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293B1 - 거품누출방지용 수조 - Google Patents

거품누출방지용 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293B1
KR101550293B1 KR1020140052448A KR20140052448A KR101550293B1 KR 101550293 B1 KR101550293 B1 KR 101550293B1 KR 1020140052448 A KR1020140052448 A KR 1020140052448A KR 20140052448 A KR20140052448 A KR 20140052448A KR 101550293 B1 KR101550293 B1 KR 101550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inlet
opening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호
정장근
윤석현
윤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52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발생하는 거품량을 제한하고 거품의 상승 또는 누설이 방지될 수 있으며, 거품제거를 위한 수단이 수조수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지 않는 구조의 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거품누출방지용 수조는,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조수가 수용되는 수조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에서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을 덮도록 상기 수조본체에 설치되는 상부덮개판과, 상기 상부덮개판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부를 덮고 있는 것으로, 상기 개방부의 상측에 거품이 모이기 위한 거품수집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덮개판의 상면과의 사이에서만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상측의 외부와 연통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의 높이가 상기 거품수집공간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설치된 개방부커버체와, 상기 상부덮개판의 상측에서 상기 수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조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덮개판의 상면을 타고 상기 입구로 수조수가 진입하도록 수조수를 공급하는 수조수공급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품누출방지용 수조{Water tank for preventing bubble increase}
본 발명은 거품누출방지용 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 내에서 물의 유동에 의해 발생하는 거품이 상승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수조에 관한 것이다.
활어 등 어패물을 보관하는 수조에서는 어폐물의 부산물로 인한 유기물이 축적되고, 수조의 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거품을 발생시킨다.
그와 같은 거품은 해수를 사용하는 수조에서 보다 다량으로 발생하고, 수조 내의 해수를 정화처리하기 위한 정화장치의 설치 시에 거품의 제거를 위한 시설이 통상 포함되고 있다.
도 1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1753호에 기재된 수조용 거품제거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수조(1)에 수용되는 수조수는 이물질제거수단인 스키머(3)로 유입되어 유해물질이 제거되게 한 후 이물질을 걸러 주는 여과기(4)를 통해 다시 수조(1)로 공급되도록 순환한다.
상기 스키머(3) 또는 여과기(4)에는 수조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를 구비하고 있고, 수조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환수관(6)과 흡입가이드수단(8)이 설치된다. 따라서, 흡입가이드수단(8) 내부에 있는 수조수는 이물질제거수단인 스키머(3) 및 여과기(4)를 통해 다시 수조(1) 내로 급수된다.
아울러, 수조(1) 내에서 수조수가 흐르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수면에 떠 있게 되는 거품(7)은 자연스럽게 부유하여 승하강하는 제거수단(2) 쪽으로 흘러 흡입가이드수단(8)으로 유입된다.
그 흡입된 거품(7)은 흡입가이드수단(8)으로 유동하는 과정에 저절로 소실되어 없어지거나 스키머(3)에서 소실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거품제거장치는, 수중에 거품제거를 위한 제거수단(2)이 수면수를 흡입하도록 별도 설치되어야 하고, 펌프에 의해 지속적인 순환이 이루어져야 하는 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또한, 기 설치된 장치가 있고 수조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협소하여 상기와 같은 제거수단(2)을 설치하기 어려운 수조에는 적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수조의 내부에 플라즈마수처리기가 설치되어 물을 정화처리기 위한 전용수조에는 상기 종래기술의 제거수단(2) 등이 설치될 공간이 부족하고 수조수의 정화는 플라즈마수처리기가 담당하고 있으므로, 거품을 제거할 수 있는 보다 간단한 구성만을 필요로 한다.
또한, 플라즈마수처리기가 설치된 수조에서는 오존기체 등이 발생하므로 거품의 누설방지와 함께 오존기체가 설정된 통로로 배출되도록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발생하는 거품량을 제한하고 거품의 상승 또는 누설이 방지될 수 있으며, 거품제거를 위한 수단이 수조수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지 않는 구조의 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플라즈마수처리기가 설치된 수조에서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플라즈마수처리기에서 발생한 오존 등의 가스배출이 용이하고 거품의 상승 또는 누설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의 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거품누출방지용 수조는,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조수가 수용되는 수조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에서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을 덮도록 상기 수조본체에 설치되는 상부덮개판과, 상기 상부덮개판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부를 덮고 있는 것으로, 상기 개방부의 상측에 거품이 모이기 위한 거품수집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덮개판의 상면과의 사이에서만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 상측의 외부와 연통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의 높이가 상기 거품수집공간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설치된 개방부커버체와, 상기 상부덮개판의 상측에서 상기 수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조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덮개판의 상면을 타고 상기 입구로 수조수가 진입하도록 수조수를 공급하는 수조수공급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방부에서 상기 입구로 갈수록 상기 거품수집공간의 높이는 점점 낮아지고, 상기 개방부와 상기 입구는 서로 소정거리를 가짐으로써, 상기 개방부커버체의 하측에서 상기 소정거리만큼 상기 상부덮개판의 상면을 따라 수조수가 유동하여, 상기 개방부로 수조수가 낙하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공간에 플라즈마 반응한 공기 또는 가스를 수중에서 배출하여 수조수를 정화처리하는 플라즈마수처리기가 설치되고, 상기 입구의 상측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개방부를 거쳐 상기 입구를 통해 빠져나온 기체가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활성탄여과기가 더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조수공급구는, 공급되는 수조수가 상기 상부덮개판의 상면 전체에 펴진 상태로 유동할 수 있도록 끝단에 상기 상부덮개판과 평행한 슬릿형상의 출수공을 가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조수공급구를 통해 공급되어 상기 상부덮개판의 상면을 따라 유동하는 수조수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유동해 나오는 기체가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입구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유동층을 형성하여 상기 입구로 진입하고, 상기 유동층은 상기 입구의 폭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방부 또는 상기 개방부의 하측에, 수면의 상측에 위치하는 메쉬(mesh)층이 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품누출방지용 수조는, 수조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덮는 상부덮개판과, 수조 내부에서 거품이 상승할 수 있는 개방부를 덮고 있는 개방부커버체에 의해, 상기 개방부의 상측에 거품이 모이기 위한 거품수집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덮개판의 상면과의 사이에서만 높이가 거품수집공간보다 낮게 형성된 입구가 설치되며, 상부덮개판의 상면을 타고 입구로 수조수가 진입하도록 수조수가 공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조내부에서 발생한 거품이 개방부를 통해 상승하려고 하더라도 거품수집공간에 모일 뿐이고 입구를 통해 빠져나오지 못하며, 입구를 통해 빠져나오려는 거품은 입구로 진입하는 수조수에 의해 제거되거나 거품수집공간으로 다시 모이게 될 뿐인 바, 수조에서 다량의 거품이 발생하더라도 상측이나 외부로 누출될 수 없다.
특히, 본 발명은 수용공간에 플라즈마 반응한 공기 또는 가스를 수중에서 배출하여 수조수를 정화처리하는 플라즈마수처리기가 설치되고, 상기 입구의 상측에 기체가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활성탄여과기가 더 설치된 구성인 경우, 수조의 내부에서 발생한 오존가스가 입구를 통해 활성탄여과기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발생한 거품은 전술한 작용에 의해 거품수집공간에 머물도록 하여 활성탄여과기에 접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조에 오존가스가 발생하는 플라즈마수처리기가 설치되고 거품과 접촉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활성탄여과기가 상측에 설치된 구성에 있어서 오존을 여과처리하여 배출하고 거품의 상승은 방지함으로써, 수처리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응축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활어수족관에 수조수를 수처리하는 수조수정화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품누출방지용 수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품누출방지용 수조에서 수조본체에 개방부커버체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품누출방지용 수조에서 수조수공급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품누출방지용 수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품누출방지용 수조에서 거품수집공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품누출방지용 수조로서, 개방부커버체를 변형하여 거품수집공간이 오목하도록 구성한 수조의 단면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품누출방지용 수조는 도 2의 활어수족관(10)을 수처리하는 수조수정화장치(20)의 수조와 같이, 유동으로 거품이 많이 발생하는 해수 등의 수조로서 사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품누출방지용 수조는, 내부의 수용공간(32)에 수조수가 수용되는 수조본체(30)와, 상기 수조본체(3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용공간(32)의 상측에서 일측에 개방부(50)가 형성되도록 비워둔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32)을 덮고 있는 상부덮개판(40)과, 상기 상부덮개판(40)의 상측에 위치하고 개방부(50)를 덮고 있는 것으로, 상기 개방부(50)의 상측에 거품이 모이기 위한 거품수집공간(6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덮개판(40)의 상면과의 사이에서만 수용공간(32)과 상기 수용공간(32) 상측의 외부가 상기 개방부(50)을 경유하여 연통되는 입구(64)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64)의 높이가 상기 거품수집공간(6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설치된 개방부커버체(60)와, 상기 상부덮개판(40)의 상측에서 수조본체(30)에 설치되어 수용공간(32)에 수조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덮개판(40)의 상면을 타고 입구(64)로 수조수가 진입하도록 수조수를 공급하는 수조수공급구(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조본체(30)는 내부에 수조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2)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공간(32)에 수조수를 공급하는 수조수공급구(71)와 수조수배출구(72)가 측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공간(32)에는 오염된 수조수를 정화하기 위한 플라즈마수처리기(81) 등 수조수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덮개판(40)은 수용공간(32)의 상측에 판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면의 상측에 설치되고 수면의 상측 전체를 커버하는 것이 아니고, 일측에는 수용공간(32)으로부터 공기 등 기체가 빠져나올수 있도록 개방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덮개판(40)이 덮고 있는 수조본체(30)의 상부는 상기 개방부(50)를 제외하면 거품이 누설될 수 없도록 밀폐된다.
상기 상부덮개판(40)은 개방부(50)를 향해 기울어지는 약간의 경사가 허용될 수 있으나, 수평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부(50)는 수조본체(30)의 상측의 일측에 치우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덮개판(40)이 덮고 있지 않아 형성된 부분이다. 개방부(50)는 수용공간(32)의 기체가 외부로 빠져나올수 있는 통로가 됨과 아울러, 수조수공급구(71)에서 공급되는 수조수가 상부덮개판(40)의 상면을 거쳐 하측으로 낙하하는 부분이다.
상기 개방부(50)의 하측에는 수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메쉬(mesh)층(55)이 형성된다. 그 메쉬층(55)은 수면으로부터 상승하는 거품과 접촉하여 거품의 일부를 제거하고, 개방부(50)를 통해 낙하하는 수조수가 부딪혀 물방울을 비산시켜 거품을 제거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메쉬층(55)은 개방부(50)의 하측이 아니라 개방부(5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개방부커버체(60)는 상부덮개판(40)의 상측에 위치하고 개방부(50)를 덮도록 수조본체(30)의 상부에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다.
개방부커버체(60)가 일측은 높고 타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진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일측에 있는 개방부(50)의 상측에는 거품이 모일 수 있는 거품수집공간(6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방부커버체(60)는 타측방향으로 가면서 상부덮개판(40)을 일부 덮고 있으며,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져 상부덮개판(40)의 상측에서는 상부덮개판(40)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소정높이로 개방된 입구(64)가 형성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개방부커버체(60)가 설치되는 위치에는 고무재질의 받침턱(35)이 수조본체(30)의 내벽에 형성됨으로써 개방부커버체(60)가 경사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으며, 거품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밀폐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상기 입구(64)는 수용공간(32)이 수용공간(32) 상측의 외부와 연통되는 유일한 통로가 되는 것으로서, 수용공간(32)의 기체는 상승하여 개방부(50)를 거쳐 상기 입구(64)를 통해 외부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입구(64)의 높이는 거품수집공간(6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거품수집공간(62)에 모이는 거품이 입구(64)를 통해 누출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상부덮개판(40)과 개방부커버체(60)의 조합에 의해 개방부(50)에서 입구(64)로 갈수록 거품수집공간(62)의 높이는 점점 낮아지고 있으며, 개방부(50)와 입구(64) 사이에 소정거리(S)가 형성되어 입구(64)로 진입한 수조수가 개방부(50)에서 낙하할 때까지 상부덮개판(40)의 상면을 타고 유동할 수 있다. 상부덮개판(40)의 상면에 개방부(50)측으로 유동하는 수조수는 거품수집공간(62)에서 입구(64)측으로 누출되려는 거품과 접촉하여 거품을 거품수집공간(62) 측으로 밀어넣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수조수공급구(71)는 상부덮개판(40)의 상측에서 수조본체(30)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부덮개판(40)의 상면에 수조수를 공급한다. 상기 수조수공급구(71)는 수조본체(30)의 상부 중 타측, 즉 개방부(50)가 형성된 위치의 반대 위치에 설치되어 개방부(50)를 향해 수조수가 공급되고 있으며, 공급된 수조수는 상부덮개판(40)의 상면을 타고 상기 입구(64)로 진입함으로써 수용공간(32)에 공급될 수 있다.
수조수공급구(71)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수조수가 넓게 퍼져서 상부덮개판(40)의 상면을 유동할 수 있도록 끝단에 상부덮개판(40)과 평행한 슬롯(slot)형상의 출수공(71a)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조수가 상부덮개판(40)의 상면에 넓게 퍼져서 입구(64)로 진입할 수 있고, 수조수의 유동층(75)이 입구(64)의 폭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입구(64)로 진입해 들어가는 수조수의 유동이 거품의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입구(64)의 폭 전체에 유동층(75)이 형성되어 거품의 누출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본체(30)의 수용공간(32)에는 플라즈마 반응한 공기 또는 가스를 수중에서 배출하여 수조수를 정화처리하는 플라즈마수처리기(81)가 설치되어 수중의 오염물질을 오존가스 등이 산화, 분해시킴으로써 정화처리하고 있다.
플라즈마수처리기(81)에서 발생한 오존가스 등의 기체는 수용공간(32)으로부터 상승하여 개방부(50)를 통과하고, 상기 입구(64)를 통해 상측으로 빠져나간다.
수조본체(30)의 상단 즉, 상부덮개판(40)과 개방부커버체(60)의 상측에는 활성탄여과기(82)가 설치되어 오존을 정화처리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있다.
상기 활성탄여과기(82)는 수조에서 발생한 거품과 접촉하면 그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하측의 상부덮개판(40), 개방부커버체(60) 등이 조합된 구성에 의해 거품과 활성탄여과기(82)의 접촉이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전술한 구성에 따른 거품누출방지용 수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조본체(3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된 수조수공급구(71)에서 상부덮개판(40)의 상면에 활어수족관(10) 등에서 끌어올린 수조수를 공급하면, 공급된 수조수는 상부덮개판(40)의 상면을 따라 넓게 퍼져서 입구(64)로 진입한다.
수조수공급구(71)의 출수공(71a)이 슬롯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입구(64)로 진입해 들어가는 수조수의 유동층(75)은 입구(64)의 폭 전체에 형성되어 진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입구(64)에 진입하는 수조수의 유동층(75)은 입구(64)의 전체 높이에 형성되지 않도록 수조수공급구(71)에서의 공급량이 조절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입구(64)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유동층(75)을 형성하여 상기 입구(64)로 진입하고 있는 바, 입구(64)에서 수조수의 유동층(75)의 상측에는 오존 등 기체가 수조수의 유동과는 반대방향으로 자유롭게 빠져나올 수 있다.
한편, 수조수의 공급 및 배출에 따른 유동과, 플라즈마수처리기(81)에서 발생한 기체에 의한 유동으로 인해 거품이 다량 발생한 경우, 거품은 수면으로부터 상승하여 도 7과 같이, 개방부(50)를 통해 거품수집공간(62)까지 상승한다.
그 상승과정에서 메쉬층(55)과 메쉬층(55)에 부딪혀 비산하는 물입자에 의해 일부 거품이 제거되고, 남은 거품의 양이 점차 증가하면 거품수집공간(62)까지 상승하여 모이게 된다.
거품수집공간(62)에 모인 거품의 양이 증가하면, 개방부커버체(60)의 경사진 내면을 따라 입구(64)로 진행하여 입구(64)에서 외부로 누설되려 할 것이다.
이때, 입구(64)를 통해 진입한 수조수는 입구(64)의 하부에 유동층(75)을 이루어 진입하고, 누출되려는 거품과 접촉하면서 일부의 거품은 터뜨려 제거하며, 나머지 거품은 거품수집공간(62)으로 밀어 넣게 된다.
또한, 개방부(50)와 입구(64) 사이의 거리(S)를 수조수의 유동층(75)이 진행하면서 거품수집공간(62)에서 입구(64)측으로 진행하려는 거품과 접촉하게 되고, 거품을 수조수의 진행방향 측으로 밀어 넣게 되는 바, 입구(64)를 통한 거품의 누출이 저지될 수 있다.
이때, 입구(64)로 진입해 들어오는 물의 유동층(75)과 만나 거품수집공간(62)의 내부로 끌려들어오는 거품은 점성이 있으므로 주위의 거품도 함께 끌어들이게 되는 바, 입구(64) 부근에서 물의 유동층(75)에 의해 복귀하는 거품은 거품수집공간(62)의 내부로 서로 간에 끌어들이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입구(64)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온 거품이 존재하더라도, 입구(64)의 좁은 통로를 통해 물이 빠른 속도로 유동하게 되면, 입구(64) 부근에서 압력이 낮아지게 되는 바, 입구(64)를 벗어난 거품도 압력차이로 재차 입구로 빨려들어오게 되고, 물의 유동층(75)와 만나 소멸되거나 거품수집공간(62)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거품누출방지용 수조는 누출되는 거품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활성탄여과기(82) 등의 각부에 접촉하여 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전술한 실시예의 개방부커버체(60′)를 변형하여 거품수집공간(62′)이 오목하도록 구성한 수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과 같이 거품수집공간(62′)이 확장되고 입구(64)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거품수집공간(62′)이 형성됨으로써 입구(64)를 통해 거품이 누설되려는 경향이 감소하고, 충분한 공간을 가질 수 있으므로 유동하는 수조수에 의해 거품이 입구(64)에서 거품수집공간(62′)으로 보다 용이하게 밀려들어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활어수족관 20; 수조수정화장치
30; 수조본체 32; 수용공간
35; 받침턱 40; 상부덮개판
50; 개방부 55; 메쉬층
60, 60′; 개방부커버체 62, 62′; 거품수집공간
64; 입구 71; 수조수공급구
72; 수조수배출구 71a; 출수공
75; 유동층 81; 플라즈마수처리기
82; 활성탄여과기

Claims (6)

  1. 내부의 수용공간(32)에 수조수가 수용되는 수조본체(30)와,
    상기 수조본체(3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용공간(32)의 상측에서 일측에 개방부(50)가 형성되도록 비워둔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32)을 덮고 있는 상부덮개판(40)과,
    상기 상부덮개판(4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개방부(50)를 덮고 있는 것으로, 상기 개방부(50)의 상측에 거품이 모이기 위한 거품수집공간(62)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덮개판(40)의 상면과의 사이에서만, 상기 수용공간(32)이 상기 개방부(50)를 거쳐 상기 수용공간(32) 상측의 외부와 연통되는 입구(64)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입구(64)의 높이가 상기 거품수집공간(6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설치된 개방부커버체(60)와,
    상기 상부덮개판(40)의 상측에서 상기 수조본체(30)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32)에 수조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덮개판(40)의 상면을 타고 상기 입구(64)로 수조수가 진입하도록 수조수를 공급하는 수조수공급구(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누출방지용 수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50)에서 상기 입구(64)로 갈수록 상기 거품수집공간(62)의 높이는 점점 낮아지고,
    상기 개방부(50)와 상기 입구(64)는 서로 소정거리(S)를 가짐으로써,
    상기 개방부커버체(60)의 하측에서 상기 소정거리(S)만큼 상기 상부덮개판(40)의 상면을 따라 수조수가 유동하여, 상기 개방부(50)로 수조수가 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누출방지용 수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32)에는
    플라즈마 반응한 공기 또는 가스를 수중에서 배출하여 수조수를 정화처리하는 플라즈마수처리기(81)가 설치되고,
    상기 입구(64)의 상측에는 상기 수용공간(32)으로부터 상기 개방부(50)를 거쳐 상기 입구(64)를 통해 빠져나온 기체가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활성탄여과기(82)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누출방지용 수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수공급구(71)는,
    공급되는 수조수가 상기 상부덮개판(40)의 상면 전체에 펴진 상태로 유동할 수 있도록 끝단에 상기 상부덮개판(40)과 평행한 슬릿형상의 출수공(71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누출방지용 수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수공급구(71)를 통해 공급되어 상기 상부덮개판(40)의 상면을 따라 유동하는 수조수는, 상기 수용공간(32)으로부터 유동해 나오는 기체가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입구(64)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유동층(75)을 형성하여 상기 입구(64)로 진입하고,
    상기 유동층(75)은 상기 입구(64)의 폭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누출방지용 수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50) 또는 상기 개방부(50)의 하측에는, 수면의 상측에 위치하는 메쉬(mesh)층(5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누출방지용 수조
KR1020140052448A 2014-04-30 2014-04-30 거품누출방지용 수조 KR101550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448A KR101550293B1 (ko) 2014-04-30 2014-04-30 거품누출방지용 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448A KR101550293B1 (ko) 2014-04-30 2014-04-30 거품누출방지용 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293B1 true KR101550293B1 (ko) 2015-09-07

Family

ID=5424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448A KR101550293B1 (ko) 2014-04-30 2014-04-30 거품누출방지용 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2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597B1 (ko) 2015-11-18 2017-08-23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597B1 (ko) 2015-11-18 2017-08-23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792Y1 (ko) 수막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2069379B1 (ko) 오염공기 탈취장치
JP2009262066A (ja) 排水処理装置
KR102060940B1 (ko) 다단계 빗물 저장탱크를 이용한 빗물 저장 및 수질 처리 시스템
KR101550293B1 (ko) 거품누출방지용 수조
JP4907332B2 (ja) 床面洗浄機用洗浄水タンク装置
KR101774488B1 (ko) 침강 및 부유하는 슬러지 제거설비 및 이의 운전방법
JP5587942B2 (ja) 排水処理装置
JP6485772B2 (ja) 気体浄化装置及び該気体浄化装置の運転方法
KR20160115291A (ko)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KR101119152B1 (ko) 활어 수조용 정수기
KR100836154B1 (ko) 워터필터 공기정화기
JP3621859B2 (ja) 泡沫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浄化システム
JP2009011192A (ja) 活魚水槽装置および活魚水槽装置用のフィルター
KR102046131B1 (ko) 초기우수 수질 처리 시스템
JP2005319455A (ja) 汚水タンク
KR101653242B1 (ko) 거품 처리장치 및 시스템
JP2003253746A (ja) グリーストラップ装置
JP2000015002A (ja) 汚水処理装置
JP3752643B2 (ja) 用廃水および循環水の浄化装置
JP2007111655A (ja) 脱臭装置
KR102501358B1 (ko) 스컴 제거와 자체 세정이 가능한 약액탈취기
JP2009131810A (ja) 油水分離装置
KR101318801B1 (ko) 부양식 악취 정화 배출 장치
JP2003139368A (ja) 排気中油分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