차례로 거쳐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30)의 흡입관(31)으로 유입된다.
흡입관(31)으로 유입된 악취는 흡입팬(34)에 의해 송풍되어 배출관(32)의 배출공(35)을 통해 수조(3) 내부의 물로 배출된다.
물로 배출된 악취는 물에 용해되어 물 속에 갇히게 되고,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작동 레버(5)를 작동시켜 물을 내리게 되면, 물과 함께 하수관(17)으로 배출되어 완전히 제거된다.
이후, 수조(3) 내부는 새로운 물로 채워지게 되며, 사용자가 변기 커버(4)를 닫으면 스위치가 오프되어 흡입팬(34)은 구동을 멈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는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수조의 물속에 가두어 놓았다가 용변후 물과 함께 배출함으로써 악취가 양변기 밖으로 퍼지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여 화장실 실내 공기가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는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서 오버플로우관의 상단에 간편하게 탈착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기존 사용중인 양변기를 교체하거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설치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고 범용성이 높다.
본 명세서와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일 뿐,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4)

  1.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서 물이 담겨 있지 않는 상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흡입관 및 배출관이 형성된 본체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한 흡입팬;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팬은 원형팬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관과 상기 배출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본체 케이스는 내부가 흡입 영역과 배출 영역으로 양분되고,
    상기 배출관은 상단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배출 영역에 연통되게 위치하고 하단부가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 담겨 있는 물 속에 잠기도록 위치하며, 물 속에 잠긴 상기 배출관의 하단부 측면에는 상기 배출관의 하단으로 갈 수록 그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은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서 물이 담겨 있지 않는 상부 공간에 위치한 오버플로우관의 상단에 기밀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흡입팬이 구동되면, 양변기 내부의 악취가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상기 흡입관으로 유입되고 상기 배출관의 배출공을 통해 수조 내부의 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물 속에 잠기는 상기 배출관의 하단부 길이는 수면에서 10cm 이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하단은 전체적으로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변기 커버의 개폐와 연동되어 온오프 되도록 구비되어, 변기 커버가 열려 있는 동안에만 상기 흡입팬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PCT/KR2021/012081 2020-09-08 2021-09-07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WO202205521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548A KR102251978B1 (ko) 2020-09-08 2020-09-08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KR10-2020-0114548 2020-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5211A1 true WO2022055211A1 (ko) 2022-03-17

Family

ID=7591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2081 WO2022055211A1 (ko) 2020-09-08 2021-09-07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1978B1 (ko)
WO (1) WO20220552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978B1 (ko) * 2020-09-08 2021-05-13 김유성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629A (ja) * 1998-12-02 2000-06-13 Fine:Kk トイレの空気浄化装置
KR20150142383A (ko) * 2014-06-11 2015-12-22 김상규 변기 악취제거장치
KR20160126191A (ko) * 2015-04-23 2016-11-02 권우득 개량된 세정 및 탈취구조를 갖는 절수형 좌변기시스템
KR20190075873A (ko) * 2019-06-19 2019-07-01 김수민 양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102251978B1 (ko) * 2020-09-08 2021-05-13 김유성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650U (ko) * 1997-03-14 1998-11-05 심재호 양변기용 악취 배출장치
KR102130169B1 (ko) 2018-05-14 2020-07-03 양병철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629A (ja) * 1998-12-02 2000-06-13 Fine:Kk トイレの空気浄化装置
KR20150142383A (ko) * 2014-06-11 2015-12-22 김상규 변기 악취제거장치
KR20160126191A (ko) * 2015-04-23 2016-11-02 권우득 개량된 세정 및 탈취구조를 갖는 절수형 좌변기시스템
KR20190075873A (ko) * 2019-06-19 2019-07-01 김수민 양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102251978B1 (ko) * 2020-09-08 2021-05-13 김유성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978B1 (ko)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11789A1 (en) Flush toilet with deodorizing function
WO2017039076A1 (ko)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WO2013147447A1 (ko) 절수형 양변기
US4583250A (en) Device for the removal of foul air from toilet bowls
AU2010223103B2 (en) Anti-siphon trap with snorkel for a waterless urinal
WO2022055211A1 (ko)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WO2017171128A1 (ko)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WO2011145821A2 (ko) 휴대용 어항 청소기
US7103925B2 (en) Odor eliminating system for a toilet, toilet including the odor eliminating system, and toilet seat assembly
WO2006022893A1 (en) System for venting noxious fumes from a toilet
US5991933A (en) Toilet with odor removal tube
WO2011065667A2 (ko) 악취배출장치를 구비한 양변기
WO2013022288A2 (ko) 층상 배수장치
WO2020222502A1 (ko)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WO2022055213A1 (ko) 직수식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GB2268520A (en) Vented toilet seat
WO2021006481A1 (ko) 잔수배출장치
WO2021060675A1 (ko) 비산 소변 세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산 소변 세척 방법
KR101936064B1 (ko) 하폐수용 탈취장치
KR100776253B1 (ko) 맞춤형 변기 어댑터
WO2017222091A1 (ko) 배출관로를 이용한 내장형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JPH09296495A (ja) 真空水洗便器
WO2017007205A1 (ko) 물을 사용하지 않고 악취를 차단하면서 위생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소변기용 카트리지
KR0178581B1 (ko) 환기장치를 구비한 사이폰 변기
JP2023018870A (ja) 水洗大便器の排水トラップの加工方法及び閉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670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670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