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064B1 - 하폐수용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하폐수용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064B1
KR101936064B1 KR1020180043185A KR20180043185A KR101936064B1 KR 101936064 B1 KR101936064 B1 KR 101936064B1 KR 1020180043185 A KR1020180043185 A KR 1020180043185A KR 20180043185 A KR20180043185 A KR 20180043185A KR 101936064 B1 KR101936064 B1 KR 101936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ilter housing
filter
lid
suction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전
Original Assignee
(주)홍익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홍익기술단 filed Critical (주)홍익기술단
Priority to KR1020180043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덮개의 하단부를 통해 누설되는 악취가스를 차단하고 필터교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하폐수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처리조(10)를 덮는 덮개(2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실내에 위치되는 수중격벽(31)과 실외에 위치되는 외벽(32)을 갖는 바닥채널(30); 외벽(32)에 형성되어 바닥채널(30)의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통공(33); 처리조(10)의 상단 테두리에 접합되는 베이스판(40); 수중격벽(31)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판(40)의 상면에 서로 거리를 두고 형성되고, 수중격벽(31)이 잠기는 물(43)을 담아두는 수로벽(44)(45); 수중격벽(31)의 하단에 형성되어 수로벽(44)(45)에 채워진 물(43)을 안팎으로 소통시키는 노치(34); 외벽(32)의 하단이 끼워지고, 베이스판(40)의 상면에 형성되는 이중리브(41)(42); 덮개(20)에 설치된 환풍기(50)의 흡입측에 연결되고, 덮개(2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흡입덕트(60); 바닥채널(30)에서 흡입덕트(60)로 연결되는 흡입파이프(6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폐수용 탈취장치{Deodorizing Device for Sewage Water}
본 발명은 하폐수 처리시설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스를 덮개에 의해 차단하고 정화하는데 이용되는 하폐수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덮개의 하단부를 통해 누설되는 악취가스를 차단하고 필터교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하폐수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분뇨처리시설과 같은 악취발생시설에서는 지속적으로 악취가스가 발생되는데 그대로 방치하면 대기를 오염시키게 되고 주변 주거생활에 불쾌감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54455호에는 처리시설에 덮개를 설치해서 악취가스의 누출을 차단하고, 덮개 상부에 필터가 설치된 흡출기를 설치해서 악취가스를 정화하도록 된 종래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덮개의 하단부가 굴곡진 처리시설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악취가스가 덮개의 하단부 틈을 통해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필터를 덕트에서 상부로 직접 인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교환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위험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54455호(공고일 2015.09.18.)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49132호(공고일 2010.03.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하폐수 처리시설에 설치되는 덮개의 하단부를 통한 악취가스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고, 필터 교환작업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하폐수용 탈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폐수용 탈취장치는, 처리조를 덮는 덮개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실내에 위치되는 수중격벽과 실외에 위치되는 외벽을 갖는 바닥채널; 외벽에 형성되어 바닥채널의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통공; 처리조의 상단 테두리에 접합되는 베이스판; 수중격벽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판의 상면에 서로 거리를 두고 형성되고, 수중격벽이 잠기는 물을 담아두는 수로벽; 수중격벽의 하단에 형성되어 수로벽에 채워진 물을 안팎으로 소통시키는 노치; 외벽의 하단이 끼워지고, 베이스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이중리브; 덮개에 설치된 환풍기의 흡입측에 연결되고, 덮개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흡입덕트; 바닥채널에서 흡입덕트로 연결되는 흡입파이프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흡입덕트의 내측 벽면과 간격을 이루면서 흡입덕트의 중심에 위치되어 공기통로를 형성하고, 흡입파이프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가스흡입관; 흡입덕트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필터출입구; 필터출입구에 대응해서 덮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개방구; 개방구를 개폐하는 도어; 개방구와 필터출입구의 코너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흡입덕트의 내부로 연장되는 가이드앵글; 가이드앵글을 따라 안팎으로 슬라이드 되고, 가스흡입관으로 통하는 공기구멍이 하측에 형성되며, 에어필터를 수용하기 위한 상부개방형의 필터수납부가 형성되는 필터하우징; 가스흡입관의 상단을 따라 평평하게 형성되는 상부플랜지; 필터하우징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부플랜지에 밀착되는 하부플랜지; 필터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인출손잡이; 인출손잡이에 설치되어 필터하우징이 출입할 때 필터출입구을 여닫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필터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고, 흡입덕트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는 스페이서; 덮개의 외측 수직면에 설치되는 발판; 덮개의 지붕 경사면에 설치되고, 발판으로부터 도어를 향해 설치되는 디딤판; 발판과 디딤판의 양측에 위치되는 난간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수로벽(44)(45)에 채워진 물(43)에 수중격벽(31)이 잠기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조(10)의 상단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굴곡진 경우에도 처리조(10)로부터 발생된 악취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기밀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중격벽(31)의 하단에 형성된 노치(34)에 의해 수로벽(44)(45)에 채워져서 수중격벽(31)에 의해 양측으로 분리된 물(43)이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물(43)의 수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외벽(32)에 형성된 통공(33)을 통해 외기를 흡입해서 흡입파이프(61)를 통해 흡입덕트(60)로 빨아들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수로벽(44)(45)에 채원진 물(43)에 용해된 악취가스에 의해 바닥채널(30)로 유입될 수 있는 미량의 악취가스를 다량의 외기와 혼합해서 덮개(20) 상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악취가스가 덮개(20)의 하단부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베이스판(40)에 형성된 이중리브(41)(42)의 사이에 외벽(32)의 하단부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채널(30)과 덮개(2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어(22)를 개방한 다음 인출손잡이(75)를 당기면 필터하우징(70)이 가이드앵글(65)을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필터(73) 교환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필터하우징(70)을 밀어서 흡입덕트(60)의 내부로 수납할 때 필터하우징(70)에 설치된 스페이서(77)가 흡입덕트(60)의 내벽면에 접촉되는 순간 삽입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하우징(70)의 수납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인출손잡이(75)에 개폐판(76)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터하우징(70)을 흡입덕트(60)의 안쪽에 수납할 때 필터출입구(64)가 개폐판(76)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가스흡입관(63)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플랜지(66)와 필터하우징(70)의 하부에 하부플랜지(74)가 필터하우징(70)이 흡입덕트(60)에 수납되었을 때 서로 밀착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흡입관(63)로부터 필터하우징(70)으로 이어지는 부위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덮개(20)의 외벽면과 지붕 경사면에 설치된 발판(80)과 디딤판(81)에 의해 덮개(20)의 지붕으로 올라가거나 내려오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를 제외하고 흡입덕트에 접속된 흡입파이프와 연결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덕트와 필터하우징 및 주변 구성품을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태로부터 필터하우징을 인출한 것을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덕트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7은 도 3의 A부 확대도
도 8은 도 3의 B부 확대도
도 9는 도 8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처리조(10)를 덮는 덮개(2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실내에 위치되는 수중격벽(31)과 실외에 위치되는 외벽(32)을 갖는 바닥채널(30); 외벽(32)에 형성되어 바닥채널(30)의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통공(33)을 포함한다.
바닥채널(30)은, 예를 들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ㄷ자 단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통공(33)은 외벽(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처리조(10)의 상단 테두리에 접합되는 베이스판(40); 수중격벽(31)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판(40)의 상면에 서로 거리를 두고 형성되고, 수중격벽(31)이 잠기는 물(43)을 담아두는 수로벽(44)(45); 수중격벽(31)의 하단에 형성되어 수로벽(44)(45)에 채워진 물(43)을 안팎으로 소통시키는 노치(34); 외벽(32)의 하단이 끼워지고, 베이스판(40)의 상면에 형성되는 이중리브(41)(42)를 포함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40)과 처리조(10)이 상단의 사이에 접착층(46)을 형성해서 베이스판(40)이 처리조(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노치(34)는 예를 들면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중격벽(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고, 수중격벽(31)의 하단부는 수로벽(44)(45)의 사이에 위치된 베이스판(40)의 상면에 접촉시킨다.
수로벽(44)(45)에 물(43)을 자동으로 채우기 위해 첨부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벽(44)(45)에 채워진 물(43)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94)와, 수위센서(94)로부터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보다 낮은 경우 펌프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90)와, 제어부(90)로부터 출력되는 펌프구동신호에 의해 펌프(92)를 구동하는 펌프구동부(91)와, 펌프구동부(91)에 의해 구동되면서 수로벽(44)(45)에 물(43)을 채우는 펌프(9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덮개(20)에 설치된 환풍기(50)의 흡입측에 연결되고, 덮개(2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흡입덕트(60); 바닥채널(30)에서 흡입덕트(60)로 연결되는 흡입파이프(61)를 포함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파이프(61)와 연결되는 바닥채널(30)에 구멍(35)을 형성해서 통공(33)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고, 바닥채널(30)의 내부에 부압을 형성해서 바닥채널(30) 안쪽으로 누출된 악취가스를 흡입파이프(61)를 통해 외기와 혼합해서 배출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풍기(50)는 하나의 덮개(20)에 복수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관(67)을 통해 각 환풍기(50)에 설치된 흡입덕트(60)를 연결하도록 한다.
흡입파이프(61)는 덮개(20)의 내측 벽면과 천장을 따라 굴곡지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꺾어지는 부위에 엘보(68)를 설치한다.
환풍기(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로부터 출력되는 모터구동신호에 의해 환풍기(50)의 모터(도시생략)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93)를 구비해서 환풍기(50)가 간헐적으로 자동운전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입덕트(60)의 내측 벽면과 간격을 이루면서 흡입덕트(60)의 중심에 위치되어 공기통로(62)를 형성하고, 흡입파이프(61)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가스흡입관(63); 흡입덕트(6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필터출입구(64); 필터출입구(64)에 대응해서 덮개(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개방구(21); 개방구(21)를 개폐하는 도어(22)를 포함한다.
흡입덕트(60)와 가스흡입관(63)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 형태의 정방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흡입덕트(60)의 측면에 흡입파이프(61)와 연결관(67)를 접속해서 바닥채널(30)로 유입된 다량의 외기와 미량의 악취가스를 흡입덕트(60)와 가스흡입관(63)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62)를 통해 흡입해서 배출하도록 한다.
필터출입구(64)과 개방구(21)는 예를 들면 필터하우징(70)의 단면모양에 대응하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에서 볼 때 필터출입구(64)와 개방구(21)가 중첩되도록 해서 필터하우징(70)이 부드럽게 출입하도록 한다.
도어(22)는 예를 들면 경첩(24)을 이용해서 도어(22) 상단을 개방구(21) 상측의 덮개(20)에 고정해서 도어(22)를 상하방향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도어(22)에 도어손잡이(23)를 설치해서 손으로 잡고 도어(22)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개방구(21)와 필터출입구(64)의 코너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흡입덕트(60)의 내부로 연장되는 가이드앵글(65); 가이드앵글(65)을 따라 안팎으로 슬라이드 되고, 가스흡입관(63)으로 통하는 공기구멍(72)이 하측에 형성되며, 에어필터(73)를 수용하기 위한 상부개방형의 필터수납부(71)가 형성되는 필터하우징(70)을 포함한다.
가이드앵글(65)은 예를 들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출입구(64)와 개방구(21)의 4군데 코너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터하우징(70)의 외측 모서리에 가이드앵글(65)이 밀착되면서 필터하우징(70)을 안내하고 지지하게 된다.
에어필터(73)는 필터하우징(70)에 형성된 필터수납부(71)로 삽입되며, 교환시에는 필터수납부(71)에서 상측으로 인출된다.
본 발명은 가스흡입관(63)의 상단을 따라 평평하게 형성되는 상부플랜지(66); 필터하우징(7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부플랜지(66)에 밀착되는 하부플랜지(74); 필터하우징(70)의 일측에 설치되는 인출손잡이(75); 인출손잡이(75)에 설치되어 필터하우징(70)이 출입할 때 필터출입구(64)을 여닫는 개폐판(76)을 포함한다.
가스흡입관(63)에 형성된 상부플랜지(66)와 필터하우징(70)에 형성된 하부플랜지(7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하우징(70)이 흡입덕트(60)의 내부에 수납되었을 때 상부플랜지(66)와 하부플랜지(74)가 서로 밀착되면서 기밀성을 유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인출손잡이(75)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을 필터하우징(70)에 용접해서 설치할 수 있으며, T자 모양으로 형성해서 손으로 잡고 당기거나 밀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개폐판(76)은 필터하우징(70)이 흡입덕트(60)의 내부에 수납되었을 때 흡입덕트(60)의 측면에 형성된 필터출입구(64)를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출입구(64)의 모양에 대응하는 모양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터하우징(70)의 타측에 설치되고, 흡입덕트(6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는 스페이서(77); 덮개(20)의 외측 수직면에 설치되는 발판(80); 덮개(20)의 지붕 경사면에 설치되고, 발판(80)으로부터 도어(22)를 향해 설치되는 디딤판(81); 발판(80)과 디딤판(81)의 양측에 위치되는 난간(82)을 포함한다.
스페이서(77)는 필터하우징(70)을 흡입덕트(60)의 내부에 수납할 때 필터하우징(70)이 흡입덕트(60)의 내벽에 접촉되거나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경질고무와 같은 것으로 형성되어 충격완화도 겸할 수 있다.
덮개(20)에 설치된 발판(80)과 디딤판(81)은 작업자가 덮개(20)의 지붕 위로 올라가서 도어(22)를 개방한 다음 필터하우징(70)을 인출해서 에어필터(73)를 교환하는데 이용된다.
도면 중 부호 12는 처리조(10)에 담긴 하폐수를 나타낸 것이고, 52는 환풍기(50)의 배기구 상부에 설치되어 우천시 빗물이 환풍기(5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뚜껑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의 하단부에 설치된 바닥채널(30)의 수중격벽(31)이 수로벽(44)(45)에 채워진 물(43)에 잠겨 있기 때문에 처리조(10)의 상단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굴곡이 있는 경우에도 처리조(10)로부터 발생된 악취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환풍기(50) 가동시 흡입파이프(61)에 가해지는 부압에 의해 외부공기가 외벽(32)에 형성된 통공(33)을 통해 바닥채널(30)의 내부로 강제로 유입되어 바닥채널(30)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35)을 통해 흡입덕트(60)로 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수로벽(44)(45)에 채워진 물(43)에 악취가스가 용해되면서 바닥채널(30)로 유입될 수 있는 미량의 악취가스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통공(33)을 통해 유입되는 다량의 공기와 섞여서 흡입덕트(60)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에어필터(73)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난간(82)을 손으로 잡으면서 발판(80)과 디딤판(81)을 딛고 덮개(20)의 지붕 위로 올라간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2)를 개방한 후 인출손잡이(75)를 잡고 필터하우징(70)을 앞으로 당기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하우징(70)이 가이드앵글(65)을 따라 밖으로 인출된다.
이때 오염된 에어필터(73)를 필터하우징(70)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새로운 에어필터(73)를 필터수납부(71)에 삽입하고 필터하우징(70)을 인출할 때의 역순으로 삽입하면, 필터하우징(70)이 가이드앵글(65)을 따라 안내되면서 흡입덕트(60)의 내부로 수납된다.
이 과정에서 스페이서(77)가 흡입덕트(60)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순간 인출손잡이(75)에 설치된 개폐판(76)이 필터출입구(64)를 폐쇄하게 되며, 이때 개방된 도어(22)로부터 손을 떼면, 도어(22)가 자중에 의해 닫히면서 개방구(21)가 폐쇄된다.
10 : 처리조 12 : 하폐수
20 : 덮개 21 : 개방구
22 : 도어 23 : 도어손잡이
24 : 경첩 30 : 바닥채널
31 : 수중격벽 32 : 외벽
33 : 통공 34 : 노치
35 : 구멍 40 : 베이스판
41,42 : 이중리브 43 : 물
44,45 : 수로벽 46 : 접착층
50 : 환풍기 52 : 뚜껑
60 : 흡입덕트 61 : 흡입파이프
62 : 공기통로 63 : 가스흡입관
64 : 필터출입구 65 : 가이드앵글
66 : 상부플랜지 67 : 연결관
68 : 엘보 70 : 필터하우징
71 : 필터수납부 72 : 공기구멍
73 : 에어필터 74 : 하부플랜지
75 : 인출손잡이 76 : 개폐판
77 : 스페이서 80 : 발판
81 : 디딤판 82 : 난간
90 : 제어부 91 : 펌프구동부
92 : 펌프 93 : 모터구동부
94 : 수위센서

Claims (3)

  1. 처리조(10)를 덮는 덮개(2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실내에 위치되는 수중격벽(31)과 실외에 위치되는 외벽(32)을 갖는 바닥채널(30);
    상기 외벽(32)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채널(30)의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통공(33);
    상기 처리조(10)의 상단 테두리에 접합되는 베이스판(40);
    상기 수중격벽(31)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판(40)의 상면에 서로 거리를 두고 형성되고, 상기 수중격벽(31)이 잠기는 물(43)을 담아두는 수로벽(44)(45);
    상기 수중격벽(31)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로벽(44)(45)에 채워진 물(43)을 안팎으로 소통시키는 노치(34);
    상기 외벽(32)의 하단이 끼워지고, 상기 베이스판(40)의 상면에 형성되는 이중리브(41)(42);
    상기 덮개(20)에 설치된 환풍기(50)의 흡입측에 연결되고, 상기 덮개(2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흡입덕트(60);
    상기 바닥채널(30)에서 상기 흡입덕트(60)로 연결되는 흡입파이프(6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용 탈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60)의 내측 벽면과 간격을 이루면서 상기 흡입덕트(60)의 중심에 위치되어 공기통로(62)를 형성하고, 상기 흡입파이프(61)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가스흡입관(63);
    상기 흡입덕트(6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필터출입구(64);
    상기 필터출입구(64)에 대응해서 상기 덮개(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개방구(21);
    상기 개방구(21)를 개폐하는 도어(22);
    상기 개방구(21)와 필터출입구(64)의 코너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흡입덕트(60)의 내부로 연장되는 가이드앵글(65);
    상기 가이드앵글(65)을 따라 안팎으로 슬라이드 되고, 상기 가스흡입관(63)으로 통하는 공기구멍(72)이 하측에 형성되며, 에어필터(73)를 수용하기 위한 상부개방형의 필터수납부(71)가 형성되는 필터하우징(70);
    상기 가스흡입관(63)의 상단을 따라 평평하게 형성되는 상부플랜지(66);
    상기 필터하우징(7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플랜지(66)에 밀착되는 하부플랜지(74);
    상기 필터하우징(70)의 일측에 설치되는 인출손잡이(75);
    상기 인출손잡이(75)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하우징(70)이 출입할 때 상기 필터출입구(64)을 여닫는 개폐판(7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용 탈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70)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덕트(6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는 스페이서(77);
    상기 덮개(20)의 외측 수직면에 설치되는 발판(80);
    상기 덮개(20)의 지붕 경사면에 설치되고, 상기 발판(80)으로부터 상기 도어(22)를 향해 계단형태로 설치되는 디딤판(81);
    상기 발판(80)과 디딤판(81)의 양측에 위치되는 난간(8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용 탈취장치.
KR1020180043185A 2018-04-13 2018-04-13 하폐수용 탈취장치 KR101936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185A KR101936064B1 (ko) 2018-04-13 2018-04-13 하폐수용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185A KR101936064B1 (ko) 2018-04-13 2018-04-13 하폐수용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064B1 true KR101936064B1 (ko) 2019-01-08

Family

ID=6502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185A KR101936064B1 (ko) 2018-04-13 2018-04-13 하폐수용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0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039A (ko) * 2021-05-03 2022-11-10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물 정화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184U (ja) 1995-10-27 1996-05-17 エステック株式会社 ばっ気型浄化水槽の臭気シール装置
JP2003164235A (ja) 2001-12-03 2003-06-10 Sugiura Torahiko 大規模式飼鶏舎の鶏糞悪臭処理施設
KR200394487Y1 (ko) 2005-06-10 2005-09-14 대한민국 축사용 탈취장치
KR100975301B1 (ko) 2010-02-02 2010-08-12 (주)엑센 하폐수처리장의 악취방지를 위한 바이오필터 일체형 탈취커버장치
KR101407472B1 (ko) 2012-09-27 2014-06-16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184U (ja) 1995-10-27 1996-05-17 エステック株式会社 ばっ気型浄化水槽の臭気シール装置
JP2003164235A (ja) 2001-12-03 2003-06-10 Sugiura Torahiko 大規模式飼鶏舎の鶏糞悪臭処理施設
KR200394487Y1 (ko) 2005-06-10 2005-09-14 대한민국 축사용 탈취장치
KR100975301B1 (ko) 2010-02-02 2010-08-12 (주)엑센 하폐수처리장의 악취방지를 위한 바이오필터 일체형 탈취커버장치
KR101407472B1 (ko) 2012-09-27 2014-06-16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039A (ko) * 2021-05-03 2022-11-10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물 정화 장치
KR102522333B1 (ko) * 2021-05-03 2023-04-17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물 정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3250A (en) Device for the removal of foul air from toilet bowls
EP1886612B1 (en) Upward discharge waste device for a shower tray
US9133611B2 (en) Toilet ventilation systems
KR101693412B1 (ko) 동물 부검대
EP2962612A1 (en) Shower device with water recirculation and base section for such a shower device
RU2528487C2 (ru) Сифон
KR101936064B1 (ko) 하폐수용 탈취장치
JP4659039B2 (ja) 水を使用する家庭用器具における排水導管用の導管換気装置
KR101345361B1 (ko) 산업단지 내의 하수관 악취 방지 시설
US5394569A (en) Air venting apparatus for WC
CN113028541B (zh) 加湿设备
KR102090867B1 (ko)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JP3343216B2 (ja) 解剖台
AU2014215853A1 (en) Air treatment device
US10619341B2 (en) Wastewater lift station vent odor neutralization device
WO2022055211A1 (ko)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CN113266905B (zh) 中央加湿装置
CN116817384A (zh) 加湿设备
CA2539657A1 (en) Ventilated toilet seat
JP5871260B2 (ja) グリース阻集器
KR101000074B1 (ko) 간이화장실용 오물저장조의 악취 정화 배출장치
RU2004133049A (ru) Система устранения неприятного запаха из туалета
KR20160115601A (ko) 배출관로를 이용한 내장형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CN214619908U (zh) 加湿设备
KR101550293B1 (ko) 거품누출방지용 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